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1579Y1 - Apparatus for reinforcing P.S.C. beams for bridge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einforcing P.S.C. beams for bridg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1579Y1
KR200291579Y1 KR2020020017224U KR20020017224U KR200291579Y1 KR 200291579 Y1 KR200291579 Y1 KR 200291579Y1 KR 2020020017224 U KR2020020017224 U KR 2020020017224U KR 20020017224 U KR20020017224 U KR 20020017224U KR 200291579 Y1 KR200291579 Y1 KR 2002915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device
steel
bridge
fixing
fri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722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덕흠
김진수
Original Assignee
김진수
박덕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수, 박덕흠 filed Critical 김진수
Priority to KR20200200172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157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15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1579Y1/en

Links

Landscapes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피에스시 빔교량이나 콘크리트 거더교 등 내하력이 떨어진 교량의 정 모멘트나 부 모멘트 부위에 적용하여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외부강선을 이용한 교량의 보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보강기술은 빔의 단부 측에 강재 정착장치를 형성하고 빔의 하단부와 상단부에 강선 고정용 장치를 설치하는 것으로 구성되며, 강선의 인장을 통하여 빔의 단순 및 연속적인 보강이 가능하도록 한다. 기존 강재 정착장치의 고정은 마찰 지지방식의 정착장치가 마찰 지지방식임에도 불구하고 마찰계수가 떨어지는 P.S.C 빔의 복부 콘크리트부위와 강재 정착장치의 하면 플레이트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로 지지하도록 되어있어 불가피하게 강봉 인장시 상당한 축력의 도입이 요구되었다. 또한, P.S.C 빔의 복부 양측에 직접 정착장치를 대고 P.C 강봉을 인장하여 P.S.C 빔의 복부에 정착시키도록 되어 있어 정착에 필요한 P.C 강봉의 길이가 복부 두께 정도로 짧아지게 되어 강봉의 인장 후 정착 시에 발생하는 손실로 인해 정착이 불안정하였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기존의 마찰 형태인 콘크리트와 강재 사이의 마찰 방식을 콘크리트와 콘크리트 사이의 마찰형태로 하여 기존 공법보다 마찰계수를 2배로 개선하였으며 정착하중의 감소효과 뿐만 아니라 쐐기타입의 에폭시 몰탈 또는 고강도 무수축몰탈 충진에 의해 장기적인 정착 안전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정착장치 플레이트에 이격용 플레이트를 설치하여 정착에 사용되는 P. C 강봉의 길이를 길게 하여 정착시 발생하는 슬립에 대한 손실을 상쇄할 수 있도록 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reinforcement device using an external steel wire to improve the performance by applying to the positive moment or secondary moment of the bridge load-bearing bridge, such as PS beam bridge, concrete girder bridge, etc. The steel fixing device is formed on the end side and the steel wire fixing device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and the upper end of the beam, and the tension of the steel wire enables simple and continuous reinforcement of the beam. The fixing of the existing steel fixing device is inevitable because it is supported by the friction generated between the abdominal concrete part of the PSC beam and the lower plate of the steel fixing device, which has a low coefficient of friction, even though the friction supporting method is a friction supporting method. Indeed, a considerable amount of axial force was required during rod tensioning. In addition, the PC steel bar is tensioned to fix the PSC beam to the abdomen of the PSC beam by attaching the fixing device directly to both sides of the abdomen of the PSC beam. The settlement was unstable due to the los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friction coefficient by 2 times than the existing method by using the friction method between concrete and steel, which is the existing friction type, as the friction type between concrete and wedge type. Long-term fixation stability was ensured by filling with epoxy mortar or high strength anhydrous mortar. In addition, the separation plate was installed in the fixing device plate to lengthen the length of the P. C steel bar used for fixing to offset the loss of slip occurred during fixing.

Description

교량의 피에스시 빔 보강 장치{Apparatus for reinforcing P.S.C. beams for bridges}PS beam reinforcement device for bridges {Apparatus for reinforcing P.S.C. beams for bridges}

본 고안은 교량의 피에스시 빔 보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고안은 교량의 피에스시 빔을 보강하기 위한 정착장치를 피에스시 빔의 양측에 설치할 때, 피에스시 빔과 정착장치 사이의 에폭시몰탈과 같은 마찰재 충진공정 이외에 마찰력을 증강시키는 공정을 더 포함시켜 정착의 안정성을 더욱 확보한 교량의 피에스시 빔 보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S beam reinforcing device of a bridge, an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when installing the fixing device for reinforcing the PS beam of the bridge on both sides of the PS beam, such as epoxy mortar between the PS beam and the fixing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S beam reinforcing device for a bridge which further includes a step of enhancing frictional force in addition to a friction material filling process to further secure stability of fixation.

종래의 교량에서 외부 강선을 이용한 보강의 경우를 도 8a 내지 도 9d도에 도시하였다.8A to 9D illustrate a case of reinforcement using an external steel wire in a conventional bridge.

도 8a는 기존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정착 블록 타입의 보강 정착장치 상세측면도이다. 도 8b는 기존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정착 블록의 정면도이다. 도 8c는 기존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정착 블록의 단면도이다. 도 8d는 기존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정착 블록의 평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정착 블록(12)은 미리 제작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정착블록을 사용하였다. P.S.C 빔(6)의 양측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정착블록(12)을 대고 강봉(7) 및 강선(4)으로 긴장하는 공법(「시설물 유지관리 보수ㆍ보강해설」, 건설문화사, p50, 보수년도 1995년 1-3)은 강재 정착장치에 비해 콘크리트 정착 블록의 중량이 무거워 가설시에 어려움이 있었다.8A is a detailed side view of a reinforcement fixing device of a conventional precast concrete fixing block type. 8B is a front view of a conventional precast concrete fixing block. 8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precast concrete anchoring block. 8D is a plan view of a conventional precast concrete fixing block. 8A to 8D, the precast concrete fixing block 12 uses a precast concrete fixing block made in advance. Method to tension precast concrete fixing block 12 on both sides of PSC beam 6 with steel rods (7) and steel wires ("Facility commentary on facility maintenance and repair", Construction and Culture History, p50, Year of Maintenance 1995 In years 1-3), the weight of concrete fixing block is heavier than that of steel fixing device.

도 9a는 기존의 강재 정착장치 타입의 보강 정착장치 상세 측면도이다. 도 9b는 기존의 강재 정착장치 타입의 보강 정착장치 상세 정면도이다. 도 9c는 기존의 강재 정착장치 타입의 보강 정착장치 상세 단면도이다. 도 9d는 기존의 강재 정착장치 타입의 보강 정착장치 상세 평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d에서, 강재 정착장치(13)는 강재로 된 정착장치를 사용하였다. 강재 정착장치(13)에 강봉(7)을 긴장하는 공법은 양측 정착장치 가운데의 빔 복부의 두께가 얇아 정착용 P.C 강봉(7)의 길이가 짧아지게 된다. 따라서 짧은 P.C강봉(7)을 사용한 정착과정에서 발생하는 정착 너트의 슬립에 의해 소정의 정착력 도입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정착장치(13)의 하면 강판(13')과 P.S.C 빔(6)의 복부 콘크리트와의 접촉면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계수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정착블록(12)을 사용한 공법에 비해 1/2에 불과해 정착에 2배의 인장력을 필요로 하였으며, 사용되는 강봉도 단면적이 커지게 되어 천공홀로 인한 P.S.C 빔의 복부 손상이 커질 수밖에 없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정착장치(13)의 하면 강판(13')과 P.S.C 빔(6)의 복부 콘크리트와의 접촉면 사이에 마찰력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에폭시 또는 에폭시몰탈과 같은 마찰증강재를 충진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 경우도 마찰력은 증강되기는 하나 피에스시 빔과 정착장치의 사이에 슬립현상을 막기에는 한계가 있다. 다시 말하면, 기존의 교량 피에스시 빔의 보강을 위한 강재 정착장치는 정착에 필요한 P.C 강봉의 길이가 복부 두께 정도로 짧아지게 되어 강봉의 인장 후 정착 시에 발생하는 손실로 인해 정착이 불안정하였으며, 또한 마찰 지지방식의 정착구조가 마찰 지지방식임에도 불구하고 마찰계수가 떨어지는 P.S.C 빔의 복부 콘크리트부위와 강재 정착장치의 하면 플레이트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로 지지하도록 되어있어 불가피하게 강봉 인장시 상당한 축력의 도입이 요구되었다.9A is a detailed side view of a reinforcing fixing device of a conventional steel fixing device type. 9B is a detailed front view of a reinforcing fixing device of a conventional steel fixing device type. 9C is a detailed cross-sectional view of a reinforcing fixing device of a conventional steel fixing device type. 9D is a detailed plan view of a reinforcing fixing device of a conventional steel fixing device type. 9A to 9D, the steel fixing device 13 used a fixing device made of steel. In the method of tensioning the steel bar 7 to the steel fixing device 13, the thickness of the beam abdomen in both fixing devices is thin, so that the length of the fixing P.C steel bar 7 is shortene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introduce a predetermined fixing force by slipping of the fixing nut generated in the fixing process using the short P.C steel bar (7). In addition, the friction coefficient generat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device 13 and the contact surface of the PSC beam 6 with the abdominal concrete is only 1/2 of the method using the precast concrete fixing block 12. The anchoring required twice the tensile force, and the steel rods used also had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resulting in increased abdominal damage of the PSC beam due to the drilling holes. In order to prevent this, in order to increase friction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apparatus 13 and the contact surface of the PSC beam 6 with the abdominal concrete, a friction reinforcing material such as epoxy or epoxy mortar is also filled. However, even in this case, the frictional force is increased, but there is a limit in preventing slip between the PS beam and the fixing device. In other words, the steel fixing device for reinforcing a bridge beam of a conventional bridge beam become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PC steel rod required for fixing, and the fixing is unstable due to the loss occurring during the fixing after the tension of the steel rod. Although the anchoring structure is a friction supporting method, it is inevitably supported by friction generated between the abdominal concrete part of the PSC beam having a low coefficient of friction and the lower plate of the steel fixing device. Was required.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정착장치의 정착시 피에스시 빔과 정착장치 사이의 에폭시몰탈과 같은 마찰재 충진공정 이외에 마찰력을 증강시키는 공정으로서, 피에스시 빔(P.S.C BEAM)의 측벽을 일정 깊이로 제거하여 내부에 에폭시 몰탈 또는 고강도 무수축몰탈과 같은 마찰재를, 바람직하기로는 쐐기 형태로 충진하여 충진 부위에서 전단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하여, 마찰계수 값이 기존 공법보다 2배로 상승하게 되어 정착에 필요한 강봉의 크기와 정착 하중을 감소시켰으며, 쐐기형의 에폭시 몰탈의 충진에 의해 장기적인 정착시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교량의 피에스시 빔 보강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cess for enhancing the friction force in addition to the friction material filling process, such as epoxy mortar between the PS beam and the fixing device during fixing of the fixing device, By removing the side wall of the PSC BEAM to a certain depth, a friction material such as epoxy mortar or high strength non-shrink mortar is filled in the wedge shape, and preferably wedge-shaped so as to resist shear force at the filling site, so that the friction coefficient value is It is doubled than the construction method, which reduces the size and fixing load of steel rods required for fixing, and provides a beam reinforcing device for PS bridges that can secure long-term safety by filling wedge-type epoxy mortar. It is done.

또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정착장치의 정착시 피에스시 빔과 정착장치 사이의 에폭시몰탈과 같은 마찰재 충진공정 이외에 마찰력을 증강시키는 공정으로서, 정착장치 하면과 P.S.C 빔 복부 콘크리트 사이의 마찰재와 접촉제동을 일으키도록 정착장치 하면플레이트 주변에 전단키를 설치하여 마찰력을 크게 한 교량의 피에스시 빔 보강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hance the frictional force in addition to the friction material filling process, such as epoxy mortar between the PS beam and the fixing device during fixing of the fixing device, the contact with the friction material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device and the PSC beam abdominal concret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S beam reinforcement device for bridges having a large friction force by installing shear keys around a lower plate of the fixing device to cause braking.

또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정착장치의 정착시 피에스시 빔과 정착장치 사이의 에폭시몰탈과 같은 마찰재 충진공정 이외에 마찰력을 증강시키는 공정으로서, 정착장치 플레이트에 이격용 보강재를 설치하여 정착에 사용되는 P.C강봉의 길이를 길게 하여 강봉이 충분히 신장할 수 있도록 하여 정착시 발생하는 슬립에 대한 손실을 상쇄할 수 있도록 한 교량의 피에스시 빔 보강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in addition to the friction material filling process, such as epoxy mortar between the PS beam and the fixing device when fixing the fixing device, it is used for fixing by installing a reinforcement for separation in the fixing device plat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S beam reinforcing device for bridges to lengthen the length of the PC steel bar to allow the steel bar to be sufficiently extended to offset the loss of slip generated during the settlement.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정 모멘트부 P.S.C 빔 보강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 positive moment portion P.S.C beam reinforcement metho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 모멘트부 P.S.C 빔 보강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Figure 2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positive moment P.S.C beam reinforcement method shown in FIG.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정 모멘트부 P.S.C 빔 보강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3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positive moment P.S.C beam reinforcement method shown in FIG.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부 모멘트부 P.S.C 빔 보강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Figure 4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sub-moment portion P.S.C beam reinforcement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부 모멘트부 P.S.C 빔 보강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FIG. 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sub moment P.S.C beam reinforcement method of FIG. 4.

도 6a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강재 정착장치의 상세 정면도이다.Figure 6a is a detailed front view of the steel fixing devic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b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강재 정착장치의 상세 평면도이다.Figure 6b is a detailed plan view of the steel fixing devic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c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강재 정착장치의 상세 단면도이다.Figure 6c is a detail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eel fixing devic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d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강재 정착장치의 상세 저면도이다.Figure 6d is a detailed bottom view of a steel fixing devic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내지 도 7c는 각각 본 고안에 적용되는 새들의 상세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7A to 7C are detailed front views, side views, and plan views of birds respectively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a는 기존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정착 블록 타입의 보강 정착장치 상세 측면도이다.8A is a detailed side view of a reinforcement fixing device of a conventional precast concrete fixing block type.

도 8b는 기존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정착 블록의 정면도이다.8B is a front view of a conventional precast concrete fixing block.

도 8c는 기존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정착 블록의 단면도이다.8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precast concrete anchoring block.

도 8d는 기존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정착 블록의 평면도이다.8D is a plan view of a conventional precast concrete fixing block.

도 9a는 기존의 강재 정착장치 타입의 보강 정착장치 상세 측면도이다.9A is a detailed side view of a reinforcing fixing device of a conventional steel fixing device type.

도 9b는 기존의 강재 정착장치 타입의 보강 정착장치 상세 정면도이다.9B is a detailed front view of a reinforcing fixing device of a conventional steel fixing device type.

도 9c는 기존의 강재 정착장치 타입의 보강 정착장치 상세 단면도이다.9C is a detailed cross-sectional view of a reinforcing fixing device of a conventional steel fixing device type.

도 9d는 기존의 강재 정착장치 타입의 보강 정착장치 상세 평면도이다.9D is a detailed plan view of a reinforcing fixing device of a conventional steel fixing device type.

본 고안은 P.S.C 빔 교량이나 콘크리트 거더교 등 내하력이 떨어진 교량의 정 모멘트나 부 모멘트 부위에 적용할 수 있는 강재 정착장치와 강재 정착장치의 사이에 설치되는 강선지지장치를 이용하여 외부강선을 인장함으로써 수행되는 교량의 보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에스시 빔의 각 측벽을 일정 깊이로 제거하여 홈을 형성하고 그 홈내부에 에폭시 몰탈 또는 고강도 무수축 몰탈과 같은 마찰재를 충진하고, 정착장치를 상기 피에스시 빔의 각측의 상기 마찰재위에 강봉으로 긴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보강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rried out by tensioning an external steel wire using a steel support device installed between a steel fixing device and a steel fixing device that can be applied to the positive moment or the minor moment of a bridge with low load capacity, such as a PSC beam bridge or a concrete girder bridge. In the reinforcing device of the bridge, each side wall of the PS beam is removed to a certain depth to form a groove, and the inside of the groove is filled with a friction material such as epoxy mortar or high-strength non-shrink mortar, and a fixing device is placed on each side of the PS beam. It provides a reinforcement device for the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the tension on the friction material of the steel bar.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정착장치 하면과 P.S.C 빔 복부 콘크리트 사이의 마찰재와 접촉제동을 일으키도록 정착장치 하면 플레이트 주변에 전단키를 설치하여 마찰력을 크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a shear key is installed around the lower plate of the fixing device to cause contact braking and friction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device and the P.S.C beam abdominal concrete, thereby increasing the frictional force.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정착장치 플레이트에 이격용 보강재를 설치하여 정착에 사용되는 P.C강봉의 길이를 길게 하여 강봉이 충분히 신장할 수 있도록 하여 정착시 발생하는 슬립에 대한 손실을 상쇄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reinforcing member is provided on the fixing apparatus plate to lengthen the length of the PC steel bar used for fixing so that the steel rod can be sufficiently elongated to offset the loss of slip generated during fixing. It is done.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이격용 보강재는 상기 강재 정착장치의 하면 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마찰재 위에 강봉으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eparation reinforce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steel plate on the friction material together with the lower plate of the steel fixing device.

바람직하기로는, 정 모멘트인 경우, 상기 강선지지장치는 피에스시 빔의 하면에 고정하여 강선을 지지하고, 부 모멘트인 경우 상기 강선지지장치는 크로스빔에 고정하여 강선을 지지함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in the case of a positive moment, the wire support device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S beam to support the steel wire, and in the case of a minor moment the wire support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o support the steel wire to the cross beam.

이로써, 본 고안의 교량의 피에스시 빔 보강공법은 기존 공법보다 마찰계수를 2배로 높여 정착에 필요한 강봉의 크기와 정착 하중 감소뿐만 아니라 에폭시 몰탈 쐐기에 의한 장기적인 정착의 안정을 확보하였으며, P.C강봉의 길이를 길게 하여 정착시 발생하는 슬립에 대한 손실을 상쇄할 수 있도록 하였다.As a result, the PS beam reinforcement method of the bridge of the present design doubles the coefficient of friction than the existing method, which not only reduces the size and fixing load of steel rods required for fixing, but also secures long-term stability by epoxy mortar wedges. In order to keep the slip, the loss caused by the slippage can be offset.

이하,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described in detail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follows.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정 모멘트부 P.S.C 빔 보강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 모멘트부 P.S.C 빔 보강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정 모멘트부 P.S.C 빔 보강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본 고안의 교량의 정모멘트피에스시 빔 보강공법은 교량의 교각(5)상에 설치되는 피에스시 빔(6)을 보강하기 위하여 빔의 양측에 정착장치(1)를 설치하여 정착장치(1) 사이에 P.C.강선(4)을 인장하여 빔을 보강시키는 것이다. 이 때, 빔의 하단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새들(2)이 설치되어 한 정착장치로부터 나온 강선(4)이 새들(2)을 통과하여 타 정착장치로 인장되도록 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모멘트부 피에스시 빔인 경우, 빔(6)의 하단부에 빔의 양측에 걸쳐 고정볼트로 장착되는 새들(2)에 의해 강선(4)이 지지되므로 크로스빔(3)에 강선이 지지될 필요가 없다.1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 positive moment portion P.S.C beam reinforcement metho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positive moment P.S.C beam reinforcement method shown in FIG. 3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positive moment P.S.C beam reinforcement method shown in FIG. 1 to 3, the positive moment PS beam reinforcement method of the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the fixing device (1) on both sides of the beam to reinforce the PS beam (6) installed on the bridge pier (5) of the bridge The PC steel wire 4 is tensioned between the fixing device 1 to reinforce the beam. At this time, at least one saddle 2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beam such that the steel wire 4 from one fixing device is passed through the saddle 2 and tensioned with another fixing device. As shown in FIGS. 1 to 3, in the case of the positive moment PSI beam, since the steel wire 4 is supported by the saddle 2 mounted to the lower end of the beam 6 by fixing bolts on both sides of the beam, the cross beam The steel wire need not be supported in (3).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부 모멘트부 P.S.C 빔 보강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부 모멘트부 P.S.C 빔 보강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서, 본 고안의 교량의 부모멘트 피에스시 빔 보강공법은 교량의 교각(5)상에 설치되는 피에스시 빔(6)을 보강하기 위하여 빔의 양측에 정착장치(1)를 설치하여 정착장치(1) 사이에 P.C.강선(4)을 인장하여 빔을 보강시키는 것이나, 정모멘트인 경우와 달리, 크로스빔(3)의 상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강선 고정장치(11)가 설치되어 한 정착장치로부터 나온 강선(4)이 강선고정장치(11)를 통과하여 타 정착장치로 인장되도록 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선고정장치(11)는 정착장치(1)의 설치 위치보다 윗부분의 크로스빔(3)에 설치된다.Figure 4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sub-moment portion P.S.C beam reinforcement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sub moment P.S.C beam reinforcement method of FIG. 4. 4 and 5, the parent beam PS beam reinforcement method of the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the fixing device (1) on both sides of the beam to reinforce the PS beam (6) installed on the bridge piers (5) of the bridge Unlike the case of the positive moment, at least one steel wire fixing device 11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cross beam 3 to fix the beam by tensioning the PC steel wire 4 between the fixing devices 1. The steel wire 4 from the device passes through the steel wire fixing device 11 to be tensioned with another fixing device.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steel wire fixing device 11 is provided in the cross beam 3 abov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fixing device 1.

이상으로 본 고안의 피에스시 빔 보강공법은 정모멘트 및 부모멘트로 빔을 보강할 수 있으며, 이하 본 고안에 적용되는 보강공법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S beam reinforce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inforce the beam with a constant moment and a parent moment, and the reinforcement method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우선, 본 고안은 P.S.C 빔 교량이나 콘크리트 거더교 등 내하력이 떨어진 교량의 정 모멘트나 부 모멘트 부위에 적용할 수 있는 보강공법이다. 도 6a 내지 도 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찰지지 보강공법의 경우 일반적으로 교량의 피에스시 빔을 보강하기 위한 강재 정착장치(1)를 피에스시 빔(6)의 양측에 설치할 때, 피에스시 빔(6)과 정착장치(1) 사이에 마찰력을 좋게 하기 위하여 에폭시몰탈이나 고강도 무수축몰탈과 같은 마찰재를 충진하고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강재 정착장치(1)를 설치할 때 마찰력을 추가로 증강시키는 공정을 더 포함하여 정착의 안정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추가 마찰력증강 공정은 빔에 홈을 만들어 마찰재를 충진하는 공정, 정착장치 하면 플레이트에 마찰재와의 접촉제동을 일으키도록 전단키를 설치하는 공정, 정착장치를 정착시키는 강봉의 길이가 짧은 경우 강봉의 길이를 늘이기 위해 이격 보강재를 정착장치의 하면 플레이트에 설치하는 공정의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First of all,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inforcement method that can be applied to the positive moment and the minor moment of a bridge with low load capacity, such as a P.S.C beam bridge or a concrete girder bridge. 6A to 6D, in the case of the friction support reinforcement method, when the steel fixing device 1 for reinforcing the PS beam of a bridge is general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PS beam 6, the PS beam 6 is provided. And a friction material such as epoxy mortar or high strength non-shrink mortar in order to improve friction between the fixing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1, but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tep of further increasing the friction force when installing the steel fixing device 1. It is possible to further secure the stability of the settle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dditional friction increasing process is a process of filling the friction material by making a groove in the beam, installing a shear key to cause contact braking of the friction material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device, and a steel rod for fixing the fixing device. In order to increase the length of the spacer reinforcement may be used in any one or a combination of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bottom plate of the fixing device.

본 고안의 추가 마찰력 증강 공정의 일 형태로, 피에스시 빔의 측벽을 일정 깊이로 제거하여 홈(9')을 형성하고 그 홈내부에 에폭시 몰탈 또는 고강도 무수축몰탈과 같은 마찰재(9)를 충진한다. 이로써, 마찰재(9)의 충진 부위에서 전단을 저항 할 수 있도록 하여 콘크리트와 콘크리트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계수와 상응하는 정도로 마찰력을 증강시킬 수 있으며 상기 마찰재를 쐐기 형태로 충진하여 충진 부위에서 정착장치의 전단저항을 증가시킬 수 있다.In one form of the additional frictional force increas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wall of the PSI beam is removed to a certain depth to form a groove 9 ', and the friction material 9 such as epoxy mortar or high strength non-contraction mortar is filled in the groove. . Thus, it is possible to resist the shear at the filling portion of the friction material (9) to increase the friction force to a degree corresponding to the coefficient of friction generated between the concrete and concrete, and filling the friction material in the wedge shape of the fixing device at the filling site Shear resistance can be increased.

본 고안의 추가 마찰력 증강 공정의 다른 형태로, 정착장치 하면과 P.S.C 빔 복부 콘크리트 사이에 도포 또는 충진되는 마찰재와 접촉제동을 일으키도록 정착장치 하면 플레이트 주변에 전단키(8)를 설치하여 마찰력을 크게 한다. 이러한 전단키(8)는 마찰계수를 개선하기위해 강재 정착장치(1) 하면에 설치하여 장기적인 정착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전단키(8)는 상기 정착장치의 하면 플레이트와 용접으로 접착되나, 이와 다르게, 상기 전단키(8)를 상기 정착장치의 하면 플레이트와 볼팅으로 접착되도록 할 수도 있고, 상기 정착장치의 제작시 상기 정착장치와 일체로 제작되게 할 수도 있다.In another form of the additional frictional force increas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 shear key (8) is provided around the plate to increase friction by causing contact braking with friction material applied or fill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unit and the PSC beam-abdominal concrete. . The shear key 8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teel fixing device 1 to improve the coefficient of friction to ensure long-term fixation safety. Preferably, the shear key 8 is welded to the lower plate of the fixing device by welding. Alternatively, the shear key 8 may be bonded to the lower plate of the fixing device by bolting. It may be made integrally with the fixing device at the time.

본 고안의 추가 마찰력 증강 공정의 또다른 형태로, 정착장치 플레이트에 이격용 보강재(10)를 설치하여 정착에 사용되는 P.C강봉(7)의 길이를 길게 하여 강봉이 충분히 신장할 수 있도록 하여 정착시 발생하는 슬립에 대한 손실을 상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격용 보강재(10)는 상기 강재 정착장치의 하면 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마찰재 위에 강봉(7)으로 결합한다. 즉, 본 고안은 정착장치(1)는 내부 P.C강선(4)의 손상을 피하기 위해 교각(5)의 지점부에서 떨어진 부위에 설치되는데 이 부위의 P.S.C 빔(6)의 복부 두께가 얇아 강재 정착장치(1)를 고정시킬 강봉(7)의 길이가 짧아져 정착시 발생하는 슬립에 의해 정착력 도입에 어려움이 발생하므로,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강재 정착장치(1)에 이격용 보강재(10)를 설치하여 정착에 사용되는 강봉(7)의 길이를 길게 하여 슬립에 대한 손실을 상쇄하였다.In another form of the additional frictional force increas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the reinforcing member 10 for the fixing device plate to lengthen the length of the PC steel bar (7) used for fixing to ensure that the steel rod can be sufficiently extended Allows you to offset the loss of slip that occurs. The spaced apart reinforcement 10 is coupled to the friction material with a steel bar 7 together with the lower plate of the steel fixing device.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device 1 is installed at a part away from the point of the pier 5 in order to avoid damaging the internal PC steel wire 4, but the abdominal thickness of the PSC beam 6 at this part is thin and steel is fixed. Since the length of the steel bar 7 to fix the device 1 is shortened and difficulty in introducing the fixing force occurs due to slips generated during fixing, the reinforcing member 10 spaced apart from the steel fixing device 1 to solve this problem. ) To lengthen the length of the steel bar (7) used for fixing to offset the loss for slip.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교량의 피에스시 빔의 보강공법은 정모멘트 부위의 보강 시, 내부 P.C강선(4)의 손상을 피해 설치된 강재 정착장치(1)에 고정된 강선(4)은 P.S.C 빔(6) 하면에 설치된 새들(2)에 고정되어 강재 정착장치(1)에서 강선(4)의 긴장시 발생하는 하중을 P.S.C 빔(6)에 전달하며, P.S.C빔 하면에 설치된 새들(2)은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볼트(13)로 P.S.C 빔(6)에 고정된다. 또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부 모멘트부 보강시 에도 부 모멘트 부위에 내부 P.C강선(4)의 손상을 피해 강재 정착장치(1)를 설치하고 강재 정착장치(1)에 고정된 강선(4)이 크로스빔(3)에 설치된 강선 고정장치(11)을 통과하여 강재 정착장치(1)에서 강선(4)의 긴장시 발생하는 하중을 P.S.C 빔(6)에 전달하며, 반대편의 정착장치(1)에 고정되어 부 모멘트부를 보강하게 된다.Referring back to Figures 1 to 3, the reinforcement method of the PS-beam beam of the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el wire fixed to the steel fixing device (1) installed to avoid damage of the internal PC steel wire (4) when reinforcing the constant moment site ( 4) is fixed to the saddle (2)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SC beam (6) to transfer the load generated when the tension of the steel wire 4 in the steel fixing device (1) to the PSC beam (6),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SC beam The saddle 2 is fixed to the PSC beam 6 with fixing bolts 13 as shown in FIGS. 7A-7C. 4 and 5, the steel wire fixing device 1 is installed and the steel wire fixed to the steel fixing device 1 is installed to avoid damage of the internal PC steel wire 4 at the part of the moment when the secondary moment is reinforced. 4) passes through the steel wire fixing device 11 installed in the crossbeam (3) to transfer the load generated when the steel wire (4) in tension in the steel fixing device 1 to the PSC beam (6), the fixing device on the opposite side It is fixed to (1) to reinforce the sub-moment par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피에스시 빔 보강 장치는 P.S.C 빔의 측면을 일정깊이로 제거하여 그내부에 에폭시 몰탈 또는 고강도 무수축 몰탈을 쐐기 형태로 충진하여 충진 부위에서 전단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 공법보다 마찰계수 값을 2배로 높였으며, 또한 강재 정착장치 하면플레이트 측면 주변에 전단키를 설치하여 전단키에 의한 정착장치의 슬립현상을 방지하여 정착시의 마찰력을 보강하였으며, 강재 정착장치 플레이트에 이격용 보강재를 설치하여 정착에 사용되는 P.C.강봉의 길이를 길게 하여 정착시 발생하는 슬립에 대한 손실을 상쇄할 수 있도록 하여 원활하게 소정의 인장력을 도입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그 결과 정착에 필요한 강봉의 크기와 정착에 필요한 하중의 감소 효과뿐만 아니라 에폭시 몰탈 쐐기에 의한 장기적인 정착시의 안전성을 확보하였다.As described above, the PS beam reinforc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removes the side surface of the PSC beam to a certain depth to fill the inside with wedge-shaped epoxy mortar or high strength non-shrink mortar to resist shear force at the filling site. The friction coefficient value was doubled compared to the existing method, and the shear key was installed around the side of the plate under the steel fixing device to prevent slippage of the fixing device by the shear key, thereby reinforcing the friction force during fixing, and spaced apart from the steel fixing device plate. By installing the reinforcing material for the fixing, the length of the PC steel rod used for fixing can be lengthened to offset the loss of slip occurring during the fixing, so that a predetermined tensile force can be smoothly introduced. As a result, the size of the steel bar required for fixing Long-term due to epoxy mortar wedges as well 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load required for fixing Safety at the time of settlement is ensured.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고안을 여러 가지로 변형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앞으로의 실시 예들의 변경은 본 고안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devis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modifications or variations may be made to the branches. Therefore, changes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able to escape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8)

P.S.C 빔 교량이나 콘크리트 거더교 등 내하력이 떨어진 교량의 정 모멘트나 부 모멘트 부위에 적용할 수 있는 강재 정착장치와 강재 정착장치의 사이에 설치되는 강선지지장치를 이용하여 외부강선을 인장함으로써 수행되는 교량의 보강장치에 있어서,The bridge is performed by tensioning the external steel wire using a steel support device installed between the steel fixing device and the steel fixing device that can be applied to the positive moment or the minor moment of the bridge with low load capacity such as PSC beam bridge or concrete girder bridge. In the reinforcement device, 상기 피에스시 빔의 각 측벽을 일정 깊이로 제거하여 홈을 형성하고 그 홈내부에 에폭시 몰탈 또는 고강도 무수축 몰탈과 같은 마찰재를 충진하고, 정착장치를 상기 피에스시 빔의 각측의 상기 마찰재위에 강봉으로 긴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보강장치.Each side wall of the PS beam is removed to a certain depth to form a groove, and the inside of the groove is filled with a friction material such as epoxy mortar or high strength non-shrink mortar, and a fixing device is tensioned with a steel bar on the friction material on each side of the PS beam. Reinforcement device for the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장치 하면과 P.S.C 빔 복부 콘크리트 사이의 마찰재와 접촉제동을 일으키도록 정착장치 하면 플레이트 주변에 전단키를 설치하여 마찰력을 크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보강장치.The reinforcement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hear key is provided around the lower plate of the fixing device to cause contact braking and friction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device and the P.S.C beam abdominal concr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키는 상기 정착장치의 하면 플레이트와 용접으로 접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보강장치.The reinforcement device of a bridg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hear key is welded to a lower plate of the fixing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키는 상기 정착장치의 하면 플레이트와 볼팅으로 접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보강장치.The reinforcement device of a bridg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hear key is attached to the bottom plate of the fixing device by bolt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키는 상기 정착장치의 제작시 상기 정착장치와 일체로 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보강장치.The reinforcement device of a bridg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hear key is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fixing device when the fixing device is manufactured.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장치 플레이트에 이격용 보강재를 설치하여 정착에 사용되는 P.C강봉의 길이를 길게 하여 강봉이 충분히 신장할 수 있도록 하여 정착시 발생하는 슬립에 대한 손실을 상쇄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보강장치.6. The slip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reinforcing member is provided on the fixing device plate to lengthen the length of the PC steel bar used for fixing so that the steel rod can be sufficiently extended. Reinforcement device for a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to compensate for the los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용 보강재는 상기 강재 정착장치의 하면 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마찰재 위에 강봉으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보강장치.The reinforcement device of claim 6, wherein the separation reinforcement material is coupled to the friction material together with the lower plate of the steel fixing device by a steel bar. 제1항에 있어서, 정 모멘트인 경우, 상기 강선지지장치는 피에스시 빔의 하면에 고정하여 강선을 지지하고, 부 모멘트인 경우 상기 강선지지장치는 크로스빔에 고정하여 강선을 지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보강장치.According to claim 1, In the case of the positive moment, the wire support device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S beam to support the steel wire, In the case of minor moment the wire support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o support the steel wire fixed to the cross beam Bridge reinforcement.
KR2020020017224U 2002-06-05 2002-06-05 Apparatus for reinforcing P.S.C. beams for bridges KR20029157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224U KR200291579Y1 (en) 2002-06-05 2002-06-05 Apparatus for reinforcing P.S.C. beams for bridg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224U KR200291579Y1 (en) 2002-06-05 2002-06-05 Apparatus for reinforcing P.S.C. beams for bridge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1266A Division KR100475585B1 (en) 2002-06-04 2002-06-04 Method and apparatus for reinforcing P.S.C. beams for bridg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1579Y1 true KR200291579Y1 (en) 2002-10-11

Family

ID=73124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224U KR200291579Y1 (en) 2002-06-05 2002-06-05 Apparatus for reinforcing P.S.C. beams for bridg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1579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0922B1 (en) The rahmen bridge construction technique for which tendon and the connection support stand was used
RU2213187C2 (en) Prestressed reinforced concrete beam with adjustable straining force
JP4823937B2 (en) Fall bridge prevention structure
WO1999057390A2 (en) Anchoring method and apparatus in a prestress reinforcement
KR20040008236A (en) Prestressing method with large eccentricity and no axial force by simple tensioning, the device for it, and the PSC beam utilizing the method and the device
JP2005090115A (en) Reinforcing construction method for existing floor slab by beam
KR100592196B1 (en) large number bracket in which supporter was installed is used and it is a bridge, multiplex point installed so that support might be carried out support bracket and its installation method
KR101203815B1 (en) Method for strengthening girder using prestressed steel plate
JPH04285247A (en) Member for introducing prestress and method of introducing prestress
JP2744955B2 (en) Reinforcement structure and reinforcement method of hinge part of gel bar bridge
KR200291579Y1 (en) Apparatus for reinforcing P.S.C. beams for bridges
KR10047558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inforcing P.S.C. beams for bridges
KR100696646B1 (en) External prestressing method of ps concrete composite girder bridge by tendon anchored/supported to prefabricated cross beam
KR20040105043A (en) Negative moment reducing apparatus installed in the steel box girder so as to decrease magnitude of negative moment occurred at the continuous supporting points in a steel box continuous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of a steel box continuous bridge using the apparatus
KR100462925B1 (en) Method for reinforcing bridges using external steel wires and steel wire anchoring device applied to the same
KR20010068055A (en) PSC Girder having Anchoring Sleeves and Strengthening Method
KR200240385Y1 (en) PSC Girder having Anchoring Sleeves
KR20050024804A (en) Section increasing and reinforcing apparatus for reinforcing section of the lower part of slab between girder and cross beam in girder bridge and installing method thereof
KR20040082059A (en) Apparatus for reinforcing slab installing the upper and lower cover plate and fixing device of tension materials in prelexed H-type beam, and method for reinforcing slab using the apparatus
KR200278091Y1 (en) Devices to shrengthen a bridge by exfermal presfressing cable
KR102521965B1 (en) Bridge having reinforced structure for transverse direction and point part
KR20030066205A (en) Apparatus for anchoring reinforcing steel material and construction method for reinforcing concrete structures using the same
KR19990032977A (en) Repair reinforcement method and apparatus of bridge mold
KR100442969B1 (en) Method and its devices to strengthen a bridge by external prestressing cable
KR100372808B1 (en) Continuous Slab Bridge Reinforcement Structure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