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0917Y1 - 벽걸이식 전기 보일러 - Google Patents

벽걸이식 전기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0917Y1
KR200290917Y1 KR2020020019865U KR20020019865U KR200290917Y1 KR 200290917 Y1 KR200290917 Y1 KR 200290917Y1 KR 2020020019865 U KR2020020019865 U KR 2020020019865U KR 20020019865 U KR20020019865 U KR 20020019865U KR 200290917 Y1 KR200290917 Y1 KR 2002909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ter tank
housing
wall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98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광태
Original Assignee
배광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광태 filed Critical 배광태
Priority to KR20200200198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09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09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0917Y1/ko

Links

Landscapes

  • Housings, Intake/Discharge, And Installation Of Fluid Heat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벽걸이식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온수공급과 난방을 겸용할 수 있는 벽걸이식 전기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라서, 수도 입구(11), 온수 출구(12), 난방수 입구(13) 및 난방수 출구(14)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 내에 설치되어 열수를 수용하고 있으며 공기로 차있는 팽창공간이 구비되어 있는 열수 탱크(20)와; 상기 열수 탱크(20) 내부에 설치되어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원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전기히터(30)와; 상기 열수 탱크(20) 내의 상기 전기히터(30) 주위에 감겨지도록 설치되는 코일형 파이프(41)와; 상기 하우징(10) 및 상기 열수 탱크(2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열수 탱크(20) 내로부터 공기를 자유롭게 유동시키는 배기관(50)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10)의 배면부에는 상기 하우징(10)을 벽면에 장착시키기 위한 장착부(6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식 전기 보일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벽걸이식 전기 보일러{Electric boiler of wall mounted type}
본 고안은 전기를 이용함으로써 물을 가열시키기 위한 전기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벽걸이식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온수공급과 난방을 겸용할 수 있는 벽걸이식 전기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보일러는 의류, 식품 등의 생산, 식당, 실험실, 사우나, 미용실 등 다양한 업종의 사업장뿐만 아니라 가정에서도 온수공급과 난방을 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물을 가열하는 방법에 따라서 여러 가지 종류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기름이나 가스를 이용하여 물을 가열하는 방법과, 전기를 이용하여 물을 가열하는 방법으로 나눠진다.
그 중에서 기름이나 가스 등의 화석연료를 이용하는 보일러의 경우에는 연료가 공급되는 파이프와 배기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연통 등이 추가적으로 요구됨에 따라 장치가 대형화되고, 전기를 이용하는 보일러의 경우에도 실내 바닥에 설치됨에 따라, 실내의 유효면적을 많이 차지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종래의 보일러는 열수 탱크 내의 열수의 온도가 증가함에 따른 열팽창으로 인하여 별도의 보충수 탱크가 설치되어야 하였기 때문에, 배관이 복잡해지는 동시에 보충수 탱크에 의한 열손실이 커지게 되고 열팽창시 소음이 크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써,본 고안의 목적은, 전기를 이용하여 물을 가열시키도록 함에 따라 장치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으며, 실내 공간의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벽면에 걸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동시에 보충수 탱크를 제거하여 배관을 간소화하고 열손실과 소음을 줄일 수 있는 벽걸이식 전기 보일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식 전기 보일러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벽걸이식 전기 보일러의 장착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우징 11 : 수도 입구
12 : 온수 출구 13 : 난방수 입구
14 : 난방수 출구 15 : 순환펌프
16 : 컨트롤러 17 : 솔레노이드 밸브
18 : 수동 급수밸브 19 : 걸림구멍
20 : 열수 탱크 21 : 저수위 센서
30 : 전기히터 31 : 가열관
41 : 코일형 파이프 45 : 급수 파이프
46 : 난방수 공급 파이프 50 : 배기관
51 : 배기구 60 : 장착부
61 : 지지부재 69 : 걸림돌기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라서, 수도 입구, 온수 출구, 난방수 입구 및 난방수 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열수를 수용하고 있으며 공기로 차있는 팽창공간이 구비되어 있는 열수 탱크와; 상기 열수 탱크 내부에 설치되어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원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전기히터와; 상기 열수 탱크 내의 상기 전기히터 주위에 감겨지도록 설치되는 코일형 파이프와;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열수 탱크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열수 탱크 내로부터 공기를 자유롭게 유동시키는 배기관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배면부에는 상기 하우징을 벽면에 장착시키기 위한 장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식 전기 보일러가 제공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벽걸이식 전기 보일러는, 상기 전기히터에 의해서 가열된 열수를 난방수로서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와, 상기 열수 탱크 내에 담겨있는 물의 수위를 검출하기 위한 저수위 센서와, 상기 저수위 센서에 의해 검출된 검출값에 근거하여 컨트롤러의 지시에 의해 상기 열수 탱크 내로 물을 보충하기 위해서 작동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열수 탱크의 내부에는 상기 저수위 센서가 위치된 곳까지만물이 차있고 나머지 공간은 팽창공간으로 활용되며, 상기 전기히터는 상기 열수 탱크 내에 저장되어 있는 물을 빼지 않고도 상기 전기히터를 교체할 수 있도록 가열관에 의해서 감싸지며, 상기 배기관의 끝은 상기 열수 탱크 내의 상부벽면 가까이 근접하여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한 개 이상의 걸림돌기가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형성된 걸림구멍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은 걸림구멍에 걸림돌기가 걸림으로서 벽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벽걸이식 전기 보일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벽걸이식 전기 보일러는, 바닥면에 수도 입구(11), 온수 출구(12), 난방수 입구(13) 및 난방수 출구(14)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 내에 설치되어 열수를 수용하고 있으며 공기로 차있는 팽창공간이 구비되어 있는 열수 탱크(20)와, 상기 열수 탱크(20) 내부 하부에 설치되어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원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전기히터(30)와, 상기 열수 탱크(20) 내의 상기 전기히터(30) 주위에 감겨지도록 설치되는 코일형 파이프(41)와, 상기 하우징(10) 및 상기 열수 탱크(2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열수 탱크(20) 내로부터 공기를 자유롭게 유동시키는 배기관(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벽걸이식 전기 보일러는, 상기 전기히터(30)에 의해서 가열된 열수를 난방수로서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15)와, 상기 열수 탱크(20) 내에 담겨있는 물의 수위를 검출하기 위한 저수위 센서(21)와, 상기 저수위 센서(21)에 의해 검출된 검출값에 근거하여 컨트롤러(16)의 지시에 의해 상기 열수 탱크(20) 내로 물을 보충하기 위해서 작동되는 솔레노이드 밸브(17)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수도 입구(11)는 세갈래로 분기되는 급수 파이프(45)를 통하여 상기 열수 탱크(20)와 연통되어 있다. 급수 파이프(45)의 세갈래로 분기된 분기관 중 제1 분기관(45a)은 상기 코일형 파이프(41)의 일단과 연결되어 온수를 공급하며, 제2 분기관(45b)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7)를 개재하여 상기 열수 탱크(20)와 연통되며, 제3 분기관(45c)은 수동으로 작동하는 급수밸브(18)를 개재하여 상기 열수 탱크(20)와 연통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온수 출구(12)는 상기 코일형 파이프(41)의 타단과 연결되어 보일러 외부로 온수를 공급한다.
상기 하우징(10)의 난방수 입구(13)는 보일러 외부의 난방회로(도시생략)와 연결되어 이 난방회로를 거치면서 냉각된 난방수를 상기 열수 탱크(20)로 복귀시킨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난방수 출구(14)는 상기 순환펌프(15)가 설치된 난방수 공급 파이프(46)와 연결되어, 상기 순환펌프(15)에 의해서 가열된 난방수는 상기 열수 탱크(20)로부터 난방회로로 공급될 수 있다.
또, 상기 하우징(10)의 배면부에는 상기 하우징(10)을 벽면에 장착시키기 위한 장착부(60)가 형성되어 있다(도 2 참조).
상기 열수 탱크(20)의 내부에는 상기 저수위 센서(21)가 위치된 곳까지만 물이 차있게 되며 나머지 공간은 팽창공간으로 활용된다. 상기 전기히터(30)에 의해서 가열된 열수는 점차로 부피가 팽창하기 때문에 수위가 높아지게 된다. 이 때상기 열수 탱크(20)의 내부에는 팽창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보일러와 같이 보충수 탱크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부피가 팽창되는 열수는 팽창공간 내의 공기를 배기관(50)과 배기구(51)를 통하여 하우징(10) 밖으로 밀어낼 수 있으며, 부피가 감소되면 배기구(51)와 배기관(50)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를 빨아들일 수 있다. 상기 배기관(50)이 상기와 같이 기능하기 위해서 상기 배기관(50)의 끝은 상기 열수 탱크(20) 내의 상부벽면 가까이 근접하여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전기 보일러는, 물을 가열하는 가열원으로서 전기히터(30)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가스나 기름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장치가 소형화됨은 물론, 배기가스가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연통과 같은 구성요소가 불필요하다.
상기 전기히터(30)는, 열수 탱크(20)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열수 탱크(20)를 감싸도록 설치될 수도 있는 등, 열수 탱크 내부의 물을 가열시킬 수 있다면 어떤 구성이어도 좋지만,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수 탱크(20) 내부의 바닥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더욱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식 전기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전기히터(30)는 상기 열수 탱크(20) 내에 저장되어 있는 물을 빼지 않고도 상기 전기히터(30)를 교체할 수 있도록 가열관(31)에 의해서 감싸진다.
상기 코일형 파이프(41)의 일단은 상기 급수 파이프(45)의 제1 분기관(45a)과 연결되고 그 타단은 온수 출구(12)와 연결되며, 상기 전기히터(30) 주위에 감겨지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코일형 파이프(30)는 열전도율이 높은 동과 같은소재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수위 센서(21)는 상기 열수 탱크(20)의 외부 소정위치에 부착되어 열수 탱크 내의 수위가 상기 저수위 센서(21) 아래로 내려가면 상기 컨트롤러(16)로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컨트롤러(16)는 상기 저수위 센서(21)에 의한 검출값에 근거하여 열수 탱크(20) 내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7)를 개방시킨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7)가 개방되면 수도 입구(11)와 급수 파이프의 제2 분기관(45b)을 통하여 물이 열수 탱크(20) 내로 공급된다.
이 때 물을 보다 신속하게 공급해야 할 필요가 있거나 추가적으로 공급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상기 급수 파이프의 제3 분기관(45c)에 설치된 수동 급수밸브(18)를 개방시켜 물을 열수 탱크(20) 내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60)는, 한 개 이상의 걸림돌기(69)가 형성된 지지부재(61)와, 상기 하우징(10)의 배면에 형성된 걸림구멍(19)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지지부재(61)는, 전기 보일러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미리 못 등의 고정부재로 고정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10)은 걸림구멍(19)에 걸림돌기(69)가 걸림으로서 벽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걸림구멍(19)과 걸림돌기(69)의 형상은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하우징(10)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형상을 가져도 좋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지지부재(61)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하우징(10)의 배면에 걸림구멍이 형성된 것으로 개시되었지만, 지지부재(61)에 걸림구멍이 형성되고 하우징(10)의 배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전기를 이용하여 물을 가열시키도록 함에 따라 장치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보일러는 벽면에 걸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바닥면에 설치되는 종래의 전기 보일러에 비하여 실내 공간의 활용도를 극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보일러에 의하면, 종래의 전기 보일러에서와 같은 보충수 탱크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배관이 간소화되고 불필요한 열손실과 소음이 감소된다.

Claims (3)

  1. 수도 입구(11), 온수 출구(12), 난방수 입구(13) 및 난방수 출구(14)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 내에 설치되어 열수를 수용하고 있으며 공기로 차있는 팽창공간이 구비되어 있는 열수 탱크(20)와;
    상기 열수 탱크(20) 내부에 설치되어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원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전기히터(30)와;
    상기 열수 탱크(20) 내의 상기 전기히터(30) 주위에 감겨지도록 설치되는 코일형 파이프(41)와;
    상기 하우징(10) 및 상기 열수 탱크(2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열수탱크(20) 내로부터 공기를 자유롭게 유동시키는 배기관(50)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10)의 배면부에는 상기 하우징(10)을 벽면에 장착시키기 위한 장착부(6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식 전기 보일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히터(30)에 의해서 가열된 열수를 난방수로서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15)와, 상기 열수 탱크(20) 내에 담겨있는 물의 수위를 검출하기 위한 저수위 센서(21)와, 상기 저수위 센서(21)에 의해 검출된 검출값에 근거하여 컨트롤러(16)의 지시에 의해 상기 열수 탱크(20) 내로 물을 보충하기 위해서 작동되는 솔레노이드 밸브(17)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열수 탱크(20)의 내부에는 상기 저수위 센서(21)가 위치된 곳까지만 물이 차있고 나머지 공간은 팽창공간으로 활용되며,
    상기 전기히터(30)는 상기 열수 탱크(20) 내에 저장되어 있는 물을 빼지 않고도 상기 전기히터(30)를 교체할 수 있도록 가열관(31)에 의해서 감싸지며,
    상기 배기관(50)의 끝은 상기 열수 탱크(20) 내의 상부벽면 가까이 근접하여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식 전기 보일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60)는,
    한 개 이상의 걸림돌기(69)가 형성된 지지부재(61)와, 상기 하우징(10)의 배면에 형성된 걸림구멍(19)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10)은 걸림구멍(19)에걸림돌기(69)가 걸림으로서 벽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식 전기 보일러.
KR2020020019865U 2002-07-03 2002-07-03 벽걸이식 전기 보일러 KR2002909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865U KR200290917Y1 (ko) 2002-07-03 2002-07-03 벽걸이식 전기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865U KR200290917Y1 (ko) 2002-07-03 2002-07-03 벽걸이식 전기 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0917Y1 true KR200290917Y1 (ko) 2002-10-07

Family

ID=73125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9865U KR200290917Y1 (ko) 2002-07-03 2002-07-03 벽걸이식 전기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091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692B1 (ko) 2007-03-28 2008-05-29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순간식 전기보일러용 열교환기
KR100890116B1 (ko) 2007-09-20 2009-03-24 이동호 상향식 보일러
KR101314922B1 (ko) 2012-01-20 2013-10-04 김영규 전기보일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692B1 (ko) 2007-03-28 2008-05-29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순간식 전기보일러용 열교환기
KR100890116B1 (ko) 2007-09-20 2009-03-24 이동호 상향식 보일러
KR101314922B1 (ko) 2012-01-20 2013-10-04 김영규 전기보일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87401A (en) Electric water heating appliance
KR200290917Y1 (ko) 벽걸이식 전기 보일러
KR100393917B1 (ko) 열매체유를 이용한 전기보일러
US20040149742A1 (en) System to heat liquids
US11624512B2 (en) Tankless water heater having integrated scale control module
US5433379A (en) Dual tank water heating system
KR101752395B1 (ko) 스팀과 온수 복합 보일러
KR100292244B1 (ko) 전기보일러용 급가열장치
KR200237878Y1 (ko) 벽걸이식 전기 증기발생기
JP4703898B2 (ja) 壁貫通型燃焼器具
KR200179637Y1 (ko) 온수가열순환장치
KR200277360Y1 (ko) 전기보일러
KR890002764Y1 (ko) 전기 온수 보일러
KR200219771Y1 (ko) 열매체유를 이용한 전기보일러
KR20220021135A (ko) Iot 삽입 온수 보일러
KR100653894B1 (ko) 난방용 보일러
KR20100067528A (ko) 에너지 절약형 전기보일러
KR900006506Y1 (ko) 증기 보일러
KR200351372Y1 (ko) 유수감지센서를 가진 보일러
KR100438362B1 (ko) 에너지 절약형 물탱크 온수보일러 난방장치
KR100745379B1 (ko) 연탄보일러의 온수 공급 및 순환장치
KR100244106B1 (ko) 저탕식보일러의 온수저탕조
KR200190749Y1 (ko) 온수사용을 위한 보일러용 보조탱크
KR101632568B1 (ko) 실내 설치형 보일러
KR200254378Y1 (ko) 에너지 절약형 물탱크 온수보일러 난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