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1096Y1 - 설합형 초음파세척싱크대 - Google Patents

설합형 초음파세척싱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1096Y1
KR200291096Y1 KR2020020018824U KR20020018824U KR200291096Y1 KR 200291096 Y1 KR200291096 Y1 KR 200291096Y1 KR 2020020018824 U KR2020020018824 U KR 2020020018824U KR 20020018824 U KR20020018824 U KR 20020018824U KR 200291096 Y1 KR200291096 Y1 KR 2002910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ltrasonic cleaning
tank
cleaning tank
ultrasonic
type ultras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88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상형
Original Assignee
남상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상형 filed Critical 남상형
Priority to KR20200200188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10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10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1096Y1/ko

Links

Landscapes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초음파를 이용하여 식기 등을 자동으로 세척하는 초음파세척싱크대에 있어서, 초음파세척조를 설합형으로 형성하여 수납 및 인출할 수 있도록 된 설합형 초음파세척싱크대에 관한 것으로써, 싱크대의 본체에 초음파세척조를 설합형으로 구비하여 수납/인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그릇류를 안치시키거나 인출할 때에만 초음파세척조를 인출하고 세척을 실시할 때에는 본체에 수납시켜 히든시킨 상태에서 세척을 실시하므로 발생되는 소음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하여 소음을 줄여 조용하게 작동되는 초음파세척싱크대를 제공할 수 있고, 초음파세척조가 외부롤 노출되지 않으므로 외관을 단정하고 미려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기존의 노출형세척조와 병행 설치하게 되면 초음파세척조에 의해서는 식기등을 초음파세척을 실시하면서 노출형세척조에 의해서는 다른 식기 또는 야채나 과일을 세척할 수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이고 능률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설합형 초음파세척싱크대{A Drawer Type Ultrasonic Sink}
본 고안은 초음파를 이용하여 식기 등을 자동으로 세척하는 초음파세척싱크대에 있어서, 초음파세척조를 설합형으로 형성하여 수납 및 인출할 수 있도록 된 설합형 초음파세척싱크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본체의 내부에는 저면에 초음파소자가 부착된 초음파세척조를 구비하여 전방에서 수납/인출할 수 있도록 하고, 본체의 내부에서초음파척조의 상측에는 전자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된 급수밸브를 구비하여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초음파세척조의 배수구에는 전자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된 배수밸브를 구비하여 세척시에 발생되는 오염된 세척수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초음파세척조를 본체에 다독형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기존의 개방노출형세척조와 병행으로 설치하여서 된 설합형 초음파세척싱크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근자에는 초음파발생장치(초음파소자)를 싱크대의 바닥면에 부착하여 짓기와 같은 각종 그릇류를 자동으로 세척해 주도록 하는 초음파싱크대가 급진적으로 보급되고 있다.
이와 같이 초음파를 이용하여 식기 등을 세척하도록 하는 초음파싱크대는 이미 널리 알려진 기술사상으로서, 국내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것으로는 국내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1994-8551호와 국내 실용신안등록번호 제13982호 및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20950호가 널리 알려져 있다.
이들 종래의 초음파싱크대들에 대하여 첨부도면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의 초음파싱크대는 노출형세척조(3-1)와 조리대(3-2)가 나란하게 형성된 상판(3)이 본체(2)의 상부에 씌워 고정되어 있고, 노출형세척조(3-1)의 저면(바닥면)에는 통상의 초음파소자(20)가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초음파싱크대는 세척조의 상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형세척조로 되어 있으므로 세척을 실시할 때에 발생되는 소음이 실내로 확산되어 소음문제가 크게 대두되는 문제가 있었고, 이와 같은 소음문제를 다소나마 해소하기 위하여 노출형싱크대의 상부에 뚜껑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하기도 하지만 소음을 완전하게 차단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으며, 또한 바닥에 초음파소자가 부착된 노출형세척조만 형성되어 있으므로 초음파를 이용하여 식기를 세척하는 동안에는 야채나 괴일을 씻는 것 등을 병행할 수 없는 단순한 문제가 있었다.
특히 세척조가 본체의 상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미관상 좋지 않은 분위기를 연출하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저면에 초음파소자가 부착된 초음파세척조를 전방에서 수납/인출할 수 있도록 설합형으로 본체에 하고, 본체의 내부에서 설합형 초음파척조의 상측에는 전자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된 급수밸브를 구비하여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설합형 초음파세척조의 배수구에는 전자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된 배수밸브를 구비하여 세척시에 발생되는 오염된 세척수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된 설합형 초음파세척싱크대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설합형 초음파세척조만을 본체에 설치하여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기존의 개방형 세척조와 나란하게 설치하여 설합형과 개방형을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설합형 초음파세척싱크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초음파세척조를 설합형으로 본체에 형성하여 본체의 내부에 내장시켜 줌으로써, 초음파세척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ㅎ도록 하여 외관을 보다 미려하고 단전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고, 초음파세척조를 가동시킬 때에 발생되는 소음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보다 조용한 분위기를 유지하면서 작동될 수 있도록 된 설합형 초음파세척싱크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목적은,
세척조의 바닥 밑면에 초음파소자(20)를 부착시켜서 된 초음파세척조(11)를 본체(2)의 상면에 안치시켜서 된 것에 있어서,
저면에 초음파소자(20)가 부착된 초음파세척조(11)를 전방에서 가이드수단을 따라 수납/인출할 수 있도록 설합형초음파세척조(10)로 본체(2)에 설치한 것과,
본체(2)의 내부에서 설합형초음파척조(10)의 상측에는 전자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된 급수밸브((25)를 구비하여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과,
설합형초음파세척조(10)의 배수구(16)에는 전자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된 배수밸브(18)를 장착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설합형초음파세척싱크대(1)·(1-1)·(1-2)에 의해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설합형 초음파세척싱크대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예시된 본 고안에 따른 설합형 초음파세척싱크대의 구조를 보인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설합형 초음파세척싱크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설합형 초음파세척싱크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및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1,1-2. 설합형초음파세척싱크대 2. 본체
3. 상판 4. 개폐문 5. 설합
10. 초음파세척조 11. 세척조 12. 플랜지
13. 가이드레일 14. 롤러 15. 스톱퍼
16. 배수구 18. 배수밸브 19. 초음파세척조배수관
20. 초음파소자 21. 초음파소자보호커버 22. 가이드블럭
23. 가이드레일 25. 급수벨브 26. 급수관
30. 컨트롤부 31. 그릇재치대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목적과 특징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도면 도1 내지 4b는 본 고안에 다른 설합형초음파세척싱크대(1)·(1-1)·(1-2)의 구체적인 실현예를 보인 예시도로써, 도 1 내지 도 2b는 설합형초음파세척싱크대(1)를 보인 사시도 및 정단면도와 측단면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다른 실시예의 설합형초음파세척싱크대(1-1)를 보인 사시도 및 정단면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또 다른 실시예의 설합형초음파세척싱크대(1-2)를 보인 사시도 및 정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설합형초음파세척싱크대(1)의 기본형을 보인 일 예시도이다.
본체(2)를 상부가 개방되는 직육면체형으로 형성하여, 본체(2)의 전면에는 그릇안치대(31)가 내부에 안치되는 설합형초음파세척조(10) 및 개폐문(4)을 상하측에 설치하였고, 설합형초음파세척조(10)의 전면에는 설합형초음파세척조(10)를 컨트롤할 수 있도록 하는 컨트롤부(30)를 설치하였으며,개폐문(4)의 측면에는 설합(5)과 보조개폐문(4-1)을 상하로 설치하였다.
본체(2)의 측면 상단에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13)을 대향되게 고정 설치하고 초음파세척조(11)의 양 측면의 상단에는 플랜지(12)를 형성하여 플랜지(12)가 가이드레일(13)의 위에 안치되어 슬라이딩되도록 하였고, 각 가이드레일(13)의 내면 선단에는 플랜지(12)의 상측에 롤러(14)를 회전 가능하게 축으로 굴대 설치하여 슬라이딩되는 플랜지(12)를 지지해 주도록 하였으며, 각 플랜지(12)의 내측 단부에 스톱퍼(15)를 돌출되게 형성하여 롤러(14)에 의해 정지되어 초음파세척조(11)가 전방으로 완전히 탈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본체(2)의 측면에서 가이드레일(13)의 하측에는 선단부가 스톱편(24)에 의해 폐쇄되고 측면과 후단부가 개방형으로 된 보조가이드레일(22)을 대향되게 고정시키고, 초음파세척조(11)의 양측면 후단부에 보조가이드레일(22)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블럭(22)을 장착하였다.
상기 초음파세척조(11)는 바닥면에는 통상의 거름망(17)을 삽탈할 수 있도록 된 배수구(17)를 일체형으로 형성하되 상기 배수구(17)를 바닥의 중앙 후측에 형성하였고, 초음파세척조(11)의 바닥은 배수구(17)가 기준이 되도록 경사지게 형성하였으며, 배수구(16)의 하측에는 컨트롤부(30)의 지시(명령)에 의해 작동되는 배수밸브(18)를 장착하였고, 배수밸브(18)의 하측에는 하수관에 삽입되는 초음파세척조배수관(19)을 장착하였다.
또 초음파세척조(11)의 바닥 저면에는 초음파를 발생시켜주는 통상의 초음파소자(20)를 소정의 간격으로 유지시켜 장착하되, 각 초음파소자(20)의 외부에는 보호커버(21)를 씌워 고정시켜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본체(2)의 상측에는 금속재질로 되고 조리대(3-2)로만 형성된 상판(3)을 결합 고정시켰고, 조리대(3-2)와 초음파세척조(11)와의 사이에는 컨트롤부(30)의 지시(명령)에 의해 작동되는 급수밸브(25)를 구비하여 세척수를 공급해 줄 수 있도록 하되, 급수밸브(25)에 연결되는 급수관(26)은 고정밴드(27)를 이용하여 조리대(3-2)의 저면에 고정시켜 주거나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본체(2)의 배면에 고정시켜 줄 수 있도록 하였다.
도 3a 및 도 3b는 다른 실시예의 설합형초음파세척싱크대(1-1)를 보인 사시도 및 정단면도이다.
본체(2)의 상부에는 폭이 넓은 노출세척조(3-1)와 폭이 좁은 조리대(3-2)가 나란하게 형성된 통상의 상판(3)을 씌워 결합시켰고, 본체(2)의 전면에는 노출세척조(3-1)의 하측에 개폐문(4)을 설치하였으며, 조리대(3-2)의 하측에는 그릇안치대(31)가 내부에 안치되는 설합형초음파세척조(10)와 통상의 설합(5)을 설치하였다.
상기 노출세척조(3-1)의 배수구(6)에 세척조배수관(8)을 연결하였고, 세척조배수관(8)에는 여러개의 가지가 구비된 커넥터(7)를 통하여 메인배수관(7)과 연결하였다.
조리대(3-2)의 하측에 설치되는 설합형초음파세척조(10)는 도 1 내지 도 2b에서 기히 설명한 바와 같이 설치하되, 다만 일측의 가이드레일(13)과 보조가이드레일(23)을 초음파세척조(11)의 측면에 설치하고, 배수밸브(18)를 통하여 초음파세척조(11)의 배수구(16)와 연결되는 초음파세척조배수관(19)을 세척조배수관(8)에 연결된 커텍터(7)에 접속하는 것 외에는 동일하게 형성하였다.
도 4a 및 도 4b는 다른 실시예의 설합형초음파세척싱크대(1-2)를 보인 사시도 및 정단면도로써, 본체(2)의 상부에는 폭이 넓은 조리대(3-2)와 폭이 좁은 노출세척조(3-1)가 나란하게 형성된 통상의 상판(3)을 씌워 결합시켰고, 본체(2)의 전면에는 폭이 넓은 조리대(3-2)의 하측에는 그릇안치대(31)가 내부에 안치되는 설합형초음파세척조(10)와 개폐문(4)을 설치하였고, 폭이 좁은 노출세척조(3-1)의 하측에는 컨트롤부(30)와 통상의 설합(5)을 설치하였다.
폭이 넓게 형성된 조리대(3-2)의 하측에 설치되는 설합형초음파세척조(10)는 도 1 내지 도 2b에서 기히 설명한 바와 같이 설치하되, 다만 일측의 가이드레일(13)과 보조가이드레일(23)을 본체(2)의 일측 측면과 중간칸막이(2-1)의 대향면에 설치하였고, 초음파세척조(11)의 배수구(16)에 접속되는 배수밸브(18)에는 배수관(19)과 커넥터(7) 및 메인베소관(9)을 차례로 접속하는 것 외에는 동일하게 형성하였으며, 폭이 좁은 노출형세척조(3-1)의 배수구(6)에 접속되는 세척조배수관(8)을 초음파세척조(11)의 배수관(19)에 연결된 커넥터(7)에 연결하였다.
이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b에 예시된 설합형초음파세척싱크대(1)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설합형초음파세척조(10)에서 초음파세척조(11)를 도 1에 에시된 바와 같이 끌어당겨 주게 되면 양측의 플랜지(12)가 가이드레일(13)의 위에서 슬라이딩되면서l동하게 되고, 이때에 롤러(14)는 슬라이딩되는 플랜지(12)가 이탈되거나 롤링되지 않도록 지지해 주게 되며, 플랜지(12)의 말단에 형성된 스톱퍼(15)가 롤러(14)에 의해 전진하지 못하고 정지하게 되면 초음파세척조(11)의 인출은 정지된다.
이와 같이 초음파세척조(11)를 전방으로 노출시켜 놓은 상태에서 초음파세척조(11)의 내부에 안치된 그릇안치대(31)에 식기와 같은 각종 그릇을 안치시켜 충진시켜 주었으며, 그릇의 안치를 완료한 후에는 초음파세척조(11)을 밀어 본체(2)의 내부에 수납시켜 준다.
이와 같이 그릇이 안치된 초음파세척조(11)를 본체(2)의 내부에 수납시켜 준상태에서 컨트롤부(30)를 조작하여 기히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세척이 실시되어지도록 한다.
작동스위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조작하게 되면 급수밸브(25)가 작동하여 급수관(26)을 통하여 공급되는 세척수를 초음파세척조(11)에 분사시켜 충진시켜 주게 되며, 세척수가 기히 설정된 양만큼 충진되어지면 급수밸브(25)가 재차 작동하여 세척수의 공급을 차단시켜 준다.
세척수가 소정의 양만큼 초음파세척조(11)에 충진되어지면 컨트롤부(30)에서는 각 초음파소자(20)에 전기를 공급하여 초음파소자(20)가 초음파를 발생시키도록하고, 초음파소자(20)에서 초음파가 발생되어지면 초음파세척조(11)에 충진되어 있는 그릇은 초음파에 의해 세척되어지기 시작한다.
기히 설정된 소정의 시간동안 초음파소자(20)에서 발생된 초음파에 의해 체척이 완료되어지면 각 초음파소자(20)에는 전기의 공급이 일시 중단되면서 세척을 중단하게 되고, 이와 같이 세척이 중단된 상태에서 배수밸브(18)가 작동하여 밸브를 개방시켜 주게 되며, 따라서 세척에 의해 더러워진 오염된 세척수는 배수구(16)와 초음파세·ㄱ조배수관(19)을 통하여 하수구로 배출되어진다.
오염된 세척수의 배출이 완료되면 배수밸브(18)가 재차(역)작동하여 밸브를 차단시켜주게 되고, 배수밸브(18)가 차단된 상태에서 급수밸브(27)가 작동하여 세척수를 초음파세척보(11)에 공급시켜주면서 전술한 바와 같은 초음파세척을 재차 실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세척과정을 기히 설정된 회수만큼 실시되어진 후에 설합형초음파세척조(10)의 작동이 정지되면 컨트롤부(30)에서 전원을 OFF시켜 주고, 초음파세척조(11)를 본체(2)의 전방으로 인출한 후에 세척된 그릇을 꺼내줌으로써 그릇의 세척을 완료하게 된다.
또 도 3a 및 도 3b에 예시된 설합형초음파세척싱크대(1-1)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폭이 좁은 조리대(3-2)의 하측에 구비된 설합형초음파세척조(10-1)의 초음파세척조(11)를 인출하여 그릇안치대(31)에 그릇류를 안치하되, 상기 초음파세척조(11)는 폭이 좁기 때문에 적절한 크기의 그릇만을 선택적으로 충진시켜 주며, 그릇의 충진을 완료한 후에 인출되어 있는 초음파세척조(11)를 밀어 본체(2)의 내부에 수납시켜 준다.
이와 같이 그릇이 안치된 초음파세척조(11)를 본체(2)의 내부에 수납시켜 준상태에서 컨트롤부(30)를 조작하여주면 설합형초음파세척조(10-1)는 기히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세척이 실시되어지며, 초음파세척과정은 도 1 내지 도 2b에 예시된 설합형초음파세척조(10)와 동일한 과정으로 실시되어지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설합형초음파세척조(10-1)에서 초음파세척이 진행되는 동안에 일측에 형성된 폭이 넓은 노출세척조(3-1)에서는 수세미를 이용한 통상의 식기세척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다른 식기를 세척하거나, 또는 과일류 등을 동시에 세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a 및 도 4b에 예시된 설합형초음파세척싱크대(1-2)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폭이 넓은 조리대(3-2)의 하측에 구비된 설합형초음파세척조(10-2)의 초음파세척조(11)를 인출하여 그릇안치대(31)에 그릇류를 안치하되, 상기 초음파세척조(11)는 폭이 넓기 때문에 상당한 크기의 그릇류도 충진시켜 줄 수 있게 되며, 그릇의 충진을 완료한 후에 인출되어 있는 초음파세척조(11)를 밀어 본체(2)의 내부에 수납시켜 준다.
이와 같이 그릇이 안치된 초음파세척조(11)를 본체(2)의 내부에 수납시켜 준상태에서 컨트롤부(30)를 조작하여 주면, 설합형초음파세척조(10-2)는 기히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세척이 실시되어지며, 초음파세척과정은 도 1 내지 도 2b에 예시된 설합형초음파세척조(10)와 동일한 과정으로 실시되어지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설합형초음파세척조(10-2)에서 초음파세척이 진행되는 동안에 일측에 형성된 폭이 좁은 노출세척조(3-1)에서는 수세미를 이용한 통상의 식기세척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다른 식기를 세척하거나, 또는 과일류 등을 동시에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도 3a 및 도 3b에 예시된 설합형초음파세척조(10-1)와 도 4a 및 도 4b에 예시된 설합형초음파세척조(10-2)는 기존의 노출형세척조(3-1)와 함께 구비되어 있으므로 초음파세척을 실시함과 동시에 일반적인 세척방법으로 식기 또는 과일이나 야채를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구체적으로 밝혀지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초음파세척싱크대는 싱크대의 본체에 초음파세척조를 설합형으로 구비하여 수납/인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그릇류를 안치시키거나 인출할 때에만 초음파세척조를 인출하고 세척을 실시할 때에는 본체에 수납시켜 히든시킨 상태에서 세척을 실시하므로 발생되는 소음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하여 소음을 줄여 조용하게 작동되는 초음파세척싱크대를 제공할 수 있고, 초음파세척조가 외부롤 노출되지 않으므로 외관을 단정하고 미려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기존의 노출형세척조와 병행 설치하게 되면 초음파세척조에 의해서는 식기등을 초음파세척을 실시하면서 노출형세척조에 의해서는 다른 식기 또는 야채나 과일을 세척할 수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이고 능률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세척조의 바닥 밑면에 초음파소자(20)를 부착시켜서 된 초음파세척조(11)를 본체(2)의 상면에 안치시켜서 된 것에 있어서,
    저면에 초음파소자(20)가 부착되고 통상의 그릇안치대(31)가 안치되는 초음파세척조(11)를 전방에서 가이드수단을 따라 수납/인출할 수 있도록 설합형초음파세척조(10)로 본체(2)에 설치한 것과,
    본체(2)의 내부에서 설합형초음파척조(10)의 상측에는 전자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된 급수밸브((25)를 구비하여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과,
    설합형초음파세척조(10)의 배수구(16)에는 전자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된 배수밸브(18)를 장착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합형 초음파세척싱크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설합형초음파세척조(10)를 기존 노출형싱크대(3-1)와 나란하게 병행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합형 초음파세척싱크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수납/인출되는 설합형초음파세척조(1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은,
    본체(2)의 측면 상단에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13)을 대향되게 고정 설치하고 세척조(11)의 양 측면의 상단에는 플랜지(12)를 형성하여 플랜지(12)가가이드레일(13)의 위에 안치되어 슬라이딩되도록 한 것과,
    각 가이드레일(13)의 내면 선단에는 플랜지(12)의 상측에 롤러(14)를 회전 가능하게 축으로 굴대 설치하여 슬라이딩되는 플랜지(12)를 지지해 주고, 각 플랜지(12)의 내측단부에 스톱퍼(15)를 돌출되게 형성하여 롤러(14)에 의해 정지되도록 한 것과,
    본체(2)의 측면에서 가이드레일(13)의 하측에는 선단부가 스톱편(24)에 의해 폐쇄되고 측면과 후단부가 개방형으로 된 보조가이드레일(22)을 대향되게 고정시키고, 초음파세척조(11)의 양측면 후단부에 보조가이드레일(22)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블럭(22)을 장착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합형 초음파세척싱크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설합형초음파세척조(10)의 저면에 형성되는 배수구(16)는 설합형초음파세척조(10)의 저면 후방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합형 초음파세척싱크대.
KR2020020018824U 2002-06-21 2002-06-21 설합형 초음파세척싱크대 KR2002910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824U KR200291096Y1 (ko) 2002-06-21 2002-06-21 설합형 초음파세척싱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824U KR200291096Y1 (ko) 2002-06-21 2002-06-21 설합형 초음파세척싱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1096Y1 true KR200291096Y1 (ko) 2002-10-09

Family

ID=73124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8824U KR200291096Y1 (ko) 2002-06-21 2002-06-21 설합형 초음파세척싱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109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3324A (ko) * 2002-07-02 2004-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 설치대
KR200482565Y1 (ko) 2016-10-13 2017-02-07 김익수 싱크대 거치형 초음파 세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3324A (ko) * 2002-07-02 2004-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 설치대
KR200482565Y1 (ko) 2016-10-13 2017-02-07 김익수 싱크대 거치형 초음파 세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1069B1 (ko) 식기 세척기 일체형 싱크대
JP2003500145A (ja) 改良された構成を有する家庭用として好適な食器洗浄器
RU2467676C2 (ru) Ручка подставки для посуды в посудомойке
US2749968A (en) Overall cover for water closets and flush bowls
CN208058943U (zh) 厨房电器
KR102486273B1 (ko) 식기세척기
KR200291096Y1 (ko) 설합형 초음파세척싱크대
CN108332242A (zh) 厨房电器
KR101862098B1 (ko) 식품건조 기능이 포함된 식기세척기
KR100452310B1 (ko) 초음파 세척기능이 구비된 싱크대
JP2003024261A (ja) 食器洗浄機
CN211559998U (zh) 隐形多功能厨事智能洗洁机
CN211534302U (zh) 一种碗篮隐藏式洗碗水槽结构
KR20180091140A (ko) 업소용 식기세척기
JPH05253161A (ja) 食器洗浄機
CN209568510U (zh) 砧板式隐藏水槽
JP2000139803A (ja) 食器洗浄機
CN112438672A (zh) 隐形多功能厨事智能洗洁机
CN220832358U (zh) 一种多功能橱柜组合
KR200155868Y1 (ko) 씽크대의 세척통 개폐장치
CN219803686U (zh) 一种厨房清洁设备
CN216293962U (zh) 一种清洗机及集成水槽
CN216220763U (zh) 带超声波清洗功能浴室柜
US20220257086A1 (en) Drawer type single cavity dishwashing appliance with convertible drip shields
CN214905058U (zh) 一种集成橱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