KR200292491Y1 - 빔틸트 가변 안테나 - Google Patents

빔틸트 가변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2491Y1
KR200292491Y1 KR2020020020425U KR20020020425U KR200292491Y1 KR 200292491 Y1 KR200292491 Y1 KR 200292491Y1 KR 2020020020425 U KR2020020020425 U KR 2020020020425U KR 20020020425 U KR20020020425 U KR 20020020425U KR 200292491 Y1 KR200292491 Y1 KR 2002924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high frequency
frequency signal
antenna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04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돈신
Original Assignee
(주)하이게인안테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게인안테나 filed Critical (주)하이게인안테나
Priority to KR20200200204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24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24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2491Y1/ko

Links

Landscapes

  • Waveguide Switches, Polarizers, And Phase Shifter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접점 방식으로 고주파 신호의 위상을 가변하여 수직으로 빔을 틸트할 수 있고, 위상지연부를 위상 가변수단의 양측에 각각 설치하여 삽입손실을 감소시킨 빔틸트 가변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고주파 신호를 위상변위시키는 위상 변위수단과, 위상 변위수단에 전자적으로 작용하여 고주파 신호의 위상을 가변시키는 위상 가변수단과, 위상 가변수단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위상 변위수단에서 위상이 변위된 고주파 신호를 복사하는 안테나를 포함하는 빔틸트 가변 안테나를 제공한다. 위상 가변수단은 위상 변위수단과 무접점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고주파 신호의 위상을 무접점 방식으로 가변하여 위상 가변수단에 의한 고장발생률을 감소시킬 수 있고, 불필요한 접점을 최대한 줄여 혼변조 특성을 개선한다.
그리고, 위상 가변수단의 양측에 위상지연부를 각각 설치하여 종래보다 공간을 적게 차지하면서 삽입손실을 절반으로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빔틸트 가변 안테나{ANTENNA CAPABLE OF VARYING BEAM TILT}
본 고안은 무접점 방식으로 고주파 신호의 위상을 가변하여 수직으로 빔을 틸트할 수 있고, 위상지연부를 위상 가변수단의 양측에 각각 설치하여 삽입손실을 감소시킨 빔틸트 가변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아날로그와 디지털 이동통신을 서비스하기 위해서 고정 기지국이나 고정 중계기를 설치하며, 이 때 안테나는 필히 설치되어야 한다. 기존의 경우, 대부분의 안테나는 빌딩이나 높은 철탑 등에 설치되었다.
안테나의 복사앙각이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 전파는 수평 방향이나 수평보다 높은 고앙각으로 복사되므로 수평면 이하의 서비스 구역에서는 실제 서비스 효율이 저하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방식은 위상 변위기를 직선형태로 구현하고, 슬라이드 접점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식은 공간을 많이 차지할 뿐만 아니라, 같은 위상차를 구현할 때 길이가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고장을 자주 일으키고, 도체와 도체사이 또는 유전체 기판의 동박 사이 등에서 접점이 많아 혼변조 특성이 나쁜 문제점 등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은 무접점 방식으로 고주파 신호의 위상을 가변하여 슬라이드 이동의 불량에 의한 고장발생을 개선하고 혼변조 특성을 개선한 빔틸트 가변 안테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위상 가변수단의 양측에 위상지연부를 각각 설치하여 종래보다 공간을 적게 차지하면서 삽입손실을 절반으로 감소시킨 빔틸트 가변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빔틸트 가변 안테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빔틸트 가변 안테나의 상세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안테나의 일실시예이고,
도 4는 고주파 신호의 위상지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빔틸트 가변 안테나의 전파복사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빔틸트 가변 안테나 100 : 위상 변위수단
110 : 유전체 기판 120 : 위상변위부
130 : 위상 지연부 140 : 분배부
200 : 위상 가변수단 300 : 이동수단
310 : 회전수단 320 : 제 1 스크류
322 : 제 2 스크류 330 : 제 1 결합부
332 : 제 2 결합부 340 : 제 1 풀리
342 : 제 2 풀리 350~353 : 베어링
360 : 벨트 400 : 안테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고주파 신호를 위상변위시키는 위상 변위수단; 상기 위상 변위수단에 전자적으로 작용하여 상기 고주파 신호의 위상을 가변시키는 위상 가변수단; 상기 위상 가변수단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 및 상기 위상 변위수단에서 위상이 변위된 고주파 신호를 복사하는 안테나를 포함하는 빔틸트 가변 안테나를 제공한다.
또, 본 고안은, 상기 위상 가변수단이 상기 위상 변위수단과 무접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틸트 가변 안테나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본 고안은, 상기 위상 가변수단이 상기 위상 변위수단과 겹쳐치는 면적에 따라서 상기 고주파 신호의 위상을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틸트 가변 안테나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본 고안은, 상기 위상 가변수단이 유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틸트 가변 안테나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본 고안은, 상기 위상 변위수단이 유전체 기판; 상기 유전체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주파 신호가 지나가는 경로길이에 따라 미리 지정된 위상으로 변위시키는 위상변위부; 및 상기 유전체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위상 가변수단과 겹치는 면적에 따라 상기 위상변위부에서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의 위상을 지연시키는 위상 지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틸트 가변 안테나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본 고안은, 상기 위상 지연부에서 상기 고주파 신호가 지나가는 경로를 지그재그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틸트 가변 안테나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본 고안은, 상기 위상 지연부가 상기 위상 가변수단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틸트 가변 안테나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본 고안은, 상기 위상 변위수단이 상기 위상변위부를 추가시 상기 유전체 기판 위에 상기 고주파 신호의 전력을 분배하는 분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틸트 가변 안테나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본 고안은, 상기 위상 변위수단이 상기 위상변위부마다 기설정된 차이만큼 고주파 신호의 위상을 변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틸트 가변 안테나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본 고안은, 상기 이동수단이 상기 위상 가변수단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 1 결합부; 상기 제 1 결합부가 장착되어 상기 위치 가변수단을 이동시키는 제 1 스크류; 및 상기 제 1 스크류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틸트 가변 안테나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본 고안은, 상기 회전수단이 핸들 또는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틸트 가변 안테나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본 고안은, 상기 이동수단이 상기 위상 가변수단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 2 결합부; 상기 제 2 결합부가 장착되어 상기 위상 가변수단을 이동시키는 제 2 스크류; 상기 제 1 스크류와 상기 제 2 스크류에 각각 설치된 제 1 및 제 2 풀리; 및 상기 제 1 및 제 2 풀리를 연결하여 상기 제 1 스크류의 회전력을 상기 제 2 스크류로 전달하는 벨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틸트 가변 안테나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본 고안은, 상기 안테나가 마름모 또는 X 형의 복편파 복사소자를 적어도 하나 이상 수직으로 배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틸트 가변 안테나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본 고안은, 상기 안테나가 원형 또는 사각형의 편파 복사소자를 적어도 하나 이상 수직으로 배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틸트 가변 안테나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본 고안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서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무접점 방식으로 고주파 신호의 위상을 가변하여 수직으로 빔을 틸트할 수 있고, 위상지연부를 위상 가변수단의 양측에 각각 설치하여 삽입손실을감소시키도록 구현된 빔틸트 가변 안테나를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빔틸트 가변 안테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빔틸트 가변 안테나(10)는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고주파 신호를 위상변위시키는 위상 변위수단(100)과, 위상 변위수단(100)에 전자적으로 작용하여 고주파 신호의 위상을 가변시키는 위상 가변수단(200)과, 위상 가변수단(200)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300)과, 위상 변위수단(100)에서 위상이 변위된 고주파 신호를 복사하는 안테나(400)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빔틸트 가변 안테나의 상세도로서, 도 2a는 내측 후면도, 도 2b는 정면도, 도 2c는 평면도, 도 2d는 측면도, 도 2e는 외측 후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위상 변위수단(100)은 유전체 기판(110), 위상변위부(120) 및 위상 지연부(1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위상변위부(120)와 위상 지연부(130)를 구성하는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은 유전체 기판(110) 위에 동박 패턴을 형성하여 구현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유전체 기판(110)에 4개의 위상변위부(120)와 4개의 위상지연부(130)를 형성하였으며,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하나씩 유전체 기판(110)을 설치하였다.
위상변위부(120)는 고주파 신호가 지나가는 경로길이에 따라 미리 지정된 위상으로 변위시킨다.
위상 지연부(130)는 위상 가변수단(200)과 겹치는 면적에 따라 위상변위부(120)에서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의 위상을 지연시킨다.
위상 변위수단(100)은 위상변위부(120)를 추가시 유전체 기판(110) 위에 고주파 신호의 전력을 미리 지정된 비율로 분배하는 분배부(140)를 더 포함하며, 위상변위부마다 기설정된 차이만큼 고주파 신호의 위상을 변위시킨다.
위상 지연부(130)는 고주파 신호가 지나가는 경로를 지그재그로 형성하고 있으며, 위상 가변수단(200)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일정 간격으로 각각 배치되어 있다.
도 2a에서는 위상 지연부(130)가 위상 가변수단(200)과 모두 동일한 거리를 유지하고 있지만, 더 가깝거나 더 멀게 형성하여 다양하게 위상지연을 구현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위상 가변수단(200)은 유전체인 것이 바람직하며, 위상 가변수단(200)이 좌 또는 우로 이동할 때 위상 변위수단(100)과 겹쳐치는 면적에 따라서 고주파 신호의 위상을 가변시킨다. 이 때, 위상 가변수단(200)은 위상 변위수단(100)과 무접점이다.
이동수단(300)은 위상 가변수단(200)을 이동시키는 방식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첫째, 빔틸트 가변 안테나(10)의 외부에 회전수단(310)을 도 2와 같이 장착하여, 사용자가 직접 회전수단(310)을 조작하여 빔틸트를 조절할 수 있다.
이동수단(300)은 위상 가변수단(200)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 1 결합부(330)와, 제 1 결합부(330)가 장착되어 위치 가변수단(200)을 이동시키는 제 1 스크류(320)와, 제 1 스크류(320)의 일단에 결합되어 제 1 스크류(320)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31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수단(310)으로 핸들을 사용하였다.
이동수단(300)은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상 가변수단(200)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 2 결합부(332)와, 제 2 결합부(332)가 장착되어 위상 가변수단(200)을 이동시키는 제 2 스크류(322)와, 제 1 스크류(320)와 제 2 스크류(322)에 각각 설치된 제 1 및 제 2 풀리(340,342)와, 제 1 및 제 2 풀리(340,342)를 연결하여 제 1 스크류(320)의 회전력을 제 2 스크류(322)로 전달하는 벨트(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결합부(330)와 제 2 결합부(332)는 너트와 같은 것으로 구현할 수 있다.
둘째, 회전수단(310)으로서 모터를 사용하고, 모터를 무선이나 유선으로 제어하여 빔틸트를 조절할 수 있다. 나머지는 도 2와 동일하게 구성하여 이동수단(300)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회전수단(310)으로서 핸들을 조작하여 빔틸트 각도를 조정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할 것이며, 이를 위하여 도 2e와 같이 빔틸트 각도를 표시하는 눈금을 함체 커버에 투명하게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테나(400)는 도 2에 도시한 단일편파 안테나 또는 도 3에 도시한 편파 안테나로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안테나(400)의 반사판(410) 위에 단일편파의 복사소자(D1∼D8)가 부착되어 있고, 반사판(410) 뒤의 함체 안쪽으로 급전점(R1~R8)이 인출되어 있다. 그리고, 안테나(400)의 정면에는 방설커버(420)가설치되어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안테나의 다른 실시예이다.
안테나에는 도 3(a)와 같은 마름모나 도 3(b)와 같은 X형의 복편파 복사소자(D1~D4, D1'~D4')를 적어도 하나 이상 수직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 유전체 기판을 이용하여 도 3(c)와 같이 원형 또는 도 3(d)와 같은 사각형의 편파 복사소자(D1~D4)를 적어도 하나 이상 수직으로 배열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서 빔틸트 가변 안테나가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고주파 신호의 위상을 가변시켜 상향이나 하향으로 틸트하는 과정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빔틸트 가변 안테나(10)의 입력단자(I)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된 고주파 신호는 상단부와 하단부의 위상 변위수단(100)으로 각각 분배된다. 위상 변위수단(100)에 출력된 고주파 신호는 위상변위부(120)의 경로길이에 따라 미리 지정된 위상으로 변위되며, 분배부(140)는 고주파 신호의 전력을 미리 지정된 비율에 따라 분배한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위상변위부(120)는 고주파 신호의 위상을 미리 지정된 차이만큼 변위시키기 위하여 아래로 갈수록 해당 위상차이만큼 경로길이를 길게 구성하였다.
위상변위부(120)에서 미리 지정된 위상으로 변위된 고주파 신호는 위상 지연부(130)에서 위상 가변수단(200)과 겹치는 면적에 따라 위상이 지연되어 안테나 (400)에 출력된다.
따라서, 위상 가변수단(200)의 위치를 조절하여 위상지연부(130)와 겹치는 면적을 가변시키면, 위상 가변수단(200)이 위상지연부(130)에 전자적으로 작용하여 고주파 신호를 상향이나 하향으로 틸트시킬 수 있다.
핸들(310)을 돌리면 제 1 스크류(320)와 제 1 풀리(340)가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 1 스크류(320)가 회전하면서 제 1 결합부(330)를 이동시키면, 위상 가변수단(200)이 좌 또는 우로 이동하여 위상 지연부(130)의 표면을 덮는다.
마찬가지로, 제 1 풀리(340)가 회전할 때 벨트로(360)연결되어 있는 제 2 풀리(342)가 회전한다. 따라서, 제 2 스크류(322)가 회전하면서 제 2 결합부(332)를 이동시켜, 위상 가변수단(200)이 좌 또는 우로 이동한다.
위상 변위수단(100)과 위상 가변수단(200)에 의한 빔틸트 과정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정수단(도 2c의 15)을 이용하여 빔틸트 가변 안테나(10)를 외부 지지대에 고정시키고, 위상 가변수단(200)이 중앙에 위치해 있을 때, 안테나에서 출력되는 빔은 수평에서 하향으로 8°기울어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를 위하여 위상 변위부(120)는 8°에 해당하는 길이만큼씩 차이가 나도록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그리고, 위상 가변수단(200)이 위상 지연부(130)의 가장 왼쪽과 가장 오른쪽에 위치할 때, L1~L8에 각각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는 표 1과 같이 지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출력
L1
L2
L3
L4
L5
L6
L7
L8
L1, L4, L5, L8은 안테나 상반부 R1, R2, R3, R4에 급전되어 복사되도록 구성하고, L7, L6, L3, L2는 안테나 하반부 급전점 R5, R6, R7, R8에 급전되어 복사되도록 구성한다.
그러면, 위상 가변수단(200)이 위상 변위부(120)의 가장 왼쪽과 가장 오른쪽에 위치할 때, L1~L8에서 각각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의 위상은 표 2와 같이 지연되며, 이를 도 4에 도시하였다.
급전점 출력
R1 L1
R2 L4
R3 L5
R4 L8
R5 L7
R6 L6
R7 L3
R8 L2
위상 가변수단(200)이 위상 지연부(130)의 가장 왼쪽에 겹치게 되면, 도 4(a)와 같이 하반부의 복사소자로 갈수록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의 위상이 늦어진다. 따라서, 빔은 위상차 θ에 해당하는 각도( φ)만큼 하향으로 틸트된다.
이 때, 위상차 θ와 빔틸트 각도 Φ의 관계는 수학식 1로 표현된다.
여기서, λ는 고주파 신호의 파장이고, d는 복사소자간의 거리이다.
반대로, 위상 가변수단(200)이 위상 지연부(130)의 가장 오른쪽에 겹치게 되면, 도 4(b)와 같이 상반부의 복사소자로 갈수록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의 위상이 늦어진다. 따라서, 빔은 위상차 θ에 해당하는 각도( φ)만큼 상향으로 틸트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빔틸트 가변 안테나의 전파복사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수평으로 고정된 안테나에서 출력되는 빔은 -8°±φ의 각도로 틸트가 가능해지며, 전체 이동가능한 틸트각의 범위는 2φ이다.
위와 같이 복사소자(D1~D8)에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의 위상을 지연시키면, θ값에 따라 수직으로 빔틸트 각( φ)을 가변할 수 있는 전기적인 안테나가 된다.
지그재그 모양의 위상 지연부(130)를 양측에 구현하면, 일측에 구성하는 경우보다 위상 지연부(130)의 길이를 1/2 짧게 할 수 있고, 위상변위 손실도 1/2 적게 할 수 있다.
위 실시예에서는 단일편파의 복사소자가 8단 수직으로 구성된 안테나를 이용하여 복사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며, 다른 실시예로는 도 3의 (a),(b)와 같이 복편파 복사소자 4단을 수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복사소자(D1~D4, D1'~D4')의 각 단에는 급전점(R1~R4, R1'~R4')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위상이 지연된 고주파 신호의 출력 L1, L4, L5, L8은 R1, R2, R3, R4에 각각 급전되고, L7, L6, L3, L2는 R1', R2', R3', R4' 에 각각 급전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여러 단의 복사소자를 2단이나 3단 수직으로 구성한 안테나를 사용하면, 위상 변위수단(100)의 수를 1/2 또는 1/3으로 줄일 수 있다.(삭제??)
또 다른 실시예로 유전체 기판을 이용하여 도 3의 (c),(d)와 같이 원형이나 사각형의 복사소자를 갖는 편파 안테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의 상반부에서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급전하도록 구성한다면 L1, L4, L3, L2를 R1, R2, R3, R4 에 각각 급전하면 된다.
본 고안은 다양한 형태의 복사소자로 구성된 단일편파 또는 복편파 안테나로 응용할 수 있다.
이상의 본 고안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고안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고주파 신호의 위상을 무접점 방식으로 가변하여 위상 가변수단에 의한 고장발생률을 감소시킬 수 있고, 불필요한 접점을 최대한 줄여 혼변조 특성을 개선한다.
그리고, 위상 가변수단의 양측에 위상지연부를 각각 설치하여 종래보다 공간을 적게 차지하면서 삽입손실을 절반으로 감소시키는 이점 등이 있다.

Claims (14)

  1.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고주파 신호를 위상변위시키는 위상 변위수단;
    상기 위상 변위수단에 전자적으로 작용하여 상기 고주파 신호의 위상을 가변시키는 위상 가변수단;
    상기 위상 가변수단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 및
    상기 위상 변위수단에서 위상이 변위된 고주파 신호를 복사하는 안테나를 포함하는 빔틸트 가변 안테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가변수단은
    상기 위상 변위수단과 무접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틸트 가변 안테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가변수단은
    상기 위상 변위수단과 겹쳐치는 면적에 따라서 상기 고주파 신호의 위상을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틸트 가변 안테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가변수단은 유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틸트 가변 안테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변위수단은
    유전체 기판;
    상기 유전체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주파 신호가 지나가는 경로길이에 따라 미리 지정된 위상으로 변위시키는 위상변위부; 및
    상기 유전체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위상 가변수단과 겹치는 면적에 따라 상기 위상변위부에서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의 위상을 지연시키는 위상 지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틸트 가변 안테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지연부는
    상기 고주파 신호가 지나가는 경로를 지그재그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틸트 가변 안테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지연부는
    상기 위상 가변수단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틸트 가변 안테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변위수단은
    상기 위상변위부를 추가시 상기 유전체 기판 위에 상기 고주파 신호의 전력을 분배하는 분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틸트 가변 안테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변위수단은
    상기 위상변위부마다 기설정된 차이만큼 고주파 신호의 위상을 변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틸트 가변 안테나.
  10.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위상 가변수단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 1 결합부;
    상기 제 1 결합부가 장착되어 상기 위치 가변수단을 이동시키는 제 1 스크류; 및
    상기 제 1 스크류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틸트 가변 안테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핸들 또는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틸트 가변 안테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위상 가변수단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 2 결합부;
    상기 제 2 결합부가 장착되어 상기 위상 가변수단을 이동시키는 제 2 스크류;
    상기 제 1 스크류와 상기 제 2 스크류에 각각 설치된 제 1 및 제 2 풀리; 및
    상기 제 1 및 제 2 풀리를 연결하여 상기 제 1 스크류의 회전력을 상기 제 2 스크류로 전달하는 벨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틸트 가변 안테나.
  13.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마름모 또는 X 형의 복편파 복사소자를 적어도 하나 이상 수직으로 배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틸트 가변 안테나.
  14.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원형 또는 사각형의 편파 복사소자를 적어도 하나 이상 수직으로 배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틸트 가변 안테나.
KR2020020020425U 2002-07-08 2002-07-08 빔틸트 가변 안테나 KR2002924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425U KR200292491Y1 (ko) 2002-07-08 2002-07-08 빔틸트 가변 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425U KR200292491Y1 (ko) 2002-07-08 2002-07-08 빔틸트 가변 안테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9400A Division KR20040005104A (ko) 2002-07-08 2002-07-08 빔틸트 가변 안테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2491Y1 true KR200292491Y1 (ko) 2002-10-28

Family

ID=73125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0425U KR200292491Y1 (ko) 2002-07-08 2002-07-08 빔틸트 가변 안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249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4510B2 (en) Antenna system for us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310585B1 (en) Isolation improvement mechanism for dual polarization scanning antennas
US7382329B2 (en) Variable beam controlling antenna for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KR101308514B1 (ko) 종방향 또는 횡방향 웨브를 구비하는 이중 편파 안테나
JP4223564B2 (ja) マイクロストリップアンテナとアレーアンテナ
US20040061653A1 (en) Dynamically variable beamwidth and variable azimuth scanning antenna
KR20080023605A (ko) 이동통신 기지국용 이중대역 이중편파 안테나
KR20100051840A (ko) 셀룰러 및 점대점 통신이 가능한 안테나
KR20050098236A (ko) 안테나 장치
US11063354B2 (en) Antenna system
KR20040005104A (ko) 빔틸트 가변 안테나
KR200292491Y1 (ko) 빔틸트 가변 안테나
GB2426635A (en) Phase shifting arrangement
KR100817159B1 (ko) 가변 이상기
KR100452166B1 (ko) 다중 위상기를 이용한 빔 가변 안테나
CN216720258U (zh) 相位变换装置
WO2003017424A1 (en) Waveguide antennas
KR100374175B1 (ko) 틸팅각 조정이 가능한 기지국용 배열 안테나
CN115939759B (zh) 一种移相器组件及基站电调天线
KR20120086842A (ko) 다중 밴드의 다이폴 소자 배열을 갖는 기지국 안테나
WO2018231325A1 (en) Base station antennas including serial phase shifters
US20230170605A1 (en) Base station antenna with mutual downtilt in multiple frequency bands
CN111585004B (zh) 天线装置、通讯装置及其转向调整方法
US20240145913A1 (en) Phase shifter and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same
WO2024000360A1 (en) Base station antennas having metal tuning elements that move in response to changes in a remote electronic tilt set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