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1055Y1 - 시디케이스의 레이블을 이용한 다중이미지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시디케이스의 레이블을 이용한 다중이미지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1055Y1
KR200291055Y1 KR2020020021459U KR20020021459U KR200291055Y1 KR 200291055 Y1 KR200291055 Y1 KR 200291055Y1 KR 2020020021459 U KR2020020021459 U KR 2020020021459U KR 20020021459 U KR20020021459 U KR 20020021459U KR 200291055 Y1 KR200291055 Y1 KR 2002910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ase
label
moving
len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14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제이슨
Original Assignee
류제이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제이슨 filed Critical 류제이슨
Priority to KR20200200214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10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10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1055Y1/ko

Links

Landscapes

  • Displays For Variable Information Using Movabl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디케이스의 커버에 끼워지는 레이블에 다수의 이미지를 분할하여 인쇄하고 화면확대수단을 통하여 특정이미지의 영상을 구성할 수 있도록 레이블을 이동시킴으로서, 사용자에게 흥미를 유발하고 또한 시디 콘텐츠와 연관된 내용을 표시할 수 있어서 광고효과와 정보제공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시디케이스의 레이블을 이용한 다중이미지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시디케이스의 레이블을 이용한 다중이미지 표시장치는, 시디케이스(10)의 커버(12)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에는 볼록부(14a)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평면부(14b)가 형성된 다수의 렌즈가 인접하여 설치된 렌즈부(14); 상기 렌즈부(14)의 하부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이미지결합부의 이동상태에 따라서 렌즈부(14)의 다수의 볼록부(14a)를 통하여 선택된 하나의 이미지가 완전하게 표시하도록 분할된 다수의 이미지 조각들이 순차적으로 결합된 이미지결합부(16); 상기 이미지결합부(16)의 일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시디케이스(10)의 고정부(11)에 형성된 공간절개부(18); 및 상기 공간절개부(18)를 통하여 노출된 이미지결합부(16)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이 구비된 베이스(22)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시디케이스의 레이블을 이용한 다중이미지 표시장치{Device which can dispaly multiple images using the label of CD case}
본 고안은 시디케이스의 커버에 끼워지는 레이블에 다수의 이미지를 분할하여 인쇄하고 화면확대수단을 통하여 특정이미지의 영상을 구성할 수 있도록 레이블을 이동시킴으로서, 사용자에게 흥미를 유발하고 또한 시디 콘텐츠와 연관된 내용을 표시할 수 있어서 광고효과와 정보제공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시디케이스의 레이블을 이용한 다중이미지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팩트디스크(CD)나 디브이디(DVD)(이하 "시디"라 통칭함)는 대용량의 데이터 저장기능 때문에 음악이나 동영상의 저장매체(오디오시디, 데이터시디)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오디오, 뮤직비디오의 경우에는 시디를 수납하는 케이스에 가수나 그룹의 광고를 위하여 사진을 인쇄한 레이블(label)을 부착한다. 또한 영화시디의 경우에도 출연배우의 얼굴이나 영화중의 인상적인 장면들을 인쇄하여 부착한다. 그러나 이러한 레이블은 단순한 사진으로서 아무런 변화가 없기 때문에 레이블을 보는 사용자들의 호기심을 유발하는데 실패하고 있다.
또한 시디케이스에는 외부로 표시되는 면이 표면과 배면의 2면으로 한정되기 때문에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레이블을 여러장 겹친 형태로 제작하고 있으나, 사용상의 불편함을 초래하고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시디를 구매한 사용자가 그 안에 수록된 노래의 가사를 보기 위하여서는 시디케이스의 커버를 열고 레이블을 꺼낸 후에 펼쳐서 원하는 노래의 가사를 찾아야 한다. 또한 데이터 시디의 경우에는 그 안에 수록된 콘텐츠의 종류나 인덱스등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찾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역시 레이블을 시디 케이스로부터 꺼낸 후에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시디를 구매하는 사용자에게 흥미를 유발할 수 있으며, 또한 시디에 저장된 내용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시디케이스가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시디케이스의 커버에 끼워지는 레이블에 다수의 이미지를 분할하여 인쇄하고 화면확대수단을 통하여 특정이미지의 영상을 구성할 수 있도록 레이블을 이동시킴으로서, 사용자에게 흥미를 유발하고 또한 시디 콘텐츠와 연관된 내용을 표시할 수 있어서 광고효과와 정보제공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시디케이스의 레이블을 이용한 다중이미지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시디케이스가 삽입된 표시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시디케이스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절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하기 위한 이미지들의 조각분할상태도,
도 5는 이미지결합부에 결합(인쇄)되는 이미지 조각들의 결합상태도,
도 6은 렌즈부의 하나의 렌즈와 이미지결합부의 확대단면도,
도 7은 시디케이스를 수납하기 위한 베이스의 부분절개도,
도 8은 수동조작을 위하여 이미지결합부에 설치된 이동부의 설치상태도,
도 9는 수동조작을 위한 시디케이스의 일실시예의 측면도,
도 10은 수동조작을 위한 시디케이스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시디케이스 11: 고정부
12: 커버 14: 렌즈부
14a: 볼록부 14b: 평면부
16: 이미지결합부 18: 공간절개부
20: 활주부 21: 이동부
22: 베이스 24: 구동모터
26: 캠 28: 온/오프스위치
30: 고정판 32: 시디
A,B,C,D: 이미지(사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시디케이스의 레이블을 이용한 다중이미지 표시장치는, 시디케이스(10)의 커버(12)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에는볼록부(14a)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평면부(14b)가 형성된 다수의 렌즈가 인접하여 설치된 렌즈부(14); 상기 렌즈부(14)의 하부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이미지결합부의 이동상태에 따라서 렌즈부(14)의 다수의 볼록부(14a)를 통하여 선택된 하나의 이미지가 완전하게 표시하도록 분할된 다수의 이미지 조각들이 순차적으로 결합된 이미지결합부(16); 상기 이미지결합부(16)의 일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시디케이스(10)의 고정부(11)에 형성된 공간절개부(18); 및 상기 공간절개부(18)를 통하여 노출된 이미지결합부(16)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이 구비된 베이스(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자동조작 대신에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하여 다양한 이미지 또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이미지결합부에 형성되는 이동부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시디케이스의 레이블을 이용한 다중이미지 표시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다중이미지 표시장치의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이미지가 분할, 인쇄된 레이블(이하 "이미지결합부"라고 통칭함)을 가진 시디케이스(10)와, 상기 시디케이스(10)를 수납하며 이미지결합부를 이동시켜서 다수의 이미지가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베이스(22)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렌즈부를 통하여 나비의 정지이미지가 표시되어 있으나, 이미지결합부에 인쇄된 이미지들은 각각 조각분할된 상태에서 결합, 인쇄되기 때문에 육안으로 정확한 식별이 불가능하다.
상기 시디케이스(10)의 커버내측에는 다수의 볼록부를 가진 렌즈부(미도시됨)가 부착되어 있어서 이미지결합부에 인쇄된 이미지가 외부에 표시될 때 확대하여 표시한다. 시디케이스(10)의 이미지결합부에 인쇄된 이미지는 베이스(22)에 구비되어 있는 이동수단(미도시됨)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로 이동된다. 이동수단에 의하여 이미지결합부가 이동됨에 따라서 완전한 이미지가 소정시간동안 표시된 후에 다른 이미지가 표시된다.
표시되는 이미지는 임의의 연속되는 동작을 표시하는 이미지이거나 독립적인 이미지이다. 연속되는 이미지의 예를 들면 야구선수의 일련의 투구모습이 되거나 나비나 새가 날아가는 모습이 될 수 있다. 독립적인 이미지의 예를 들면, 가수나 그룹의 멤버들의 얼굴이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베이스(22)는 도면에 표시된 술잔모양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본 고안에 의한 시디케이스(10)를 도 2의 평면도 및 도 3의 절단면도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시디케이스(10)는 종래 사용되는 시디케이스와 유사하며, 커버(12)의 내부에는 다수의 렌즈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렌즈부(14)가 부착되고, 커버(12)를 회동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11)의 중앙에 공간절개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렌즈부(14)는 레이블에 인쇄되어 있는 이미지(사진)들을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확대,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공간절개부(18)는 레이블의 일단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공간절개부(18)를 통하여 베이스(22)에 구비된 이동수단의 캠(도 3의 26)이 이미지결합부(16)의 노출된 단부와 접촉되어서 이미지결합부(16)를 이동시키게 된다.
도 3은 도 2의 A-A선 절단면도로서, 커버(12)의 내측에 위치한 렌즈부(14)와 렌즈부(14)의 하부에 위치한 이미지결합부(16)가 표시되어 있다. 이미지결합부(16)의 하부에는 시디(32)가 종래와 같이 고정된다. 또한 고정부(11)의 중앙에는 공간절개부(18)가 형성되어 있다. 공간절개부(18)를 통하여 이미지결합부(16)의 일부분이 노출된다. 노출을 위하여 이미지결합부(16)의 일부분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부로 노출된 부분은 시디케이스(10)가 베이스(22)에 안착되면 이동수단의 캠(26)과 접촉되며, 공간절개부(18)를 통하여 노출된 이미지결합부(16)의 단부가 캠(26)에 의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동수단의 상세한 구조가 도 7에 표시되어 있다. 렌즈부(14)와 이미지결합부(16)는 이미지결합부(16)가 이동함에 따라서 조각상태로 결합된 이미지가 렌즈부(14)를 통하여 하나의 완전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도록 위치가 설정된다.
상기 렌즈부(14)는 상부측으로 볼록부(14a)가 형성되고 하부측으로는 평면부(14b)가 형성된 렌즈가 다수 개 인접하여 형성된다. 렌즈부(14)의 하부에 위치한 이미지가 인쇄된 이미지결합부(16)의 표면이 평면부(14b)와 대면하고 있으며, 이미지는 다수의 조각으로 분할되어 있다. 렌즈부(14)는 이미지결합부(16)의 분할된 이미지중의 하나의 완전한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위치가 조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버(12) 자체를 렌즈부(14)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말하면, 커버(12)는 투명재질의 플라스틱으로 제조하는데, 렌즈부(14)의 형상을 역시투명재질의 플라스틱으로 제조하여 커버대신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이미지결합부(16)의 이미지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A(A1-A6), B(B1-B6), C(C1-C6),..들은 각각 이미지(사진)들로서, 일련의 연계되는 동작을 표시하고 있다. 도면에서는 나비가 날개짓하면서 날아가는 동작이 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연속동작을 하는 이미지 A, B, C, D,...를 각각 다수의 조각(A1,A2,,..A6, B1,B2,..B6, C1,C2,..C6, D1,..)으로 분할한다. 각각의 분할된 조각들은 모두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각각 분할된 이미지조각들은 이미지결합부(16)에 의하여 결합된다. 이 때 결합되는 순서는 도 5를 참고하면 A1,B1,C1,D1,E1,F1, A2,B2,C2,D2,..와 같은 순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이미지들이 분할된 조각상태로 새롭게 배열되기 때문에 육안으로 어떠한 이미지인지 식별하는 것이 어렵다. 그러나 렌즈부(14)를 통하여 사용자는 정상적인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이미지결합부(16)가 직사각형으로 구성되지만, 실제 이미지의 크기 및 조각들의 크기를 조정함으로서 정사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고안에서의 이미지 결합부는 임의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것은 렌즈부(14)의 형태에도 역시 적용된다.
상기 설명에서는 이미지 조작들이 재배열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실제로는 각각의 결합된 조각들을 원판으로하여 이미지결합부(16)를 인쇄하여 제작하는 것이 대량생산에 유리하다. 또한 도면에서는 이미지들이 상호분리된 조각으로표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종이위에 인쇄된 상태이기 때문에 측면에서의 확인이 불가능한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미지결합부(16)를, 렌즈부(14)의 하나의 렌즈와 그에 대응하는 이미지결합부(16)의 일부분을 이용하여 표시상태를 설명한다.
도 6을 참고하면, 렌즈의 평면부(14b)의 소정위치(도면에서는 중앙부(OP))에 이미지결합부(16)의 하나의 조각(도면에서는 C1)이 위치하면 위치된 부분의 이미지가 볼록부(14a)를 통하여 확대되면서 표시된다. 이 때 렌즈부(14)의 인접한 다른 렌즈의 볼록부(14a)를 통하여 동일한 이미지의 다른 조각(C2,C3,..C6)가 동시에 확대되면서 표시된다. 이러한 확대표시상태에 의하여 렌즈부(14) 전체로서는 하나의 통일된 이미지 C가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정지된 상태의 이미지 C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정지된 상태에서 이미지결합부(16)를 약간 이동시켜 평면부(14b)의 중앙부(OP)에 이미지 조각 D1을 위치시키면, 인접한 다른 렌즈의 볼록부(14a)를 통하여 조각(D2,D3,..,D6)가 동시에 확대표시되면서 역시 하나의 통일된 이미지를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육안으로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정지된 이미지의 표시상태를 이미지결합부(16)를 신속하게 이동시키면 서로 연속되는 동작이 나타나므로 사용자는 동영상으로 인식하게 된다.
렌즈의 크기(또한 OP의 크기)는 이미지의 조각수에 따라서 변경이 가능하다. 도면에서는 A1-F1의 6개의 조각으로 이미지가 분리된 상태이지만, 조각수를 3개 또는 4개로 감소시키면 렌즈의 크기 및 OP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렌즈부(14)의 크기는 이미지결합부(16)의 크기에 맞추어서 상호간에 최적의 상태로 변경시킬 수 있음은 명백하다.
도 7에는 이미지결합부(16)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이 구비된 베이스(22)의 부분절개도가 도시되어 있다. 베이스(22)의 상부측에 형성된 이동수단은 구동모터(24)와, 상기 구동모터(24)의 회전축에 축설된 캠(26)과, 상기 구동모터(24)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판(30)과, 온/오프 스위치(28)로 구성된다. 또한 도면에 표시되지 않았지만 구동모터(24)에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가 이면에 설치되어 있다. 밧데리는 건전지 이외에도 정류장치를 내장하여 교류전원을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또한 온/오프 스위치(28)가 베이스(22)의 내부에 설치된 것을 예로 들었지만, 베이스(22)의 외부에 온/오프 스위치(28)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후자의 경우에는 이미지변경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 시디케이스(10)를 베이스(22)에 삽입한 상태에서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베이스(22)에 시디케이스(10)를 수직으로 삽입하여 완전히 결합되면 도 3에 표시된 것과 같이 캠(26)의 외단부가 이미지결합부(16)의 노출된 단부에 접촉된다. 이 때 시디케이스(10)의 삽입에 의하여 온/오프 스위치(28)가 온상태로 전환되면서 전원이 공급되면 캠(26)이 회전하면서 이미지결합부(16)를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서 렌즈부(14)를 통하여 이미지가 표시된다.
캠(26)은 공간절개부(18)를 통하여 이미지결합부(16)와 접촉된다. 캠(26)의 회전에 따라서 이미지결합부(16)에 인쇄되어 있는 서로 다른 이미지들이 연속하여렌즈부(14)를 통하여 표시된다. 구동모터(24)의 회전속도를 조정함으로서 이미지의 표시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는 캠(26)의 크기와 형태를 조정하여 이미지의 표시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의 설명에서 이동수단은 구동모터와 캠을 이용한 것을 예로 들었지만, 다른 변형이나 변경도 가능하며, 이러한 변경이나 변형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임은 명백하다.
이미지결합부(16)에 인쇄된 이미지가 일련의 연속동작이라면 사용자는 연속되는 동작으로 인식한다. 또한 이미지가 독립적인 이미지, 주로 사진이라면 사용자는 각각의 독립된 사진으로 인식한다. 이러한 인식작용은 구동모터(24)에 의한 이미지 변경속도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 설명에서는 구동모터(24)에 의하여 이미지결합부(16)가 작동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수동조작으로 이미지결합부(16)를 이동시키는 구조도 가능하다.
도 8은 이미지결합부(16)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21)의 설치상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21)가 이미지결합부(16)의 일측면과 하부면에 돌출된 형태(점선으로 표시됨)로 형성되어 있다. 이동부(21)는 이미지결합부(16)와 동일재질로 일체로 형성하거나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연질의 재질을 이용하여 별도로 제작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이동부(21)의 설치위치도 이미지결합부(16)의 측면에 부착시킬 수 있음은 명백하다. 특히 이동부(21)가 측면에 형성된 경우는 베이스(22)에 구비된 이동수단을 이용한 경우에 캠(26)과 접촉되어 이동되는 이미지결합부(16)로 사용될 수 있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이동부(21)를 가진 이미지결합부(16)를 적용한 시디케이스(12)의 측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동부(21)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이동부(21)의 이동을 제한하고 또한 이동부(21)와 이미지결합부(16)가 상호연동될 수 있도록 연결공간을 제공하는 활주부(20)가 표시되어 있다. 상기 활주부(20)는 실제로는 시디케이스(10)의 커버측면에 형성된 공간이다.
사용자가 이동부(21)를 이동시키면 이동부(21)의 이동상태에 따라서 도 4에 표시된 것과 같은 이미지(나비의 날개짓)가 연속적으로 표시되면서 동작상태를 나타나게 된다. 사용자는 간단한 동작에 의하여 종래 사용되는 단순한 정지이미지와는 다른 동적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0 이동부(21)의 부착위치를 변경한 다른 실시예이다.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21)는 시디케이스(10)의 커버(12) 측면에 부착되어 있다. 이동부(21)는 이미지결합부(16)와 일체로 형성하거나 또는 분리된 소재로 제작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이것을 실제로 도 8에서 이미지결합부(16)의 측면에 부착된 이동부(21)를 이용한 경우의 실시예이다.
이미지결합부(16)는 수동으로 작동되기 때문에 이동부(18)를 이용하여 이동시킨 후에 자동으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복구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다시말하여, 이미지결합부(16)의 타단부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수단을 설치하고, 이동부(18)를 이용하여 이미지결합부(16)를 이동시켜서 특정동작을 표시한 후에 손을 놓으면 자동으로 최초 위치로 복귀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미지가 아니라 문자정보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도록 복구수단을 사용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도면에서 정지된 상태의 기준위치는 조각 A1의 SP가 중앙부(OP)의 좌측단부와 일치시켜서 설정한다.
본 고안의 상기 설명에서는 이미지를 이용한 동적작동상태를 예로 들었지만, 시디의 콘텐츠에 관련된 내용도 마찬가지로 제공할 수 있다. 이것은 동적작동이 아니라 일반적인 정지이미지로서 제공되며, 그림이나 도형이 아닌 문자등과 같은 정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 표지를 통하여 하나의 면을 제공하는 것과 비교하여 볼 때 레이블을 꺼내지 않고서도 최대한 7~8개 면에 해당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표시장치는 시디케이스에 적용된 것이 설명되었지만, 사진이나 광고를 위한 액자나 광고판등에도 역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액자의 경우에는 시디케이스(10)에서 시디(32)를 수납하고 공간을 제거하고, 이미지결합부(16)를 사진으로 대체할 수 있다. 또한 광고판도 역시 이미지결합부(16)에 광고를 인쇄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시디케이스의 커버에 부착되는 레이블에 다양한 형태의 순간적인 화상을 표시함으로서, 사용자에게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으며 또는 시디의 콘텐츠와 연관된 내용을 표시할 수 있어서 광고효과 또는 정보제공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시디케이스(10)의 커버(12)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에는 볼록부(14a)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평면부(14b)가 형성된 다수의 렌즈가 인접하여 설치된 렌즈부(14);
    상기 렌즈부(14)의 하부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이미지결합부의 이동상태에 따라서 렌즈부(14)의 다수의 볼록부(14a)를 통하여 선택된 하나의 이미지가 완전하게 표시하도록 분할된 다수의 이미지 조각들이 순차적으로 결합된 이미지결합부(16);
    상기 이미지결합부(16)의 일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시디케이스(10)의 고정부(11)에 형성된 공간절개부(18); 및
    상기 공간절개부(18)를 통하여 노출된 이미지결합부(16)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이 구비된 베이스(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디케이스의 레이블을 이용한 다중이미지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결합부(16)에 결합되는 조각 이미지들이 인쇄되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디케이스의 레이블을 이용한 다중이미지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2)의 이동수단이 구동모터(24)와, 상기 구동모터(24)의 회전축에 축설된 캠(26)과, 상기 구동모터(24)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판(30)과, 온/오프 스위치(2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시디케이스의 레이블을 이용한 다중이미지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오프 스위치(28)가 베이스(22)의 외부 표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디케이스의 레이블을 이용한 다중이미지 표시장치.
  5. 시디케이스(10)의 커버(12)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에는 볼록부(14a)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평면부(14b)가 형성된 다수의 렌즈가 인접하여 설치된 렌즈부(14);
    상기 렌즈부(14)의 하부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이미지결합부의 이동상태에 따라서 렌즈부(14)의 다수의 볼록부(14a)를 통하여 선택된 하나의 이미지가 완전하게 표시하도록 분할된 다수의 이미지 조각들이 순차적으로 결합된 이미지결합부(16);
    상기 이미지결합부(16)를 수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이미지결합부(16)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이동부(21); 및
    상기 커버(12)의 표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이동부(21)의 이동상태를 제한하는 활주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디케이스의 레이블을 이용한 다중이미지 표시장치.
KR2020020021459U 2002-07-18 2002-07-18 시디케이스의 레이블을 이용한 다중이미지 표시장치 KR2002910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459U KR200291055Y1 (ko) 2002-07-18 2002-07-18 시디케이스의 레이블을 이용한 다중이미지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459U KR200291055Y1 (ko) 2002-07-18 2002-07-18 시디케이스의 레이블을 이용한 다중이미지 표시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2022A Division KR20040008390A (ko) 2002-07-18 2002-07-18 시디케이스의 레이블을 이용한 다중이미지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1055Y1 true KR200291055Y1 (ko) 2002-10-04

Family

ID=73077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1459U KR200291055Y1 (ko) 2002-07-18 2002-07-18 시디케이스의 레이블을 이용한 다중이미지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105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5346A (en) Process and display with moveable images
US5833068A (en) Flat box system with multiple view optics
US5494445A (en) Process and display with moveable images
US5364274A (en) Process for producing a display with moveable images
US5941382A (en) Box container systems and display frames with multiple view optics
US5588526A (en) Flat box system with multiple view optics
US5782347A (en) Box container systems and display frames with multiple view optics
US5823344A (en) Display systems with multiple view optics
US6549503B2 (en) Disc player system
US7363738B2 (en) Planar display device with sliding reveal member or members
US5769227A (en) Box container systems and display frames with two-dimensional multiple view optics
JP6618048B2 (ja) 照明装置及び画像記録媒体
JP2015043317A (ja) 照明装置及び画像記録媒体
KR200291055Y1 (ko) 시디케이스의 레이블을 이용한 다중이미지 표시장치
KR20040008390A (ko) 시디케이스의 레이블을 이용한 다중이미지 표시장치
US601281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ewing depth images
KR20160009903A (ko) 더블 무빙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장치
Leskosky Phenakiscope: 19th century science turned to animation
US3122966A (en) butterfield
KR0185395B1 (ko) 테이프 카세트
CN214083581U (zh) 一种沉浸式剧场展示的立体书
US3572915A (en) Apparatus for producing forms and colors in motion
US20060150460A1 (en) Image viewing device and method of use
US391403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stationary film record having sequentially displayable images
CN110021197A (zh) 一种基于视觉传达设计的教学演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