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1804Y1 - Braille sticker - Google Patents

Braille stic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1804Y1
KR200291804Y1 KR2020020018698U KR20020018698U KR200291804Y1 KR 200291804 Y1 KR200291804 Y1 KR 200291804Y1 KR 2020020018698 U KR2020020018698 U KR 2020020018698U KR 20020018698 U KR20020018698 U KR 20020018698U KR 200291804 Y1 KR200291804 Y1 KR 2002918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lle
sticker
printing paper
pap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869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원혁
Original Assignee
장원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원혁 filed Critical 장원혁
Priority to KR20200200186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180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18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1804Y1/en

Links

Landscapes

  • Printing Methods (AREA)
  • Printers Characterized By Their Purpose (AREA)

Abstract

점자 돌출부가 형성된 인쇄지; 인쇄지 위에 형성된 점착층; 및 점착층에 분리 가능하게 점착되도록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는 이형지를 포함하는 점자 스티커가 개시된다.Printing paper on which braille protrusions are formed; An adhesive layer formed on printing paper; And a release paper having a smooth surface to detachably adhere to the adhesive layer.

Description

점자 스티커 { BRAILLE STICKER }Braille sticker {BRAILLE STICKER}

본 고안은 점자 스티커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자모별로 점자 스티커를 제작하여 이들의 조합으로 하나의 문자를 만들 수 있는 점자 스티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ille stick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raille sticker that can be made by combining a combination of them by making a braille sticker for each letter.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점자는 눈으로 사물을 식별할 수 없는 시각장애인이 사물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지면에 일정한 형태의 점을 돌출시켜 이를 손가락 끝으로 만져서 문자 및 부호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점자는 특수 재질의 종이에 점필이나 프레스 기기를 이용하여 타공되지 않을 정도의 돌출부를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Commonly known Braille is to recognize a character and a sign by projecting a certain point on the ground and touching it with the fingertips so that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who cannot see the object can easily identify the object. Braille is generally formed on paper of a special material so as not to be perforated by using a dot pen or a press device.

이러한 점자는 시각 장애인에게 촉각에 의해 문자를 인식하게 하는 필수적 수단으로서 1824년 영국의 Braille 에 의해 만들어졌다. 점자는 위에서 아래로 3점, 좌우 두줄, 총 6 점으로 구성된 것이 일반적이며 우리나라에서는 송암 박두성 선생이 훈민정음을 바탕으로 창안한 훈맹정음이 널리 쓰이고 있다.This braille was created by Braille, England, in 1824 as an essential means of visually impaired perception of characters. Braille is generally composed of three points from top to bottom, two lines on the left and a total of six points, and Hun Myung Jung invented by Song Doo Sung teacher based on Hun Min Jung.

점자가 만들어진 이후 점차 점자 보급률이 늘어나면서 점자는 시각장애인들의 굳건한 재활의 초석이 되어 왔다. 점자도서를 전문적으로 발간하는 점자도서관이나 복지관 등이 꾸준히 늘어왔으며 이들 기관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책과 잡지들을 점자로 제작하고 있다. 도서의 제작 과정도 과거에는 수작업에 의존하던 것이 현재는 점자프린터기, 고속자동제판기 등의 보급으로 도서의 대량출판도 가능해졌다. 또한 최근에는 지하철 난간이나 엘리베이터, 택시의 문 손잡이 등에서도 시각장애인을 위한 금속판에 새겨진 점자를 접할 수 있게 되었다.Since the development of Braille has gradually increased, Braille has been the cornerstone of solid rehabilitation of the blind. Braille libraries and welfare centers, which specialize in publishing Braille books, have been steadily increasing. These institutions produce various kinds of books and magazines in Braille. The production process of books also depended on manual labor in the past, and now it is possible to publish large volumes of books with the spread of braille printers and high-speed automatic printing machines. In recent years, it has become possible to encounter Braille on metal plates for the visually impaired in subway railings, elevators and door handles of taxis.

그러나 오늘날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사회적 관심에도 불구하고 점자의 미래가 그다지 밝은 것만은 아니다. 점자의 활용과 보급에 있어 당면한 문제로는, 첫째 점자 교육의 후퇴를 들 수 있다. 최근 몇 년 사이 저시력 및 중복시각장애학생의 증가로 점자 미해독자들이 늘어가고 있다.However, despite the social concerns for the blind today, Braille's future is not so bright. One problem facing the use and dissemination of Braille is the retreat of first braille education.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low-vision and visually impaired students has increased, and the number of non-braille readers has increased.

둘째는 점자 사용 인구의 감소를 들 수 있다. 녹음도서, CD도서 등의 다양한 매체의 등장과 더불어 컴퓨터 사용인구의 증가로 전자 도서의 보급과 활용이 나날이 확대되고 있다. 그 결과 시각장애인의 독서 환경은 한결 나아지고 선택의 폭이 넓어지긴 하였으나, 이러한 매체를 이용한 독서는 주로 듣기 위주의 독서로서 정확한 정보 습득을 전제로 한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력의 연마는 기대할 수 없기에 시각장애인들의 독서의 질적 저하를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Second is the reduction in the population of braille users. With the advent of various media such as recorded books and CD books, the spread of electronic books has been increasing day by day due to the increase in the computer population. As a result, the reading environment of the visually impaired is better and the choices are wider.However, reading using such media is mainly listening-oriented reading, and it is not possible to expect the development of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skills based on the acquisition of accurate information. There is no doubt about the quality of their reading.

마지막으로 비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점자보급의 문제를 들 수 있다. 점자도서 제작을 위한 전문가 확보의 차원은 물론이고 시각장애인 인식 개선의 차원에서도 점자의 교육과 보급의 활성화는 중요한 문제이다. 특히 비시각장애인이 시각장애인을 이해하는 통로로써의 점자의 존재가치를 적극 홍보하고 활용해야 한다. 왜냐하면 점자를 알거나 배우려는 비시각장애인들이 많아질수록 시각장애인의 인식개선은 보다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것이기 때문이다.Lastly, the problem of Braille dissemination for the non-visually handicapped is mentioned. In addition to securing experts for producing Braille books, the education and dissemination of Braille is an important issue in terms of improving the awareness of the visually impaired. In particular, the non-visual impaired should actively promote and utilize the value of Braille as a channel for understanding the visually impaired. This is because the more visually impaired people who want to know or learn Braille, the more natural they are to improve their awareness.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점자가 새겨진 스티커를 제작하여 점자가 필요한 생활 필수품이나 점자 교육을 위한 물품등에 간편하게 부착하여 점자 교육 및 점자 보급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by making a sticker engraved in Braille, it is easy to attach to the necessities of life necessary for braille or braille education, the purpose of the braille education and braille dissemination.

또한 점자 스티커에 광고용 문구나 이미지를 인쇄하여 광고효과를 창출함으로써 그 활용도를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urpose is to increase the utilization by creating advertising effects by printing advertising phrases or images on the braille stickers.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실용신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and will be appreciated by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means and combinations indicated in the utility model claims.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라 점자 스티커를 나타낸 평면도이다.1 is a plan view showing a braille stick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자 스티커의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raille stick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라 점자 스티커로 임의의 문자를 조합하여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arbitrary characters in a braille stick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라 점자 스티커를 나타낸 평면도이다.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a braille stick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따라 점자 스티커를 나타낸 평면도이다.5 is a plan view showing a braille stick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따라 물품에 부착된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6 is a plan view showing the attachment to an article according to a four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이형지 20 : 접착층10: release paper 20: adhesive layer

30 : 인쇄지 40 : 점자돌출부30: printing paper 40: braille projection

50 , 60 , 60' : 인쇄층50, 60, 60 ': printed lay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점자 스티커는 인쇄지; 인쇄지 위에 형성되는 점착층; 상기 점착층에 분리 가능하게 점착되도록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는 이형지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지 표면에는 시각 장애인이 촉각에 의해 감지할 수 있는 점자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자돌출부는 1 개 내지 6 개의 점으로 이루어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인쇄지의 조합으로 하나의 완전한 글자를 이룰 수 있다.Braille stic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a printing paper; An adhesive layer formed on printing paper; It includes a release paper having a smooth surface so as to detachably adhere to the adhesive layer, the printing paper surfa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mbossed projection that can be detected by the visually impaired by the sense of touch. The braille projections may be composed of one to six dots, and may form one complete letter using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r more of the printing sheets.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점자 스티커는 상기 인쇄지 표면에 상기 점자에 대응하는 자모를 인쇄한 인쇄층을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ille sticker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rinting layer print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ing paper corresponding to the braille.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점자 스티커는 상기 인쇄지 표면에 광고용 문구 또는 이미지를 인쇄한 인쇄층을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ille sticker further includes a print layer on which the advertising text or image is print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ing paper.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will appropriately describ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own desig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점자 스티커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점자 스티커는 ??, ??, ??, ···, ??, ??, ??, ?? 등의 한글의 자모를 6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스티커(100)로 구성한다. 필요한 자모를 하나씩 떼어서 원하는 곳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점자에 대응하는 자모는 한글 뿐 아니라 아라비아 숫자, 영문 알파벳 등 모든 문자의 자모(letter)가 될 수 있다. 자모(letter)란 표음 문자(表音文字)의 음절을 이루는 단위인 하나 하나의 글자 즉, 'ㄱ ·ㄴ·ㄷ , a·b·c' 따위의 낱자를 말한다.1 shows a braille stick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braille sticker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following,?,?,?, ...,?,?,?,? Hangul alphabet such as composed of one sticker 100 consisting of six dots. You can remove the necessary letters one by one and attach them where you want. The alphabet corresponding to Braille can be a letter of all letters including Arabic numerals, English alphabets, as well as Korean characters. A letter is a single letter that is a unit of syllables of the phonetic letters, that is, a letter such as 'a · b · c, a · b · c'.

도 2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점자 스티커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점자 스티커(100)는 인쇄지(30), 점착층(20), 이형지(10), 점자돌출부(40)로 구성된다. 인쇄지(30)는 이형지(10)에 부착된 상태로 판매 및 운반된다. 이 때, 이형지(10)는 글라신지나 크라후드지와 같은 종이 이형지나 평활성이 높은 필름 이형지가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특별한 종류로 한정되지 않는다. 인쇄지(30)는 점자용 특수 재질의 종이를 사용할 수 있고, PET, PP, PVC, PE, PS, PI, 합성지 등과 같은 필름류의 인쇄지나 셀로판, 아세테이트 등을 이용한 인쇄지, 또는 속지가 코팅처리 되어 있고 투명한 유산지 등이 모두 사용 가능하다. 다만, 점자를 형성하기 위하여 일반 스티커보다는 두껍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2 shows a configuration of a braille stick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braille stick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printing paper 30, the adhesive layer 20, the release paper 10, the braille projections (40). The printing paper 30 is sold and transported while attached to the release paper 10. At this time, the release paper 10 may be used both a paper release paper such as glassine paper or crayon paper, or a film release paper having a high smoothness and is not limited to a special kind. The printing paper 30 may use paper of special material for braille, and printing paper of film such as PET, PP, PVC, PE, PS, PI, synthetic paper, printing paper using cellophane, acetate, etc., or inlay coating treatment. It is possible to use a transparent heritage paper. However, in order to form the braille, it is preferable to thicken it than a general sticker.

점자돌출부(40)는 인쇄지(30)에 점필 또는 프레스기기를 이용하여 타공되지 않을 정도의 압력을 가하여 돌출 시킬 수 있으며 화학적 처리를 통해 발포시켜 앰보싱을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중경질 합성 수지를 인쇄지(30)에 덧입혀 점자돌출부(40)를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The braille protrusion 40 may protrude by applying pressure to the printing paper 30 so as not to be perforated by using a dot pen or a press device, and form embossing by foaming through chemical treatment.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braille projection 40 by applying a hard rigid synthetic resin to the printing paper (30).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도 제 1 실시예의 점자 스티커의 구성은 동일하게 적용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braille sticker of the first embodiment is equally applied.

도 3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라 점자에 대응하는 자모를 인쇄한 인쇄층(50)을 더 포함한 스티커(100)를 나타낸다. 상기 인쇄층(50)은 지용성 잉크를 사용하여 수분에 번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인쇄방법은 일반 스티커 제작의 당업계에서 알려진 모든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가방'이라는 단어의 각각의 자모 ' ㄱ, ㄴ, ㄷ, ㄹ, ㅁ '에 대응하는 각 점자를 본 고안의 스티커(100)의 인쇄지로 조합하여 예시하고 있다. 이렇게 조합된 스티커(100)를 실제로 가방에 부착함으로써 시각장애인에게는 물품명이 가방이라는 것을 알 수 있게 하고, 비시각장애인에게는 가방이라는 점자가 도 3 과 같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릴 수 있다.FIG. 3 shows a sticker 100 further comprising a printed layer 50 printed with the letters of the braille according to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nting layer 50 is preferably so as not to spread to the moisture by using a fat-soluble ink and the printing method may be any method known in the art of general sticker production. Referring to the drawings, each braille corresponding to each letter 'a, b, c, d, k' of the word 'bag' is illustrated as a combination of printed paper of the stick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icker 100 thus combined is actually attached to the bag, so that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can know that the item name is the bag, and the non-visually impaired person can inform that the braille is made as shown in FIG. 3.

또한 점자돌출부(40)에 대응하는 자모를 인쇄한 인쇄층(50)을 상기 이형지(10)에 포함하고 인쇄지(30)를 투명한 재질로 하여, 상기 이형지(10)에서 인쇄지(30)를 분리하기 전에 어떤 자모를 나타내는지 알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release paper 10 includes a printing layer 50 printed with the letters corresponding to the braille protrusions 40, and the printing paper 30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the printing paper 30 is separated from the release paper 10. It is also possible to know what type of alphabet it represents before separation.

도 4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라 점자 스티커(100)에 광고용문구 또는 이미지를 인쇄한 인쇄층(60, 60`)이 포함된 스티커(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바람직한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스티커에 기업 등의 로고 이미지가 더 인쇄되어 있다. 이렇게 제작된 스티커는 지하철의 출입문 등에 부착하여 시각장애인에게는 지하철의 출입문을 인지하게 하고, 비시각장애인에게는 기업 로고를 각인시킴에 따라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광고 이미지를 더 포함하는 이유는 광고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점자 스티커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함이다.FIG. 4 is a sticker 100 including printed layers 60 and 60` printed with advertising phrases or images on a braille sticker 100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drawings, a logo image of a company or the like is further printed on a sticker produced according to the first or second preferred embodiment. The sticker thus produced is attached to the entrance of the subway, so that the visually impaired can recognize the entrance of the subway, and the non-visually handicapped person can get the advertising effect by imprinting the corporate logo. The reason for further including the advertisement image is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braille sticker because it can also be used for advertising.

도 5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따라 점자 스티커(100')를 좌우측 3개의 점을 분리하여 제작한 것을 나타낸다. 이렇게 스티커(100')를 3개의 점으로 구분함에 따라 나올 수 있는 점자 경우의 수가 8 가지( 점이 없는 것 1 가지, 점이 한 개 있는 것 3 가지, 점이 두 개 있는 것 3 가지, 점이 3개 있는 것 1 가지, 총 8 가지) 가 된다. 8 가지의 점자 스티커(100')를 조합하여 어떤 원하는 글자도 표현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6 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점자를 1 개 또는 2 개의 점으로 분리하여 점자 스티커(100')를 제작할 수 있다.5 shows that the braille sticker 100 'is manufactured by separating three left and right side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dividing the sticker 100 'into three dots like this, the number of braille cases that can come out is eight (one without dots, one with three dots, three with two dots, and three with dots). One thing, a total of eight). By combining eight Braille stickers 100 ', any desired letters can be expressed. Likewise, the braille sticker 100 'may be manufactured by separating the braille consisting of six dots into one or two dots.

도 6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따라 3 개의 점으로 구분된 스티커(100')를 조합하여 '가방' 이라는 단어를 나타내어 가방에 부착한 것을 도시한다. 도 3 에서는 6 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스티커(100)를 조합하여 '가방' 이라는 단어를 표현하였지만, 도 6 에서는 3 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스티커(100')를 조합하여 같은 단어를 표현하고 있다.FIG. 6 shows the word 'bag' attached to a bag by combining a sticker 100 separated by three dots according to a four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3, the word 'bag' is expressed by combining the sticker 100 composed of six dots, but in FIG. 6, the same word is expressed by combining the sticker 100 composed of three dots.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점자 스티커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braille stic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it can.

본 고안의 점자 스티커에 따르면, 간편하게 점자 스티커를 물품에 부착시킴으로써 시각장애인 및 비시각장애인에게도 점자를 알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점자 스티커에 광고용 문구 또는 이미지를 인쇄하여 광고효과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점자의 교육과 보급의 활성화를 이룰 수 있는 수단이 된다.According to the braille sticke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imply attaching the braille sticker to the article, it provides an opportunity to inform the braille to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non-visually impaired, and also prints the advertising phrase or image on the braille sticker to obtain the advertising effect. There is an advantage. Therefore, it becomes a means to promote the education and dissemination of Braille.

Claims (5)

인쇄지;Printing paper; 인쇄지 위에 형성되는 점착층;An adhesive layer formed on printing paper; 상기 점착층에 분리 가능하게 점착되도록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는 이형지를 포함하고,It includes a release paper having a smooth surface to detachably adhere to the adhesive layer, 상기 인쇄지 표면에는 시각 장애인이 촉각에 의해 감지할 수 있는 점자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스티커.Braille stick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ing paper protruding portion that can be detected by the visually impaired by the sense of touch.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점자돌출부는 1 개 내지 6 개의 점으로 이루어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인쇄지의 조합으로 하나의 완전한 글자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스티커.The braille protruding portion is composed of one to six dots, braille sticker,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complete letter in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r more of the printing pap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인쇄지 표면에 상기 점자에 대응하는 자모를 인쇄한 인쇄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스티커.Braille sticker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rinting layer print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ing paper, the letter corresponding to the braill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인쇄지는 투명 재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The printing paper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of a transparent material, 상기 이형지 표면에 상기 점자에 대응하는 자모를 인쇄한 인쇄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스티커.Braille stick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rinting layer printed on the surface of the release paper corresponding to the braill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인쇄지 표면에 광고용 문구 또는 이미지를 인쇄한 인쇄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스티커.Braille sticker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rinted layer print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ing paper advertising advertising or images.
KR2020020018698U 2002-06-20 2002-06-20 Braille sticker KR20029180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698U KR200291804Y1 (en) 2002-06-20 2002-06-20 Braille stic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698U KR200291804Y1 (en) 2002-06-20 2002-06-20 Braille stick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1804Y1 true KR200291804Y1 (en) 2002-10-11

Family

ID=73076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8698U KR200291804Y1 (en) 2002-06-20 2002-06-20 Braille stic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1804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0243A1 (en) * 2011-12-30 2013-07-04 사단법인 해밝음장애인복지회 Flower tower having identification tag for flower recognition for visually impaired person
KR102522560B1 (en) 2022-11-25 2023-04-17 장성운 A Custom Braille Stickers Assembly Set
KR102619974B1 (en) * 2023-07-28 2023-12-29 이차운 Braille stickers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0243A1 (en) * 2011-12-30 2013-07-04 사단법인 해밝음장애인복지회 Flower tower having identification tag for flower recognition for visually impaired person
KR102522560B1 (en) 2022-11-25 2023-04-17 장성운 A Custom Braille Stickers Assembly Set
KR102619974B1 (en) * 2023-07-28 2023-12-29 이차운 Braille stickers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lker Typography & language in everyday life: Prescriptions and practices
US5899698A (en) Language translation pad
US4878844A (en) Teaching aid having tactile feedback
Yannicopoulou Visual aspects of written texts: Preschoolers view comics
KR200291804Y1 (en) Braille sticker
CN102129800A (en) System for identifying and automatically phonically prompting blind symbol information
US9501939B2 (en) Multisensory literacy instruction system
US7484960B2 (en) Printed matter for joint reading by a visually impaired and a sighted person
KR20200001936U (en) The intaglio Hangeul-characters board for writing practice
Hynes et al. Portable electronic braille devices–An overview
KR100491108B1 (en) A practive teaching acids carved shapes of letters
CN201853386U (en) Electronic English reader, English teaching material or book and recognizing machine
US20070269780A1 (en) Learning aid
KR200202550Y1 (en) Embossing braille of semi-hardness synthetic resin for the blind
JP3220980U (en) Dot character seal
Cook Written language and foreign language teaching
US20070020591A1 (en) Methods and aids for teaching Arabic to the blind
KR20190011877A (en) Braille painting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CN201128298Y (en) Printed matter for both common people and blind people
KR20230014223A (en) Bramza Stickers
KR200279388Y1 (en) Character font exercise board
CN2596476Y (en) Copybook board
KR200305297Y1 (en) note
KR0126010Y1 (en) Picture and hollow letters
CN115709609A (en) Book for blind person and vision-health person to re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