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0206Y1 - 블록 완구로의 사용이 가능한 케이스 - Google Patents

블록 완구로의 사용이 가능한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0206Y1
KR200290206Y1 KR2020020017166U KR20020017166U KR200290206Y1 KR 200290206 Y1 KR200290206 Y1 KR 200290206Y1 KR 2020020017166 U KR2020020017166 U KR 2020020017166U KR 20020017166 U KR20020017166 U KR 20020017166U KR 200290206 Y1 KR200290206 Y1 KR 2002902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block toy
divided
toy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71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강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기프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기프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기프택
Priority to KR20200200171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02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02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0206Y1/ko
Priority to JP2003157792A priority patent/JP2004149216A/ja

Lin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블록완구의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자체가 블록완구로의 기능을 갖도록 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통상의 블록완구 케이스는 종이박스 형태이거나 또는 비닐포장을 이용하여 왔던 것이고 이러한 케이스는 1회용이기 때문에 사용 후에는 버려진 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내부가 빈 상태로 분할된 몸체를 갖는 케이스의 외주면에는 선단의 폭이 후단의 폭보다 큰 철부(凸部)(12)와 이에 대응되는 요부(凹部)(10)를 형성하고 분할된 몸체의 선단으로는 암수 한쌍의 끼움돌기(6)(6a)를 형성하여 케이스 자체의 기능과 동시에 블록 완구로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블록 완구로의 사용이 가능한 케이스.

Description

블록 완구로의 사용이 가능한 케이스{A case to using by a black toy}
본 고안은 내용물의 포장이나 보관이 가능하면서 블록 완구로의 사용이 가능한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용물의 수장이 가능한 중공상의 분할된 몸체를 갖는 케이스의 내부에는 블록완구 등의 포장이 가능토록 하고, 케이스의 외주연에는 요부와 철부를 구성하여 측방으로 각각의 연결조립이 가능토록하고, 분할된 몸체의 선단으로는 끼움돌기를 형성하여 상하로 연결조립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현재 문방구 또는 주택가 주변에는 어린이들을 위한 다양한 소품과 소형 장난감을 판매하는 자동판매기가 많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때 상품을 자동으로 판매하기 위하여 그 대부분이 좌우 분할되고 중공상의 몸체로 된 케이스에 넣어 상품을 판매하고 있는 것이다.
이때 케이스는 별다른 용도가 없어서 상품의 취득 후 즉시 버려지게 되므로 주위가 지저분해지는 단점과, 재활용이 가능한 케이스의 무분별하게 버려지게되어 귀중한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어린이를 위한 많은 놀이기구나 지능 게임기구 등이 만들어져 사용되어 왔으나 대부분이 단지 재미나 흥미 위주로 치우치는 경향이 있어서 어린이들이 쉽게 싫증을 내어 지능개발의 효과도 미미한 상태였고 또한, 일부 지능개발과 재미를 겸비한 놀이기구나 지능게임기구 등의 가격이 고가여서 일부계층의 어린이들만이 사용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저렴한 가격의 지능개발과 재미를 겸비한 지능형 게임기의 출현이 요망되어 왔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내용물의 수장이 가능한 중공상의 분할된 몸체를 갖는 케이스의 주면을 따라 서로 끼워지도록 연속적으로 요부(凹部)와 철부(凸部)를 성형하고, 서로 반대되는 선단으로는 끼움돌기를 성형하여 상품의 취득 후 케이스를 이용하여 블록완구의 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몸체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몸체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케이스의 저면을 보인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요부와 철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2,2a: 케이스 6,6a: 끼움돌기
8,8a: 걸림날개 12,12a: 요철부
14,14a: 개구부 16,16a: 중공부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분해사시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상으로 형성되어 분할된 몸체를 갖는 케이스(2)(2a)의 상하단부에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돌기(6)(6a)를 형성하고, 케이스(2)의 외주면으로는 요부(凹部)(10)와 철부(凸部)(12)를 연속적으로 성형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한 각 끼움돌기(6)(6a)는 중앙을 중심으로 1/4로 구획하여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내측과 외측으로 연장되는 걸림날개(8)(8a)를 각각 돌설하여 걸림날개의 사이로는 개구부(14,14a)를 구비토록 하여 외측과 내측으로 돌설 된 걸림날개(8,8a)가 각각의 개구부(14,14a)에 끼워지면서 회동시키면 내측으로 돌설된 걸림날개(8)에 외측으로 돌설된 걸림날개(8a)가 끼워져 임의 대로 분리되지 않게 조립되어지는 것이다.
이때 걸림날개(8)(8a)를 사출성형의 용이성을 갖도록 중공부(16,16a)를 형성토록 함으로서 금형의 분리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한 케이스의 외주면에 등 간격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철부(12)는 선단의 폭이 후단의 폭보다 크게 형성토록 하고, 요부(10)는 이와 맞물리도록형성토록 함으로서 끼워진 후에는 임의대로 이탈되지 않토록 한 것이다.
또한 분할된 케이스는 어느 한쪽의 케이스의 단부 외경을 다른 케이스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하여 손쉽게 결합되어지도록 하며 결합방식에 있어서도 나사식 또는 환상돌기를 이용한 결합방식 등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고 이러한 방식은 분할된 케이스의 결합을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지는 구성이다.
또한 본 고안은 케이스의 외형이 둥근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케이스의 외형은 손쉽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인 것으로 구(球)의 형태로도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분할된 케이스(2)(2a)의 내공간에 소정의 물품을 수장하고 케이스를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물건을 어린아이들이 획득하게되면 케이스 몸체(2)(2a)를 가압하면서 당기게 되면 케이스 몸체가 내부가 빈상태임으로 유연하기 때문에 쉽게 분리되어지는 것이고, 분리된 상태에서 내용물을 취득하고 내용물을 취득한 후에는 케이스는 요철부(10)(12)와 걸림날개(8)(8a)를 이용하여 제 5도에 도시한 형태로 케이스를 측방과 상하로 적층연결시키면서 다양한 블록놀이가 원하는 형상대로 자유자재로 조립 표현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내용물의 수장이 가능한 케이스를 이용하여 조립식 블록으로의 사용이 가능하여 케이스를 버리지 않게 됨은 물론 케이스를 이용하여 입체적인 모양이나 각종 도형을 조립할 수 있으므로 아동들의 창의력과 집중력 향상에 일조할 수 있어 지능개발을 한층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내부가 빈 상태에서 분할된 몸체를 갖는 케이스(2)(2a)의 선단에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돌기(6)(6a)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완구로의 사용이 가능한 케이스.
  2. 내부가 빈 몸체의 외주연에는 선단이 후단보다 폭이 큰 철부를 갖도록 하고 각각의 철부 사이에는 철부와 대응토록 되는 요부를 갖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완구로의 사용이 가능한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끼움돌기에는 등분되어진 걸림날개와 개구부를 갖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완구로의 사용이 가능한 케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개구부를 갖는 걸림날개의 구현을 위하여 그 후방으로 중공부를 갖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완구로의 사용이 가능한 케이스.
KR2020020017166U 2002-06-04 2002-06-04 블록 완구로의 사용이 가능한 케이스 KR2002902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166U KR200290206Y1 (ko) 2002-06-04 2002-06-04 블록 완구로의 사용이 가능한 케이스
JP2003157792A JP2004149216A (ja) 2002-06-04 2003-06-03 玩具等の物品収納用ケー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166U KR200290206Y1 (ko) 2002-06-04 2002-06-04 블록 완구로의 사용이 가능한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0206Y1 true KR200290206Y1 (ko) 2002-09-26

Family

ID=73124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166U KR200290206Y1 (ko) 2002-06-04 2002-06-04 블록 완구로의 사용이 가능한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020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5422A (en) Multiple part container
KR101924434B1 (ko) 연결 가능한 캡
FI108428B (fi) Pistolukituksella varustettu piensõili÷
US6086444A (en) Block-type construction toy
US4305221A (en) Block of members having interior interlock means
JPH08103573A (ja) 相互連結手段を持つ小物容器
US5035324A (en) Toy packaging
US20080003917A1 (en) Reconfigurable Toy
JPH0353177B2 (ko)
US5858262A (en) Mold for forming multi-sided, fully contoured, three-dimensional toy figures
JP6130963B1 (ja) 絞出具、補助部材、装飾体形成玩具及び装飾体形成玩具セット
RU2299164C2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подарков-сюрпризов и подобных изделий и содержащий его пищевой продукт
US4246718A (en) Interconnecting toy block arrangement
KR200290206Y1 (ko) 블록 완구로의 사용이 가능한 케이스
KR200291949Y1 (ko) 블록 완구로의 조립이 가능한 케이스
JP2004149216A (ja) 玩具等の物品収納用ケース
WO2011006167A1 (en) Doll kit
JP7436196B2 (ja) 口金及び絞出具
CN209254112U (zh) 一种拼接型塑胶玩具
CN210392205U (zh) 一种多模具diy彩泥盒套装
KR200435170Y1 (ko) 일회용 스푼
CN216363842U (zh) 一种系带机构
KR200281744Y1 (ko) 과자용기가 부설된 자동차완구
KR200260291Y1 (ko) 음식용구 손잡이
KR200309116Y1 (ko) 손잡이가 구비된 캔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