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9751Y1 - 차량의 점화플러그용 고압케이블 - Google Patents

차량의 점화플러그용 고압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9751Y1
KR200289751Y1 KR2020020019158U KR20020019158U KR200289751Y1 KR 200289751 Y1 KR200289751 Y1 KR 200289751Y1 KR 2020020019158 U KR2020020019158 U KR 2020020019158U KR 20020019158 U KR20020019158 U KR 20020019158U KR 200289751 Y1 KR200289751 Y1 KR 2002897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terminal
spark plug
engine
terminal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91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도천
Original Assignee
서도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도천 filed Critical 서도천
Priority to KR20200200191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97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97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9751Y1/ko

Links

Landscapes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점화플러그용 고압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석(Su)으로 도금처리된 여러가닥의 동선을 균일하게 꼬아 형성된 심선도체의 외측면이 전자파 흡수률이 높은 페라이트 자성성분이 첨가된 실리콘을 이용 설정두께로 절연피복처리된 표피층을 갖춘 고압전선과, 상기 고압전선의 양끝단부가 표피층이 제거되고, 그 곳에 전기적 전도율이 높은 금속재질의 단자클립이 결합되되 그중 배전기 코드단자ㆍ변압기 단자와 결합되는 상기 단자클립 선단부가 절연 및 내열수지로 이루어진 보호링이 결합되고 상기 단자클립 전체가 절연고무재로 커버링되게 이루어진 보호캡이 감싸져 형성되며, 이 반대쪽 끝단부엔 실린더 블럭의 외측면 깊은곳에 점화플러그가 장착되는 구조적 특성에 따라 점화플러그 단자와 결속되도록 비교적 길이가 긴 단자클립이 상기 심선도체와 결속되고, 이 외측면 전체가 절연 및 내열성이 높은 고무재로 커버링된 연장부에 설정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간격유지돌기들이 돌출 형성된 각각의 커넥터와, 열팽창 계수가 낮고 기계적 강도 및 절연성이 높은 규사(SiO2) 원료만을 갖고 중공된 원통형상의 이루어진 석영유리관의 외측 전체면에 전자파 흡수률이 높은 페라이트 자성성분이 첨가된 실리콘을 균일하게 도포 형성되어 상기 점화플러그 단자와 결합되는 커넥터의 연장부 외측면 전체가 커버링되도록 삽입 고정된 커넥터보호관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엔진에서 발생되는 고열이 커넥터에 전달됨을 최소화 내지 각종 오일과의 접촉 차단으로 커넥터의 변질ㆍ균열발생 방지 및 점화플러그 단자와 단자클립의 지속적인 접속성이 유지됨은 물론 전기적 전도성이 없어 엔진의 실린더 블럭 표면에 쇼트 발생이 원천 차단되어 엔진의 출력저하 내지 불완전 연소ㆍ주행중 엔진의 시동이 꺼짐ㆍ누전에 의한 화재 발생 등의 각종 문제들을 해결함에 따라 제품에 대한 안전성 및 신뢰성, 상품성 등이 상승됨과 동시에 점화플러그 단자 주변에서 발생되는 높은 유해 전자파를 더욱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제조 생산이 보다 단순해져 전체적인 생산성 증가와 함께 제품의 원가가 절감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차량의 점화플러그용 고압케이블{High-tension cord}
본 고안은 차량용 점화플러그용 고압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열팽창 계수가 매우 작고 기계적 강도가 높으며 전기적 전도성이 없는 석용유리관(quartz glass pipe)이 고압케이블에서 점화플러그와 체결되는 커넥터의 외측면 전체가 감사지게 끼워져 상호 결합되어, 혹독한 환경조건에서 장시간동안 사용으로 인하여 고압케이블의 부식 등으로 배전기에서 발생된 고압의 전기가 점화플러그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실린더 블럭에 쇼트가 발생되어 엔진의 출력저하 및 불완전 연소증가는 물론 경우에 따라 주행중 엔진의 시동이 꺼짐, 화재발생의 우려가 높은 안전성의 중대한 결점들을 해소할 수 있는 차량용 점화플러그용 고압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연기관의 점화장치는 엔진과 배터리 중간에 위치한 변압기(이그니션코일)에서 발생한 약 10,000V ~ 20,000V이상의 고압의 전류가 배전기(디스트리뷰터)를 통하여 분배된 고전압이 고압케이블(하이텐션 코드)을 따라 배전되면서 엔진 내부에 장착된 다수의 점화플러그에 공급된 고전압의 전류가 순간적 쇼트(short)가 발생되고, 이때 방전된 점화불꽃(spark)에 의해 실린더 내부에 기화상태로 공급되어 압축된 연료가 착화 연소되는 폭발행정이 연속 반복적으로 수행되어 엔진의 동력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통상 자동차용 가솔린 엔진에서는 주로 축전지 점화식(battery ignition type)을 사용하며, 그 구성은 축전지를 비롯하여 점화스위치ㆍ점화1차저항ㆍ변압기ㆍ배전기ㆍ고압케이블ㆍ점화플러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축전지식 점화는 시동스위치를 넣으면(on) 축전지의 저압전류(1차전류)가 전류계, 점화스위치, 점화코일의 1차코일을 거쳐 배전기 어셈블리내의 단속기 접점에 도달한다. 이때, 단속기 접점이 닫혀 있으면 접점과 접지를 거쳐서 전류가 흐른다. 이 상태에서 엔진이 회전을 하여 단속기 접점이 열리면 1차코일에 흐르던 전류가 차단되고 동시에 점화코일의 2차코일에 고전압(2차전압)이 유도된다. 이 고압의 전류는 고압케이블을 통하여 배전기의 회전자(rotor)에 들어오고, 다시 고압케이블의 양끝단부에 형성된 커넥터의 단자클립을 통하여 각 점화플러그로 배전됨과 동시에 기화된 연료가 공기와 적당한 비율로 혼합하여 실린더의 연소실로 보내지고, 여기서 전기적 점화에 의해 연소시켜 동력을 발생시킨다.
여기에서, 변압기(ignition coil)는 엔진의 실린더에 장착된 점화플러그에 고압의 전류를 배전하여 점화불꽃 발생을 유도하는 장치로 축전지식 점화방법 이용차량용 점화코일로 엔진 점화의 필요한 주요부품이다.
또한 배전기(distributor)는 점화코일에 발생한 고전압의 전류를 고압케이블를 통하여 각 실린더에 장착된 점화플러그에 최적의 점화시점에 방전되도록 분배하는 장치로, 전류의 분배장치와 변압기에 고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류를 단속하는 장치(브레이커)와, 엔진의 회전에 따라 점화시기를 조정하는 장치(진각장치)로 구성되며, 엔진의 크랭크축 또는 캠축에 부착되어 엔진회전의 1/2속도로 회전하고 있다.
그리고, 절연피복 전선인 고압케이블(high tension code)은, 10 ∼ 20개의 주석도금전선을 철심으로 하고, 그 주위에 두꺼운 절연고무 내지 실리콘으로 피복처리한 전선으로 양끝단부가 일정길이 피복되지 않은 심선도체가 전기적 전도율이 높은 금속재질의 단자클립이 결합되고, 그 외측면이 절연 및 내열 고무재로 이루어진 보호캡이 감싸진 커넥터가 실린더 블럭에 장착된 다수개의 점화플러그 및 배전기 코드단자ㆍ변압기 단자에 끼워져 안전하고 원할한 상태의 배전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전선이다.
한편, 점화플러그는 밴드(단자)ㆍ인슐레이터(자기 절연체)ㆍ중심전극 및 상기 밴드으로부터 연장되는 접지전극ㆍ개스킷을 포함한다. 이같은 일반적인 점화플러그는 예컨대 운전자가 키를 키홀더에 꽂아 회전시키면 중심전극에 플러스(+) 전극이 공급되고 접지전극에 마이너스(-)전극이 공급되어 각각의 전극간의 간극(적정틈새 0.5 ~ 0.7mm)에서 점화불꽃이 방전되고, 이 불꽃이 엔진의 실린더 혼합기내의 무화된 연료에 스파크가 인가되어 엔진이 시동되어 동력을 발생시킨다.
이같은 점화플러그의 밴드는 볼트부에 의해 엔진의 실린더 블럭에 견고하게 체결 고정된 후 상기 고압케이블의 양단부에 형성된 각각의 커넥터 내부의 단자클립에 끼워져 상호 결합된다.
이와같은 점화플러그는 엔진의 시동시 필수적인 것으로서, 적시에 정확히 점화불꽃을 제공해야하나 상기 중심선극과 접지전극 사이에 이물질이 끼거나 전극간의 간격(t)의 크기가 적절히 유지되지 못하면 스파크를 적절히 제공하지 못하게 된다. 이경우에는 점화플러그를 분해하여 점화플러그를 청소하거나 또는 교환해야 하며, 이에따라 점화플러그의 교환 또는 점검을 위하여 고압케이블의 커넥터와 점화플러그가 빈번하게 분리된다.
그러나, 이같은 종래 점화플러그의 인슐레이터에 고압케이블의 커넥터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 상기 커넥터는 합성수지 내지 고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엔진의 고열 및 각종 오일과 접촉 등에 의해 변질되거나 고열이 가해져 일부가 용융되어 인슐레이터에 고착되면 점화플러그의 분해가 용이하지 않을뿐 아니라 점화플러그와 강제 분리시 커넥터의 단자클립 및 심선도체가 손상될 수 있어 고압케이블 전체 교환의 우려가 높은 결점과 동시에 커넥터의 단자클립을 감싸는 합성수지 및 고무 보호캡이 변질되면서 발생된 균열 틈새로 고압의 전기가 방전되면서 엔진의 실린더 블럭 표면에 쇼트가 발생이 잦아 엔진의 출력저하 내지 불완전 연소증가는 물론 심한 경우 주행중 엔진의 시동이 꺼지거나 누전에 의한 차량화재 발생의 우려가 높은 중대한 문제점들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통상적인의 고압케이블의 결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 6을 참고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종래 고압케이블(1)은 변압기에서 발생된 고압의 전류가 배전기를 통하여 점화플러그까지 안전하게 배전 가능하도록 하여 실린더에 공급된 연료를 연소시켜 엔진의 동력이 발생되도록 연결하는 통상의 고압케이블은 미세한 탄소분말이 외주면에 도착된 글래스화이버와 주석 내지 납으로 도금된 동선을 설정량 분배하여 균일하게 함께 꼬아 형성된 심선도체와,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상기 심선도체의 외측면이 포피처리되게 형성된 절연층과, 전자파 흡수를 위하여 페라이트 자성성분이 실리콘에 첨가되어 상기 절연층의 외측면이 형성된 전자파 흡수층과, 상기 전자파 흡수층의 외측면이 감싸지도록 다수의 유리섬유가 편직된 보강층과, 상기 보강층의 외주면이 감싸지게 포피처리되어 형성된 외피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종래 고압케이블(1)의 심선도체가 절연피복 되지 않은 양끝단부에는 전기적 전도율이 높은 금속재질의 단자클립(2A, 2B)이 결합되고, 그중 배전기 코드 단자ㆍ변압기 단자와 체결되는 커넥터(3A)는 단자클립(2A) 선단부가 절연 및 내열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보호링(2a)이 결합되고, 상기 단자클립(2A) 전체가 커버링되게 절연고무재로 이루어진 보호캡(3a)이 감싸져 형성되며, 이와 반대쪽인 점화플러그의 단자와 결합되는 커넥터(3B)는 실린더 안쪽에 깊이 삽입하여 점화플러그 단자와 체결하는 구조적 특성에 따라 심선도체와 결합된 비교적 길이가 긴 단자클립(2B) 전체가 절연 및 내열 고무재로 커버링되게 형성되고, 그 연장부(3b) 외측면 전체를 한번 더 금속관체(4)로 감싸지게 삽입 고정되되 그 선단에코일스프링(5)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금속관체(4)는 엔진의 특성상 동력 발생중 연료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고열에 의해 고압의 전기가 순간적으로 점화플러그에 배전되도록 결속된 단자클립(2B)을 보호하기 위함과 동시에 점화플러그와 결합된 단자클립(2B)이 엔진 작동 내지 차량 주행중 발생되는 크고 작은 진동등 의해 점화플러그의 단자에서 단자클립(2B)이 이탈분리 방지 및 견고한 접속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으로 보완하기 위하여 고압케이블(1)에 부가된 커넥터 커버관이다.
그러나, 이러한 금속관체(4)가 구비된 고압케이블(1)의 커넥터(3B)는 오일에 의한 오염으로 커넥터를 보호하여 변질됨을 극소화시킴과 동시에 고열에 의한 고무의 탄성을 최소화시켜 점화플러그 단자에서 이탈됨을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을지 모르나, 장시간 동안 엔진의 고열 등에 노출된 상태이므로 일부가 녹아 점화플러그의 인슐레이터에 고착되거나 또는 변질되면서 자연 발생된 균열 틈새로 고압의 전기가 방전되고, 금속관체(4)을 통해 전도되어 방전된 고전압이 엔진의 실린더 블럭에 전도되면서 쇼트가 발생됨을 차단하지 못하여,
첫째, 커넥터(3A, 3B)의 용융에 의한 변형 및 변질로 점화플러그의 분해가 용이하지 않을뿐 아니라 점화플러그와 강제 분리시 커넥터의 단자클립 및 심선도체가 손상되어 잦은 고압케이블 교환으로 차량유지비용의 높아지는 결점과,
둘째, 엔진의 실린더 블럭 표면에 쇼트 발생으로 인하여 엔진의 출력저하 내지 불완전 연소률 증가는 물론 심한 경우 주행중 엔진의 시동이 꺼지거나 누전에 의한 차량화재 발생의 우려가 높아 제품에 대한 안전성 및 신뢰성, 상품성 등이 저하는 결점과,
셋째, 고열에 의해 탄성이 저하된 고무재질의 커넥터가 헐거워져 점화플러그 단자에서 단자클립이 이탈되어 고압의 전류가 원할하게 전달되지 못할 것을 우려하여 별도의 금속관제(4) 및 코일스프링(5)을 추가 제작 후 조립 생산에 따른 작업인력 및 제조원가 상승등에 따른 전체적인 문제점들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근본적인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열팽창 계수가 매우 작고 기계적 강도가 높으며 전기적 전도성이 없는 석용유리관(quartz glass pipe)이 고압케이블에서 점화플러그와 체결되는 커넥터의 외측면 전체가 감사지게 끼워져 상호 결합되어, 혹독한 환경조건에서 장시간동안 사용으로 인하여 고압케이블의 부식 등으로 배전기에서 발생된 고압의 전기가 점화플러그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실린더 블럭에 쇼트가 발생되어 엔진의 출력저하 및 불완전 연소증가는 물론 경우에 따라 주행중 엔진의 시동이 꺼짐, 화재발생의 우려가 높은 안전성의 중대한 결점들을 해소할 수 있는 차량용 점화플러그용 고압케이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고압케이블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에 커넥터보호관체가 조립된 상태의 고압케이블의 단면도,
도 3은 도 2에 표시된 A - A선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고압케이블 커버관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고압케이블이 엔진 및 점화플러그, 배전기, 변압기에 장착되는 상태를 예시한 개략 사시도,
도 6은 종래 점화플러그용 고압케이블의 커넥터에서 코일스프링이 결합된 금속관체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면중 주용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 커넥터, 11(21): 단자클립
12 : 보호링, 13 : 보호캡
22 : 연장부, 23 : 간격유지돌기
30 : 고압전선, 31 : 신선도체
32 : 표피층, 40 : 커넥터보호관체
41 : 석영유리관, 42 : 외면보강층
43 : 열방출구, 44 : 방열공간
100: 고압케이블, D : 배전기
E : 엔진, I : 변압기
S : 점화플러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주석(Su)으로 도금처리된 여러가닥의 동선을 균일하게 꼬아 형성된 심선도체의 외측면이 전자파 흡수률이 높은 페라이트 자성성분이 첨가된 실리콘을 이용 설정두께로 절연피복처리된 표피층을 갖춘 고압전선과, 상기 고압전선의 양끝단부가 표피층이 제거되고, 그 곳에 전기적 전도율이 높은 금속재질의 단자클립이 결합되되 그중 배전기 코드단자ㆍ변압기 단자와 결합되는 상기 단자클립 선단부가 절연 및 내열수지로 이루어진 보호링이 결합되고 상기 단자클립 전체가 절연고무재로 커버링되게 이루어진 보호캡이 감싸져 형성되며, 이 반대쪽 끝단부엔 실린더 블럭의 외측면 깊은곳에 점화플러그가 장착되는 구조적 특성에 따라 점화플러그 단자와 결속되도록 비교적 길이가 긴 단자클립이 상기 심선도체와 결속되고, 이 외측면 전체가 절연 및 내열성이 높은 고무재로 커버링된 연장부에 설정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간격유지돌기들이 돌출 형성된 각각의 커넥터와, 열팽창 계수가 낮고 기계적 강도 및 절연성이 높은 규사(SiO2) 원료만을 갖고 중공된 원통형상의 이루어진 석영유리관의 외측 전체면에 전자파 흡수률이 높은 페라이트 자성성분이 첨가된 실리콘을 균일하게 도포 형성되어 상기 점화플러그 단자와 결합되는 커넥터의 연장부 외측면 전체가 커버링되도록 삽입 고정된 커넥터보호관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점화플러그용 고압케이블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있어서는 엔진에서 발생되는 고열이 커넥터에 전달됨을 최소화 내지 각종 오일과의 접촉 차단으로 커넥터의 변질ㆍ균열발생 방지 및 점화플러그 단자와 단자클립의 지속적인 접속성이 유지됨은 물론 전기적 전도성이 없어 엔진의 실린더 블럭 표면에 쇼트 발생이 원천 차단되어 엔진의 출력저하 내지불완전 연소ㆍ주행중 엔진의 시동이 꺼짐ㆍ누전에 의한 화재 발생 등의 각종 문제들을 해결함에 따라 제품에 대한 안전성 및 신뢰성, 상품성 등이 상승됨과 동시에 점화플러그 단자 주변에서 발생되는 높은 유해 전자파를 더욱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제조 생산이 보다 단순해져 전체적인 생산성 증가와 함께 제품의 원가가 절감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고압케이블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에 커넥터보호관체가 조립된 상태의 고압케이블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표시된 A - A선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고압케이블 커버관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 고압케이블이 엔진 및 점화플러그, 배전기, 변압기에 장착되는 상태를 예시한 개략 사시도를 각각 가리킨다.
이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차량용 점화플러그용 고압케이블(100)은 차량의 엔진룸에 장착된 배전기(D) 및 변압기(I)의 각 해당 입/출력 단자들과 엔진(E)에 장착된 다수개의 점화플러그(S) 단자들에 각각 연결되어 고압의 전류를 배전하도록 한조의 커넥터(10, 20)가 양끝단부에 절연피복된 고압전선(30)에 각각 결속되어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고압전선(30)은 주석(Su)으로 도금처리된 여러가닥의 동선을 균일하게 꼬아 형성된 심선도체(31)의 외측면이 전자파 흡수률이 높은 페라이트 자성성분이 첨가된 실리콘을 이용 설정두께로 절연피복처리된 표피층(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10, 20)는 상기 고압전선(30)의 양끝단부가 절연표피가 제거되고, 그 곳에 전기적 전도율이 높은 금속재질의 단자클립(11, 21)이 결합되되, 그중 배전기(D) 코드단자ㆍ변압기(I) 단자와 결합되는 상기 단자클립(11) 선단부가 절연 및 내열수지로 이루어진 보호링(12)이 결합되고 상기 단자클립(11) 전체가 절연고무재로 커버링되게 이루어진 보호캡(13)이 감싸져 형성되며, 이 반대쪽 끝단부엔 엔진(E)의 실린더 블럭의 외측면 깊은곳에 점화플러그(S)가 장착되는 구조적 특성에 따라 점화플러그(S) 단자와 결속되도록 비교적 길이가 긴 단자클립(21)이 상기 심선도체(31)와 결속되고, 이 외측면 전체가 절연 및 내열성이 높은 고무재로 커버링된 연장부(22)에 설정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간격유지돌기(23)들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보호관체(40)는 열팽창 계수가 낮고 기계적 강도 및 절연성이 높은 규사(SiO2) 원료만을 갖고 중공된 원통형상의 이루어진 석영유리관(41)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 상기 석영유리관(41)의 외측 전체면에 전자파 흡수률이 높은 페라이트 자성성분이 첨가된 실리콘을 균일하게 도포된 외면보강층(42)이 도착 형성되어 상기 점화플러그(S) 단자와 결합되는 커넥터(20)의 연장부(22) 외측면 전체가 커버링되도록 삽입 고정되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커넥터보호관체(40)는 상단부에 하나 이상의 열방출구(43)가 형성되어 엔진(E)에서 방출된 고열이 커넥더(20)에 전달되기 직전 커넥터(20) 외측면 및 커넥터보호관체(40) 내측면 사이의 방열공간(44)을 통과하는 순간 자연스럽게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춘 본 고안의 고압케이블(100)은 첨부된 도 5에 표현된 바와 같이, 차량의 엔진(E)의 점화플러그(S)에 적정한 고압의 전류를 배전하는 전선으로, 다수개의 고압케이블(100)의 커넥터(10, 20)가 배전기(D)의 출력 단자에 결합되고 커넥터보호관체(40)가 구비된 커넥터(20)들이 엔진(E)에 장착된 다수개의 점화플러그(S) 해당 단자들과 상호 결합되며 나머지 하나의 고압케이블(100)이 배전기(D) 입력 단자 및 변압기(I)의 출력 단자에 해당 커넥터(10)를 견고하게 결합시킨다.
따라서, 차량에 장착된 배터리의 전원이 변압기(I)에 배전되고, 이 저전압을 약 10,000V ~ 20,000V이상의 고압의 전류로 전환시킴과 동시에 발생된 고전압을 배전기(D)로 전달되며, 입력된 고전압이 다수의 고압케이블(100)을 통하여 분배되어 엔진 내부에 장착된 다수의 점화플러그(S)에 각각 동시에 공급되면 고전압의 전류가 점화플러그(S)의 중심전극 및 접지전극 사이에서 고압의 방전 불꽃(spark)이 발생되고 실린더 내부에 기화상태로 공급되어 압축된 연료가 상기 방전불꽃에 의해 착화 연소되는 폭발행정이 반복적으로 연속 수행되어 엔진(E)의 동력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엔진에서 발생되는 고열이 커넥터에 전달됨을 최소화 내지 각종 오일과의 접촉 차단으로 커넥터의 변질ㆍ균열발생 방지 및 점화플러그 단자와 단자클립의 지속적인 접속성이 유지됨은 물론 전기적 전도성이 없어 엔진의 실린더 블럭 표면에 쇼트 발생이 원천 차단되어 엔진의 출력저하 내지 불완전 연소ㆍ주행중 엔진의 시동이 꺼짐ㆍ누전에 의한 화재 발생 등의 각종 문제들을 해결함에 따라 제품에 대한 안전성 및 신뢰성, 상품성 등이 상승됨과 동시에 점화플러그 단자 주변에서 발생되는 높은 유해 전자파를 더욱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제조 생산이 보다 단순해져 전체적인 생산성 증가와 함께 제품의 원가가 절감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주석으로 도금처리된 여러가닥의 동선을 균일하게 꼬아 형성된 심선도체의 외측면이 전자파 흡수률이 높은 페라이트 자성성분이 첨가된 실리콘을 이용 설정두께로 절연피복처리된 표피층을 갖춘 고압전선과,
    상기 고압전선의 양끝단부가 표피층이 제거되고, 그 곳에 전기적 전도율이 높은 금속재질의 단자클립이 결합되되 그중 배전기 코드단자ㆍ변압기 단자와 결합되는 상기 단자클립 선단부가 절연 및 내열수지로 이루어진 보호링이 결합되고 상기 단자클립 전체가 절연고무재로 커버링되게 이루어진 보호캡이 감싸져 형성되며, 이 반대쪽 끝단부엔 실린더 블럭의 외측면 깊은곳에 점화플러그가 장착되는 구조적 특성에 따라 점화플러그 단자와 결속되도록 비교적 길이가 긴 단자클립이 상기 심선도체와 결속되고, 이 외측면 전체가 절연 및 내열성이 높은 고무재로 커버링된 연장부에 설정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간격유지돌기들이 돌출 형성된 각각의 커넥터와,
    열팽창 계수가 낮고 기계적 강도 및 절연성이 높은 원료인 규사만을 갖고 중공된 원통형상의 이루어진 석영유리관의 외측 전체면에 전자파 흡수률이 높은 페라이트 자성성분이 첨가된 실리콘을 균일하게 도포 형성되어 상기 점화플러그 단자와 결합되는 커넥터의 연장부 외측면 전체가 커버링되도록 삽입 고정된 커넥터보호관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점화플러그용 고압케이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보호관체는 상단부에 하나 이상의 열방출구가 형성되어 엔진에서 방출된 고열이 커넥더에 전달되기 직전 커넥터 외측면 및 보호관체 내측면 사이의 방열공간을 통과하는 순간 자연스럽게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점화플러그용 고압케이블.
KR2020020019158U 2002-06-25 2002-06-25 차량의 점화플러그용 고압케이블 KR2002897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158U KR200289751Y1 (ko) 2002-06-25 2002-06-25 차량의 점화플러그용 고압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158U KR200289751Y1 (ko) 2002-06-25 2002-06-25 차량의 점화플러그용 고압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9751Y1 true KR200289751Y1 (ko) 2002-09-16

Family

ID=73084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9158U KR200289751Y1 (ko) 2002-06-25 2002-06-25 차량의 점화플러그용 고압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975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15337A (en) Engine ignition system with an insulated and extendable extender
US7299785B1 (en) Embedded igniter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N100514778C (zh) 火花塞
US4354136A (en) Ignition plug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658774A (en) Ignition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4944259A (en) Engine ignition system with an insulated and extendable extender
KR200289751Y1 (ko) 차량의 점화플러그용 고압케이블
US7902733B2 (en) Uniquely design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spark plug that will produce two independent ignition sparks between the spark plug electrodes for each single electrical ignition coil discharge
CN2361015Y (zh) 三极针火花塞
CN201741984U (zh) 汽油发动机火花塞用内感抗及外分度高压联接器
KR200463700Y1 (ko) 마이너스 자기장 유도 전기적 임피던스를 제거할 수 있는 전송 와이어 구조
GB1329533A (en) Flame glow plugs serving as starting aids for diesel engines
US5847492A (en) Spark Plug
US2318440A (en) Spark plug
CA2061287C (en) Ignition apparatus with a pre-gap
JPS58214674A (ja) 内燃機関用点火装置
US20110050069A1 (en) Spark plug
KR19990053670A (ko) 점화플러그
KR20070065085A (ko) 점화플러그용 홀더
KR200203998Y1 (ko) 자동차 점화플러그용 고압케이블
CN201584651U (zh) 一种电阻型多点火火花塞
CA1266084A (en) Engine ignition system with an insulated and extendable extender
CN101728769A (zh) 一种火花塞
KR200182737Y1 (ko) 스파크 플러그
KR19990033040U (ko) 자동차 점화플러그용 고압케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