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0223Y1 - 매입형 계기의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매입형 계기의 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0223Y1
KR200290223Y1 KR2020020018499U KR20020018499U KR200290223Y1 KR 200290223 Y1 KR200290223 Y1 KR 200290223Y1 KR 2020020018499 U KR2020020018499 U KR 2020020018499U KR 20020018499 U KR20020018499 U KR 20020018499U KR 200290223 Y1 KR200290223 Y1 KR 2002902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trument
panel
fixing pin
mounting structure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84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종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남전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남전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남전사
Priority to KR20200200184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02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02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0223Y1/ko

Links

Landscapes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결선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취급상 부주의로 인한 작업자의 상해를 줄이고 외관상으로도 깔끔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하며, 작업시간 및 작업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매입형 계기의 취부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매입형 계기의 취부구조는 패널의 내부에 위치되고, 계기의 좌우 양측벽에 각각 한 쌍의 고정핀 걸이부가 형성되되, 상기 고정핀 걸이부에는 그 상부쪽에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쪽에 나사산 모양의 톱니부가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에 수용되고, 제어부가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창을 구비하는 계기; 상기 패널의 외부에 위치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전면에 견고하게 장착되며, 상기 계기의 표시창을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본체부, 개폐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된 덮개 및 마감부재를 구비하는 계기커버; 및 상기 베이스부의 고정핀 걸이부에 장착되고, 상기 톱니부에 대응하는 톱니부가 배면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위치하여 가이드되는 가이드돌출부가 형성되고 손잡이부가 정면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패널의 후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된 다수의 고정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매입형 계기의 취부구조{MOUNTING STRUCTURE FOR PANEL TYPE METER}
본 고안은 매입형 계기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콘트롤박스의 도어 등과 같은 패널에 홀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계기장치를 설치함으로써 결선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취급상 부주의로 인한 작업자의 상해를 줄이고 외관상으로도 깔끔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하며, 작업시간 및 작업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매입형 계기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계기장치(가동상태확인기기 또는 적산 전력량계)를 이용하여 패널을 구성할 경우에, 먼저 벽면 취부형 계기장치를 패널에 스크류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키고, 계기 결선부 아래의 패널에 관통홀을 형성한 후 패널 내부에 취부되어 있는 각종 주변 기기들과 결선하는 방식을 사용해 왔다.
이는 제품을 구성하는데 상당한 시간을 투자해야 하며 제작비용을 크게 상승시키는 원인을 초래하였다. 그리고 계기판넬의 제작 완료 후의 외관이 깔끔하지 못하고 결선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초보자들의 취급상 주의를 요하게 되었다.
도 1a는 종래의 벽면 취부형 계기를 패널에 취부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측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벽면취부형 계기를 패널에 장착하는 구성에 있어서, 벽면 취부형 계기(120)를 스크류(160)를 이용하여 취부벽(110)에 취부하고, 결선부(140)에 연결된 전선(145)을 취부벽에 형성된 전선삽입홈(150)을 통해 취부벽 내부로 빼내어 전원공급측과 부하측을 결선한다. 이렇게 장착된 계기(120)에는 별도의 표시창(130)이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가 전력의 공급량이나 공급상황 등을 체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패널 외부의 결선부(140)를 노출시키지 않고자 할 때에는 패널 외부에 표시창(130)만 보이도록 하는 별도의 덮개(미도시)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든 작업은 작업시간이나 경비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벽면취부형 계기로 패널을 구성할 경우 계기 결선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어 전기관련지식이 없는 초보자나 비숙련자들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며, 외관상 깔끔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작업자나 사용자들의 안전을 고려하여 결선부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않도록 한 매입형 계기의 취부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설치 후 외관상 깔끔하게 보이도록 하고 작업시간 및 작업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매입형 계기의 취부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a는 종래의 벽면 취부형 계기를 패널에 취부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b는 도 1a의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매입형 계기의 취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2의 또 다른 분해사시도.
도 5a는 본 고안의 계기장치에서 고정핀을 도시한 정면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고정핀의 배면을 도시한 배면사시도.
도 6a는 도 2의 A-A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6b는 도 2의 B-B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7a는 본 고안에 따른 매입형 계기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7b는 도 7a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패널 20 : 계기패널
21 : 덮개 22 : 본체부
23 : 돌부 25 : 마감부재
27 : 스크류 29 : 관통홀
30 : 계기 35 : 표시창
40 : 베이스부 45 : 고정핀 걸이부
46 : 톱니부 48 : 가이드홈
50 : 고정핀 51 : 톱니부
53 : 손잡이부 55 : 지지부
58 : 가이드돌출부 70 : 계기장치
80 : 컨넥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매입형 계기의 취부구조는 패널의 내부에 위치되고, 계기의 좌우 양측벽에 각각 한 쌍의 고정핀 걸이부가 형성되되, 상기 고정핀 걸이부에는 그 상부쪽에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쪽에 나사산 모양의 톱니부가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에 수용되고, 제어부가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창을 구비하는 계기; 상기 패널의 외부에 위치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전면에 견고하게 장착되며, 상기 계기의 표시창을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본체부, 개폐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된 덮개 및 마감부재를 구비하는 계기커버; 및 상기 베이스부의 고정핀 걸이부에 장착되고, 상기 톱니부에 대응하는 톱니부가 배면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위치하여 가이드되는 가이드돌출부가 형성되고 손잡이부가 정면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패널의 후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된 다수의 고정핀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계기커버 본체부의 후면 상단에는 돌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부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부의 내면 상단에 요홈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톱니부들은 일측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타측이 수직으로 돌출형성되는 톱니 형상을 갖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매입형 계기의 취부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매입형 계기의 취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2의 또 다른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매입형 계기장치(70)는 크게 패널(10)의 내부에 매립되는 박스형상의 베이스부(40), 외부에 표시창(35)이 설치되고 내부에 제어부가 내장된 계기(30), 상기 계기(30)의 전면에 장착되어 계기를 보호하는 계기커버(20), 및 패널(10)을 지지하여 상기 베이스부(40)가 상기 패널(10)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고정핀(50)을 구비한다.
상기에서 패널(10)이라함은 전력공급을 위한 콘트롤박스 등과 같은 구성에서의 도어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별도의 언급 없이 패널이라 칭하겠다.
이때, 상기 베이스부(40)는 그 외부면 양측벽에 각각 한 쌍의 고정핀 걸이부(4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핀 걸이부(45)에는 그 상부쪽에 가이드홈(48)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쪽에 나사산 모양의 톱니부(4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40)의 내부에는 상기 계기(30)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계기(30)에는 표시창(35) 이외에도 다양한 표시물들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기(30)의 전면에는 계기(30)를 보호하기 위한 계기 커버(20)가 설치되는데, 상기 계기커버(20)는 표시창(35)이 장착되어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관통홀(29)이 형성된 본체부(22), 상기 본체부(22)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덮개(21), 및 상기 본체부(22)의 하부면을 보호하고 밀봉을 위해 덮는 마감부재(2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덮개(21)의 중앙 하부에는 결합편(24)이 일체로 장착되어 있고, 그에 대응하도록 상기 본체부(22)의 하부에는 수용홈(2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부(40)의 내부에는 상기 계기커버(20)를 장착하기 위한 다수의 나사공(41)과 다수의 요홈(4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계기커버(20)에도 다수의 돌부(23)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다수의 요홈(47)에 대응하게 되어 있다.
상기 계기 커버(20)는 전체적으로 패널의 전면에 노출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외부에서 용이하게 상기 덮개(21)를 열어서 전력의 사용이나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핀(50)은 정면 일측에 손잡이부(53)가 형성되어 있고, 배면 일측에 나사산 모양의 톱니부(5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핀(50)의 타측에는 패널을 지지하는 부메랑 형상의 패널지지부(5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톱니부(51)의 상단에는 상기 고정핀 걸이부(45)의 가이드홈(48)에 걸려 가이드되는 가이드돌출부(5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톱니부(46)와 톱니부(51)는 각각 일측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타측은 수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톱니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매입형 계기장치의 조립 작업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베이스부(40)에 계기(30)를 내장한 후에 계기커버(20)를 상기 베이스부(40)의 전면에 장착하는데, 이때, 상기 계기커버(20)의 돌부(23)를 상기 베이스부(40)의 요홈(47)에 끼운 후에 상기 계기커버(20)의 하단을 스크류(27)를 사용하여베이스부(40)의 나사공(41)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계기커버(20)를 상기 베이스부(40)에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덮개(21)는 이미 상기 계기커버(2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덮개(21)를 닫으면 상기 결합편(24)가 상기 수용홈(28)에 안착되고 최종적으로 밀봉을 한 후에 마감부재(25)를 장착하면 계기커버(20)가 완성된다.
이와 같이 결합된 계기장치는 콘트롤박스의 도어와 같은 패널(10)에 관통된 홀에 내삽되는데, 이때 베이스부(40)는 상기 패널(10)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계기커버(20)는 상기 패널(10)의 외부에 돌출되어 위치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40)를 상기 패널(10)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서 고정핀(50)이 상기 고정핀 걸이부(45)에 장착되는데, 도 6a와 같이 상기 고정핀(50)의 배면에 형성된 톱니부(51)가 상기 고정핀 걸이부(45)의 하부에 형성된 톱니부(46)와 치합되어 있으며 상기 톱니부들의 치합상태를 보면 앞으로 전진할 때에는 적정한 힘에 의해 전진이 가능하지만 후진은 할 수 없도록 톱니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6b와 같이 상기 고정핀(50)의 가이드돌출부(58)가 상기 고정핀걸이부(45)의 가이드홈(48)을 따라 이탈하지 않고 활주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핀걸이부(45)에 대한 고정핀(50)의 결합은 상기 고정핀(50)의 손잡이부(53)를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고정핀(50)과 고정핀 걸이부(45)의 결합에 의해 상기 고정핀(50)의 지지부(55)가 패널의 후면을 강하게 접촉지지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해서 완성된 매입형 계기장치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되어 있는데, 패널(10)에 장착된 계기장치(70)는 덮개(21)를 열어서 표시창(35)에 표시된 정보를 통해 전력의 사용상태나 사용량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계기장치(70)의 후면에 별도의 컨넥터 수용부(미도시)를 마련하여 외부 전원과 연결된 컨넥터(80)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매입형 계기의 취부구조는 작업자나 사용자들의 안전을 고려하여 결선부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않도록 하고, 설치 후 외관상 깔끔하게 보이도록 하고 작업시간 및 작업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패널(10)의 내부에 위치되고, 계기의 좌우 양측벽에 각각 한 쌍의 고정핀 걸이부(45)가 형성되되, 상기 고정핀 걸이부(45)에는 그 상부쪽에 가이드홈(48)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쪽에 나사산 모양의 톱니부(46)가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부(40);
    상기 베이스부(40)의 내부에 수용되고, 제어부가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창(35)을 구비하는 계기(30);
    상기 패널(10)의 외부에 위치되고, 상기 베이스부(40)의 전면에 견고하게 장착되며, 상기 계기(30)의 표시창(35)을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관통홀(29)이 형성된 본체부(22), 개폐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된 덮개(21) 및 밀봉을 위한 마감부재(25)를 구비하는 계기커버(20); 및
    상기 베이스부(40)의 고정핀 걸이부(45)에 장착되고, 상기 톱니부(46)에 대응하는 톱니부(51)가 배면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48)에 위치하여 가이드되는 가이드돌출부(58)가 형성되고 손잡이부(53)가 정면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패널(10)의 후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55)가 일체로 형성된 다수의 고정핀(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입형 계기의 취부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기커버(20) 본체부(22)의 후면 상단에는 돌부(2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부(23)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부(40)의 내면 상단에 요홈(47)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입형 계기의 취부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부(46)(51)들은 일측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타측이 수직으로 돌출형성되는 톱니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입형 계기의 취부구조.
KR2020020018499U 2002-06-18 2002-06-18 매입형 계기의 취부구조 KR2002902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499U KR200290223Y1 (ko) 2002-06-18 2002-06-18 매입형 계기의 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499U KR200290223Y1 (ko) 2002-06-18 2002-06-18 매입형 계기의 취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0223Y1 true KR200290223Y1 (ko) 2002-09-26

Family

ID=73084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8499U KR200290223Y1 (ko) 2002-06-18 2002-06-18 매입형 계기의 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022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354U (ko) * 2021-08-10 2023-02-17 전태환 전원 콘센트에 설치되는 셋톱박스 및 주변기기용 보호커버 고정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354U (ko) * 2021-08-10 2023-02-17 전태환 전원 콘센트에 설치되는 셋톱박스 및 주변기기용 보호커버 고정구
KR200497796Y1 (ko) 2021-08-10 2024-02-29 전태환 전원 콘센트에 설치되는 셋톱박스 및 주변기기용 보호커버 고정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202986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20090225568A1 (en) Light Device
PT1404170E (pt) Combinação de aparelhos
KR200290223Y1 (ko) 매입형 계기의 취부구조
ES2330983A1 (es) Dispositivo electrico de mando de un sistema de gestion domotica.
ITTO940129A1 (it) Calcolatore elettronico portatile
JP2517815B2 (ja) 壁掛型収納ボックス
KR200270052Y1 (ko) 분전반 커버
JP2021029724A (ja) 洗濯機
CN218380095U (zh) 一种适用于嵌入式酒柜暗拉手结构
CN219578814U (zh) 清洁基站
JPH0637582Y2 (ja) 電線接続装置
JP3966497B2 (ja) 電気電子機器収納用箱
CN111478107B (zh) 插座
JP3585022B2 (ja) 家具用の配線ボックス
CN212209873U (zh) 一种带连体盖子的美式插座
JPH0522099Y2 (ko)
EP3978808A1 (en) Cooking appliance provided with a door latch assembly
CN109088219B (zh) 无边框配线器具
KR20080001354U (ko) 화장지케이스
JPH11197084A (ja) 食器洗い機
KR200237883Y1 (ko) 저압 수전용 동력 분전반
KR20070096612A (ko) 드럼세탁기
JP2023067492A (ja) 照明付き鏡
KR200226176Y1 (ko) 컴퓨터용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0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