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0514Y1 - 파워스크류못 - Google Patents

파워스크류못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0514Y1
KR200290514Y1 KR2020020018676U KR20020018676U KR200290514Y1 KR 200290514 Y1 KR200290514 Y1 KR 200290514Y1 KR 2020020018676 U KR2020020018676 U KR 2020020018676U KR 20020018676 U KR20020018676 U KR 20020018676U KR 200290514 Y1 KR200290514 Y1 KR 2002905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screw
nail
boundary line
fasten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86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재
Original Assignee
새한공업(주)
정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새한공업(주), 정영재 filed Critical 새한공업(주)
Priority to KR20200200186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05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05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0514Y1/ko

Links

Landscapes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워스크류못에 관한 것으로서, 네일바디의 외주연에 나사산을 형성하거나 돌출하는 걸림턱부를 가지는 파워스크류못에 있어서; 상기 나사산은 경계선(L)에서 좌우로 분리형성되는 나사산체결부이고, 상기 분리된 나사산체결부는 상기 경계선에 대하여 나사산의 나사산 회전각이 반대향 하여 형성되도록 상기 나사산각과 피치가 가변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네일바디에 형성되는 나사산체결부를 분리된 영역으로 구성하여 서로 반대향하는 나사산을 부여하고 나사산각의 조절과 직경의 조절로서 소망하는 목적, 즉 체결의 견고성과 체결가공의 용이성을 동시에 부여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파워스크류못{Nails with powered screws}
본 고안은 파워스크류못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네일바디의 외주연에 체결력 증대를 위해 꼬임형 나사산부나 걸림턱을 형성하는 종래로 부터의 파워스크류못에 있어서, 체결력 증대를 위한 구성을 부가적으로 제공한 파워스크류못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못은 선형(線形)의 금속재를 가공하여 프레스등의 가공공정을 거쳐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몸체와 용도에 따라 무두(無頭) 혹은 유두(宥頭)로 형성되는 머리로 크게 구성되며, 이러한 못은 목재, 콘크리트 등을 비롯하여 각종 부재의 체결, 고정수단으로 사용되고, 특히, 건축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파워스크류못은 체결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도 1 A 에서와 같이,
파워스크류못(1)은 네일몸체(10) 외주연에 축방향으로 꼬임을 부여한 나사산체결부(11)를 형성하거나, 도 1 B 에서와 같이 진행축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다수의 단이 진 단턱인 걸림앵커턱(12)을 형성한 스크류못으로 가공하여 체결력 증대를 도모하고 있고 이러한 못은 지붕 슁글의 고정이나 벽체의 고정, 다른 재질의 부재 간의 결합 등에 아주 유용하게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파워스크류못은 그 용도가 다양하여 다량으로 소비되고 있으나 하기와 같은 부가적인 문제점을 가지는 것으로서 밝혀졌다.
상기하는 구성의 파워스크류못은 그 체결력은 대단히 높으나, 반복적인 진동 등의 풀림외력이 지속적으로 인가되는 경우 체결력을 증대하기 위하여 부여된 나사산체결부(11)가 오히려 풀림가이드역활을 수행하여 경시적으로 미소량씩 풀려짐으로서 구조물의 강도를 약화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특히 항공기의 이착륙이 빈번한 지역의 주택이나 건물의 경우 평균수명이 타 지역에 비하여 극히 짧다는 경우에서도 용이하게 그 문제의 심각성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2 의 예의 구성의 경우는 이러한 문제점은 없으나 진입축방향에 직각으로 다수개의 걸림앵커턱부가 돌출하여 있음으로 인하여 진입이 대단히 어렵고 전동공구 등에 무리를 주게 되거나, 걸림앵커턱가 함입한 오목부에서의 전단강도의 약화로 쉽게 부러져버림으로서 낭비가 극심한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하는 종래부터의 파워스크류못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못 외주연에 각각 다른 경사각의 나사산부를 형성하거나, 피나사산부의 피치를 달리함으로서 상술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나사산부의 나사산각을 조절,구성함으로서 상술하는 문제점 및 강도의 약화를 방지하고자 한다.
상기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네일바디의 외주연에 나사산을 형성하거나 돌출하는 걸림턱부를 가지는 파워스크류못에 있어서;
상기 나사산은 경계선(L)에서 좌우로 분리형성되는 나사산체결부이고,
상기 분리된 나사산체결부는 상기 경계선에 대하여 나사산의 나사산의 회전각이 반대향 하여 형성되도록 상기 나사산각과 피치가 가변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가적인 본 고안의 특징은;
네일바디의 외주연에 나사산을 형성하거나 돌출하는 걸림턱부를 가지는 파워스크류못에 있어서;
상기 나사산은 경계선(L)에서 좌우로 분리형성되는 나사산체결부이고,
상기 분리된 나사산체결부는 상기 경계선에 대하여 나사산의 나사산의 회전각이 반대향 하여 형성되도록 상기 나사산각과 피치가 가변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체결부의 축방향중심선에 대한 진입측 나사산각이 내측 나사산각보다 작음으로서 진입응력을 극소화하는 것이며,
네일바디의 외주연에 나사산을 형성하거나 돌출하는 걸림턱부를 가지는 파워스크류못에 있어서;
상기 나사산은 경계선(L)에서 좌우로 분리형성되는 나사산체결부이고,
상기 분리된 나사산체결부는 상기 경계선에 대하여 나사산의 나사산의 회전각이 반대향 하여 형성되도록 상기 나사산각과 피치가 가변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체결부의 중간 경계선(L) 영역부를 확대된 직경(D)으로 하여
양측의 나사산체결부의 직경 (d1,d2)보다 더 크게 하여 전단강도를 증대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 또한 중요한 구성적인 특징이다.
도 1 A, B 는 종래의 파워스크류못의 예를 각각 도시하는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이 적용된 파워스크류못의 기본적인 개념을 설명하는 모식도.
도 3 은 본 고안의 파워스크류못의 구체적인 예의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파워스크류못의 다른 구성예의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의 파워스크류못의 다른 예시적인 구성과 전조하는 다이스의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20: 파워스크류못
21: 네일바디
22,23: 나사산체결부
25: 생크부
26: 헤드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고안이 적용된 파워스크류못의 기본적인 개념을 설명하는 모식도, 도 3 은 본 고안의 구체적인 예의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다른 구성예의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의 파워스크류못의 다른 예시적인 구성과 전조하는 다이스의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도 2 에 개념적으로 도시되는 본 고안의 파워스크류못(20)은;
전체 네일바디(21)에 걸쳐서 스크류형태의 나사산체결부(22,23)가 형성되어 있고 상단에 생크부(25) 및 헤드(26)로서 구성된다.
상기의 나사산체결부(22,23)은 바람직하게는 중간 정도의 경계선(L)에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고, 나사산(22',23')의 나사산각(22a,23a)이 반대로 형성되어 있다.
즉, 나사산체결부(22)의 나사산(22')이 시계방향이면 나사산체결부(23)의 나사산(23')은 반시계방향으로 나사산각(22a,23a)이 형성된다.
상기의 나사산각(22a,23a)의 구체적인 각도와 피치는 체결하고자 하는 용도, 재질, 파워스크류못(20)의 재질 등에 의하여 가변적으로 결정된다.
상기하는 구성의 파워스크류못(20)을 전동공구 등으로 타격하여 체결하게 되면 최초 파쇄된 진입대상 즉, 나무 등의 내부 미세구조가 나사산체결부(22,23)으로 진입하게 되어 나사체결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이 경우 나사산체결부(22,23)의 나사산(22'.23')은 서로 역방향으로 나사산각(22a,23a)을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반복적인 진동의 인가 시에, 풀림방향으로 진동력이 인가되더라도 반대방향의 체결방향으로도 역시 진동력이 인가되므로 파워스크류못(20)의 풀림은 원천적으로 방지되어 장기간의 사용 시에도 풀림이 없게 된다.
본 고안의 파워스크류못의 더욱 더 진보된 구성의 실시예가 도 3 에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 구성에서는 파워스크류못(30)을 구성함에 있어서, 나사산체결부(32,33)를 구성하되, 진입측의 나사산체결부(32)의 나사산(32')의 나사산각(32a)을 내측의 나사산체결부(33)의 나사산(33')의 나사산각(33a)을 파워스크류못(30)의 축중심선(C)에 대하여 상당정도로 작게 형성한 것이다.
이는 파워스크류못(30)의 고정 대상물로의 진입을 용이하게 하여 나사산체결부의 존재로 인한 파워스크류못(30)의 부러짐을 극소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작용효과는 역시 동일하다.
더욱 진보된 구성의 실시예가 도 4 에 도시된다.
실험결과 본 고안의 파워스크류못(40)의 전동공구 등으로 타격 시의 부러짐은 대향하는 나사산체결부(22,23)를 구분하는 중간 경계선(L)에 집중하는 것으로서 밝혀진 바, 이부분에서의 기하학적인 형상에 의한 전단강도가 취약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 5 의 실시예에서는 나사산체결부(42,43)의 중간 경계선(L) 영역에 확대된 직경(D)을 나사산체결부(42,43)의 직경 (d1,d2)보다 크게 부여함으로써, 전단강도를 대폭 증대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서, 파워스크류못(40)의 타격 시에 중간부에서의 부러짐을 방지할 수 있고 스무드한 진입을 가능하게 하면서 특유의 작용효과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파워스크류못은 도 5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다이스(50)에 의하여 용이하게 전조될 수 있으며 그러한 기술은 당해업계에 통상적인 기술이므로 상세하게 설명하지 아니한다.
도 5 에는 본 고안의 파워스크류못의 다른 또 한의 실시구성이 도시된다.
본 고안의 기본적인 구성의 목적인 진입의 용이성과 강도의 보강성을 동시에 구비하는 구성으로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파워스크류못(60)은 상단부에는 종래의 걸림앵커턱(61)을 다수개의 단으로 부여한 앵커부(A)를 구비하고 중앙하단에는 역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나사산체결부(62)를 구성하되, 진입측의 나사산체결부(62)의 나사산(62')의 나사산각(62a)을 부여하여 구성하였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전방의 나사산체결부(62)에 의하여 용이하게 전체 파워스크류못(60)이 진입하게 되고 이 진입한 상태에서 후방의 걸림앵커턱(61)이 다시 진진입하게 되므로 도 1 에서와 같은 종래 구성에서의 걸림앵커턱(61)에서의 부러짐이 방지되면서서 체결력은 증대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인 체결력이 강화된 파워스크류못은, 네일바디에 형성되는 나사산체결부를 분리된 영역으로 구성하여 서로 반대향하는 나사산을 부여하고 나사산각의 조절과 직경의 조절로서 소망하는 목적, 즉 체결의 견고성과 체결가공의 용이성을 동시에 부여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5)

  1. 네일바디의 외주연에 나사산을 형성하거나 돌출하는 걸림턱부를 가지는 파워스크류못에 있어서;
    상기 나사산은 경계선(L)에서 좌우로 분리,형성되는 나사산체결부이고,
    상기 분리된 나사산체결부는 상기 경계선에 대하여 나사산의 나사산의 회전각이 반대향 하여 형성되도록 상기 나사산각과 피치가 가변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력이 향상된 파워스크류못.
  2. 네일바디의 외주연에 나사산을 형성하거나 돌출하는 걸림턱부를 가지는 파워스크류못에 있어서;
    상기 나사산은 경계선(L)에서 좌우로 분리형성되는 나사산체결부이고,
    상기 분리된 나사산체결부는 상기 경계선에 대하여 나사산의 나사산의 회전각이 반대향 하여 형성되도록 상기 나사산각과 피치가 가변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체결부의 축방향중심선에 대한 진입측 나사산각이 내측 나사산각보다 작음으로서 진입응력을 극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력이 향상된 파워스크류못.
  3. 네일바디의 외주연에 나사산을 형성하거나 돌출하는 걸림턱부를 가지는 파워스크류못에 있어서;
    상기 나사산은 경계선(L)에서 좌우로 분리형성되는 나사산체결부이고,
    상기 분리된 나사산체결부는 상기 경계선에 대하여 나사산의 나사산의 회전각이 반대향 하여 형성되도록 상기 나사산각과 피치가 가변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체결부의 중간 경계선(L) 영역부를 확대된 직경(D)으로 하여
    양측의 나사산체결부의 직경 (d1,d2)보다 더 크게 하여 전단강도를 증대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력이 향상된 파워스크류못.
  4. 네일바디의 외주연에 나사산을 형성하거나 돌출하는 걸림턱부를 가지는 파워스크류못에 있어서;
    상기 파워스크류못은 중앙 정도의 경계선(L)에서 좌우로 분리형성되어 진입 전방에는 나사산(62')을 가지는 스크류부인 나사산체결부(62)를 구성하고,
    상기 나사산체결부(62)의 반대측 내방부에는 못 축방향에 직각하는 다수 개의 단턱부인 걸림앵커턱(61)을 단으로 부여한 앵커부(A)를 일체로 성형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스크류못.
  5. 제 1 항 내지 4 항 기재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산의 나사산각과 피치는 가변적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력이 향상된 파워스크류못.
KR2020020018676U 2002-06-20 2002-06-20 파워스크류못 KR2002905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676U KR200290514Y1 (ko) 2002-06-20 2002-06-20 파워스크류못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676U KR200290514Y1 (ko) 2002-06-20 2002-06-20 파워스크류못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4469A Division KR20030097202A (ko) 2002-06-20 2002-06-20 파워스크류못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0514Y1 true KR200290514Y1 (ko) 2002-09-28

Family

ID=73076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8676U KR200290514Y1 (ko) 2002-06-20 2002-06-20 파워스크류못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051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65674B1 (en) Insert for a drywall
US7862279B2 (en) Screw
CZ292776B6 (cs) Samoděrovací a závitořezný spojovací prvek
US20160238053A1 (en) Screw-type fastener
US20090010734A1 (en) Screw
TW201211406A (en) Screw with dual edge on thread
US20040047713A1 (en) Screwed nail
JPH0610924A (ja) コンクリート釘の改良
CA2392892A1 (en) Wood screw
US20080092699A1 (en) Wallboard screw with bi-tapered socket for receiving a bi-tapered screw driver tip
US7076989B2 (en) Threaded fastener with dual reinforcing leads for facilitating manufacture of the fastener, thread rolling die for forming the threaded fasten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hreaded fastener
US4755091A (en) Star fastener
US20170030394A1 (en) Fastener with transition zone and method of use
TW201943969A (zh) 用於混凝土以及耐颶風應用的螺釘式固定件
US20200003245A1 (en) Fastener With Transition Zone And Method Of Use
US20180100534A1 (en) Threaded fastener with a hybrid self-drilling tip
US5131204A (en) Reinforcing steel connection
US4836730A (en) Fastener
CN1251886A (zh) 埋头自攻木螺钉
KR200290514Y1 (ko) 파워스크류못
US20060039775A1 (en) Tapping screw
KR20030097202A (ko) 파워스크류못
US11105361B2 (en) Screw-type fastener
US4753562A (en) Drill screw
EP1431591B1 (en) Threaded fastener with a primary and a dual secondary threa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1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