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9922Y1 - Balanced glass glass truck with import / export function - Google Patents

Balanced glass glass truck with import / export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9922Y1
KR200289922Y1 KR2019970033188U KR19970033188U KR200289922Y1 KR 200289922 Y1 KR200289922 Y1 KR 200289922Y1 KR 2019970033188 U KR2019970033188 U KR 2019970033188U KR 19970033188 U KR19970033188 U KR 19970033188U KR 200289922 Y1 KR200289922 Y1 KR 2002899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frame
stage
main body
liquid crystal
im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3188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90019792U (en
Inventor
정석진
임정택
이동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20199700331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9922Y1/en
Publication of KR199900197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9792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99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9922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2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using forks or t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70Comprising means for facilitating loading 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08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driven by screw or spindl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반입/반출 기능이 구비된 액정 셀 글래스 운반용 대차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고안은, 캐스터(2)가 설치된 본체 프레임(1)에 승강판(3)이 구동 기구에 의해 승강된다. 승강판(3)상에는 3단의 스테이지(5,6,7)로 이루어진 포크 스테이지(S)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부 스테이지(5)상에 다수의 액정 글래스가 수납된 카세트(C)가 안치된다. 각 스테이지(5,6,7)는 상대적인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스테이지(5,6,7)의 길이만큼 카세트(C)를 생산 장비내로 전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체 프레임(1)에는 어태치 기구가 구비되어, 본체 프레임(1)과 생산 장비의 중심선이 어태치 기구에 의해 자연적으로 정확히 일치된다. 아울러, 테이블(3)과 포크 스테이지(S) 사이에 체결되는 로킹 노브(16)에 의해 포크 스테이지(S)의 전진 방향으로 180。로 전환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liquid crystal cell glass transport cart equipped with an import / export function. According to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the elevating plate 3 is lifted up and down by the drive mechanism to the main body frame 1 provided with the caster 2. The fork stage S consisting of three stages 5, 6 and 7 is rotatably connected on the lifting plate 3, and the cassette C containing a plurality of liquid crystal glasses on the upper stage 5 is provided. It is enshrined. Each stage 5, 6, 7 is connected so as to allow relative sliding movement, and it is possible to advance the cassette C into the production equipment by the length of the stage 5, 6, 7. In addition, the attachment mechanism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frame 1, and the center line of the main body frame 1 and the production equipment is exactly matched naturally by the attachment mechanism.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switch to 180 degrees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fork stage S by the locking knob 16 fastened between the table 3 and the fork stage S. FIG.

Description

반입/반출 기능이 구비된 액정 글래스 운반용 대차Liquid Crystal Glass Carrying Cart with Import / Export Function

본 고안은 반입/반출 기능이 구비된 액정 글래스 운반용 대차(cart)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수의 액정 셀이 수납된 카세트를 어느 한 공정 라인에서 후속 공정 라인으로 운반하기 위해 사용함과 아울러 생산 장비로/에서 카세트를 반입/반출하는 기능이 구비된 대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t for carrying a liquid crystal glass with an import / export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produce a cassette containing a plurality of liquid crystal cells for transporting from one process line to a subsequent process line. A truck is provided with a function of importing / exporting cassettes to / from equipment.

예를 들어 액정표시소자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어느 한 단위 공정 라인에서 공정이 완료된 액정 글래스를 후속 공정 라인으로 운반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For example, in manufactur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t is necessary to carry the operation of conveying the liquid crystal glass that has been completed in one unit process line to a subsequent process line.

종래에는, 다수의 액정 글래스가 수납된 카세트(액정 글래스를 포함해서 대략 40㎏의 무게)를 수작업으로 운반하였다. 즉, 작업자가 직접 카세트를 운반하였고, 또한 생산 장비로/에서 반입/반출시켰다.Conventionally, a cassette (weight of approximately 40 kg including liquid crystal glass) containing a large number of liquid crystal glasses was transported by hand. That is, the operator carried the cassette directly and also brought in / out of the production equipment.

그러나, 종래에는 수작업으로 무거운 카세트를 운반하였기 때문에, 작업자의 과도한 힘이 요구되었다. 특히, 운반중에 진동이 카세트로 전달되어서, 카세트내의 액정 글래스가 파손되는 사고가 자주 발생되었다.However, conventionally, since heavy cassettes were transported by hand, excessive force of the operator was required. In particular, vibrations are transmitted to the cassette during transportation, so that an accident in which the liquid crystal glass in the cassette is broken often occurs.

또한, 종래에는 카세트를 생산 장비로/에서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반입/반출시키도록 되어 있는데, 작업자가 무거운 카세트를 생산 장비로/에서 반입/반출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반입/반출중에 카세트내의 액정 글래스가 요동되어, 액정 글래스가 카세트의 내벽에 심하게 충돌을 일으키게 되므로써, 고가의 액정 글래스가 파손되거나 또는 액정 글래스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치는 미립자가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in the prior art, the operator to manually import / export the cassette to / from the production equipment,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operator is very difficult to import / export heavy cassette to / from the production equipment. In particular, the liquid crystal glass in the cassette is shaken during the import / export, so that the liquid crystal glass severely collides with the inner wall of the cassette, so that expensive liquid crystal glass is broken or particles having a fatal adverse effect on the liquid crystal glass are generated.

아울러, 종래에는 작업자가 육안으로 반입/반출 위치를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도 있었다.In addition, in the related art, there was a inconvenience that a worker must check the import / export position by naked ey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카세트를 적은 힘으로 운반하도록 함과 아울러 생산 장비로/에서 반입/반출도 가능한 반입/반출 기능이 구비된 액정 글래스 운반용 대차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quid crystal glass transport trolley equipped with an import / export function that can be carried in / out of production equipment as well as to transport the cassette with a small force. hav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대차의 정면도1 is a front view of a bogi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은 대차의 측면도로서,2 and 3 are side views of the bogie,

도 2는 포크 스테이지가 하강된 상태2 shows the fork stage lowered

도 3은 포크 스테이지가 상승된 상태3 shows the fork stage raised

도 4는 본 고안의 주요부인 어태치 동작을 나타낸 설명도4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attach operation as a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주요부인 포크 스테이지가 양방향으로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동작 설명도5 is an operatio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rk stage which is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in both directions

도 6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로킹홈이 형성된 위치를 나타낸 테이블의 평면도6 is a plan view of a table showing a position where a locking groove which is a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C - 카세트 S - 포크 스테이지C-Cassette S-Fork Stage

1 - 본체 프레임 2 - 캐스터1-Body Frame 2-Casters

3 - 승강판 5,6,7 - 상중하부 스테이지3-Platform 5,6,7-Upper and Lower Stages

8 - 가이드 롤러 9 - 가이드 부재8-guide roller 9-guide member

10 - 십자형 트러스 11 - 볼 스크류10-Cross Truss 11-Ball Screw

12 - 타이밍 벨트 13 - 레버12-Timing Belt 13-Lever

16 - 로킹 노브 17 - 제 1 어태치 롤러16-locking knob 17-first attach roller

18 - 제 2 어태치 롤러 19 - 어태치 축18-2nd Attach Roller 19-Attachment Shaft

20 - 슬라이더 21 - 링크 기구20-Slider 21-Link Mechanism

22 - 페달 23 - 코일 스프링22-Pedal 23-Coil Spring

24 - 에어 쿠션 27 - 테이블24-Air Cushion 27-Tabl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본체 프레임의 밑면 각 모서리에 캐스터가 설치된다. 본체 프레임의 저면에 볼 스크류가 횡으로 배치된다. 볼 스크류의 일단에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돌리는 레버가 연결된다. 볼 스크류의 외주에는, 볼 스크류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승강되는 십자형 트러스의 하단이 나사결합된다. 십자형 트러스는 수 개의 링크가 십자형으로 교차되고, 각 링크의 단부는 피봇연결되며, 각 링크의 교차부도 피봇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십자형 트러스의 상단에 승강판이 피봇연결된다. 본체 프레임의 상부 구조를 이루는 테이블의 밑면 외곽에는 충격 완화를 위한 에어 쿠션(air cushion)이 설치된다. 승강판의 중앙에 카세트가 안치되는 최소한 2단 이상의 포크 스테이지가 연결된다. 포크 스테이지의 각 스테이지는 바로 아래 스테이지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된다.Casters are installed at each corner of the bottom of the main frame. A ball screw is arranged laterally on the bottom of the main frame. One end of the ball screw is connected to a lever that the operator holds by han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all screw, the lower end of the cross-shaped truss which is elevat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all screw is screwed. The cross truss has a structure in which several links cross each other, the ends of each link are pivoted, and the intersection of each link is also pivoted. A lifting plate pivots on top of the cross truss. An air cushion for cushioning shock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table forming the upper structure of the main frame. At least two stages of fork stages are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lifting plate. Each stage of the fork stage is slidably connected to the stage just below.

또한, 생산 장비를 향하는 본체 프레임의 측면에 한 쌍의 제 1 및 제 2 어태치 롤러(attach roller)가 설치된다. 각 어태치 롤러는 생산 장비에 구비된 한 쌍의 어태치먼트에 끼워지게 된다. 각 어태치먼트의 대향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걸림홈에 각 어태치 롤러가 끼워지게 된다. 제 1 어태치 롤러는 본체 프레임의 중심선에서 외측을 향해 소정의 예각으로 경사지게 탄력지지를 받는다. 제 2 어태치 롤러는 본체 프레임의 상기 중심선과 직교되게 설치된 가이드 축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진다. 또한, 제 2 어태치 롤러는 본체 프레임의 중심선과 인접하는 어태치 축에 끼워진 코일 스프링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탄력지지된다. 제 2 어태치 롤러는 소정의 각으로 절곡된 링크 기구의 상단에 고정되고, 링크 기구의 타단에는, 작업자가 발로 밟아 제 2 어태치 롤러가 코일 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내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페달이 설치된다.In addition, a pair of first and second attach rollers ar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frame facing the production equipment. Each attach roller is fitted to a pair of attachments provided in the production equipment. Engaging grooves are formed on the opposing surfaces of the respective attachments, and the respective attachment rollers are fitted into the engaging grooves. The first attach roller is elastically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cute angle toward the outside from the center line of the main frame. The second attach roller is movably fitted to a guide shaft installed orthogonally to the center line of the body frame. Further, the second attach roller is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outward direction by a coil spring fitted to the attach shaft adjacent to the centerline of the main frame. The second attach roller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link mechanism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t the other end of the link mechanism, a pedal is provided to allow the operator to step on the foot so that the second attach roller moves inward while compressing the coil spring. .

또한, 좁은 통로 양측에 배치된 각 생산 장비에 대응하기 위한 수단도 본 대차에 구비된다. 즉, 포크 스테이지의 맨 하단 스테이지는 승강판의 중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맨 하단 스테이지의 일측면에는 로킹 노브가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끼워지고, 이 로킹 노브가 서로 180。 간격을 이루는 테이블 상부면 양측에 각각 형성된 로킹홈에 선택적으로 끼워진다.Further, the vehicle is also provided with means for corresponding to each production equipment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narrow passageway. That is, the bottom stage of the fork stage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lifting plate. The locking knob is fitted to one side of the bottom stage so as to be movable, and the locking knob is selectively fitted to locking grooves respective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able top surface spaced 180 ° apart from each other.

상기된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카세트를 포크 스테이지에 안치시킨 후,레버를 회전시켜 십자형 트러스를 상승시키게 되면, 포크 스테이지가 반입 또는 반출 높이로 상승되고, 이어서 각 스테이지를 슬라이딩 이동시키게 되면, 카세트가 생산 장비로/에서 반입/반출되게 된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f the cassette is placed in the fork stage, and the lever is rotated to raise the cross truss, the fork stage is raised to the loading or unloading height, and then the respective stage is slidably moved, the cassette. Will be imported / exported to / from production equipment.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대차의 정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대차의 측면도로서, 도 2는 포크 스테이지가 하강된 상태이고, 도 3은 포크 스테이지가 상승된 상태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주요부인 어태치 동작을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주요부인 포크 스테이지가 양방향으로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동작 설명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로킹홈이 형성된 위치를 나타낸 테이블의 평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the bogi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and 3 are side views of the bogie, Figure 2 is a fork stage is lowered, Figure 3 is a fork stage is raised, Figure 4 is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attach operation of the main part, Figure 5 is an operation explanato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rk stage is a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in both directions, Figure 6 shows a position where the locking groove is formed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Top view of the table.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은 상부가 개구된 장방 형상이다. 4개의 캐스터(2)가 본체 프레임(1)의 밑면 모서리에 설치된다. 대차를 밀기 위해 작업자가 손으로 잡는 부위인 핸들(14)이 본체 프레임(1)의 측면에 설치된다. 본체 프레임(1)의 상부에 테이블(27)이 설치된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main body frame 1 has a rectangular shape with an upper opening. Four casters 2 are installed at the bottom edges of the main frame 1. A handle 14, which is a part held by a worker by hand to push the cart,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main frame 1. The table 27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frame 1.

본체 프레임(1)내에 구동 기구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 기구를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볼 스크류(11)가 본체 프레임(1)의 저면에 횡으로 배치된다. 타이밍 벨트(12)가 볼 스크류(11)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향으로 배치된다. 레버(13)에 타이밍 벨트(12)가 연결되어서, 레버(13)를 회전시키게 되면, 그 회전력이 타이밍 벨트(12)를 통해 볼 스크류(11)로 전달되어진다.The drive mechanism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frame 1. In this embodiment, the drive mechanism is configured as follows. A ball screw 11 is arranged laterally on the bottom of the main frame 1. The timing belt 12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all screw 11 and disposed upward. When the timing belt 12 is connected to the lever 13 to rotate the lever 13, the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ball screw 11 through the timing belt 12.

십자형 트러스(10)가 볼 스크류(11)의 외주에 나사결합된다. 십자형트러스(10)는 수 개의 링크가 십자형으로 교차된 구조로서, 그 최하단 링크의 양단이 볼 스크류(11)의 외주에 나사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링크로 십자형 트러스(10)를 구성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6개나 8개 또는 그 이상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각 링크의 단부와 교차부는 서로 피봇연결되어서,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The cross truss 10 is screw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all screw 11. The cross truss 10 has a structure in which several links crosswise, and both ends of the lowermost link are screw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all screw 11.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our-link cross truss 10 is configur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configured as six, eight, or more. The ends and intersections of each link are pivoted to each other so that they can be folded or unfolded.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 기구로서, 상기와 같은 기구를 예로 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지 않고 에어 실린더와 같은 다른 기구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Here,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the driving mechanism, the above mechanism is taken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mechanisms such as an air cylinder may be used.

승강판(3)의 밑면에 십자형 트러스(10)의 최상단 각 링크의 상단이 피봇연결된다. 즉, 십자형 트러스(10)의 오므려지거나 펼쳐지는 동작에 의해 승강판(3)이 승강하게 된다. 이러한 승강판(3)의 승강운동을 가이드하는 2개의 가이드 축(4)이 십자형 트러스(10) 주위에 배치된다. 가이드 축(4)의 하단은 본체 프레임(1)의 저면에 고정되고, 상단은 승강판(3)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진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27)과 본체 프레임(1) 사이에는 충격 완화를 위한 에어 쿠션(24)이 설치된다.The upper end of each top link of the cross-shaped truss 10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vating plate 3. That is, the lifting plate 3 moves up and down by the movement of the cross truss 10 to be retracted or unfolded. Two guide shafts 4 for guiding the lifting motion of this lifting plate 3 are arranged around the cross truss 10. The lower end of the guide shaft 4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main frame 1, and the upper end is fitted to the lifting plate 3 so as to be movable.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an air cushion 24 for cushioning shock is provided between the table 27 and the main frame 1.

3단의 스테이지(5,6,7)로 구성된 포크 스테이지(S)가 승강판(3)의 중심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포크 스테이지(S)를 3단으로 구성하였으나, 이는 생산 장비의 반입 또는 반출 위치에 대응되도록 하기 위함이므로, 반입 또는 반출 위치가 변경되면 2단 또는 4단 그 이상의 스테이지들로 구성할 수가 있다.A fork stage S composed of three stages 5, 6, 7 is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elevating plate 3.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ork stage S is configured in three stages, but this is to correspond to the import or export position of the production equipment. Therefore, when the import or export position is changed, two or four stages or more stages can be configured. There is a number.

한편, 하부 스테이지(7)는 승강판(3)에 고정되어도 무방하지만, 도 5과 같이좁은 통로 양측에 배치된 각 생산 장비로 카세트(C)를 반입/반출이 가능하도록, 승강판(3)에 회전가능하게 회전축(15)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스테이지(7)의 회전동작 및 로킹 동작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Meanwhile, the lower stage 7 may be fixed to the elevating plate 3, but the elevating plate 3 is capable of carrying in / out of the cassette C to each production equipment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narrow passage as shown in FIG. 5. It is preferable to be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15 to be rotatable. Details of the rotational operation and the locking operation of the lower stage 7 will be described later.

각 스테이지(5,6,7)은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중간부 및 하부 스테이지(6,7)의 상부면에는 한 조로 이루어진 수 개의 가이드 롤러(8)들이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각 가이드 롤러(8) 사이를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 부재(9)가 상부 및 중간부 스테이지(5,6)의 밑면에 설치되어서, 상부 및 중간부 스테이지(5,6)가 중간부 및 하부 스테이지(6,7)상에서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중간부 스테이지(6)에는 작업자가 보다 수월하게 밀기 위한 손잡이(25)가 설치된다. 그리고, 다수의 액정 글래스가 적층식으로 수납된 카세트(C)가 상부 스테이지(5)상에 안치된다. 상부 스테이지(5)상에는 카세트(C)를 지지하는 지지 블럭(26)이 설치된다.Each stage 5, 6, 7 is connected to allow sliding movement. That is, several guide rollers 8 in a set are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part and the lower stages 6, 7 at regular intervals. A guide member 9, which is moved between each guide roller 8,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upper and middle stages 5 and 6, so that the upper and middle stages 5 and 6 are arranged in the middle and lower stages ( 6, 7) can be moved sliding. On the other hand, the intermediate part stage 6 is provided with a handle 25 for pushing the operator more easily. Then, the cassette C, in which a plurality of liquid crystal glasses are stacked, is placed on the upper stage 5. On the upper stage 5, a support block 26 for supporting the cassette C is provided.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의 일측면에 어태치 기구가 설치된다. 어태치 기구는 생산 장비의 중심선과 대차의 중심선을 일치되도록 하여, 카세트(C)를 정확하게 반입/반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4에 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1, the attach mechanism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frame (1). Attachment mechanism is for making the cassette C import / export correctly by making the centerline of a production equipment match with the centerline of a trolley | bogie. The configuration is shown in FIG.

도 4는 평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어태치 롤러(17,18)가 본체 프레임(1)의 양측면에 돌출되도록 부착된다. 먼저, 핸들(14)과 거리가 먼 위치에 있는 제 1 어태치 롤러(17)는 본체 프레임(1)의 중심선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중심선에서 멀어지도록 외측을 향해 소정의 예각으로 벌어진 상태로 탄력지지된다. 즉, 제 1 어태치 롤러(17)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스프링에 의해 외측을 향해 탄력지지된다.4 shows the first and second attach rollers 17, 18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body frame 1 as shown in plan view. First, the first attach roller 17 at a position far from the handle 14 is not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center line of the main body frame 1, but is opened at a predetermined acute angle toward the outside to be far from the center line. Resilient support in a state. That is, although not shown, the first attach roller 17 is elastically supported toward the outside by a spring.

제 2 어태치 롤러(18)는 슬라이더(20)에 연결되고, 이 슬라이더(20)는 상기 중심선과 직교되도록 본체 프레임(1)내에 설치된 어태치 축(19)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진다. 소정의 각으로 절곡된 구조의 링크 기구(21)의 상단이 슬라이더(20)에 연결된다. 작업자가 발로 밟게 되는 페달(22)이 링크 기구(21)의 하단에 설치된다. 한편, 슬라이더(20)를 중심으로 제 1 어태치 롤러(17)측인 어태치 축(19)의 외주에는 코일 스프링(23)이 끼워진다. 즉, 발로 페달(22)을 밟게 되면, 슬라이더(20)가 코일 스프링(23)을 압축시키면서 어태치 축(19)을 따라 제 1 어태치 롤러(17)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The second attach roller 18 is connected to the slider 20, which is movably fitted to the attach axis 19 provided in the body frame 1 so as to be orthogonal to the center line. The upper end of the link mechanism 21 of the structur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is connected to the slider 20. A pedal 22 on which the operator steps on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link mechanism 21. On the other hand, the coil spring 23 is fit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attach shaft 19 on the side of the first attach roller 17 around the slider 20. That is, when the pedal 22 is pressed by the foot, the slider 20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attach roller 17 along the attach axis 19 while compressing the coil spring 23.

이렇게 제 1 및 제 2 어태치 롤러(17,18)를 구성하는 이유는 생산 장비(M)의 어태치먼트(M1,M2)의 형상 때문이다. 2개의 어태치먼트(M1,M2)의 대향면 각각에는 걸림홈(M3,M4)가 형성되어 있어서, 각 어태치 롤러(17,18)를 어태치먼트(M1,M2) 사이로 진입시킨 후, 각 걸림홈(M3,M4)에 보다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for configuring the first and second attach rollers 17 and 18 in this way is due to the shape of the attachments M1 and M2 of the production equipment M. FIG. Engagement grooves M3 and M4 are formed in each of the opposing surfaces of the two attachments M1 and M2. After each attachment roller 17 and 18 enters between the attachments M1 and M2, the respective engagement grooves ( This is to make it easier to fit the M3, M4).

도 1을 다시 보면, 하부 스테이지(7)의 일측에 종방향으로 로킹 노브(16)가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끼워진다. 로킹 노브(16)의 하부 외주에는 나사가 형성되어서, 테이블(27)에 형성된 2개의 로킹홈(28,29)에 선택적으로 체결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27)상에는 180。 간격을 이루는 한 쌍의 로킹홈(28,29)이 형성되어서, 카세트(C)의 반입/반출 방향에 따라 포크 스테이지(S)를 회전시켜, 로킹 노브(16)를 각 로킹홈(28,29)에 선택적으로 끼우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보다 견고한 로킹을 위해, 로킹 노브(16)를 로킹홈(28,29)에 나사결합하는 방식을 채용하였으나, 단순히 로킹 노브(16)를 로킹홈(28,29)에 끼우는 방식도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1 again, the locking knob 16 is fitted to one side of the lower stage 7 so as to be movable. A screw is formed on the lower outer circumference of the locking knob 16 to be selectively fastened to the two locking grooves 28 and 29 formed in the table 27. That is, as shown in FIG. 6, a pair of locking grooves 28 and 29 are formed on the table 27 at intervals of 180 degrees, so that the fork stage S may be arranged in the loading / exporting direction of the cassette C. As shown in FIG. By rotating, the locking knob 16 is selectively fitted to each of the locking grooves 28 and 29. He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cking knob 16 is screwed into the locking grooves 28 and 29 for more robust locking. However, the locking knob 16 is simply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s 28 and 29. It is also possible.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is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카세트(C)를 대차로 반입하는 동작은 다음과 같다.First, the operation of bringing the cassette C into the balance is as follows.

우선, 대차를 생산 장비(M)에 어태치시킨다. 이를 위해서, 발로 페달(22)을 밟게 되면, 그 조작력이 링크 기구(21)를 통해 슬라이더(20)로 전달된다. 슬라이더(20)는 코일 스프링(23)을 압축시키면서 본체 프레임(1)의 중심선 방향으로 어태치 축(19)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제 2 어태치 롤러(18)도 그 방향으로 같이 이동된다.First, the trolley is attached to the production equipment (M). For this purpose, when the pedal 22 is pressed with a foot, the operation force is transmitted to the slider 20 via the link mechanism 21. The slider 20 moves along the attach axis 19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line of the main body frame 1 while compressing the coil spring 23, so that the second attach roller 18 also moves in that direction as well.

그리고, 본체 프레임(1)의 앞쪽 부분을 생산 장비(M) 방향으로 약간 회전시키면서, 제 1 어태치 롤러(17)를 제 1 어태치먼트(M1)의 걸림홈(M3)내로 진입시킨다. 제 1 어태치 롤러(17)는 외측 방향으로 탄력지지를 받고 있으므로, 제 1 어태치먼트(M1)내로 진입하게 되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홈(M3)내로 강하게 밀착되어진다. 이때, 제 2 어태치 롤러(18)는 내측으로 이동된 상태이므로, 제 2 어태치먼트(M2)에 제 2 어태치 롤러(18)가 걸리지 않는다. 그런 다음, 페달(22)을 밟고 있는 발을 떼면, 코일 스프링(23)의 신장력에 의해 슬라이더(20)가 상기와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제 2 어태치 롤러(18)가 제 2 어태치먼트(M2)의 걸림홈(M4)내로 진입된다.Then, the first attach roller 17 enters into the locking groove M3 of the first attachment M1 while slightly rotating the front portion of the main frame 1 in the production equipment M direction. Since the first attach roller 17 is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outward direction, when the first attach roller 17 enters into the first attachment M1, the first attach roller 17 is strongly adhered into the locking groove M3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At this time, since the second attach roller 18 is moved inward, the second attach roller 18 is not caught by the second attachment M2. Then, when the foot is stepped on the pedal 22, the slider 20 is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by the extension force of the coil spring 23, so that the second attach roller 18 moves the second attachment ( It enters into the locking groove M4 of M2).

이와 같이 되면, 본체 프레임(1)의 중심선과 생산 장비(M)의 중심선이 자연스럽게 일치되어, 반입 위치가 정확하게 설정된다.In this way, the centerline of the main body frame 1 and the centerline of the production equipment M naturally coincide with each other, and the carry-in position is set correctly.

이렇게 어태치 동작이 완료된 후, 레버(13)를 회전시키면, 그 회전력이 타이밍 벨트(12)를 통해 볼 스크류(11)로 전달되게 되므로써, 볼 스크류(11)를 회전하게 된다. 볼 스크류(11)에 나사결합된 십자형 트러스(10)는 각 링크가 오므려지면서 상승하게 되어, 승강판(3)도 같이 상승하게 된다. 그러면, 포크 스테이지(S)도 같이 상승하게 되므로써, 상부 스테이지(5)가 반입 위치로 도달하게 된다.After the attachment operation is completed in this way, when the lever 13 is rotated, the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ball screw 11 through the timing belt 12, thereby rotating the ball screw 11. The cross truss 10 screwed to the ball screw 11 is raised as each link is pinched, and the lifting plate 3 is also raised. Then, the fork stage S is also raised, so that the upper stage 5 reaches the carrying position.

그런 다음, 중간부 스테이지(6)를 밀면, 가이드 부재(9)가 가이드 롤러(8) 사이를 따라 전진되고, 이어서 상부 스테이지(5)를 밀면 상기와 같이, 상부 스테이지(5)도 전진된다. 이렇게 되어서, 상부 스테이지(6)가 반입 위치로 이동된다. 그런 다음, 카세트(C)를 상부 스테이지(6)상에 안치시키고, 지지 블럭(26)으로 요동되지 않도록 지지시킨다.Then, when the intermediate stage 6 is pushed, the guide member 9 is advanced along the guide rollers 8, and when the upper stage 5 is pushed, the upper stage 5 is also advanced as above. In this way, the upper stage 6 is moved to the carrying position. Then, the cassette C is placed on the upper stage 6 and supported so as not to be rocked by the support block 26.

카세트(C)의 안치가 완료되면, 상부 및 중간부 스테이지(5,6)를 후퇴시켜서 하부 스테이지(7)상에 복귀시킨다. 그런 다음, 레버(13)를 상기와는 반대로 회전시키면, 십자형 트러스(10)는 벌어지면서 하강하게 되고, 따라서 승강판(3) 및 포크 스테이지(S) 전체가 초기 높이로 하강하게 된다.When the settlement of the cassette C is completed, the upper and middle stages 5 and 6 are retracted and returned on the lower stage 7. Then, when the lever 13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above, the cross-shaped truss 10 is lowered while opening, so that the whole of the lifting plate 3 and the fork stage S is lowered to the initial height.

이렇게 카세트(C)를 대차에 반입시킨 후, 핸들(14)를 밀어서 후속 생산 장비(M)로 이동시킨다. 이때, 테이블(27)과 본체 프레임(1) 사이에 에어 쿠션(24)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노면으로부터의 진동으로 인해 카세트(C)내의 액정 글래스가 파손되는 사태를 사전에 방지할 수가 있다.After the cassette C is brought into the trolley in this way, the handle 14 is pushed to the subsequent production equipment M. At this time, since the air cushion 24 is provided between the table 27 and the main body frame 1, the situation where the liquid crystal glass in the cassette C is damaged by the vibration from the road surface can be prevented beforehand.

후속 생산 장비 위치로 대차를 이동시킨 후, 상기의 반입 동작과 동일하게포크 스테이지(S)를 상승시키고 이어서 전진시켜서, 카세트(C)를 반출 위치로 이동시킨 후, 카세트(C)를 생산 장비(M)로 반출하면 된다.After moving the trolley to the subsequent production equipment position, the fork stage S is raised and then advanced in the same manner as the carrying-in operation above to move the cassette C to the carrying out position, and then the cassette C is moved to the production equipment ( You can carry out to M).

여기서, 2대의 생산 장비(M)가 좁은 통로 양측에 배치되어 있을 경우, 좁은 통로에서 대차를 회전시킬 수는 없고, 또한 포크 스테이지(S)의 전진 방향도 어느 한 방향으므로, 이때에는 도 5와 같이 포크 스테이지(S) 전체를 180。 회전시킨다.Here, when the two production equipment (M) is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narrow passage, it is not possible to rotate the bogie in the narrow passage, and also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fork stage (S) in either direction, so at this time Similarly, rotate the entire fork stage S 180 °.

즉, 어느 하나의 로킹홈(28)에 체결되어 있던 로킹 노브(16)를 빼낸 후, 포크 스테이지(S) 전체를 회전축(15)을 중심으로 180。 회전시킨다. 그런 다음, 로킹 노브(16)를 다른 로킹홈(29)에 체결하게 되면, 반대편 생산 장비로/에서 카세트(C)를 반입/반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That is, after removing the locking knob 16 fastened to any one of the locking grooves 28, the whole fork stage S is rotated 180 degrees about the rotating shaft 15. As shown in FIG. Then, by locking the locking knob 16 to the other locking groove 29, it becomes possible to carry in / out the cassette C to / from the opposite production equipment.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무거운 중량의 카세트(C)를 손쉽게 이동시킬 수가 있으므로, 작업 능률을 높일 수가 있다. 특히, 에어 쿠션(24)의 채용으로, 운반 도중에 충격으로 인한 고가의 액정 글래스가 파손되거나 미립자가 발생되는 사태를 사전에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heavy weight cassette C can be easily moved, the work efficiency can be improved. In particular, by employing the air cushion 24,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ituation in which expensive liquid crystal glass due to shock during transportation or damage of fine particles is generated.

특히, 본 고안의 대차에는 반입/반출 기능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반입/반출 동작중에 액정 글래스가 파손되는 사태도 방지할 수가 있게 되고, 또한 반입/반출 위치는 정확하게 설정되게 되어서, 작업자가 일일이 반입/반출 위치를 확인할 필요도 없게 된다.In particular, since the c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n import / export func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iquid crystal glass from being damaged during the import / export operation, and the import / export position is set accurately, so that the operator There is no need to confirm the export position.

Claims (7)

반입/반출 기능이 구비된 액정 글래스 운반용 대차(cart)에 있어서,In the liquid crystal glass transport cart equipped with the import / export function, 본체 프레임과,Body frame, 상기 본체 프레임의 밑면 각 모서리에 설치되는 캐스터(casrer)와,A caster installed at each corn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frame;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부면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승강판과,A lifting plat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frame to move upward and downward; 상기 본체 프레임 내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판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기구와,A drive mechanism installed in the main body frame and moving the lifting plate up and down; 상기 승강판 상에 설치되며, 다수의 액정 글래스가 수납된 카세트(cassette)가 안치되는 적어도 2단 이상의 스테이지로 구성되고, 상기 스테이지의 각각은 바로 아래 스테이지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포크 스테이지(fork stage)를A fork stage installed on the lifting plate and configured with at least two stages in which a cassette containing a plurality of liquid crystal glasses is placed, each of which is slidably moved to a stage immediately below. stage)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입/반출이 기능이 구비된 액정 글래스 운반용 대차.Carrying a liquid crystal glass transport trolley with import / export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본체 프레임의 측면에, 생산 장비와 본체 프레임간의 중심선이 일치되도록, 상기 생산 장비에 구비된 한 쌍의 어태치먼트에 정렬되는 어태치 기구가 더 설치되고,On the side of the main body frame, there is further attached to the attachment mechanism aligned to the pair of attachments provided in the production equipment, such that the center line between the production equipment and the main body frame, 상기 어태치 기구는 생산 장비를 향하는 본체 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어태치먼트에 끼워지는 제 1 및 제 2 어태치 롤러와,The attach mechanism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frame facing the production equipment, the first and second attach roller fitted to the attachment; 상기 제 2 어태치 롤러가 이동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중심선과 직교되게 본체 프레임내에 설치된 어태치 축과,An attaching shaft, to which the second attach roller is movably fitted, installed in the main body frame perpendicular to the center line; 상기 제 2 어태치 롤러를 중심으로, 상기 중심선과 인접하는 어태치 축 부분의 외주에 끼워져, 상기 제 2 어태치 롤러를 상기 중심선의 반대 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코일 스프링과,A coil spring fitted to an outer circumference of an attach shaft portion adjacent to the center line with respect to the second attach roller, to elastically support the second attach roller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enter line; 상기 제 2 어태치 롤러에 상단이 고정되고, 중간부가 소정의 각으로 절곡된 링크 기구; 및 상기 링크 기구의 하단에 설치된 페달을A link mechanism having an upper end fixed to the second attach roller and having an intermediate portion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 pedal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link mechanism.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입/반출 기능이 구비된 액정 글래스 운반용 대차.Carrying liquid crystal glass transport trolley with import / export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 1 어태치 롤러는 상기 중심선에서 외측을 향해 소정의 예각으로 경사지게 탄력지지를 받도록, 스프링으로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입/반출 기능이 구비된 액정 글래스 운반용 대차.And the first attach roller is supported by a spring so as to receive elastic support obliquely at a predetermined acute angle from the center line to the outside thereof.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포크 스테이지중 맨 하단 스테이지는 승강판의 중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맨 하단 스테이지의 일측면에는 로킹 노브가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로킹 노브가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한 쌍의 로킹홈이 180。 등간격으로 상기 테이블 상부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입/반출 기능이 구비된 액정 글래스 운반용 대차.The bottom stage of the fork stage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lifting plate, the locking knob is fitted to one side of the bottom stage so as to be movable, the pair of locking grooves are selectively fitted A cart for carrying a liquid crystal glass with an import / export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at equal intervals of 180 degrees.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로킹 노브와 로킹홈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입/반출 기능이 구비된 액정 글래스 운반용 대차.The locking knob and the locking groove is a liquid crystal glass transport cart having an import / export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crew coupling.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본체 프레임의 저면에 횡으로 배치된 볼 스크류; 상기 볼 스크류의 일단에 연결된 레버; 및 상기 볼 스크류의 외주에 나사결합되어 볼 스크류의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되고, 수 개의 링크가 십자형으로 교차되며, 각 링크의 단부와 교차부가 피봇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진 십자형 트러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입/반출 기능이 구비된 액정 글래스 운반용 대차.The drive mechanism includes a ball screw disposed transversely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frame; A leve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all screw; And a cross-shaped truss which is screw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all screw and is lifted according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ball screw, and several links cross each other in a cross shape, and an end portion and an intersection of each link are pivotally connected. Liquid crystal glass transport trolley with import / export func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테이블과 본체 프레임 사이에는, 운반중의 진동을 완화시키는 에어 쿠션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입/반출 기능이 구비된 액정 글래스 운반용 대차.An air cushion for relieving vibration during transportation is provided between the table and the main body frame.
KR2019970033188U 1997-11-21 1997-11-21 Balanced glass glass truck with import / export function KR20028992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188U KR200289922Y1 (en) 1997-11-21 1997-11-21 Balanced glass glass truck with import / export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188U KR200289922Y1 (en) 1997-11-21 1997-11-21 Balanced glass glass truck with import / export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792U KR19990019792U (en) 1999-06-15
KR200289922Y1 true KR200289922Y1 (en) 2002-12-26

Family

ID=53898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3188U KR200289922Y1 (en) 1997-11-21 1997-11-21 Balanced glass glass truck with import / export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9922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35556B2 (en) * 2011-07-20 2015-12-24 株式会社Ihi Transfer device and transfer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792U (en)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21322A (en) Roll body conveying device
US9731949B2 (en) Elevating apparatus
JPH06502461A (en) Transfer equipment, multi-level storage system, and method for lifting loaded items
KR200289922Y1 (en) Balanced glass glass truck with import / export function
JP2003312665A (en) Transfer apparatus
US6718627B2 (en) Back-up plate up/down apparatus
CN112477944B (en) Material carrying trolley for building
JP3892494B2 (en) Substrate transfer device
JP2000052287A (en) Lengthy object loading device
US20150210519A1 (en) Stacker crane
KR20210128784A (en) Unit for fixing cassette and vehicle having the same
CN210064224U (en) Four-way vehicle
KR102264857B1 (en) Unit for supporting cassette and vehicle having the same
JP2003176021A (en) Liquid crystal panel carrying and transferring device
KR100488929B1 (en) Manual Balance with Import / Export Functions
JPH1160184A (en) Conveyance vehicle
WO2020247986A1 (en) Bi-directional shuttle
TW202103985A (en) Rim replacement device and tire testing device comprising same
KR102267936B1 (en) Automated-guided vehicle for transferring product safely
JP2757140B2 (en) Container transfer equipment
JPH08319020A (en) Device and method for conveying conveyer
KR102661921B1 (en) Method for replacing defective parts in televisions and refurbished televisions manufactured thereby
JPH07242176A (en) Carriage for transportation
JP2007076919A (en) Transfer system and storage facility equipped with the same
JPH09301184A (en) Cart, device and truck for picking or sor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7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