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0491Y1 - 액체 수용통 및 그 적재 케이스 - Google Patents

액체 수용통 및 그 적재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0491Y1
KR200290491Y1 KR2020020020514U KR20020020514U KR200290491Y1 KR 200290491 Y1 KR200290491 Y1 KR 200290491Y1 KR 2020020020514 U KR2020020020514 U KR 2020020020514U KR 20020020514 U KR20020020514 U KR 20020020514U KR 200290491 Y1 KR200290491 Y1 KR 2002904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liquid container
liquid
frame
pal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05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현
Original Assignee
동우아이비씨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아이비씨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아이비씨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205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04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04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0491Y1/ko

Links

Landscapes

  • Pall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상의 화공약품 또는 물등을 내부공간에 수용할 수 있는 액체수용통 및 그 적재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액체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액체수용비닐이 구비되고, 외벽면에 액체주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부면에 단차부가 형성된 통본체와, 통본체의 주입구에 결합되는 뚜껑 및 배출구에 고정결합되는 콕밸브체를 구비한 액체수용통; 및, 액체수용통을 수용하는 프레임 및 프레임의 하단부에 파레트가 고정결합되어 있는 적재 케이스를 구비함으로써 액체수용통의 강성을 더욱 보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내부를 세척할 필요가 없고, 액체수용통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액체수용통을 일정한 높이로 견고하게 적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의 충격에 의해 액체수용통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체 수용통 및 그 적재 케이스{Liquid tank and loading case thereof}
본 고안은 액상의 화공약품 또는 물등을 수용할 수 있는 액체수용통 및 그 적재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체수용통의 내부에 일회용 액체수용비닐을 구비하는 액체수용통과, 이러한 액체수용통을 수용시켜 용이하게 운반 또는 적재할 수 있는 적재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액상의 화공약품이나 물과 같은 액상물질들은 일반적으로, 그 취급이나 보관이 곤란하여 별도의 액체수용통을 사용한다. 이러한 액체수용통들 중에서 비교적 대용량의 것들은 그 운반이나 적재를 인력으로 수행할 수 없어서 포크리프트와 같은 운반기계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종래의 액체수용통들은 자체적으로 포크리프트의 포크가 끼워지는 포크수용부를 구비하거나 별도의 파레트를 사용한다.
그런데, 종래의 포크수용부를 가지는 액체수용통들은 그 구성상 자체적으로 적재시키기 곤란하고, 또한, 포크리프트의 포크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찌그러지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그리고, 그 내부에 수용된 액상물질을 배출시킨 후, 내부에 잔류하거나 내벽면에 점착된 물질을 세척하기가 어려워 재사용하는데에 문제점을 가진다.
한편, 종래의 액체수용통을 위한 파레트는 액체수용통을 상부에 지지한 상태로 다수개를 적재시키기 곤란하고, 비록 적재시킨 경우에도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대적으로 쉽게 그 상태가 와해될 염려가 있다. 종래의 이러한 파레트는 또한, 포크리프트의 포크와의 직접적인 접촉으로 쉽게 파손 및 변형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액체수용통 내부에 인출가능한 일단부가 막힌 일회용 액체수용비닐을 구비하고, 액체수용통의 상부면에 단차부를 형성함으로써 액체수용통의 강성을 더욱 보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내부를 세척할 필요가 없는 액체수용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액체수용통을 프레임과 파레트의 결합체인 적재 케이스에 내장시켜 사용함으로써 액체수용통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액체수용통을 일정한 높이로 견고하게 적재할 수 있는 액체수용통 및 그 적재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액체수용통의 일 실시예가 적재 케이스내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에서 적재 케이스만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적재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재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및
도 6은 도 5의 적재 케이스내에 액체수용통을 수용시켜 적재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통본체 11 ; 뚜껑
12 ; 콕밸브체 20 ; 프레임
21 ; 가로바아 22 ; 세로바아
23 ; 상부가로바아 24 ; 하부가로바아
25 ; 지지바아 30 ; 파레트
31 ; 상부바아 31a ; 지지판
32 ; 하부바아 33 ; 결합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액체수용통 및 그 적재 케이스는
주입구와 배출구를 가지는 액체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적어도 상기 주입구 영역의 판면에 강성보강용 단차부가 마련되고, 상기 주입구를 통해 상기 액체수용공간에 인출가능하게 수용되는 액체수용비닐을 구비하는 통본체; 상기 통본체의 주입구를 개폐가능한 뚜껑; 및, 상기 통본체의 배출구에 고정결합되는 콕밸브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액체수용통의 바닥면을 지지가능하며, 측면에 포크리프트의 포크가 삽입되는 삽입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파레트; 및, 상기 액체수용통이 내장가능한 다수의 상하로 평행한 고리상의 가로바아와, 상기 가로바아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세로바아를 가지고, 상기 파레트의 상부에 기립방향으로 결합되는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호적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파레트는 상기 프레임의 하부가로바아와 결합되는 고리상의 상부바아; 상기 프레임의 하부가로바아와 상기 고리상의 상부바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지지바아와 고정결합되어 있고, 상기 액체수용통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상부바아와 평행하도록 하부에 배치되는 고리상의 하부바아; 상기 상부바아와 하부바아를 상기 포크삽입부분에 해당하는 이격거리를 두고 결합시키는 복수의 판상체로, 상기 상부바아에 대하여 상향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의 하부가로바아를 이탈방지적으로 수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파레트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액체수용통을 지지하며, 판면에 상기 프레임의 하부가로바아를 수용하는 수용홈 및 다수의 강성보강용 돌출부가 형성된 지지판부; 및, 상기 지지판부의 적어도 모서리영역이 각각 하향 함몰되어 사이에 상기 포크삽입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프레임의 상부가로바아가 끼워지는걸림턱이 바닥면에 형성된 지지부를 일체로 구비하는 합성수지 사출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파레트는 상기 액체수용통의 콕밸브체가 대응하는 일측 연부가 하향 함몰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적재 케이스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액체수용통(1)은 적재 케이스(C)에 수용되어 있다.
본 액체수용통(1)은 크게 액상의 화공약품 또는 물을 수용하는 통본체(10)를 구비한다. 통본체(10)는 직육면체 또는 다면체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액체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통본체(10)의 상부면에는 강성보강용 단차부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단차부에 의해 형성된 함몰면의 중심부에는 뚜껑(11)이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액체 주입구가 형성된다. 각 단차부의 중심과 함몰면 상에는 강성보강판(13)이 돌출형성되어 있고, 액체주입구를 중심으로 통본체(10)의 양측모서리에는 요입홈부(14)가 액체주입구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있다. 또한, 통본체(10)의 하단부 연부일측은 함몰형성되어 그 내부에 형성된 배출구에 콕밸브체(12)가 고정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통본체(10)의 내부에는 주입구를 통하여 인출가능한 일단부가 막힌 일회용 액체수용비닐(미도시)이 수용된다. 이러한 액체수용비닐은 그 수용공간에 액체를 주입하거나, 또는 주입된 액체를 배출할 수 있도록 통본체(10)의 주입구 및 배출구와 연통되게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통본체(10)는 적재 케이스(C)의 내부공간에 수용되어 적재 또는 운반된다.
본 적재 케이스(C)는 크게 통본체(10)를 내장하는 프레임(20)과, 프레임(20)의 하단부에 고정결합되는 파레트(30)로 구성된다. 프레임(20)은 통본체(10)를 내장가능한 다수의 상하로 평행한 고리상의 가로바아(21) 및 상기 가로바아(21)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세로바아(22)가 서로 용접되어 고정결합된다. 프레임(20)의 하부가로바아(24)에는 통본체(10)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바아(25)가 세로바아(22)에 수직한 상태로 서로 평행하게 고정결합된다.
파레트(30)는 프레임(20)의 하부가로바아(24)에 결합되는 고리상의 상부바아 (31)와, 고리상의 상부바아(31)와 프레임(20)의 하부가로바아(24) 사이에 개재되고, 지지바아(25)와 용접되어 있는 지지판(31a)과, 상부바아(31)에 평행하도록 그 하부에 배치되며, 상부가로바아(23)보다 둘레의 크기가 축소되는 고리상의 하부바아(32)가 다수의 결합부재(33)의 하단부에 고정결합된다. 결합부재(33)는 상부바아 (31)와 하부바아(32)를 포크삽입부분에 해당하는 이격거리를 두고 결합시키는 복수의 관상체로, 상부바아(31)에서 프레임(20)의 하부가로바아(24)의 상단부까지 상향 연장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부재(33)는 각각 액체수용통(1)을 수용한 다수의 적재 케이스(C)가 일정한 높이로 적재될 경우, 그 적재된 상태가 와해되는 것을 막아준다.
한편, 콕밸브체(12)에서 액체가 배출되는 방향으로는 하부가로바아(24) 및 상부바아(31)가 소정의 간격으로 절단되어 있고, 절단되어 형성된 간격을 중심으로 양측 상부바아(31)의 하단부에는 凹형의 받침부(35)의 양측 상부면이 고정결합된다. 이 때, 받침부(35)는 통본체(10)가 케이스(C)의 내부에 수용될 때, 콕밸브체(12)가 파레트(30)의 상부바아(31) 또는 프레임(20)의 하부가로바아(24)에 부딪히는 것을 막아준다. 받침부(35)는 또한, 통본체(10)를 케이스(C)에 수용시킨 상태에서 콕밸브체(12)를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콕밸브체 (12)의 배출구에 액체이송파이프 또는 다른 연결부품을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콕밸브체(12)의 주변에 소정의 공간을 마련해 주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액체수용통(1)이 수용된 다수의 케이스(C)를 포크리프트를 이용하여 일정한 높이로 적재하고자 할 경우 프레임(20)의 상부가로바아(23)의 상부면이 결합부재(33)의 하단부와 밀착되도록 한다. 이 때, 파레트(30)의 하부바아(32)는 프레임(2)의 상부가로바아(23) 내측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각 적재 케이스(C)는 견고하게 적재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C)에 고정결합되는 파레트(40)를 합성수지 사출물로 제작한다. 여기서, 파레트(40)의 상부면에는 통본체(10)를 지지하며, 판면에 다수의 강성보강용 돌출부(42) 및 함몰부와, 상부면의 가장 외측에는 프레임(20)의 하부가로바아(24)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된 지지판부(41)가 형성된다. 지지판부(41)의 가장 외측 및 중심부에는 각각 하향 함몰되어 사이에 포크삽입부분을 형성하며, 다수의 케이스를 일정한 높이로 적재할때 프레임(20)의 상부가로바아(23)가 안착되는 걸림턱(43a)이 하부면에 형성된 다수의 지지부(43)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액체수용통(1)의 콕밸브체(12)가 대응하는 지지판부의 일측 연부가 하향 함몰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20)의 하단부에 고정결합되는 파레트(40)를 합성수지 사출물로 제작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프레임(20)의 상부가로바아(23)의 상단면이 파레트(40)의 걸림턱 (43a)에 안착되도록 하여 케이스(C)를 일정한 높이로 적재한다. 이렇게 하여 다수의 케이스(C)에 통본체(10)를 수용시켜서 사용함으로써 포크리프트를 이용하여 통본체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한 높이로 견고하게 적재하여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액체수용통은 액체수용통 내부에 인출가능한 일회용 액체수용비닐을 구비하고, 액체수용통의 상부면에 단차부를 형성함으로써 액체수용통의 강성을 더욱 보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내부를 세척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액체수용통을 프레임과 파레트의 결합체인 적재 케이스에 수용시켜 사용하면 액체수용통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액체수용통을 일정한 높이로 견고하게 적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의 충격에 의해 액체수용통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5)

  1. 주입구와 배출구를 가지는 액체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적어도 상기 주입구 영역의 판면에 강성보강용 단차부가 마련되고, 상기 주입구를 통해 상기 액체수용공간에 인출가능하게 수용되는 액체수용비닐을 구비하는 통본체(10);
    상기 통본체(10)의 주입구를 개폐가능한 뚜껑(11); 및
    상기 통본체(10)의 배출구에 고정결합되는 콕밸브체(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수용통.
  2. 액체수용통(1)을 상부에 지지가능하며, 측면에 포크리프트의 포크가 삽입되는 삽입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파레트(30); 및
    상기 액체수용통(1)을 내장가능한 다수의 상하로 평행한 고리상의 가로바아 (21)와, 상기 가로바아(21)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세로바아(22) 및 하부가로바아 (24)에 고정결합된 지지바아(25)를 가지고, 상기 파레트(30)의 상부에 기립방향으로 결합되는 프레임(20)으로 구성되어 상호적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케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레트(30)는
    상기 프레임(20)의 하부가로바아(24)와 결합되는 고리상의 상부바아(31);
    상기 프레임(20)의 하부가로바아(24)와 상기 고리상의 상부바아(31)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지지바아(24)와 고정결합되어 있고, 상기 액체수용통(1)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31a);
    상기 상부바아(31)와 평행하도록 하부에 배치되는 고리상의 하부바아(32);
    상기 상부바아(31)와 하부바아(32)를 상기 포크삽입부분에 해당하는 이격거리를 두고 결합시키는 복수의 판상체로, 상기 상부바아(31)에 대하여 상향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20)의 하부가로바아(24)를 이탈방지적으로 수용시키는 결합부재 (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수용통 및 그 적재 케이스.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레트(30)는
    상기 액체수용통(1)을 지지하며, 판면에 상기 프레임(20)의 하부가로바아 (24)를 수용하는 수용홈 및 다수의 강성보강용 돌출부(42)가 형성된 지지판부(41); 및
    상기 지지판부(41)의 적어도 모서리영역이 각각 하향 함몰되어 사이에 상기 포크삽입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프레임(20)의 상부가로바아(23)가 끼워지는 걸림턱 (43a)이 바닥면에 형성된 지지부(43)를 일체로 구비하는 합성수지 사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케이스.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파레트(40)는 상기 액체수용통(1)의 콕밸브체(12)가 대응하는 일측 연부가 하향 함몰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케이스.
KR2020020020514U 2002-07-09 2002-07-09 액체 수용통 및 그 적재 케이스 KR2002904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514U KR200290491Y1 (ko) 2002-07-09 2002-07-09 액체 수용통 및 그 적재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514U KR200290491Y1 (ko) 2002-07-09 2002-07-09 액체 수용통 및 그 적재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0491Y1 true KR200290491Y1 (ko) 2002-09-28

Family

ID=73077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0514U KR200290491Y1 (ko) 2002-07-09 2002-07-09 액체 수용통 및 그 적재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0491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769Y1 (ko) 2009-09-16 2010-02-19 정기영 대형 식품 저장 용기
KR200474928Y1 (ko) 2013-11-27 2014-10-23 천세산업 주식회사 정량펌프 부착형 약품탱크
WO2015102249A1 (ko) * 2014-01-03 2015-07-09 (주)한스이엔지 중형산적용기
KR101595071B1 (ko) * 2015-05-07 2016-02-18 아이앤디 주식회사 팔레트 저장프레임
KR101718401B1 (ko) * 2016-10-24 2017-03-22 와이비엔지니어링(주) 완전배출 및 확장가능한 액체저장탱크
KR101756777B1 (ko) 2015-10-28 2017-07-25 씨엠에프코리아 주식회사 회전블로워 성형기술을 적용한 아이비씨 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아이비씨 용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769Y1 (ko) 2009-09-16 2010-02-19 정기영 대형 식품 저장 용기
KR200474928Y1 (ko) 2013-11-27 2014-10-23 천세산업 주식회사 정량펌프 부착형 약품탱크
WO2015102249A1 (ko) * 2014-01-03 2015-07-09 (주)한스이엔지 중형산적용기
CN105980268A (zh) * 2014-01-03 2016-09-28 汉斯恩有限公司 中型散装容器
KR101595071B1 (ko) * 2015-05-07 2016-02-18 아이앤디 주식회사 팔레트 저장프레임
KR101756777B1 (ko) 2015-10-28 2017-07-25 씨엠에프코리아 주식회사 회전블로워 성형기술을 적용한 아이비씨 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아이비씨 용기
KR101718401B1 (ko) * 2016-10-24 2017-03-22 와이비엔지니어링(주) 완전배출 및 확장가능한 액체저장탱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11511C (en) Stackable re-usable container
US5197601A (en) Fluid container
AU2005237975B2 (en) Nestable crate for containers
US5544777A (en) Stackable plastic container with drain sump and palle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009532286A (ja) 積重ね可能なリブで補強したシステム
EP0284290A2 (en) Composite shipping container
JP5514252B2 (ja) スキッドパレット、および輸送および貯蔵用容器
US20090255927A1 (en) Bin and Tank Assembly
KR20110069867A (ko) 물품 운송
EP0703161A1 (en) Material handling apparatus
KR200290491Y1 (ko) 액체 수용통 및 그 적재 케이스
EP0303264B1 (en) Safety pallett-drum assembly system for transport of dangerous materials
WO2006026783A1 (en) Nestable crate for containers
JP2004182346A (ja) パレット状台座の隅脚および中間脚ならびに脚枠上に支持されるパレット容器床板のための補強板
US11407583B2 (en) Intermediate bulk container
JPH06345089A (ja) 化学物質或は廃棄物の輸送のために特に適したドラム型容器
JPH08337288A (ja) コンテナ用の排出機能付きパレット
EP2593373B1 (en) Overpack for storage and handling of containers for liquids
US11279554B2 (en) Molded container assembly
JP2001294237A (ja) 印刷用処理液容器
US11014738B2 (en) Molded container assembly
KR101595071B1 (ko) 팔레트 저장프레임
JP6095783B2 (ja) 折り畳み上部開口コンテナ
KR200277809Y1 (ko) 접철식 액상용 벌크 컨테이너
CA2093244C (en) Stackable plastic drum with drain sump and palle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