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1787Y1 - 액정표시장치 글래스 적재용 카세트의 톱 및 보텀 프레임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글래스 적재용 카세트의 톱 및 보텀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1787Y1
KR200291787Y1 KR2020020018100U KR20020018100U KR200291787Y1 KR 200291787 Y1 KR200291787 Y1 KR 200291787Y1 KR 2020020018100 U KR2020020018100 U KR 2020020018100U KR 20020018100 U KR20020018100 U KR 20020018100U KR 200291787 Y1 KR200291787 Y1 KR 2002917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member
bottom frame
frame
cross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81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일
Original Assignee
(주)상아프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상아프론테크 filed Critical (주)상아프론테크
Priority to KR20200200181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1787Y1/ko
Priority to TW91214549U priority patent/TW576419U/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17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1787Y1/ko

Links

Landscapes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정표시장치 글래스 적재용 카세트의 톱 및 보텀 프레임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톱 및 보텀 프레임은 톱 프레임과, 보텀 프레임과, 상기 톱 프레임과 보텀 프레임을 연결하는 사이드 프레임을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글래스 적재용 카세트에 있어서, 상기 톱 프레임과 보텀 프레임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양쪽의 제 1사이드 멤버 및 제 2사이드 멤버와; 상기 제 1사이드 멤버와 제 2사이드 멤버를 연결하는 복수의 크로스 멤버들과; 상기 복수의 크로스 멤버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보강바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합성수지재의 제 1사이드 멤버와 제 2사이드 멤버를 사출성형한 후, 이를 금속성 크로스 멤버로 연결 조립함으로써 제작이 간편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종래와 같이 일체형 보텀 프레임의 제작을 위해 대형의 사출성형기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제작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합성수지재와 금속재를 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내구성을 최대로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 글래스 적재용 카세트의 톱 및 보텀 프레임{TOP AND BOTTOM FRAME FOR LCD GLASS CASSETTE}
본 고안은 액정표시장치 글래스 적재용 카세트의 톱 및 보텀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작하기 쉽고 제작비용이 적게들며 강도가 우수한 액정표시장치 글래스 적재용 카세트의 톱 및 보텀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 제조에 사용되는 글래스는 외부의 작은 충격에도 손상될 우려가 있는 바, 간격을 두고 다층으로 적재할 수 있는 글래스 적재용 카세트에 의해 보관되거나 운반된다.
이러한 글래스 적재용 카세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 프레임(1)과 보텀 프레임(3) 그리고 톱 프레임(1)과 보텀 프레임(3)의 양측을 연결하는 사이드 프레임(5)들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톱 프레임(1)과 보텀 프레임(3)은 동일한 구성을 갖추고 있으며, 사각의 테두리(1a, 1a)와 테두리(1a, 3a)를 격자상으로 연결하는 가로빔(1b, 3b)과 세로빔(1c, 3c)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사이드 프레임(5)들은 길이방향으로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서포트 핑거(7)를 갖추고 있는데, 이 서포트 핑거(7)는 서로 마주보면서 액정표시장치 글래스(G)의 밑면 가장자리양쪽을 받쳐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마주보는 서포트 핑커(7)의 위에 글래스(G)를 올려 놓으면, 상기 글래스(G)는 서포트 핑거(7)에 그 밑면 가장자리가 지지되면서 카세트 내부에 수평으로 적재되고, 이로써 글래스(G)를 다층으로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톱 프레임(1)과 보텀 프레임(3)은 경질의 합성수지 성형체로 구성된다. 그리고 사이드 프레임(5)들은 알루미늄 기둥에 합성수지의 서포트 핑거(7)가 일체로 성형되는 구성을 갖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액정표시장치 글래스 적재용 카세트는 톱 프레임(1)과 보텀 프레임(3)의 제작이 어렵고, 제작비용이 비싸며, 강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즉, 글래스 적재용 카세트의 톱 프레임(1)과 보텀 프레임(3)은 경질의 합성수지를 재료로 사출성형되는 바, 큰 사이즈의 톱 프레임(1)과 보텀 프레임(3)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대형의 사출성형기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대형의 사출성형기는 가격도 고가일 뿐만 아니라 보급이 충분히 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카세트의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경질의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톱 프레임(1)과 보텀 프레임(3)은 사이즈가 크면 클수록 굽힘변형을 일으키기 쉬워 카세트의 강도가 전반적으로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같은 문제점은 글래스 적재 카세트의 전체적인 강도를 약화시켜 글래스(G)를 안정적으로 운반 및 보관할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강도가 우수하고, 제작하기 쉬우며, 제작비용이 저렴한 액정표시장치 글래스 적재용 카세트의 톱 및 보텀 프레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 글래스 적재용 카세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 글래스 적재용 카세트의 톱 프레임 및 보텀 프레임을 나타내는 글래스 적재용 카세트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글래스 적재용 카세트의 보텀 프레임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톱 프레임 20: 보텀 프레임
30: 제 1사이드 멤버 32: 테두리
34: 연결리브 36: 결합홈
38: 조립홈 40: 제 2사이드 멤버
42: 테두리 44: 연결리브
46: 결합홈 48: 조립홈
50: 크로스 멤버 52: 스페이서
60: 보강바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톱 프레임과, 보텀 프레임과, 상기 톱 프레임과 보텀 프레임을 연결하는 사이드 프레임을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글래스 적재용 카세트에 있어서, 상기 톱 프레임과 보텀 프레임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양쪽의 제 1사이드 멤버 및 제 2사이드 멤버와; 상기 제 1사이드 멤버와 제 2사이드 멤버를 연결하는 복수의 크로스 멤버들과; 상기 복수의 크로스 멤버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보강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 글래스 적재용 카세트의 톱 및 보텀 프레임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톱 프레임(10)과 보텀 프레임(20)은 카세트의 상부와 하부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양쪽의 제 1사이드 멤버(30)와 제 2사이드 멤버(40) 그리고 제 1사이드 멤버(30)와 제 2사이드 멤버(40)를 연결하는 복수의 크로스 멤버(50)들로 구성된다(톱 프레임(10)과 보텀 프레임 (20)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보텀 프레임(20)만을 설명하여 보텀 프레임(20)과 톱 프레임(10)을 동시에 설명하기로 한다.).
이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본 고안의 보텀 프레임(20)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을 두고 대향하게 배치되는 제 1사이드 멤버(30)와 제 2사이드 멤버(40)를 갖는다. 제 1사이드 멤버(30)는 직사각형의 테두리(32)와, 테두리(32)를 폭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리브(34)들로 구성되며, 그 밑면에는 결합홈(36)이 폭방향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결합홈(36)은 후술하는 크로스 멤버(50)의 일단이 수평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것으로, 테두리(32)의 밑면에 형성된다. 특히, 결합홈(36)은 여러개의 크로스 멤버(50)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제 1사이드 멤버(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결합홈(36)은 4개의 크로스 멤버(50)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등간격으로 4개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제 1사이드 멤버(30)의 외측면에는 복수의 조립홈(38)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조립홈(38)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래스 적재용 카세트의 사이드 프레임(5)들이 수직하게 끼워져 조립되는 것으로, 제 1사이드 멤버 (30)와 사이드 프레임(5)을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성의 제 1사이드 멤버(30)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면서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경질의 합성수지를 재료로 사출성형된다.
한편, 제 2사이드 멤버(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사이드 멤버(30)와 대칭적인 구성을 가지며, 제 1사이드 멤버(30)와 마찬가지로 직사각형의 테두리(42)와, 테두리(42)를 폭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리브(44)들로 구성된다. 그리고 그 밑면에는 복수의 크로스 멤버(50)가 수평하게 끼워지는 복수의 결합홈(46)이 형성되며, 그 외측면에는 사이드 프레임(5)들이 수직하게 끼워지는 복수의 조립홈(48)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 2사이드 멤버(40)는 상기 제 1사이드 멤버(30)와 마찬가지로 경질의 합성수지를 재료로 사출성형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 1사이드 멤버(30)와 제 2사이드 멤버(40)는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면서 보텀 프레임(20)의 양측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제 1사이드 멤버(30)와 제 2사이드 멤버(40)의 각 결합홈(36, 46)들은 상기 제 1사이드 멤버(30)와 제 2사이드 멤버(40)가 서로 마주보며 배치됨에 따라 서로 정렬되게 구성됨은 물론이다.
다시, 도 3을 살펴보면, 본 고안의 보텀 프레임은 제 1사이드 멤버(30)와 제 2사이드 멤버(40)를 연결하는 복수의 크로스 멤버(50)를 갖는다. 크로스 멤버(50)는 길이가 긴 금속재질의 빔(beam)으로서, 그 양측이 제 1사이드 멤버(30)와 제 2사이드 멤버(40)의 결합홈(36, 46)에 끼워져 결합되며,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사이드 멤버(30, 40)와 볼트(B)로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크로스 멤버(50)는 제 1 및 제 2사이드 멤버(30, 40)의 결합홈(36, 46)에 끼워져 조립됨으로써, 제 1사이드 멤버(30)와 제 2사이드 멤버(40)를 견고하게 연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보다 간단한 방법으로 제 1사이드 멤버(30)와 제 2사이드 멤버(40)를 일체로 연결가능하게 함으로써, 보텀 프레임(20)을 보다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로 구성됨으로써, 보텀 프레임(20)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게 한다.
여기서, 크로스 멤버(50)는 제 1 및 제 2사이드 멤버(30, 40)의 결합홈(36, 46)의 갯수에 맞춰 4개가 조립된다. 그리고 크로스 멤버(50)는 무게는 가볍고, 강도는 우수한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보텀 프레임(20)은 제 1사이드 멤버(30)와 제 2사이드 멤버 (40)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스페이서(52)를 갖추고 있다. 이 스페이서(52)는 크로스 멤버(5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제 1사이드 멤버(30)에 지지되고, 타단은 제 2사이드 멤버(40)에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스페이서(52)는 크로스 멤버(50)에 의해 서로 연결된 제 1사이드 멤버(30)와 제 2사이드 멤버(40)의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 1사이드 멤버(30)와 제 2사이드 멤버(40)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고안의 도 3에서는 상기 스페이서(52)가 크로스 멤버(5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별도로 구성하여 크로스 멤버(50)에 조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시, 도 3을 살펴보면, 본 고안의 보텀 프레임(20)은 각 크로스 멤버(50)들을 서로 연결하는 한쌍의 보강바(60)를 갖는다. 한쌍의 보강바(60)는 소정의 굵기를 갖는 금속막대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크로스 멤버(50)를 가로지르도록 관통한 후, 그 양단이 크로스 멤버(50)와 볼트(B)로 체결된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한쌍의 보강바(60)는 각 크로스 멤버(50)를 서로 연결하고 지지함으로써, 크로스 멤버(50)의 강도를 더욱 증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특히, 크로스 멤버(50)의 강도를 높여줌에 따라 보텀 프레임(20)의 전체적인 내구성을 증대시켜준다. 여기서, 보강바(60)는 내충격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강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보텀 프레임(20)은 합성수지재의 제 1사이드 멤버(30)와 제 2사이드 멤버(40)를 사출성형한 후, 이를 금속성 크로스 멤버(50)로 연결 조립함으로써 제작이 간편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종래와 같이 일체형 보텀 프레임의 제작을 위해 대형의 사출성형기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제작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합성수지재와 금속재를 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내구성을 최대로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보텀 프레임(20)만을 설명하였는 바, 보텀 프레임 (20)과 동일한 구성과 작동을 갖는 톱 프레임(10)도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이해하면 될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 글래스 적재용 카세트의 톱 및 보텀 프레임은 합성수지재의 제 1사이드 멤버와 제 2사이드 멤버를 사출성형한 후, 이를 금속성 크로스 멤버로 연결 조립함으로써 제작이 간편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종래와 같이 일체형 보텀 프레임의 제작을 위해 대형의 사출성형기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제작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합성수지재와 금속재를 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내구성을 최대로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Claims (3)

  1. 톱 프레임과, 보텀 프레임과, 상기 톱 프레임과 보텀 프레임을 연결하는 사이드 프레임을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글래스 적재용 카세트에 있어서,
    상기 톱 프레임과 보텀 프레임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양쪽의 제 1사이드 멤버 및 제 2사이드 멤버와;
    상기 제 1사이드 멤버와 제 2사이드 멤버를 연결하는 복수의 크로스 멤버들과;
    상기 복수의 크로스 멤버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보강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글래스 적재용 카세트의 톱 및 보텀 프레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사이드 멤버와 제 2사이드 멤버는,
    상기 크로스 멤버들이 수평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홈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들이 수직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복수의 조립홈들이 형성되는 사각의 테두리와;
    상기 테두리를 가로질러 연결하는 연결리브들로 구성되고,
    상기 테두리와 연결리브들은 일체형의 합성수지 성형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글래스 적재용 카세트의 톱 및 보텀 프레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멤버는 상기 제 1사이드 멤버와상기 제 2사이드 멤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일단과 타단이 상기 제 1사이드 멤버와 제 2사이드 멤버에 지지되는 스페이서를 더 구비하며, 알루미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글래스 적재용 카세트의 톱 및 보텀 프레임.
KR2020020018100U 2002-06-14 2002-06-14 액정표시장치 글래스 적재용 카세트의 톱 및 보텀 프레임 KR2002917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100U KR200291787Y1 (ko) 2002-06-14 2002-06-14 액정표시장치 글래스 적재용 카세트의 톱 및 보텀 프레임
TW91214549U TW576419U (en) 2002-06-14 2002-09-16 LCD glass casset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100U KR200291787Y1 (ko) 2002-06-14 2002-06-14 액정표시장치 글래스 적재용 카세트의 톱 및 보텀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1787Y1 true KR200291787Y1 (ko) 2002-10-11

Family

ID=32768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8100U KR200291787Y1 (ko) 2002-06-14 2002-06-14 액정표시장치 글래스 적재용 카세트의 톱 및 보텀 프레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291787Y1 (ko)
TW (1) TW576419U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76419U (en) 200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0867B2 (en) Pallet assembly
JP6123130B2 (ja) サイズ調整可能な組立式パレット
KR101264981B1 (ko) 조립식 상자
JP6024934B2 (ja) サイズ調整可能な組立式パレット
KR200291787Y1 (ko) 액정표시장치 글래스 적재용 카세트의 톱 및 보텀 프레임
US20030205544A1 (en) Module for a structure
KR100844084B1 (ko) 엘씨디 글라스용 카세트의 서포트바 연결장치
KR100822320B1 (ko) 판유리 양면 적재용 조립식 박스
WO2012032517A1 (en) Strengthening element for an object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KR200413675Y1 (ko) 스틸팔레트
KR100551683B1 (ko) 글래스 수납 카세트
KR200255304Y1 (ko) 파레트 랙의 빔 결합구조
JPH1045131A (ja) プラスチック製パレット
CN214113516U (zh) 一种可拼接型不锈钢棒材运输定位放置架
CN215623438U (zh) 一种组合托盘
KR200311621Y1 (ko) 종이 파레트 하부 받침
CN220263508U (zh) 一种高强度防变形瓦楞纸箱
KR20040089405A (ko) 조립식 선반틀
CN219172976U (zh) 一种增强芯片托盘强度的结构
CN214190568U (zh) 卡合式栈板
CN210942779U (zh) 一种用于田字托盘的边条
KR20050015435A (ko) 엘시디 글라스 적재용 카세트
KR200263820Y1 (ko) 철재 파레트
JP2680613B2 (ja) ガラス繊維強化樹脂成形格子
KR100781948B1 (ko) 플라스틱제 팰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