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1731Y1 - 즉석김밥 포장지 - Google Patents

즉석김밥 포장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1731Y1
KR200291731Y1 KR2020020009183U KR20020009183U KR200291731Y1 KR 200291731 Y1 KR200291731 Y1 KR 200291731Y1 KR 2020020009183 U KR2020020009183 U KR 2020020009183U KR 20020009183 U KR20020009183 U KR 20020009183U KR 200291731 Y1 KR200291731 Y1 KR 2002917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gimbap
instant
lav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91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원규
Original Assignee
박원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원규 filed Critical 박원규
Priority to KR20200200091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17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17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1731Y1/ko

Links

Landscapes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닥지와 김덮개지의 사이에 김이 놓여지고 김과 분리되어 밥이 놓여지며 김과 밥을 놓은 포장지를 말아서 둥글게 즉석김밥을 제조하며, 소비자가 즉석김밥을 먹기 위해서 말려있는 김밥의 측단에서 약 1/3 정도 지점에 있는 개봉테이프를 뜯어서 손쉽게, 그리고 손에 묻지 않게 김밥을 먹을 수 있도록 하는 즉석김밥 포장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즉석김밥 포장지{Wrapper for instant rice rolled in dried leaver}
본 고안은 즉석김밥용 포장지에 관한 것이다.
현재 편의점이나 수퍼마켓 등에서 즉석김밥이 시판되고 있다. 즉석김밥은 비닐 포장지로 김과 밥을 낱개로 포장하여 간편하게 요기를 할 수 있는 식품이다. 즉석김밥에 있어서는 무엇보다도 위생적으로 김밥을 싸며, 손님이 용이하게 포장을 뜯어낼 수 있고, 먹을 때에도 손에 묻지 않도록 할 것이 필요하다.
종래에 도1a,b와 같은 즉석김밥 포장지가 실용신안등록되어 있다(등록번호 제171761호). 등록실용신안공보에 개시된 바에 따르면, 개시된 내용은 도1a에서와 같이 비닐지본체(1)의 상면에 절개부(2)를 중간에 길이방향으로 형성한 덮판(3, 3')을 양단부가 본체(1)와 접합되도록 접착시키고 본체(1)의 중간에 길이방향으로 절개용 절취띠(4)를 부착한 구성을 갖는 즉석김밥 포장지에 관한 것이다. 도1a에서 "5"는 김이고 "6"은 밥을 나타낸다. 이렇게 구성된 포장지를 도1b와 같이 둥글게 말아서 또는 도1c와 같이 삼각형 형상으로 접어서 판매하고 있다. 손님이 김밥을 꺼내 먹으려면 절취띠(4)를 돌려서 비닐지 본체(1)를 양쪽으로 벗겨내면 된다.
위에서 설명한 즉석김밥 포장지에 따르면, 김(5) 위에 밥(6)이 그대로 올려져 있는 상태에서 포장이 된다. 따라서 공장에서 출하되고 시간이 얼마 지나지 않아 김이 밥에 의해 누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김밥에 있어서는 항상 바삭바삭한 김의 상태가 김밥의 맛을 결정하는 것인데, 이는 종래 포장지의 가장 큰 단점이 된다.
한편, 최근에는 이러한 김의 누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등록된 실용신안과 동일한 구성의 포장지의 덮판(3, 3') 아래에는 김을, 덮판 위에는 밥을 놓아 김과 밥을 분리시켜서 포장하기도 한다.
그러나, 어떠한 방식이든지 종래의 즉석김밥 포장지에 따르면, 절취띠(4)에 의해 김밥 포장이 양분되므로 밥의 끈기에 의한 저항력으로 어느 한 쪽의 덮판(3 또는 3')을 벗기는데에 힘이 든다. 또한, 말린 부분이 풀리지 않도록 하며 상표를 표시한 라벨이 중앙에 붙여 있기 때문에 이 라벨을 절취띠로 절단하기가 힘이 든다. 특히 도1c와 같이 삼각형으로 접을 경우에는 덮판(3 또는 3') 자체도 접히게 되어 포장이 손쉽게 벗겨지지 않을 뿐더러, 어느 한쪽 덮판을 벗겨내어 한쪽을 먼저 먹고 다른 쪽 덮판을 벗기려면 이미 먹어버린 부분 때문에 다른 쪽 덮판을 벗기기가 매우 어려운 일이 발생한다. 이는 손쉽게 포장을 벗겨서 먹어야 한다는 즉석김밥 포장의 요건에 맞지 않는다. 손쉽게 포장을 벗길 수 있으려면 뜯어지는 부분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아서 밥의 끈기에 의한 저항력이 작을 것이 필요하다.
또한, 위와 같은 일을 피하기 위해서 한번 삼각형 즉석김밥을 먹어본 사람은 양쪽의 덮판 모두를 한꺼번에 벗겨내고 먹게 되는데, 이럴 경우에는 김의 기름이 손에 묻는 경우가 발생한다. 특히 즉석김밥은 이사나 공사 등의 작업중 간식으로 먹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위생상으로도 큰 문제가 발생함은 물론, 그렇지 않은 경우라 하더라도 손가락에 묻는 김기름은 소비자에게 불쾌감을 준다.
김과 밥이 분리된 상태에서 포장되도록 하면서, 포장을 벗겨내는 것이 쉽게 되도록 연구한 결과 본 고안에 따른 즉석김밥 포장지를 개발하게 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바닥지와 김덮개지의 사이에 김이 놓여지고 김과 분리되어 밥이 놓여지며 김과 밥을 놓은 포장지를 말아서 둥글게 즉석김밥을 제조하며, 소비자가 즉석김밥을 먹기 위해서 말려있는 김밥의 측단에서 약 1/3 정도 지점에 있는 개봉테이프를 뜯어서 손쉽게, 그리고 손에 묻지 않게 김밥을 먹을 수 있도록 하는 즉석김밥 포장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a, 1b, 1c는 종래의 즉석김밥 포장지.
도2a는 본 고안에 따른 즉석김밥 포장지의 일면.
도2b는 본 고안에 따른 즉석김밥 포장지의 타면.
도3a, 3b는 본 고안에 따른 즉석김밥 포장지로 즉석김밥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냄.
도4a, 4b는 즉석김밥을 소비자가 먹기 위한 과정을 나타냄.
도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도6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
<도면부호의 설명>
비닐지본체(1); 절개부(2); 덮판(3, 3'); 절취띠(4); 김(5); 밥(6); 바닥지(11); 김(13); 제1변(15a); 제2변(15b); 제3변(15c); 제4변(15d); 제1김덮개지(17a); 제2김덮개지(17b); 접착부(18a,18b); 제1밥덮개지(19a); 제2밥덮개지(19b); 제1개봉테이프(21a); 제2개봉테이프(21b); 절개부(23); 밥(25); 라벨스티커(27); 테이프(29a,29b 및 31a,31b); 일부접착부(X)
<고안의 구성>
본 고안에 따른 즉석김밥 포장지는, 김을 올려놓을 수 있는 사각형의 포장지로서, 길이방향으로 둥글게 말았을 경우에 형성되는 원통의 측면에 해당하는 제1ㆍ제2변과 원통의 원주면에 해당하며 표면에 노출되는 제3변과 말린 원통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제4변을 포함하는 바닥지와; 상기 바닥지 위에 올려진 김을 덮는 제1김덮개지 및 제2김덮개지와; 상기 제1ㆍ제2김덮개지 위의 영역 중 바닥지의 제3 또는 제4변에 인접한 영역에 밥을 놓고 이 밥을 덮기 위하여 상기 바닥지의 제1ㆍ제2변에 각각 접착되는 제1밥덮개지 및 제2밥덮개지로 구성된다.
상기 바닥지에는 상기 제1변을 따라 제1개봉테이프가 형성되고, 상기 제2변을 따라 제2개봉테이프가 형성되며, 상기 제1김덮개지는 상기 바닥지의 제1ㆍ제3변에 접착되며, 제2김덮개지는 상기 바닥지의 제2ㆍ제3변에 접착되고, 제1김덮개지와 제2김덮개지는 김을 양측에서 덮은 상태에서 상호 소정간격에 걸쳐서 중첩된다.
또한, 상기 제1개봉테이프와 제2개봉테이프가 상기 바닥지의 제3변에서 시작되는 위치는 약 3~12mm의 길이만큼 절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개봉테이프와 제2개봉테이프는 각각 두 개의 개봉테이프가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1개봉테이프와 제2개봉테이프는 각각 약 2~30mm의 폭을 갖는 한 개의 개봉테이프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김덮개지는 상기 바닥지의 제4변과는 일부분만 접착되고, 상기 제2김덮개지도 상기 바닥지의 제4변과 일부만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김덮개지와 상기 제2김덮개지가 중첩되는 부분 중에는 상기 바닥지의 제3변에 접하는 부분이 제3변에 독립하여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즉석김밥 포장지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2a는 본 고안의 포장지의 일면을 나타내고, 도3b는 포장지의 반대면을 나타낸다. 도2a,b에서 포장지의 재질은 종래의 즉석김밥 포장지와 마찬가지로 투명한 PP, PE, 비닐 등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도2a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즉석김밥 포장지의 구성요소를 설명한다.
바닥지(11)는 대략적으로 사각형의 포장지로서 김(13)을 올려놓을 수 있는 포장지이지만, 물론 사각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도2a의 바닥지(11)의 4변 중, 바닥지(1)를 길이방향으로(도2a에서 세로방향으로) 둥글게 말았을 경우에 형성되는 원통의 측면에 해당하는 변들을 각각 제1변(15a)과 제2변(15b)으로 정의하고, 원통의 원주면에 해당하며 표면에 노출되는 변(도2a에서의 상변)을 제3변(15c)으로, 말린 원통의 원주면에 해당하며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변을 제4변(15d)으로 정의한다. 상기 바닥지(11)에는 김(13)이 올려진다(도2a에서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부분).
상기 바닥지(11)에 놓인 김(13) 위에는 제1김덮개지(17a)와 제2김덮개지(17b)가 덮힌다. 제1김덮개지(17a)는 상기 바닥지(11)의 제1ㆍ제3변에 접착되며, 제2김덮개지(17b)는 상기 바닥지(11)의 제2ㆍ제3변에 접착된다. 도2a에서 빗금친 부분은 바닥지(11)와 제1김덮개지(17a) 및 제2김덮개지(17b)가 접착되어 있는 부분을 나타낸다. 여기서, 제1김덮개지(17a)와 상기 바닥지(11)의 제1변(15a)과는 견고하게 접착되지만, 제1김덮개지(17a)와 제3변(15c)은 약한 힘에 의해서 뜯어질 수 있도록 일부분에만 가늘게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2a의 "18a" 표시부). 그 이유는 즉석김밥을 먹으려고 하는 소비자가 손쉽게 제1김덮개지(17a)와 제2김덮개지(17b)를 뜯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로, 제2김덮개지(17b)와 상기 바닥지(11)의 제2변(15b)과는 견고하게 접착되지만, 제2김덮개지(17b)와 제3변(15c)은 약한 힘에 의해서 뜯어질 수 있도록 일부분에만 가늘게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2a의 "18b" 표시부).
제1김덮개지(17a)와 제2김덮개지(17b)는 김(13)을 양측에서 덮은 상태에서 상호 소정간격에 걸쳐서 중첩된다(도2a의 D부분). 도2a에서는 제2김덮개지(17b)가 제1김덮개지(17a)의 위로 가도록 중첩된 것을 나타내고 있지만, 물론 그 반대의 경우에도 본 고안의 작용은 동일해진다.
상기 제1ㆍ제2김덮개지(17a, 17b)가 김(13)을 덮고 있는 상태에서 그 위의일부 영역에는 밥(도2a에서는 표시 안함)이 놓이게 된다. 도2a에서는 바닥지(11)의 제4변(15d)에 인접한 영역에 밥을 놓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 밥을 덮기 위하여 상기 바닥지(11)의 제1ㆍ제2변에 각각 제1밥덮개지(19a)와 제2밥덮개지(19b)가 접착된다. 제1밥덮개지(19a)와 제2밥덮개지(19b)는 상기 제1ㆍ제2김덮개지(17a, 17b)와는 달리, 밥을 덮어서 밥을 말았을 때 밥이 측면(제1변(15a) 및 제2변(15b) 방향)으로 노출되거나 밀려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에, 도2b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즉석김밥 포장지의 다른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도2b는 도2a의 포장지를 뒤집어 표현한 것이다.
바닥지(11)에는 제1변(15a)을 따라 제3변(15c)으로부터 제4변(15d)에 걸쳐서 제1개봉테이프(21a)가 설치되고, 바닥지(11)의 제2변(15b)을 따라서는 제3변(15c)으로부터 제4변(15d)에 걸쳐서 제2개봉테이프(21b)가 설치된다. 개봉테이프는 현재 껌, 담배, 초콜릿 등의 포장에 사용되고 있는 공지된 것이다. 도2a에서, 제1ㆍ제2개봉테이프(21a, 21b)의 폭은 보통의 개봉테이프 폭인 약2mm 에서부터 바닥지(11)의 가로폭(제1변(15c) 길이)의 1/3 정도의 폭(약 30mm 정도)을 갖는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상기 제1개봉테이프(21a)와 제2개봉테이프(21b)가 상기 바닥지(11)의 제3변(15c)에서 시작되는 위치에는 각 개봉테이프의 양측에 소정 길이의 절개부(23)가 형성된다. 이 절개부(23)는 제1ㆍ제2개봉테이프(21a, 21b)를 손으로 잡아서 뜯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절개길이는 약 3~12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즉석김밥 포장지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공장에서 제조시에는 도3a에서와 같이 바닥지(11)에 김(13)을 깔고 제1ㆍ제2김덮개지(17a, 17b)를 덮어서 김(13)을 덮는다. 김을 덮고 있는 제1ㆍ제2김덮개지(17a, 17b)의 위에 밥(25)을 놓는다. 그리고나서, 제1ㆍ제2밥덮개지(19a, 19b)를 덮는다. 다음에, 도3b에서와 같이 밥(25)을 올려놓은 포장지를 말아서 대략 원통형으로 즉석김밥을 만든다. 포장지를 말 때에는 제1ㆍ제2밥덮개지(19a, 19b)가 밥을 잘 덮어서 밥이 마구리로 노출되거나 쓸려나오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포장지를 만 다음에는 바닥지(11)의 제1변(15c)에 라벨스티커(27)를 붙여서 말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도3b에서와 같이 양측 마구리 부위에서 말린 부분의 들뜨지 않도록 일부분을 초음파 융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3b의 ▼부분). 도3b의 상태로 공장에서 출하하게 된다.
다음에, 소비자가 즉석김밥을 먹기 위해서는, 도4a와 같이 제1ㆍ제2개봉테이프(21a 또는 21b) 중 하나를 잡고 뜯어내고, 도4b와 같이 뜯어낸 부분의 포장지를 벗기면 김(13)에 밥(25)이 접촉하면서 즉석김밥이 되어 노출된다. 소비자는 이를 먹으면 된다. 도3a에서와 같이 분리되어 있던 김(13)과 밥(25)이 도4b에서 접촉하게 되는 이유는 김을 싸고 있는 바닥지(11)와 김 위를 덮고 있는 제1 또는 제2김덮개지(17a, 17b)가 바닥지와 접착되어 있기 때문이다.
도4b에 따르면, 전체 원통형 길이의 약 1/3의 포장지만이 벗겨지게 되므로 종래의 즉석김밥에 비해서 밥의 끈기에 의한 저항력이 감소되어 쉽게 벗겨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의 경우와 달리, 라벨스티커(27)가 개봉테이프에 의해 제거되지 않으므로 손쉽게 개봉테이프를 뜯어낼 수 있게 된다.
도4b와 같이 하여 노출된 김밥을 다 먹은 다음에는 반대쪽의 개봉테이프(21a)를 뜯어서 노출되는 김밥을 먹는다. 그러고 나서는 가운데 부분의 라벨스티커(27)를 뜯어내고 중앙부의 김밥을 먹으면 된다.
<변형실시예>
도5는 제1ㆍ제2개봉테이프(21a, 21b)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제1ㆍ제2개봉테이프(21a, 21b)가 각각 약 2~30mm의 폭을 갖는 한 개의 테이프로 이루어져있었지만, 이는 도5와 같이 변형할 수 있다.
즉, 제1개봉테이프(21a')와 제2개봉테이프(21b')가 각각, 두 개의 테이프(29a,29b 및 31a,31b)가 소정 간격(W)을 두고 형성되는 것이다. 이 경우의 작용은 도2b에 나타낸 형태의 개봉테이프와 동일하다. 다만, 일반적으로 국내에서 제조되고 있는 개봉테이프의 폭이 약 2mm 정도이므로 별도 폭의 개봉테이프를 새롭게 제조할 필요없이 표준 폭의 개봉테이프를 사용해서 간격 W를 임의로 변화시켜서 본 고안에 따른 즉석김밥 포장지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지금까지는 제1김덮개지(17a)가 바닥지(11)의 제4변(15d)과 접착된다는 것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었지만, 도6에서와 같이 제1김덮개지(17a)를 바닥지(11)의 제4변(15d)과 일부분에서 접착시킬 수 있다(도6의 "△" 표시). 마찬가지로, 제2김덮개지(17b)를 바닥지(11)의 제4변(15d)과 일부분에서 접착시킬 수 있다. 포장지를 말아서 즉석김밥을 만들 때 바닥지(11)로부터 제1ㆍ제2김덮개지(17a,b)가 밀리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에 놓인 김(13)이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도6의 "△" 표시). 또한, 마찬가지 이유로, 상기 제1김덮개지(17a)와 상기 제2김덮개지(17b)가 중첩되는 부분 중, 상기 바닥지의 제3변(15c)에 인접하는 부분이 제3변(15c)과는 무관하게 상호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에는 손쉽게 뜯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접착방식으로서 초음파 융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6에 "X"로 표시하였다.
본 고안에 따르면, 김과 밥이 분리된 상태에서 포장되므로 보관기간이 지나더라도 김이 누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소비자가 포장을 쉽게 벗겨낼 수 있고 손에 묻지 않고 벗겨낼 수 있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위생적으로 김밥을 즐길 수 있다.

Claims (7)

  1. 김을 올려놓을 수 있는 사각형의 포장지로서, 길이방향으로 둥글게 말았을 경우에 형성되는 원통의 측면에 해당하는 제1ㆍ제2변과, 원통의 원주면에 해당하며 표면에 노출되는 제3변과, 말린 원통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제4변을 포함하는 바닥지,
    상기 바닥지 위에 올려진 김을 덮는 덮개지로서, 상기 바닥지의 제1ㆍ제3변에 접착되는 제1김덮개지 및 상기 바닥지의 제2ㆍ제3변에 접착되는 제2김덮개지,
    상기 제1, 제2김덮개지 위의 영역 중 바닥지의 제3 또는 제4변에 인접한 영역에 밥을 놓고 이 밥을 덮기 위하여 상기 바닥지의 제1ㆍ제2변에 각각 접착되는 제1밥덮개지 및 제2밥덮개지로 구성되는 즉석김밥 포장지에 있어서,
    상기 바닥지에는 상기 제1변을 따라 제1개봉테이프가 형성되고, 상기 제2변을 따라 제2개봉테이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김밥 포장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김덮개지와 제2김덮개지는 김을 양측에서 덮은상태에서 상호 소정간격만큼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김밥 포장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개봉테이프와 제2개봉테이프가 상기 바닥지의 제3변에서 시작되는 위치는 약 3~12mm의 길이만큼 절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김밥 포장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개봉테이프와 제2개봉테이프는 각각 두 개의 개봉테이프가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김밥 포장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개봉테이프와 제2개봉테이프는 각각 약 2~30mm의 폭을 갖는 한 개의 개봉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김밥 포장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김덮개지는 상기 바닥지의 제4변과 일부분만 접착되고, 상기 제2김덮개지도 상기 바닥지의 제4변과 일부만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김밥 포장지.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김덮개지와 상기 제2김덮개지가 중첩되는 부분중 상기 바닥지의 제3변에 인접한 부분이 제3변과 독립하여 상호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김밥 포장지.
KR2020020009183U 2002-03-28 2002-03-28 즉석김밥 포장지 KR2002917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183U KR200291731Y1 (ko) 2002-03-28 2002-03-28 즉석김밥 포장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183U KR200291731Y1 (ko) 2002-03-28 2002-03-28 즉석김밥 포장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1731Y1 true KR200291731Y1 (ko) 2002-10-11

Family

ID=73120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183U KR200291731Y1 (ko) 2002-03-28 2002-03-28 즉석김밥 포장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173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366Y1 (ko) 2008-09-19 2011-10-27 오명환 김밥 포장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366Y1 (ko) 2008-09-19 2011-10-27 오명환 김밥 포장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33678C2 (ru) Упаковка, содержащая обертку с повторно закрываемым отверстием для извлечения,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й способ упаковки и машина
JPH06115575A (ja) ティッシュペーパー用ソフトパック
WO2008089309A2 (en) Reclosable portable consumable product package
JPH04253631A (ja) ほぼ平坦な形状の食品用カートリッジ包装および該包装用の材料シート
CN106413656A (zh) 具有改进的密封的包装单元以及用于形成这种包装单元的方法
JP4825391B2 (ja) シガレット用ボックス包装体
JP4362658B2 (ja) 棒状食品用包装材
KR200291731Y1 (ko) 즉석김밥 포장지
JPS6035439Y2 (ja) 包装済み巻煙草
JP4652270B2 (ja) おにぎり包装用フィルム及びおにぎり
JPH0571157U (ja) 包装材
KR200456366Y1 (ko) 김밥 포장지
KR20180023622A (ko) 롤형 김밥의 포장시트
JP4826183B2 (ja) ラップフィルム用カートン
KR200290704Y1 (ko) 즉석김밥 포장지
JP2006051981A (ja) 包装食品及びその包装シート
KR200346995Y1 (ko) 일회용 김밥 포장시트
JP2526709Y2 (ja) おにぎり用包装体
JP3152605U (ja) 副食付き包装飯塊
JP2603949Y2 (ja) おにぎり用包装体
JP2602780Y2 (ja) 手巻きずし用包装材
JP3088730U (ja) おにぎり用包装体
JP5193800B2 (ja) 容器用の帯封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パッケージ
JP3372927B2 (ja) 米飯用包装材、及び米飯包装体
JP3537784B2 (ja) 包装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包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0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