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1479Y1 - 벽체 거푸집 하부의 틈 막이 판 - Google Patents

벽체 거푸집 하부의 틈 막이 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1479Y1
KR200291479Y1 KR2020020020286U KR20020020286U KR200291479Y1 KR 200291479 Y1 KR200291479 Y1 KR 200291479Y1 KR 2020020020286 U KR2020020020286 U KR 2020020020286U KR 20020020286 U KR20020020286 U KR 20020020286U KR 200291479 Y1 KR200291479 Y1 KR 2002914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gap
plate
wall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02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일
Original Assignee
이선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일 filed Critical 이선일
Priority to KR20200200202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14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14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1479Y1/ko

Links

Landscapes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근콘크리트공사 중, 철근콘크리트 벽체(2)를 구성하기 위하여 벽체 거푸집(3), 특히 유로폼(4)을 콘크리트 슬라브(1) 위에 설치하기 위해서 도1 내지 도5에서와 같이 일정한 규격의 목재를 벽체 거푸집(3)이 설치될 부분의 하부에 수평을 맞추어 설치하게 되는데, 이를 하부 수평 목(5)이라 하며, 이때 철근콘크리트슬라브(1)의 표면이 수평면이 되지 않고 요철이 발생하므로 철근콘크리트 슬라브(1)의 상부 면과 하부 수평목(5)의 하 단부 사이에는 일정하지 않은 크기의 틈이 연속적으로 발생하게 되여, 이 틈을 막지 않고 벽체 거푸집(3)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 할 경우 그 틈으로 콘크리트가 밀려 나오게 되어 콘크리트의 타설이 불가능 하므로,
그 틈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으면서도 콘크리트의 경화 후, 벽체 거푸집(3) 및 하부 수평 목(5)의 해체 시 그 제거가 용이한 합성수지 궁공 판(601)으로 구성된 틈 막이 판(610, 620)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구성상의 특징은; 종래의 틈 막이 판(61, 61, 63)인 합판, 메탈라스 등 보다 가볍고 질겨서, 절단 및 가공 등 시공성이 좋고 그 재질이 콘크리트와 부착이 되지 않는 포리크로필렌으로 이루어 진 합성수지 중공 판(601)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벽체 거푸집(3)하부의 틈 막이 판(610, 620)으로 사용하는데 있어서, 일반 벽체 거푸집(3)의 하부에는 상기 합성수지 중공 판(601)을 1겹으로 하여 필요한 강도를 가질 수 있는 최소한의 두께의 틈 막이 판(610)으로 하며,콘크리트 벽체(2)의 하부에 방수 홈이 있어야하는 발코니, 복도 등의 거푸집 하부 틈막이 판(620)으로는 상기 합성수지 중공판(601)을 2겹 혹은 3겹을 적층시켜서 필요로 하는 방수 홈의 깊이에 맞추어 상기 틈 막이 판(620)의 두께를 조절 하도록 하여, 상기 틈 막이 판(610, 620)을 벽체 거푸집(3)의 하부 수평 목(5) 안쪽 옆에 못, 스테플 등으로 콘크리트 바닥 슬라브(1) 면과의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밀실하게 고정한 후에, 벽체 거푸집(유로폼)을 조립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하면, 콘크리트의 경화후 벽체 거푸집(3) 및 하부 수평목(5)의 해체 시에 상기 틈 막이 판의 제거가 용이해 지므로 정밀시공, 시공성 향상, 인력 절감 등에 기여하게 되는 것을 기술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벽체 거푸집 하부의 틈 막이 판{A CHINKED PLATE FOR BOTTOM OF WALL FORM}
본 고안은 도4 및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철근콘크리트 공사 시 콘크리트슬라브(1) 면이 수평면이 되지 아니하고 요철이 심하므로 그 위에 콘크리트 벽체(2)를 구성하기 위한 벽체 거푸집(3)을 수평, 수직으로 설치하기 위하여 벽체 거푸집(3)의 하부에 견실한 버팀목을 수평으로 설치하는데 이를 하부 수평 목(5)이라 하며, 이때, 콘크리트 슬라브(1)면과 하부 수평 목(5)의 사이에는 일정하지 않은 크기의 틈이 연이어 발생하기 때문에 하부 수평 목(5)의 높이는 쐐기로서 조절하게 되며, 이 틈을 밀실하게 메우지 않고 벽체 거푸집(3)에 콘크리트를 타설 하게 되면, 이 틈으로 콘크리트가 다량 유출되어 콘크리트 벽체(2)의 하부에 공동 현상이 발생하여 구조상 취약부분이 되며, 이지점은 촐근콘크리트 벽식 구조에서 가장 큰 강성이 요구되는 바닥과 벽체가 만나는 지점으로서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강성과 내구성을 약화시키는 품질관리상 중대한 결함이 되므로, 합판, 메탈라스 등 별도의틈 막이 판을 사용하여 콘크리트의 유출을 막아오던 부분으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품질관리 재고 및 인력절감을 기대 할 수 있는 합성수지 중공 판(601)으로 구성된 틈 막이 판(610, 620)에 관한 것이다.
종래와 같이, 상기 틈 막이 판을 절단한 합판(61, 62)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합판을 절단하는데 인력과 장비가 소요됨과 동시에, 콘크리트를 타설 하고 거푸집과 하부 수평 목(5)을 해체한 후에도 콘크리트 벽체(2)의 하부 옆 부분에 상기의 틈 막이 판이 도6에서 보는바와 같이 콘크리트 벽체(2)에 박혀 있게 되는데, 벽체 거푸집(3)을 해체하기 까지는 최소한의 거푸집 존치기간(콘크리트가 응결, 경화하여 상부 슬라브 및 작업하중을 견딜 수 있을 때까지 거푸집을 해체 할 수 없도록 관계법에 명시되어있음)이 지나게 되면, 콘크리트와 상기 틈 막이 합판(61, 62)과의 부착력도 충분히 발현하여 상기 틈 막이 합판(61, 62)을 제거 하기위해서는 상당한 인력이 소요되며(거푸집의 표면은 콘크리트를 타설 하기 전에 박리제를 도포하여 콘크리트 타설 후 거푸집의 해체가 용이하도록 하나 틈 막이 판은 통상 박리제를 도포하지 않으므로 벽체의 콘크리트와 합판이 강력하게 부착 되어있음),
상기 합판을 제거하는 이유는; 첫째, 일반 벽체의 경우에는 합판을 제거하지 않고 마감공사를 하게 되면 상기 합판이 콘크리트와 몰탈 등으로부터 습기를 흡수하여 부패하게 되므로 건축물의 사용 시 악취가 발생하며, 둘째, 방수 홈이 필요한 발코니, 복도 등에서는 바닥 방수의 치켜 올림 부분이므로 필히 제거해야방수 시공이 가능함.(틈 막이 합판 부위가 방수 바탕 면이 되므로 완벽한 제거가 필요함)
또한, 가공성이 좋아 방수 홈이 필요 없는 일반 벽체 부위에 많이 사용하고있는 메탈라스(63)를 상기 틈 막이 판으로 사용 할 경우에는, 메탈라스 자체의 공극(메탈라스는 금속 망의 형태임)으로 콘크리트의 시멘트 페이스트가 다량 유출되어 콘크리트 벽체(2)의 하부 부분에 재료분리(콘크리트에서 시멘트 페이스트가 유출되어 조골재인 자갈이 육안으로 보이는 상태로 강도 저하, 내구성 저하 등의 문제 발생)가 발생하며, 또한 메탈라스는 통상 하부 수평 목(5)에 못으로 고정하기 난이하여(금속 망상 이므로) 고정 시, 못을 하부 수평 목(5)에 조금만 박고 못의 대가리쪽은 그 끝을 크게 구부리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하부 수평 목(5)을 제거 할 때에 구부린 못에 걸리게 되어 못 주위의 메탈라스 금속 망이 콘크리트 벽체(2)의 밖으로 돌출 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 때에 금속으로 되어있는 메탈라스의 돌출된 부분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절단기 또는 용접기 등으로 제거해야하는 불편함과 인력의 낭비를 감수해야한다.(틈 막이 판 부위는 벽 충격 방지용 완충재가 부착되어지는 곳으로 메탈라스를 제거하지 않을 경우 이의 부착이 불가능함)
이상과 같이, 틈 막이 판(6)으로 합판을 사용할 경우에는, 첫째, 온장의 합판을 절단, 가공하기 위한 인력과 장비가 소요되고, 둘째, 틈 막이용 합판(61, 62)을 제거하기 위한 필요 이상의 인력이 소요되며, 셋째, 제거된 합판은 건축 폐기물로 분류하여야 하며, 또한, 틈 막이 판(6)으로 메탈라스(63)를 사용할 경우에는 첫째, 소재 자체가 금속망인 관계로 되어 콘크리트 타설시 시멘트 페이스트가 유출되어 콘크리트의 재료분리가 발생하며, 둘째, 금속 소재인 메탈라스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인력과 장비가 필요하게 된다.
본 고안은, 도4와 도5에서와 같이 바닥 면이 고르지 못한 콘크리트 슬라브(1)상부에 벽체 거푸집(3)을 수평, 수직으로 설치하기 위한 하부 수평 목(5)과 콘크리트 슬라브면(1)의 사이에 연속하여 발생하는 일정하지 않은 크기의 틈을 효과적으로 메우며, 절단, 가공 등 시공성이 좋고, 콘크리트를 타설 한 이후에, 제거하기 쉬운 틈 막이 판(610, 620)을 제공하여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동시에(경우에 따라서는 제거할 필요가 없음), 건설공사의 정밀 시공과 조잡 시공 방지 및 원가 절감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 기술의 틈 막이 판 중 합판 틈 막이 판이 일반벽체의 거푸집에 실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종래 기술의 틈 막이 판 중 메탈라스 틈 막이 판이 일반벽체의 거푸집에 실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은 종래 기술의 틈 막이 판 중 합판 틈 막이 판이 발코니 등 한 면에 방수 홈이 있는 벽체의 거푸집에 실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는 본 고안의 틈 막이 판이 일반벽체의 거푸집에 실시된 상태를 나타내는 시시도이다.
도5는 본 고안의 틈 막이 판이 발코니 등 한 면에 방수 홈이 있는 벽체의 거푸집에 실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틈 막이 판이 한 면에 방수 홈이 있는 발코니 등의 콘크리트 벽체의 거푸집에 실시되어 콘크리트를 타설 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일반 벽체용 틈 막이 판의 구성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발코니 등 방수 홈이 있는 벽체용 틈 막이 판의 구성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벽체 거푸집 4: 유로폼
5 : 하부 수평 목 600 : 틈 막이 판
601 : 합성수지 중공 판 602 : 격벽 절개선
610 : 일반용 틈 막이 판 602 : 방수 홈 용 틈 막이 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가볍고 질기며, 적당한 표면강도와 탄력을 지녀, 못, 스테플 등으로 하부 수평 목(5)에 고정하기 용이하면서도, 표면이 매끄러워 콘크리트와 부착이 되지 않는 합성수지 중공 판(601)으로 구성된 틈 막이 판(610, 620: 일반 벽체와 방수 홈이 필요한 발코니, 복도 등의 벽체를 구분하여 그 두께를 달리함)을 사용하게 되면,
도4 및 도5에서와 같이 바닥 면이 고르지 못한 콘크리트 슬라브(1)와 벽체거푸집(3)의 하부 수평 목(5)사이에 발생하게 되는 일정하지 않은 크기의 틈을 효과적으로 메워서, 철근콘크리트공사중 벽체 거푸집(3)에 콘크리트 타설 시 시멘트 페이스트의 유출을 최소화하여 철근콘크리트 벽체(2)에서 콘크리트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본 고안의 합성수지 중공 판(601)으로 구성된 틈 막이 판(610, 620)은 표면이 매끄러워, 콘크리트의 옆면에 콘크리트 타설과 동시에 매립 시동되어도 벽체 거푸집(3)과 하부 수평 목(5)의 해체 후에, 상기 틈 막이 판(610, 620)의 제거가 용이하여 인력의 절감을 기대할 수 있고, 재질이 포리프로필렌으로 되어 있어 재사용 또는 재생이 가능하므로 폐기물이 발생하지 않으며, 일반 벽체의 경우에는 상기 틈막이 판(610)을 제거하지 않아도 부식 등의 염려가 없고, 오히려 충격 방지 및 열차단 기능을 높여주는 기능을 역할을 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4 내지 도8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벽체 거푸집 하부의 틈 막이 판(610, 620)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일반 벽체, 또는 방수 홈이 필요한 벽체 등 필요한 부위별로 그 두께를 달리하는 벽체 거푸집(3) 하부의 틈 막이 판(610, 620)을 제공하여 철근콘크리트공사에서 가장 큰 강성이 요구되는 벽체와 슬라브의 교차부위에 발생하기 쉬운 재료분리의 가능성을 최소화하여 철근콘크리트공사의 품질향상에 기여하게 되며,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벽체(2)의 하부에 방수 홈이 필요한 발코니, 복도 등의 거푸집 하부 틈 막이 판(620)으로는, 도8에서와 같이 폭이 좁고 길이가 긴 합성수지 중공 판(601)을 필요한 두께만큼 2겹 또는 3겹으로 접착제, 스테플 등을 사용하여 적층시켜 사용하게 되며, 상기 합성수지 중공 판(601)으로 만들어진 틈막이 판(620)은 그 표면이 매끄럽고 연성, 탄력성 등이 뛰어나 제거가 용이하며 제거 후에도 형상의 변화가 거의 없어 재사용 또는 재생사용이 가능하여 폐기물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4에서 보는바와 같이 일반 콘크리트 벽체(2)의 하부에 사용하는 틈 막이판(610)으로는 도7에서와 같이 폭이 좁고 길이가 긴 합성수지 중공 판(601)을 사용하게 되며, 상기 합성수지 중공 판(601)으로 만들어진 틈 막이 판(10)을 제거하지 않으면, 상기 틈 막이 판(610)이 적절한 강도와 연성, 탄력성 등을 가지고 있어 형상이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합성수지 중공 판(601)에 내재한 공기층이 파괴되지 않아 충격 방지효과와 열 차단효과를 상승시키게 되므로, 온돌 바닥 시공이 되는 거실 및 침실부위는 틈 막이판(610)을 제거할 필요가 없으며, 계단참, 현관, 욕실 등 벽체하부의 틈 막이 판(610)을 제거해야 하는 부위는 그 표면이 매끄럽고 연성, 탄력성등이 뛰어나 제거가 용이하며, 재생사용이 가능하여 폐기물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첫째, 벽체 거푸집(3) 하부에 적절한 틈 막이 판(610, 620)을 제공하여 콘크리트 타설 시 시멘트 페이스트의 유출을 최소화하여 콘크리트의 품질관리를 도모하며, 둘째, 합판 등을 틈 막이 판(61,62)으로 사용하기위한 절단, 가공 등의 인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셋째, 거실, 침실 등 온돌바닥이 시공되는 부위는 본 발명의 합성수지 중공 판(601)으로 구성된 틈 막이 판(610)이 충격 방지 재 및 단열재의 효과를 나타내므로 제거의 필요성이 없게 되며, 넷째, 상기 틈 막이 판(600)은 재질이 단단하고 표면이 매끄러운 포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되어 있어 제거가 필요한 발코니, 복도, 욕실, 계단참 등 에서는 제거가 용이하여 인력의 절감이 예상되며, 다섯째, 상기 틈 먹이 판(610, 620)에서 합성수지 중공 판(601)하단부의 격벽을 1~2개소 길이 방향으로 절개하면 그 끝단의 움직임이 더욱 자유로워서 표면이 고르지 않은 콘크리트 슬라브 바닥(1)과의 틈을 없애고 더욱 밀실하게 틈을 막을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기술 구성상의 특징으로 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합성수지 중공 판(601)은 표면강도가 큰 포리프로필렌을 주원료로 하여 도7 및 도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폭이 좁고 길이가 긴 1쌍의 포리프로필렌 단판 사이에 일정한 간극을 두고, 그 간극 에는 일정한 간격의 격벽이 길이 방향으로 내재하여 그 중공부에는 공기층이 충만 하도록 하여 충격음 차단효과와 열 차단효과를 동시에 기대 할 수 있으며, 합성수지 중공 판(601)의 격벽은 구조적 성질을 우수하게 해주고 적당한 탄성이 발현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합성수지 중공 판(601)의 양 끝단 부위의 격벽에 1~2개소 씩 길이 방향의 절개선(602)을 두어 끝단의 움직임이 자유로워지도록 하였다.
전술한 본 고안에 따른 벽체 거푸집(3) 하부의 틈 막이 판(610, 620)을 사용할 경우, 벽체 콘크리트(2)의 재료분리를 최소화하여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강성, 내구성등을 증대 시킬 수 있고, 합판의 절단, 가공 등 인력의 절감을 예상할 수 있으며, 거실, 침실 등의 온돌이 시공되는 부위에 설치된 상기 틈 막이 판(610)은 제거가 필요 없고, 발코니, 복도, 현관, 욕실, 계단참 등의 벽체 하부 부위는 상기 틈 막이 판(610, 620)의 제거가 용이하여 제거에 필요한 인력의 절감 등 전체적으로 품질관리, 정밀시공, 원가절감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벽체 거푸집(3)하부의 수평 목과 콘크리트 슬라브 바닥(1)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틈 막이 판(610, 620)으로서, 그 폭이 좁고 길이가 길게 하부 수평 목(5)의 옆 부분에 못, 스테플 등으로 콘크리트 슬라브 바닥(1)과 밀실하게 부착 설치된 후, 벽체 거푸집(3)에 콘크리트를 타설 함에 있어서 시멘트 페이스트의 유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합성수지 중공 판(601)을 사용하며, 일반 벽체에는 1겹, 방수 홈이 있는 벽체에는 2~3겹으로 적층하여 두께를 달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틈 막이 판(610, 62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틈 막이 판(610, 620)을 구성하는 합성수지 중공 판(601)은 1쌍의 포리프로필렌 단판이 일정한 간극을 두고 마주하며, 그 간극에는 일정한 간격의 격벽이 길이 방향으로 내재 하여서 상기 합성수지 중공 판(601)의 단면 내에는 중공부가 유지됨으로써 소음과 열을 차단할 수 있도록 공기가 충만하며, 또한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우수한 구조를 가져서 벽체거푸집(3)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도 그 내부가 중공부로 유지되는 합성수지 중공 판(601)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하는 틈막이판(610, 62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틈 막이 판(610, 620)이 콘크리트 슬라브 바닥(1)의 울퉁불퉁한 표면과 만나게 되는 상기 합성수지 중공 판(601)의 양단부의 격벽을 길이 방향으로 1∼2개 절개하여 틈 막이 판(610, 620)의 하단에 항상 격벽의 절개선(602)이 오게 하면 상기 틈 막이 판(610, 620)의 끝부분이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면이 고르지 않은 콘크리트 슬라브 바닥과의 틈이 최소화 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틈 막이 판.(610, 620)
KR2020020020286U 2002-07-05 2002-07-05 벽체 거푸집 하부의 틈 막이 판 KR2002914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286U KR200291479Y1 (ko) 2002-07-05 2002-07-05 벽체 거푸집 하부의 틈 막이 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286U KR200291479Y1 (ko) 2002-07-05 2002-07-05 벽체 거푸집 하부의 틈 막이 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1479Y1 true KR200291479Y1 (ko) 2002-10-09

Family

ID=73125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0286U KR200291479Y1 (ko) 2002-07-05 2002-07-05 벽체 거푸집 하부의 틈 막이 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147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91366A (zh) * 2017-12-07 2018-03-13 山东明达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预制构件外漏筋孔防漏浆橡胶塞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91366A (zh) * 2017-12-07 2018-03-13 山东明达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预制构件外漏筋孔防漏浆橡胶塞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82445B2 (en) Insulated concrete form and method of using same
US4885884A (en) Building panel assembly
US8745943B2 (en) Composite insulated precast and tilt-up concrete structures
JPH06346536A (ja) コンクリート型枠壁
CA2556327A1 (en) Screed joints
WO1994023143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oncrete elements and a concrete element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method
WO2010074550A1 (en) Assemblage formwork
GB2437180A (en) Acoustic Flanking Block
KR200291479Y1 (ko) 벽체 거푸집 하부의 틈 막이 판
KR200417507Y1 (ko) 미장용 콘크리트 균열 방지구
KR20020030049A (ko) 벽체 거푸집 하부의 틈 막이 판
KR100336179B1 (ko) 건축용 판넬 및 그 벽체구축방법.
US11136731B2 (en) Integrated form for embedding a waterstop in a keyed concrete joint
JP2000226936A (ja) 水平スリット施工部材
US3582035A (en) Concrete pan forming system
JP2009144387A (ja) コンクリート型枠用の付属部材
EP1201848A2 (de) Schalldämmende Trägerbahn für Bodenbeläge, insbesondere Plattenbeläge
KR102335307B1 (ko) 벽체 방수와 바닥 방수판의 연결 부위 방수를 보강하는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CN211622249U (zh) 一种高强度混凝土预制板
JP3142591U (ja) コンクリート打継部分の止水構造及び耐震水平スリット材
EP1896234A2 (en) Form for casting light weight composite concrete panels
CA1280006C (en) Building panel assembly
KR200407071Y1 (ko) 콘크리트 균열 방지구
JP2703789B2 (ja) 外壁構造
RU2013505C1 (ru) Перекрыти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