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2066Y1 - 베란다 난간용 빨래 건조대 - Google Patents

베란다 난간용 빨래 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2066Y1
KR200292066Y1 KR2020020020760U KR20020020760U KR200292066Y1 KR 200292066 Y1 KR200292066 Y1 KR 200292066Y1 KR 2020020020760 U KR2020020020760 U KR 2020020020760U KR 20020020760 U KR20020020760 U KR 20020020760U KR 200292066 Y1 KR200292066 Y1 KR 2002920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aundry
fixed
recess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07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신학
Original Assignee
최성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심 filed Critical 최성심
Priority to KR20200200207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20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20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2066Y1/ko

Links

Landscapes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베란다 난간용 빨래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베란다 골조에 다수개가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지지봉을 갖고 지지봉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손잡이대가 설치된 베란다 난간에 있어서, 상단에 집게부를 갖고 일측이 손잡이대 상단에 얹혀지며 내측에 장착요부가 형성되는 빨래지지대와, 빨래지지대의 일측 하단에 형성되어 빨래지지대를 손잡이대에 완강히 고정시키는 고정수단과, 선단 상단에 집게부를 갖고 빨래지지대의 장착요부에 위치되어 길이연장수단에 의해 빨래지지대의 길이를 길게 연장시키는 길이연장대 및 일단은 지지봉에 고정되고 타단은 빨래지지대의 타단 하부에 고정되어 빨래지지대 타단은 하측에서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구비하여 사용공간을 적게 차지하고 부피가 작아 보관시 보관에 필요한 공간이 적으며 취급이 손쉬운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베란다 난간용 빨래 건조대{Washing drying-pole for veranda railing}
본 고안은 베란다 난간용 빨래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파트 베란다의 난간에 고정하여 절첩 또는 확장시켜서 빨래를 건조할 수 있어 사용공간을 적게 차지하고 부피가 작아 보관시 보관에 필요한 공간이 적으며 취급이 손쉬운 베란다 난간용 빨래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빨래 건조대는 좁은 공간에서 빨래를 건조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빨래 건조봉이 설치된 기구로, 주거환경의 변화로 인해 아파트 베란다, 복도, 좁은 실내·외에 설치하여 빨래를 건조시키는 것이다.
빨래 건조대는 가능한 좁은 공간에서 보다 많은 빨래를 널 수 있도록 많은 빨래 건조봉을 가져야 하고, 특히 통풍 및 햇빛으로 인한 건조효과가 뛰어난 구조를 갖고 그 곳에 위치하여야 빠른 시간 내에 많은 빨래를 건조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런 빨래 건조대로서 종래에는 그 형상이 대략 A형태나 Y형태의 절첩구조를 갖는 빨래 건조대를 많이 사용하였으나, 이런 종래의 빨래 건조대는 사용할 때 걸이틀을 넓게 펼친 후 사용하게 되어 사용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접어서 보관하게 되는데, 접은 상태의 부피가 커서 보관에 필요한 공간이 많이 들고 취급이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공간을 적게 차지하고 부피가 작아 보관시 보관에 필요한 공간이 적으며 취급이 손쉬운 베란다 난간용 빨래 건조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베란다 골조에 다수개가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지지봉을 갖고 지지봉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손잡이대가 설치된 베란다 난간에 있어서;
상단에 집게부를 갖고 일측이 손잡이대 상단에 얹혀지며 내측에 장착요부가 형성되는 빨래지지대와;
빨래지지대의 일측 하단에 형성되어 빨래지지대를 손잡이대에 완강히 고정시키는 고정수단과;
선단 상단에 집게부를 갖고 빨래지지대의 장착요부에 위치되어 길이연장수단에 의해 빨래지지대의 길이를 길게 연장시키는 길이연장대 및
일단은 지지봉에 고정되고 타단은 빨래지지대의 타단 하부에 고정되어 빨래지지대 타단은 하측에서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구비하는 특징을 갖는다.
빨래지지대는 타단이 개방된 입출공을 갖고;
길이연장수단으로는 구동축을 갖고 스위치에 의해 정역회동하는 모터와, 빨래지지대 일측 하부에 설치되어 구동축에 축결합되어 회동되는 구동풀리와, 빨래지지대의 타측 하부에 설치되어 회동되는 지지풀리와, 빨래지지대의 하단에 형성된작동공을 통해 구동풀리에 감긴 일측 선단이 길이연장대의 일측 하단에 고정되고 지지풀리에 감긴 타측 선단이 길이연장대의 타측 하단에 고정되는 작동줄과, 작동공 일측에서 작동줄을 가이드하는 안내롤러와, 빨래지지대의 입출공 선단 하부에 설치되어 길이연장대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지지롤러와, 빨래지지대의 상부 내측 중심에 하부로 돌출된 이탈방지돌기와, 길이연장대의 상단 중심측이 내측으로 요부형성된 가이드요부와, 일단의 가이드요부 상에 축결합된 상부롤러와, 빨래지지대의 내측 상부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상부롤러를 안내하는 가이드돌기와, 길이연장대의 일측 하부에 설치된 하부롤러와, 길이연장대 타단에 형성된 걸림턱을 구비하며;
지지수단으로는 대략 'T'형상으로 양단은 지지봉이 끼워지는 고정요부가 형성되어 체결나사에 의해 고정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절첩요부가 형성된 하부지지대와, 하부지지대의 절첩요부에 끼워져 타단의 절첩축에 의해 축결합되어 그 타단이 빨래지지대 하단에 결합되는 절첩바를 구비하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고정수단은 빨래지지대의 일측 하단에 형성된 회동축과, 회동축에 의해 축결합되고 일측이 손잡이대 형상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고정대와, 고정대 선단에 형성된 끼움요부와, 끼움요부 상측의 빨래지지대 하부에 축회동되게 고정된 나사부를 갖는 체결바와, 나사부 하단에 체결된 체결나사와, 빨래지지대 및 고정대와 손잡이대의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미끄럼방지판을 구비하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길이연장수단으로는 빨래지지대의 상부가 개방된 체결요부와, 체결요부상에 위치되어 타단의 회동축을 축으로 절첩되는 길이연장대를 구비하고;
지지수단은 대략 'T'형상으로 일단은 지지봉이 끼워지는 끼움요부가 형성되어 체결나사에 의해 고정되는 브라켓과, 브라켓 양단에 각각 일단이 고정되고 상측이 개방된 절첩요부를 갖는 하부지지대와, 절첩요부상에 위치되어 일단의 절첩축을 축으로 회동되어 타단이 빨래지지대 하부에 각각 체결되는 복수개의 절첩바로 구성시킬 수도 있다.
또한, 빨래지지대의 일단 선단부는 이등분되어 지지축에 의해 축결합되고 그 선단에는 각각 고정통공이 형성되며 지지축의 상측에는 고정통공에 끼워져 빨래지지대를 고정시키는 고정돌기가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지지축 하단은 브라켓의 중심측에 베어링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된 회동수단을 더 구비시킬 수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 일 실시예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일 실시예의 빨래지지대 요부를 확대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일 실시예의 빨래지지대에서 길이연장대가 펼쳐진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일 실시예의 요부를 확대한 정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설치모습을 보인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길이연장대가 펼쳐진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a : 빨래건조대 10,10a : 빨래지지대
11 : 입출공 12 : 장착요부
12a : 체결요부 14,14a,25,24a : 집게부
16 : 가이드돌기 17 : 이탈방지돌기
18 : 지지롤러 19,19' : 작동공
20,20a : 길이연장대 21 : 걸림턱
22 : 가이드요부 22a : 회동축
23 : 상부롤러 24 : 하부롤러
30 : 모터 31 : 스위치
32 : 구동축 33 : 구동풀리
34 : 지지풀리 35,35' : 안내롤러
36 : 작동줄 37,37' : 가이드롤러
41 : 회동축 42 : 고정대
43 : 끼움요부 44 : 체결바
45 : 나사부 46 : 체결나사
47 : 미끄럼방지판 51,61 : 절첩바
52,62 : 절첩축 53,63 : 하부지지대
54,64 : 절첩요부 55 : 고정요부
56,67 : 체결나사 65 : 브라켓
66 : 끼움요부 71,71' : 고정통공
72,72' : 고정돌기 73 : 지지축
74 : 베어링 100 : 난간
102 : 손잡이대 104 : 지지봉
106 : 골조 A : 고정수단
B,B' : 길이연장수단 C,C' : 지지수단
D : 회동수단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일 실시예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일 실시예의 빨래지지대 요부를 확대한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일 실시예의 빨래지지대에서 길이연장대가 펼쳐진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일 실시예의 요부를 확대한 정단면도이다.
본 고안 일 실시예의 베란다 난간용 빨래건조대(1)는 녹슬지 않는 금속재질로, 아파트 베란다 난간(100)의 골조(106)에 설치된 지지봉(104)과 손잡이대(102)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것인 바, 난간(100)의 손잡이대(102)에 고정되어 빨래가 얹혀지는 빨래지지대(10)와, 빨래지지대(10)를 난간(100)의 손잡이대(102)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A)과, 길이연장수단(B)에 의해 빨래지지대(10)에서 돌출되어 빨래지지대(10)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길이연장대(20)와, 빨래지지대(10)를 난간(100)의 지지봉(104)에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수단으로 구성된다.
빨래지지대(10)는 상단 일측에 집게부(14)를 구성시킬 수도 있고, 일측이 손잡이대(102) 상단에 얹혀져 고정되는 것으로, 내측에 장착요부(12)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입출공(11)이 형성되며, 내측 상단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돌기(16)가 형성되고, 타단 내측 상단에는 하측으로 이탈방지돌기(17)가 돌출되며, 타단 내측 하단에는 지지풀리(18)가 설치되고 일측 내측 하단에는 작동공(19)(19')이 형성된다.
고정수단(A)은 빨래지지대(10)의 일측 하단에 형성되어 빨래지지대(10)를 손잡이대(102)에 완강히 고정시키는 것으로, 빨래지지대(10)의 일측 하단에 형성된 회동축(41)과, 회동축(41)에 의해 축결합되고 일측이 손잡이대(102) 형상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고정대(42)와, 고정대(42) 선단에 형성된 끼움요부(43)와, 끼움요부(43) 상측의 빨래지지대(10) 하부에 형성된 나사부(45)를 갖는 체결바(44)와, 나사부(45)에 결합된 체결나사(46)와, 빨래지지대(10) 및 고정대(42)와 손잡이대(102)의 사이에 각각 형성된 고무재질의 미끄럼방지판(47)으로 구성된다.
길이연장대(20)는 선단 상단에 집게부(25)를 갖고 빨래지지대(10)의 장착요부(12)에 위치되어 길이연장수단(B)에 의해 빨래지지대(10)의 길이를 길게 연장시키기 위해 돌출되는 것이다.
이런, 길이연장수단(B)으로는 구동축(32)을 갖고 스위치(31)에 의해 정역회동하는 모터(30)와, 빨래지지대(10) 일측 하부에 설치되어 구동축(32)에 축결합되고 회동되는 구동풀리(33)와, 빨래지지대(10)의 타측 하부에 설치되어 회동되는 지지풀리(34)와, 빨래지지대(10)의 하단에 형성된 작동공(19)(19')을 통해 구동풀리(33)에 감긴 일측 선단이 길이연장대(20)의 일측 하단에 고정되고 지지풀리(34)에 감긴 타측 선단이 길이연장대(20)의 하단에 고정되는 작동줄(36)과, 작동공(19)(19') 일측에서 작동줄(36)을 가이드하는 안내롤러(35)(35')와, 빨래지지대(10)의 입출공(11) 선단 하부에 설치되어 길이연장대(20)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지지롤러(18)와, 빨래지지대(10)의 상부 내측 중심에 하부로 돌출된 이탈방지돌기(17)와, 길이연장대(20)의 상단 중심측이 내측으로 요부형성된 가이드요부(22)와, 일단의 가이드요부(22) 상에 축결합된 상부롤러(23)와, 빨래지지대(10)의 내측 상부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상부롤러(23)를 안내하는 가이드돌기(16)와, 길이연장대(20)의 일측 하부에 설치된 하부롤러(24)와, 길이연장대(20) 타단에 형성된 걸림턱(21)으로 구성된다.
지지수단(C)은 일단은 난간(100)의 지지봉(104)에 고정되고 타단은 빨래지지대(10)의 타단 하부에 고정되어 빨래지지대(10) 타단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것인 바, 대략 'T'형상으로 양단은 지지봉(104)이 끼워지는 복수개의 고정요부(55)가 형성되고 체결나사(56)에 의해 고정되며 상측에서 하측으로 절첩요부(54)가 형성된 하부지지대(53)와, 하부지지대(53)의 절첩요부(54)에 끼워져 타단의 절첩축(52)에 의해 축결합되어 그 타단이 빨래지지대(10) 하단에 결합되는 절첩바(51)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빨래지지대(10)의 일측 하단에 형성된 고정수단(A)의 고정대(42)를 난간(100)의 손잡이대(102)에 권취시킨 후, 고정대(42) 선단의 끼움요부(43) 내측에 나사부(45)를 갖는 체결바(44)를 위치시키고, 끼움요부(43) 하단으로 돌출된 체결바(44) 하단에 체결나사(46)를 나사결합하여 완강히 체결시키면 고정대(42)는 빨래지지대(10)를 난간(100)의 손잡이대(102) 상에 완강히 고정된다.
사용자는 난간(100)의 지지봉(104)에 지지수단(C)의 고정요부(55)를 체결나사(56)로 완강히 고정시킨 후, 하부지지대(53)의 절첩요부(54)에서 절첩축(52)을 중심으로 절첩바(51)를 회동시켜 길이를 연장시키고, 절첩바(51)의 선단을 빨래지지대(10)의 타측 하단에 공지의 체결수단으로 고정시키면 된다.
이때, 절첩바(51)의 선단 또는 빨래지지대(10)의 하단에는 다수부위에 체결수단을 구성시켜 빨래지지대(10)가 수평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시킴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사용자가 아파트 베란다 골조(106)의 난간(100) 손잡이대(102)와 지지봉(104)에 빨래지지대(10)를 고정시킨 다음에는 빨래를 널지 위해서 젖은 빨래를 빨래지지대(10)의 상측에 올려놓으면 된다.
이때, 빨래의 크기가 커서 빨래지지대(10)의 길이가 부족할 때에는 빨래의 일측면을 길이연장대(20) 상측의 집게부(25)에 고정시킨 다음, 사용자가 빨래지지대(10)의 일측면에 설치된 스위치(31)를 '온' 시키면 된다.
사용자가 스위치(31)를 중간상태에서 일측으로 전환시키면, 내부의 모터(30)는 일측에 장착된 충전밧데리 또는 충전지의 기전력에 의해 모터(30)는 정회전하여구동축(32)을 구동시키게 되고, 구동축(32)에 결합된 구동풀리(33)는 도 2에서 시계방향으로 정회동되어 상측에서는 작동줄(36)을 풀어주고 하측에서는 지지풀리(34)를 거쳐 당김으로써 하측에 작동줄(36)의 선단이 고정된 길이연장대(20)는 빨래지지대(10)의 입출공(11)을 통해 장착요부(12)에서 슬라이딩되어 외부로 돌출된다.
이때, 길이연장대(20)의 상단은 상부롤러(23)에 의해 빨래지지대(10)의 가이드돌기(16) 내에서 안내를 받으며 슬라이딩 이동되고, 하단은 하부롤러(24)와 지지롤러(18)에 의해 빨래지지대(10)와의 접촉을 최소화함으로써 슬라이딩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작동줄(36)의 중간부위에는 가이드롤러(37)(37')가 각각 장착되어 작동줄(36)이 처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렇게 빨래지지대(10)에서 길이가 연장되어 돌출되는 길이연장대(20)는 상부롤러(23)가 이탈방지돌기(17)와 접촉되어 동작이 정지될 때 사용자는 스위치(31)를 중간부위로 이동시켜 '오프' 시키면 된다.
이렇게 길이가 길게 연장된 빨래지지대(10)와 길이연장대(20) 상측에 젖은 빨래를 위치시켜 일정시간 동안 햇빛에 의해 건조시키면 된다.
빨래가 건조되면 사용자는 스위치(31)를 타측으로 이동시켜 모터(30)를 역회전시키면, 구동축(32)과 구동풀리(33)는 시계반대방향으로 역회동되어 구동풀리(33) 상측에서는 작동줄(36)을 당기고 하측에서는 작동줄(36)을 풀어주면서 길이연장대(20)를 당겨 빨래지지대(10)의 장착요부(12) 내측으로 입출공(11)을통해 함입시키게 된다.
이때, 길이연장대(20)의 걸림턱(21)이 입출공(11) 선단과 접촉되면 사용자는 스위치(31)를 중간위치로 이동시켜 '오프' 시키면 된다.
사용자는 집게부(14)(25)에서 빨래를 이탈시키고 건조된 빨래를 거둬들이면 된다.
이러한 본 고안 일 실시예의 빨래건조대(1)는 햇빛이 잘 들고 통풍이 원활한 난간(100)에 설치되어 원터치 방식으로 스위치(31)를 조작하여 빨래건조대(1)의 길이를 쉽게 줄이고 또한, 늘일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설치모습을 보인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길이연장대가 펼쳐진 모습을 보인 평면도이다.
본 고안 다른 실시예 빨래건조대(1a)의 길이연장수단(B')은 일측에 집게부(14a)를 갖고 빨래지지대(10a)의 상부가 개방된 체결요부(12a)와, 타측에 집게부(24a)를 갖고 체결요부(12a)상에 위치되어 타단의 회동축(22a)을 축으로 절첩되는 길이연장대(20a)로 구성시킨다.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지지수단(C')은 대략 'T'형상으로 일단은 난간(100)의 지지봉(104)이 끼워지는 끼움요부(66)가 형성되어 체결나사(67)에 의해 고정되는 브라켓(65)과, 브라켓(65) 양단에 각각 일단이 고정되고 상측이 개방된 절첩요부(64)를 갖는 하부지지대(63)와, 절첩요부(64)상에 위치되어 일단의 절첩축(62)을 축으로 회동되어 타단이 빨래지지대(10a) 하부에 각각 체결되는 복수개의절첩바(61)로 구성된다.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인 빨래건조대(1a)의 빨래지지대(10a)와 지지수단(C')에는 빨래지지대(10a)와 지지수단(C')을 난간(100)의 손잡이대(102)에서 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는 회동수단(D)이 구비되는 바, 빨래지지대(10a)의 일단 선단부를 이등분하여 축결합시키고 하측으로 연장되는 지지축(73)과, 이등분된 빨래지지대(10a) 선단에 각각 형성된 고정통공(71)(71')과, 지지축(73)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고정통공(71)(71')에 각각 끼워짐으로써 빨래지지대(10a)를 고정시키는 고정돌기(72)(72')와, 브라켓(65)의 중심측에 설치되어 지지축(73) 하단이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베어링(74)으로 구성된다.
이런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빨래건조대(1a)는 사용자가 빨래지지대(10a) 일측의 지지축(73)을 약간 들어올려서 고정돌기(72)(72')를 고정통공(71)(71')에서 각각 이탈시킨 후, 빨래지지대(10a)와 길이연장대(20a)를 회동시켜 난간(100)의 손잡이대(102) 측면에 위치시킨다.
그 다음, 빨래지지대(10a)의 체결요부(12a) 내에서 회동축(22a)을 중심으로 길이연장대(20a)를 들어내어 그 길이를 더욱 연장시키고, 빨래지지대(10a)의 집게부(14a)와 길이연장대(20a)의 집게부(24a)로 빨랫감을 고정시킨 후, 빨래지지대(10a)를 지지축(73)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손잡이대(102)와 수직상의 위치에 놓고, 지지축(73)의 고정돌기(72)(72')를 빨래지지대(10a)의 고정통공(71)(71')에 각각 결합시키면 빨래지지대(10a)는 회동되지 않고 완강히 고정된다.
빨래지지대(10a)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하부지지대(63)와 절첩바(61)는 브라켓(65)의 양측단에 고정되어 베어링(74)에 의해 원활하게 동반 회동된다.
빨래지지대(10a)에서 건조된 빨랫감을 거둬 들일 때에는 상기 설명한 바와 역순으로 지지축(73)의 고정돌기(72)(72')를 고정통공(71)(71')에서 이탈시킨 후 빨래지지대(10a)를 손잡이대(102) 측면으로 회동시켜 건조된 빨랫감을 거둬들이면 된다.
이런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빨래건조대(1a)는 절첩구조가 간단하고 회동과 고정이 자유로워 빨랫감을 널 때나 거둬들일 때 사용이 손쉽고 편리하며 베란다 난간(100)에서 돌출되지 않게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사용공간을 적게 차지하고 부피가 작아 보관시 보관에 필요한 공간이 적으며 취급이 손쉬운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5)

  1. 베란다 골조(106)에 다수개가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지지봉(104)을 갖고 지지봉(104)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손잡이대(102)가 설치된 베란다 난간(100)에 있어서;
    상단에 집게부(14)(14a)를 갖고 일측이 손잡이대(102) 상단에 얹혀지며 빨래가 얹혀지는 빨래지지대(10)(10a)와;
    빨래지지대(10)(10a)의 일측 하단에 형성되어 빨래지지대(10)(10a)를 손잡이대(102)에 완강히 고정시키는 고정수단(A)과;
    선단 상단에 집게부(25)(24a)를 갖고 빨래지지대(10)(10a)와 연결되어 길이연장수단(B)(B')에 의해 빨래지지대(10)(10a)의 길이를 길게 연장시키는 길이연장대(20)(20a) 및
    일단은 지지봉(104)에 고정되고 타단은 빨래지지대(10)(10a)의 타단 하부에 고정되어 빨래지지대(10)(10a) 타단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지지수단(C)(C')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베란다 난간용 빨래 건조대.
  2. 제 1 항에 있어서;
    빨래지지대(10)는 타단이 개방된 입출공(11)을 갖고;
    길이연장수단(B)으로 구동축(32)을 갖고 스위치(31)에 의해 정역회동하는 모터(30)와, 구동축(32)에 축결합되어 회동되는 구동풀리(33)와, 빨래지지대(10)의타측 하부에 설치되어 회동되는 지지풀리(34)와, 빨래지지대(10)의 하단에 형성된 작동공(19)(19')을 통해 구동풀리(33)에 감긴 일측 선단이 길이연장대(20)의 일측 하단에 고정되고 지지풀리(34)에 감긴 타측 선단이 길이연장대(20)의 하단에 고정되는 작동줄(36)과, 작동공(19)(19') 일측에서 작동줄(36)을 가이드하는 안내롤러(35)(35')와, 빨래지지대(10)의 입출공(11) 선단 하부에 설치되어 길이연장대(20)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지지롤러(18)와, 빨래지지대(10)의 상부 내측 중심에 하부로 돌출된 이탈방지돌기(17)와, 길이연장대(20)의 상단 중심측이 내측으로 요부형성된 가이드요부(22)와, 일단의 가이드요부(22) 상에 축결합된 상부롤러(23)와, 빨래지지대(10)의 내측 상부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상부롤러(23)를 안내하는 가이드돌기(16)와, 길이연장대(20)의 일측 하부에 설치된 하부롤러(24)와, 길이연장대(20) 타단에 형성된 걸림턱(21)을 구비하며;
    지지수단(C)으로는 대략 'T'형상으로 양단은 지지봉(104)이 끼워지는 고정요부(55)가 형성되고 체결나사(56)에 의해 고정되며 상측에서 하측으로 절첩요부(54)가 형성된 하부지지대(53)와, 하부지지대(53)의 절첩요부(54)에 끼워져 타단의 절첩축(52)에 의해 축결합되어 그 타단이 빨래지지대(20) 하단에 결합되는 절첩바(51)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베란다 난간용 빨래 건조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A)은 빨래지지대(10)(10a)의 일측 하단에 형성된 회동축(41)과, 회동축(41)에 의해 축결합되고 일측이 손잡이대(102) 형상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고정대(42)와, 고정대(42) 선단에 형성된 끼움요부(43)와, 끼움요부(43) 상측의 빨래지지대(10)(10a) 하부에 축회동되게 고정된 나사부(45)를 갖는 체결바(44)와, 나사부(45) 하단에 체결된 체결나사(46)와, 빨래지지대(10)(10a) 및 고정대(42)와 손잡이대(102)의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미끄럼방지판(47)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베란다 난간용 빨래 건조대.
  4. 제 1 항에 있어서;
    길이연장수단(B')은 빨래지지대(10a)의 상부가 개방된 체결요부(12a)와, 체결요부(12a)상에 위치되어 타단의 회동축(22a)을 축으로 절첩되는 길이연장대(20a)를 구비하고;
    지지수단(C')은 대략 'T'형상으로 일단은 지지봉(104)이 끼워지는 끼움요부(66)가 형성되어 체결나사(67)에 의해 고정되는 브라켓(65)과, 브라켓(65) 양단에 각각 일단이 고정되고 상측이 개방된 절첩요부(64)를 갖는 하부지지대(63)와, 절첩요부(64)상에 위치되어 일단의 절첩축(62)을 축으로 회동되어 타단이 빨래지지대(10a) 하부에 각각 체결되는 복수개의 절첩바(61)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베란다 난간용 빨래 건조대.
  5. 제 4 항에 있어서;
    빨래지지대(10a)의 일단 선단부는 이등분되어 지지축(73)에 의해 축결합되고 그 선단에는 각각 고정통공(71)(71')이 형성되며 지지축(73)의 상측에는 고정통공(71)(71')에 끼워져 빨래지지대(10a)를 고정시키는 고정돌기(72)(72')가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지지축(73) 하단은 브라켓(65)의 중심측에 베어링(74)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된 회동수단(D)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베란다 난간용 빨래 건조대.
KR2020020020760U 2002-07-11 2002-07-11 베란다 난간용 빨래 건조대 KR2002920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760U KR200292066Y1 (ko) 2002-07-11 2002-07-11 베란다 난간용 빨래 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760U KR200292066Y1 (ko) 2002-07-11 2002-07-11 베란다 난간용 빨래 건조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2066Y1 true KR200292066Y1 (ko) 2002-10-18

Family

ID=73125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0760U KR200292066Y1 (ko) 2002-07-11 2002-07-11 베란다 난간용 빨래 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206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181B1 (ko) * 2013-02-25 2014-07-28 대구광역시 달서구 세탁물 건조 장치
KR200476430Y1 (ko) * 2014-10-22 2015-03-02 권형준 베란다 건조대
KR101930173B1 (ko) * 2017-10-23 2018-12-17 남정현 베란다 난간설치용 건조대
KR20200019808A (ko) 2018-08-14 2020-02-25 김낙성 베란다 난간 거치형 접이식 건조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181B1 (ko) * 2013-02-25 2014-07-28 대구광역시 달서구 세탁물 건조 장치
KR200476430Y1 (ko) * 2014-10-22 2015-03-02 권형준 베란다 건조대
KR101930173B1 (ko) * 2017-10-23 2018-12-17 남정현 베란다 난간설치용 건조대
KR20200019808A (ko) 2018-08-14 2020-02-25 김낙성 베란다 난간 거치형 접이식 건조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5157B1 (ko) 회전식 빨래 건조대
KR101118088B1 (ko) 빨래 건조대
KR101344099B1 (ko) 돌출 굴절 빨래걸이 건조장치를 구비한 빨래 건조대
US6149020A (en) Ceiling hung clothesline support
US8870145B1 (en) Clothes hanging assembly
CN108866980B (zh) 一种防雨晾衣架
KR200292066Y1 (ko) 베란다 난간용 빨래 건조대
JP3024057B2 (ja) 物干し装置
KR101656215B1 (ko) 베란다 창틀용 세탁물 건조대
KR200469090Y1 (ko) 접이식 빨래건조대
CN213013567U (zh) 一种基于自动挡雨伸缩式户外晾衣架
JP2001017796A (ja) 布団干し具
KR100511755B1 (ko) 세탁물 건조대
KR200201844Y1 (ko) 발코니형 빨래 건조대
KR200442252Y1 (ko) 차우막을 갖는 빨래 건조대
CN208573405U (zh) 一种衣架
JP2003038896A (ja) 物干し装置
KR200239585Y1 (ko) 발코니형 빨래 건조대
CN113308858B (zh) 一种智能晾衣架及其控制方法、系统
CN219450194U (zh) 晾杆组件及晾衣架
KR20200019808A (ko) 베란다 난간 거치형 접이식 건조대
JP3111050U (ja) 室内衣類乾燥機
JP2001129299A (ja) 携帯用物干し具
CN216514723U (zh) 一种智能晾晒装置
CN212505501U (zh) 一种室内可移动可折叠的晾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