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2440Y1 - 솔리이드 메탈 시트 버터플라이밸브 - Google Patents

솔리이드 메탈 시트 버터플라이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2440Y1
KR200292440Y1 KR2020010039882U KR20010039882U KR200292440Y1 KR 200292440 Y1 KR200292440 Y1 KR 200292440Y1 KR 2020010039882 U KR2020010039882 U KR 2020010039882U KR 20010039882 U KR20010039882 U KR 20010039882U KR 200292440 Y1 KR200292440 Y1 KR 2002924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disk
shaft
eccentric cam
out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98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성운
Original Assignee
양성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성운 filed Critical 양성운
Priority to KR20200100398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24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24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2440Y1/ko

Links

Landscapes

  • Lift Valve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종래의 메탈시트 버터플라이밸브는 밸브개방, 폐쇄시 밸브 본체의 내측 외주변 면에 컵형의 박판 메탈시트에 디스크시트가 접촉되어 누수를 차단하게 되어 있으므로 밸브 본체 박판 메탈시트의 변형등으로 인하여 누수가 많이 발생하고, 유체 및 기체의 압력이 높을수록 누수량이 증가하며, 역압이 걸리면 종래의 메탈시트 버터플라이밸브는 초 저압에서도 치명적으로 누수 및 누기가 발생하므로 석유화학, 선박, 공장플랜트의 스팀과 같은 기체, 상온이 아닌 고온등에는 적용할 수 없고 종래의 컵형의 박판 메탈시트는 초정밀을 요하는 제작공정과 높은 불량률로 인하여 제조원가가 높아 일반적인 배관라인에는 적용하기 어려움등의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밸브 디스크를 회전 시키는 축을 이중으로 구성하고 내축에 중심부에 곡선편심캠을 삽입 디스크의 직선 수평운동시 흔들림이 전혀 없이 전진, 후진시키므로 밸브 폐쇄시 디스크의 한쪽 솔림 현상과 밸브 폐쇄시에 디스크가 유체나 기체의 유속등으로 인하여 떨림현상, 이상소음등을 완전해소하며 밸브 본체 메탈시트에 디스크 메탈시트가 매끄럽게 완착하여 압착을 가해 누수, 누기를 완전히 차단하는 고안이다.

Description

솔리이드 메탈 시트 버터플라이밸브 {SOLIDE METAL SEAT BUTTERFLY VALVE}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종래기술은 기체, 유체, 고체등 관로를 통해 이송하는 물질들을 이송 및 공급을 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다양한 밸브를 사용하고 있고, 세계에는 대략 4~5만 가지의 밸브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버터플라이밸브에는 대부분 밸브의 개폐를 위해 최종수단으로 밸브 디스크를 열고, 닫고하는 것이며 밸브의 수밀, 기밀을 결정하는 시트가 고무제품이 대부분이고, 시트가 메탈인 경우에는 한쪽면 메탈시트가 박판의 프랜지형으로 제작난이도가 높고 수밀, 기밀에도 적하지 못한 관계 특수유체, 기체의 통제하기위한 밸브로는 적당하지 못한 것으로 판명되어 왔다.
그리고 이러한 특수 유체, 기체, 고온, 저온 용 밸브에는 대부분 볼밸브, 글로브 밸브가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밸브의 단점은 작동력이 많이 들고, 관로내의 압력을 저하시키며 중량도 많이 가나며 설치 방법의 한계성이 있어 배관관도 라인에 애로사항이 많다.
본 고안은 유체, 기체 등 일반적인 액체의 공급을 위한 개폐용 밸브의 용도 보다는 석유화학, 고온가스, 스팀라인용으로 고안하였으며 종래의 특수용도의 밸브로는 볼밸브, 글로브 밸브, 게이트 밸브들이 있으나, 볼밸브는 시트 면은 100% 메탈처리가 난해고 제조단가가 높으며, 글로브 밸브는 동유체 개폐경이 작아 유속 및 압력이 40% 정도 저하되며, 밸브의 무게 비중이 높다.
또한 게이트 밸브는 밸브 시트를 100% 메탈인 경우 밸브 본체에 홈을 파놓는 등 다소 문제가 있으며, 동유체 개폐형에 비해 크기, 무게가 너무 크고 완전 밀폐가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밸브는 버터플라이 밸브이나 기존의 고무시트 버터플라이 밸브는 특수유체, 고온가스, 스팀에 적하지못하다.
그리고 전세계적인 회사에서 메탈시트 버터플라이 밸브는 밸브 몸체 시트를 박판 시트링을 사용하고 이 박판 시트의 제조공정상 상당한 문제점이 많아 아직 국내에서는 제조가 불가능 하며 제조공성이 까다로워 불량률로 상당하므로 메탈시트 버터플라이 밸브의 시트링 가격이 밸브 전체가격과 비슷하다.
그리고 박판의 시트링을 사용하며 디스크를 편심, 2중 편심 등으로 가압함으로 조립상 정확하게 결합되어 밀폐를 완벽하게 처리하기가 어려우며 역압에는 박판의 시트링 구조상 아주 작은 압력에 기밀유지가 불가능하다. 앞에서 기술한 내용들 보완키 위해 디스크시트 및 밸브 본체 시트를 솔리이드(통쇠) 시트 처리해야하고 디스크를 편심 가압처리 하는 것보다는 밸브 몸체 연직방향(수평방향) 직선 가압하는 것이 원칙적으로 바람직하고 디스크 가압 구조상 디스크 가압 내 축의 위치 약간의 편심을 주는 것은 밸브의 디스크가 가압이 걸려있는 상태에서 완전한 수평이동은 디스크의 축에 무리한 힘이 결려 내설된 곡선편심캠등에 무리를 가하며 제품수평 등에 치명적이다.
그리고 곡선편심캠의 경우로 편심된 일반캠의 선로상으로 디스크의 흔들림 현상 이를테면 각종 밸브들이 개폐된 상태에서 유체, 기체들에 의하여 디스크에 부하를 주면 디스크는 떨림이 발생한다. 이런 떨림이 계속되면 밸브의 치명적인 파손이 유발된다. 유체, 기치의 부하에서 전혀 이동 없이 처리하는 것은 편심 곡선편심캠의 상, 하부 곡선 선도를 틀리게 하여야하며 이는 어떤 회전을 하더라도 그 상, 하부 선도 직선의 합은 항상 동일한 수회가 나와야 한다.
버터플라이 밸브의 특성상 밸브 본체에 디스크가 폐쇄된 상태에서 압력에 의한 디스크의 변형이 일어나며, 이러한 디스크 변형 한계는 금속의 탄성한계 내에 있어야 파손, 파괴가 되지 아니하고, 일반적인 밸브를 설계 하거나 개발하는 경우 대부분 밸브를 기존의 디스크 양단 부위에 스템(축)을 고정하는데 이는 디스크 시트의 원형을 감안하지 못한 경우라 하겠다.
이를테면, 디스크 양단 부위 내 축을 고정하면 디스크 축의 수직방향 디스크 양 끝 면의 휨모우 멘트가 작용하여 역압의 결릴 경우 항상 디스크축의 수직 방향 쪽 디스크 양 끝 면이 먼저 기밀파괴가 일어나며, 그러므로 디스크의 원구조상 중앙부에 축이 연결되어 있으면 디스크 끝면 360˚원주내에 전면 동일하게 균일 분포 하중을 받아, 역압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디스크 축단의 집중 분하 중에 의한 노치현상(집중하증에 의한 변형, 파쇄현상)이 없을 것이다.
제1도 본 고안의 입체 전개사시도
제2도 본 고안의 전체 단면도
제3도 본 고안의 기어부 평면 부분 단면도
제4도 본 고안의 기어부 정면 부분 단면도
제5도 본 고안의 디스크 중심부 반 단면도
제6도 본 고안의 밸브 완전 개방의 단면도
제7도 본 고안의 곡선편심캠 단면도
제8도 본 고안의 밸브 작동에 따른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밸브본체 2.디스크 3.내축 4.외축 13. 가이드플레이트 17. 웜기어휠 18. 웜기어
25. 본체 시트링 26. 디스크시트링 28. 키이 31. 그랜드패킹 43. 가이드컵
[고안의 작동 설명]
본 고안은 밸브 폐쇄시 밸브 몸체시트 면과 디스크시트 면이 금속과 금속이 직접 접촉 압착되어 기밀,수일 유지로서 누기,누수를 방지할수 있도록 되어있는 구조의 솔리드 메탈시트 버터플라이밸브에 관한 것이다.
버터플라이 밸브를 개폐시키기 위해서는 밸브 몸체 속내에 있는 디스크가 열렸다, 다쳤다 하는 것이 밸브를 개폐하는 기본이 되며 본 고안은 밸브의 최초상태를 개폐 완전 개방 되어 있는상태에서 폐쇠 될 때까지 일어나는 구조를 상술하면 다음 과 같다.
버터플라이 밸브를 개폐시키기 위해서 수동과 자동이 있으며 수동에는 웜기어(18)타입과 레버타입이 있고 자동에는 웜기어축 (20)에 엑츄에이터를 부착하여 개, 폐를 전기, 유, 공압으로 자동화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수동의 웜기어 타입의 솔리드 메탈시트 버터플라이 밸브에관한 것이다.
제3도의밸브를 개폐시키기 위한 핸들(33)을 소정을 회전의 시키고 핸들(33)내설되어 있는 핸들축(20)에 슬라이딩 조립되며 웜기어(18)과 웜힐(17)의 조립이 쉽게 되도록 웜기어(18)야단에 세트볼트로 핸들축(20)에 고정되며 핸들축(20)의 원활한 회전을 하도록 웜기어 하우징(15) 상단내축에 볼베어링(36)을 양단내측에 삽입되어 밸브를 개폐시키기 위한 핸들(33)이 소정의 회전을 할수 있도록 되어있는 구조이며, 웜기어(18)이 소정의 회전을 할때 디스크(2)가 90˚회전을 하며 웜기어(18)이 소정의 회전을 하며 웜기어휠 (17)이 90˚ 회전하고 이에 내축(3) 이 웜기어훨(17)에 내측으로 슬라이딩 조립되어 로크너트 (42) 로 체결 되어 웜기어휠 (17) 과 내축(3)은 동시 90˚도 회전한다.
그리고 외축(4)도 디스크 (3)이 개방된 상태에서 폐쇄 할 경우 내축(3), 외축(4)는 웜기어 휠(17)과 일체로 동시에 90˚회전 한다. 외축(4)는 밸브 본체(1)의 스템구멍에 슬라이딩 조립되며 외축(4)의 상단부에는 외부는 정사각형으로 되어 있고, 정사각형 내부는 내축(B)을 결합할 수 있고 소정의 구멍과 유체, 기체의 누수, 누기를 차단하는 패킹(32)가 다단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외축(4)의 상단 끝단부는 패킹(32)의 고정을 위한 소정의 나사부가 있고 여기에 캡(34)가 체결되어 패킹(32)의 이탈 방지 및 외축(4)가 디스크(2)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게 칼라역할을 한다.
밸브 본체(1)에 스템 구멍에 누수, 누기를 차단하는 패킹(31) 내측은 외축(4)의 외부와 타이트한 결합을 하며 디스크의 잦은 회전으로 패킹(31)내측과 외축(4)의 외경 사이가 틈새가 발생할 우려가 있어 이에 패킹(31)을 쪼임 할 수 있는 쪼임 후랜지(23)을 가이드후랜지(12)내측에 내설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디스크가 90˚ 회전 개시할 때 웜기어 휠(17)에 가이드 컵(43)이 결합되어 가이드 플레이트(13)을 강제로 회전을 시키고, 가이드 플레이트 (13) 내측 정사각 구멍에 외축(4) 상부 사각단부가 슬라이딩 결합되어 내축(3)과 외축(4)가 동시에 90˚ 회전을 한다.
제4도의 플레이트(13)의 양단부는 원형구조에 양단 상, 하부를 소정의 치수로 가공되어 면으로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되며 가이드 플레이트(13)의 상부에는 가이드컵(43)이 일정한 틈새를 유지하며 가입되어 있고 하부에는 요철형 가이드 후랜지(12)에 일정한 틈새를 유지하며 끼인 상태로 회전 슬라이딩한다.
가이드 플레이트(12)는 디스크가 완전 개도된 상태에 항상 소정의 f점, I점 구간만 정, 역회전하며f점 회전완료 시점에서 가이드 후랜지(13)의 소정의 경사 홈으로 미끄러져 g점까지 회전하면 가이드 플레이트(12)는 가이드 후랜지(13)의 경사 홈에완착 끼어있어 외축(5)는 g~h점까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가이드컵(43)이 90°회전을 지나는 시점에서 가이드 플레이트(12)는 가이드컵(43)하부 턱 홈에서 이탈하고 하부 슬라이드 면을 따라 웜기어휠(17)이 계속 회전을 하여 디스크를 수평 이동 시키며 이에 디스크(2)가 α점까지 회전된 상태에서 보면 디스크시트(26)와 밸브 본체시트(25)는 소정의 간격이 유지된 상태로 되어있고 점진적으로 디스크시트(26)이 수평이동하여 압축을 가하며 밸브 본체시트(25)에 완착하는 밸브 구조이다.
디스크(2)가 수평운동하기 위해서는 외축(5)의 디스크쪽 끝단부에 슬라이드 홈이 있으며 이 홈과 곡선편심캠가이드(8)이 일정한 간격으로 슬라이딩 조립되어있고 그 내측에 내축(3)과 곡선편심캠(6)이 키이(28)으로 결합되며 곡선편심캠(6)은 곡선편심캠 가이드 플레이트(7)과 가이드 카버(9)에 일정한 간격으로 내설 조립되어 있다.
이에 디스크(2)가 수평운동이 개시하는 시점은 제8도의 a점에 디스크가 도달하면 외축(5)는 고정되고 내축(3)은 계속해서 회전을 하며 곡선편심캠(6)은 a점에서 c점까지 회전하여 다다르면 디스크(2)는 수평이동이 완료되는 구조의 밸브이다.
디스크(2)가 수평운동 할 때 외축(4)는 외축(5)의 안내역할 하는 축으로 디스크(2)가 90° 회전할 경우에는 외축(4),(5)는 동시에 디스크(2)와 회전하고 디스크 수평운동 할 때에는 외축(4),(5)는 고정되어 곡선편심캠(6)의 캠운동으로 디스크(2)를 강제로 수평운동시 흔들림, 떨림을 방지 하도록 외축(4),(5)의 양단 홈으로 곡선편심캠가이드(8)의 양단 홈이 안내되어 슬라이딩 하면서 전진운동을 한다.
외축(4)는 밸브 본체 하단부에 스템 구멍으로 슬라이딩 조립되고 누수, 누기를 방지하기 위하여 오링(40)으로 누수, 누기를 차단하며 외축(4)와 밸브 본체(1) 스템 구멍에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부쉬(21)를 삽입하고, 외축(4)를 디스크(2)의 센터링을 잘되도록 외축(4)의 끝단 한쪽면에 단을 주어 턱이 걸리도록 되고 그 밑에 회전마찰 감소시키기 위해 스러스트 와셔(14)를 조합하고 내축(3)의 일정한 간격의 고정을 위해 로크너트(11)를 삽입하여 내축(3)을 고정하며 최종 누수, 누기를 차단하기 위해 가스켓(34)를 조합하고 그 위에 엔드카버(10)을 밸브 본체(1)에 체결 되도록 밸브 본체(1)의 하단부 최종 누수, 누기를 차단하는 구조이다.
제5도는 디스크(2)가 수평이동 완료한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제6도는 디스크(2)가 밸브본체(1) 내에서 완전한 개방된 최초의 상태로 곡선편심캠(6)과 키이(28), 내축(3)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5도에 의하면, 디스크(2)의 끝단에 시트링(26)을 삽입하여 배관내의 유속, 기속에 따라 이물질등이 디스크(2)가 완전 개방된 상태에서는 충격, 마찰에 의한 마모가 심하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내마모성이 우수한 재질의 선정이 필요하고, 또한 잦은 개방, 폐쇄로 인하여 시트링(26)이 마모되면 교체가 용이 하도록 분리형으로 된 구조이며, 밸브 본체(1) 내부 외주면 시트링(25)를 삽입하여 메탈과 메탈이 압착할 때 완전한 밀착을 위해 비철 금속으로 되어야 함으로써 기밀, 수밀을 완벽하게 유지 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의 밸브이다.
제7도는 곡선편심캠(6)에 관한 것이며, 제5도에 도시한바 디스크(2)가 압착되는 경우에는 곡선편심캠(6)의 α°위치에서 완전한 압착이 일어나며 그 곡선편심캠(6)의 편심량은 완전한 압착 포인트 α°위치에서 중심선까지 x거리에 있으며, α°위치에서 수평이동 시작점에서 중심선까지 x-β이며, 곡선편심캠(6)의 사점에서 중심선까지 거리는 x+α이며, 디스크(2)가 수평운동을 흔들림 없이 슬라이딩하기 위해선 내축(3)의 중심선을 지나는 곡선편심캠(6)의 외측 접촉되는 양면까지의 거리는 항상 일정해야 되며, 만일 접촉되는 면의 거리가 곡선편심캠(6)의 회전 접촉부 마다 차가 발생하면 디스크(2)의 흔들림이 심하게 발생하고 디스크(2)의 닫침이 정확하게 폐쇄되지 아니하는 구조의 밸브이다.
제8도는 밸브의 개도 및 폐도에 관한 그래프이며, 곡선편심캠선도, 가이드플레이트선도, 밸브의 개도량선도, 디스크의 개도량선도, 웜휠회전각선도등 밸브가 완전 개방에서 완전폐쇄까지 나타나는 그래프이다.
본 고안의 밸브 폐도에 관한 작동 설명은 상기 기술한 설명 내용을 역순으로 재현하면 완전폐도에서 완전개도까지 수행되며 밸브의 최초 상태인 밸브 디스크의 메탈시트(26)이 밸브 본체의 메탈시트(25)에 완전 밀착되어 온벽한 수밀, 기밀을 유지하도록 되어있는 솔이드 메탈시트 버터플라이밸브에 관한 것이다.
[고안의 구성요소]
제3도에 의하면, 밸브를 폐쇄시키기 위한 핸들(33)에 웜 샤프트(20)과 키이(30)에 의해 결합되고 웜샤프트(20) 양단에 베어링(36)이 내설 결합되며 웜샤프트(20) 끝단과 하우징(15)에 하우징 엔드카버(19)로 밀봉 결합되며, 웜샤프트(20)이 웜기어(18) 내측으로 결합되고 볼트로 고정되며 웜기어(18)과 웜 기어 휠(17)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결합된다.
제2도의 상단부에는 웜기어 박스가 구성되며 하우징카버(16) 중심 외부 상단에 인디케이트스티커(27)이 내축(3)에 결합되며 그 아래 그랜드패킹(23)이 결합되고 웜 기어하우징(15)와 하우징카버(16) 사이에 오링(38)이 내설되고 웜 기어하우징(15)와 가이드후랜지(12) 사이에 오링(37)이 내설되어 완전 밀봉되는 구조의 버터플라이밸브이다.
제4도에 의하면 내축(3)에 베어링너트(42), 키이(29), 웜기어휠(17), 외축(4),(5), 곡선편심캠(6), 키이(28)등의 순서로 결합되며 내축(3)에 키이(29)으로 웜기어훨(17) 하부에 가이드캠(43) 연설하며 가이드컵(43)에 가이드 플레이트(13)을 내설 시키며 그 아래 가이드 후랜지(12)가 밸브 본체(1) 상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구조이다.
제2도에 의하면, 내축(3)에 외축(4),(5)가 슬라이딩 결합되어 외축(5) 상단부에 캡(24)가 결합되고 그 내부에 다단 팩킹(32)이 내축(3)과 외축(5)에 수밀, 기밀 되게 조립되고 외축(5) 상단부 사각부 외부에는 가이드 플레이트(13)의 내부 사각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있으며 그랜드후랜지(23)이 내설되어 있으며 외축(5)와 밸브 본체(1) 사이에 다단팩킹(31)이 수밀, 기밀되게 조립되고 그 다단팩킹(31)을 쪼임 할 수 있는 그랜드후랜지(23)에 의해 완벽한 수밀, 기밀되게 조립되고 외축(5)가 밸브 본체(1) 사이에 비철 메탈부쉬(22)가 내설되고 외축(5)의 최하단부에 가이드홈이 요동캠가이드(8)과 슬라이딩 결합되며 외축(4)가 밸브 몸체(1) 사이에 비철 메탈부쉬(21)가 내설되고 외축(5)의 최하단부에 가이드홈이 요동캠가이드(8)과 슬라이딩 결합되어 있는 구조의 밸브이다.
디스크(2)에는 곡선편심캠(6)의 스러스트 플레이트(7), 곡선편심캠가이드(8), 곡선편심캠카버(9), 디스크시이트링(26)으로 구성되며 디스크(2)의 중심부에 스러스트플레이트(7)가 내설되며 그 위에 곡선편심캠가이드(8)이 부착되고 곡선편심캠카버(9)가 곡선편심캠가이드(8) 양면을 고정하면 디스크(2)의 외주부 끝단에는 디스크시이트링(26)을 요철 맞춤 및 볼트 결합 하도록 되어 있는 구조이다.
밸브 본체(1)의 내면 외주부에 시트링(25)를 내설하고 하단부 끝단에 엔드카버(10)을 밀봉 결합하며 밸브 본체(1)의 양측면에 파이프라인 후랜지와 결합 할 수 있도록 탭구멍으로 된 구조의 밸브이며 밸브 본체(1)의 양측면에 후랜지 타입과 웨이퍼 타입으로도 구조가 가능하며 밸브의 개,폐를 완전자동으로 처리하는 전동 엑츄에이트를 부착하여 콘트롤 밸브로도 사용이 가는한 구조의 솔리드 메탈시트 버터플라이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메탈시트 버터플라이밸브는 스팀, 석유화학공업에 그 쓰임이 중시되며 특히, 선박의 경우 선박크기에 결정하는 선박 전체 중량이므로 본 고안을 사용하면 기존의 볼밸브, 글로브 밸브, 게이트 밸브의 메탈시트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곳을 교체 한다면 기존의 선박 중량에 배관자재의 중량 ½ 이하로 줄 일수 있으며, 배관 라인의 설계도 아주 용이하고 비용 절강에 상당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비교적 온도범위가 높은 스팀(230˚C), 압력(15kg/㎠) 범위 내의 조건에서 완벽한 기밀을 유지하는 밸브를 글로브 밸브 외는 없는 것으로 보고 된다. 그러나 글로브 밸브는 압력손실이 40% 이상 되므로 현재에는 기밀유지를 위해 글로브밸브를 사용하고 최초의 스팀 압력 발생을 상용압력 4배 크게 생산하며 라인 내 투입한다.
그리고 탈수화 프로젝트에는 해수등에 관련 고무시트 버터플라이 밸브를 사용하나, 이는 몇 개월 못쓰고 고무 탄성을 잃어 지수가 되지 아니하며, 상하수도 밸브에는 기존의 고무시트 버터플라이밸브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이것은 물손실, 고무의 탈탄화 현상, 파손등은 환경 문제로 얘기되고 있는 실정이나, 이러한 모든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환경 친화적인 메탈시트 버터플라이 밸브이며, 차세대 전천후 밸브로도 손색 없으며, 수출 등에 상당한 효과가 있으리라 사료된다.

Claims (5)

  1. 밸브의 개폐에 있어서, 핸들에 웜사프트, 베어링, 웜기어가 내설되며 엔드카버로 조임되고 웜기어박스에는 하우징카버, 인디케이트, 패킹으로 구성되며 웜기어휠과 가이드후렌지에 오링이 내설 조립되며 내축은 웜기어휠에 조합되고 곡선편심캠은 내축 중심부에 키이로 고정되고 외축은 가이드플레이트, 그랜드후렌지등으로 조합되며 외축과 밸브본체사이에 다단패킹으로 조합되며 밸브디스크에는 곡선편심캠가이드, 캠가이드플레이트 구조의 솔리드 메탈시트 버터플라이 밸브.
  2. 밸브의 개폐를 위한 이중축의 밸브 몸통 바깥쪽 끝단에 내축의 끝은 웜기어 바깥쪽에 평키와 볼트 결합되며, 외축의 끝은 사각형으로 이루어져 외축의 끝단부에 슬라이딩 가이드 플레이트가 내설되어 디스크의 90˚ 회전을 결정하고 90˚ 회전 그 이상 회전 되지 못하도록 슬라이딩 가이드 플레이트가 가이드 홈브라켓트에 의하여 더 이상 회전 불가 하도록 내설되어 있는 구조의 솔리드 메탈시트 버터플라이 밸브.
  3. 청구1항에 있어서, 윔기어휠은 180°+ α소정의 부체꼴에 윔기어 구조이며 보스방향 평면 한쪽에 가이드컵(밸브크기200A이상)과 윔기어휠에 일체형인 2개의 돌기(밸브크기200A이하)구조를 가진 솔리드 메탈시트 버터플라이 밸브.
  4. 청구1항에 있어서, 외축상단부 사각외부에 가이드플레이트가 슬라이딩결합 되는 구조이며 그 하단부에 그랜드후렌지가 내설되어 외축외부에 비철메탈부쉬가 내결합되고 외축최하단부이 가이드홈구조가 디스크의 곡선편심캠가이드홈과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되어있는 구조의 솔리드 메탈시트 버터플라이 밸브.
  5. 청구1항에 있어서, 곡선편심캠은 곡선부가 곡선선도의 편심 정중앙에서 캠의 양끝단까지 직선거리는 편심 중심에서 어떤 각도에서도 동일거리가 되게 되어 있는 구조의 곡선편심캠이며 그 캠에 접촉부면에 열처리된 구조의 슬라이딩판이 조합된 구조를 가진 솔리드 메탈시트 버터플라이 밸브.
KR2020010039882U 2001-12-24 2001-12-24 솔리이드 메탈 시트 버터플라이밸브 KR2002924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882U KR200292440Y1 (ko) 2001-12-24 2001-12-24 솔리이드 메탈 시트 버터플라이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882U KR200292440Y1 (ko) 2001-12-24 2001-12-24 솔리이드 메탈 시트 버터플라이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2440Y1 true KR200292440Y1 (ko) 2002-10-25

Family

ID=73071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9882U KR200292440Y1 (ko) 2001-12-24 2001-12-24 솔리이드 메탈 시트 버터플라이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244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383B1 (ko) * 2004-06-23 2007-08-20 정근수 버터플라이 밸브의 디스크개폐장치
KR101967838B1 (ko) * 2018-07-31 2019-08-19 주식회사 피노 2-채널 방향 조작 소방용 방수총 거치대
KR102356540B1 (ko) 2021-02-08 2022-02-08 정경복 버터플라이 밸브의 섬유강화 복합시트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383B1 (ko) * 2004-06-23 2007-08-20 정근수 버터플라이 밸브의 디스크개폐장치
KR101967838B1 (ko) * 2018-07-31 2019-08-19 주식회사 피노 2-채널 방향 조작 소방용 방수총 거치대
KR102356540B1 (ko) 2021-02-08 2022-02-08 정경복 버터플라이 밸브의 섬유강화 복합시트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58086A (en) Butterfly valve
EP0932781B1 (en) High pressure actuated metal seated diaphragm valve
JPS6020860Y2 (ja) 弁密閉装置
US4363465A (en) Extreme temperature, high pressure balanced, rising stem gate valve with super preloaded, stacked, solid lubricated, metal-to-metal seal
US3598363A (en) Ball valve
JPH08270832A (ja) 閉止弁向けのステム先端のシール構造体
US3515371A (en) Valve and valve seat
US5865422A (en) Bi-directional valve seal mechanism
US3698687A (en) Rotatory valve having one-piece seat construction
CA2045596C (en) Ball valve
EP0774090A2 (en) Valve assembly having improved valve seat
US3963214A (en) Resilient seated gate valve with split body
US5104092A (en) Ball valve with improved sealing apparatus
KR200292440Y1 (ko) 솔리이드 메탈 시트 버터플라이밸브
WO1997005418A1 (en) Hemispherical ball valve
US4239185A (en) Valve
US3779512A (en) Stamped-disc butterfly valve
US3961405A (en) Method of fabricating a butterfly valve
US4759529A (en) Pre-loaded valve follower sealing apparatus
CN115711294A (zh) 一种组合密封防火蝶阀
KR102209409B1 (ko) 이중 스템형 극저온 버터플라이 밸브
CN106015610A (zh) 一种暗杆平板闸阀
KR200165239Y1 (ko) 디스크 플렉시블 메탈시트 버터플라이 밸브
KR200355269Y1 (ko) 이중 안전위치핀 내장 솔리이드 메탈 시트 버터플라이밸브
GB2352019A (en) Valve seat with frusto-conical exten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50322

Effective date: 20060228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60405

Effective date: 20061102

EXTG Extinguish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060427

Effective date: 2007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