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9436Y1 - 낚시가방 - Google Patents

낚시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9436Y1
KR200289436Y1 KR2020020017906U KR20020017906U KR200289436Y1 KR 200289436 Y1 KR200289436 Y1 KR 200289436Y1 KR 2020020017906 U KR2020020017906 U KR 2020020017906U KR 20020017906 U KR20020017906 U KR 20020017906U KR 200289436 Y1 KR200289436 Y1 KR 2002894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main
fishing
pocket
fishing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79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희성
Original Assignee
최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희성 filed Critical 최희성
Priority to KR20200200179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94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94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9436Y1/ko

Link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낚시가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주머니에 분리형 보강판을 적용하여 그 길이를 비교적 길게 제조하면서도 통상의 산업용 재봉기로 충분히 재봉할 수 있도록 한 낚시가방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본 고안은, 낚시용품을 수납하는 메인주머니와, 상기 메인주머니의 외측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주머니를 갖는 낚시가방에 있어서, 상기 메인주머니의 내외피 사이에 수용공간을 마련하고, 여기에 상하 분할된 2장의 보강판재를 설치하여 상측판재 이동시 메인주머니의 내외피 상단이 부분적으로 접힐 수 있도록 하며, 상하측판재의 겹쳐부 외측에는 외피 표면에 횡방향의 봉제띠를 배열한 후, 이를 2열의 봉제선으로 고정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낚시가방 {Fishing bag}
본 고안은, 낚시가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주머니에 분리형 보강판을 적용하여 그 길이를 비교적 길게 제조하면서도 통상의 산업용 재봉기로 충분히 재봉할 수 있도록 한 낚시가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에 사용되는 다양한 용품의 용이하게 휴대하기 위하여 여러개의 포켓을 구비하는 기능성 낚시가방이 사용되고 있다. 이같은 낚시가방에는 여러 종의 낚싯대를 포함하여, 받침대, 어망, 뜰채, 낚시바늘, 떡밥 등의 낚시용품들이 수납된다.
이러한 낚시가방에 있어서 가장 고려될 부분은 고가의 용품들을 훼손됨이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지의 여부와 함께 용품을 간편하게 꺼내고 넣을 수 있느냐 하는 기능성임을 부인할 수 없다.
이와같은 기능을 만족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낚시가방들이 제안되고 있으며, 그 한예로서 등록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227038호에 개시된 낚시가방을 꼽을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낚시가방(1)에는 전술한 낚시용품들을 종류별로 각기 수납하기 위하여 복수의 칸막이(11,12)로 구획된 복수의 보조주머니(13,14,15)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칸막이(11)에는 어깨걸이끈(16)과 행거끈(17)을 설치하는 한편, 보조주머니(13,14,15)와 메인주머니(18)는 지퍼(19)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하고 있고, 이같은 요소들은 하부에 제공되는 대체로 원통형으로 성형된 하부캡(20)에 봉접함으로서 낚시가방을 완성하는 것이다.
상기 메인주머니(18)는, 1.5m 내지 2m 에 이르는 낚싯대와 그 받침대를 안전하게 수용하여야 하는 것이므로, 낚시가방(1) 메인주머니(18)의 내외피 사이에 내구성이 우수한 보강판을 삽입하여 주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용품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동시에 가방이 구부러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제작하게 된다.
그런데, 비교적 길이가 긴 낚시가방(1)의 제조를 위해 보강판을 사이에 두고 그 내외측에 가죽이나 천 등의 외피를 둘러싸 봉제하는 것은 결코 쉬운일이 아니다. 이는 통상의 산업용 재봉기가 그 팔의 길이를 90㎝ 이내를 유지하고 있어 작업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다시말해, 보조주머니 등 주변 악세서리를 부착한 1.5m 가량의 상기 메인주머니(18)를 대체로 원통형으로 성형된 하부캡(20)에 봉접하는 작업에 통상의 공업용 재봉기를 사용하고자 한다면, 이를 위해서 1.5m 가량의 메인주머니(18)를 부분적으로 휘거나 만곡시켜야 하는 것이지만, 상기 메인주머니(18)의 내측에는 내구성 유지를 위하여 보강판이 삽입되어 있는 것이므로 이를 가공과정에서 강제로 휘거나 만곡하는 경우 봉제후 원형으로 복원되지 못하게 됨으로서 상품성의 저하는 물론 고가의 장비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없게 되는 중대한 문제점을 나타내게 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절단된 각각의 조각들을 펼쳐서 길이방향으로 봉재하여 메인주머니(18)을 제작한 후, 이들을 하부캡(20)에 봉접함에 있어서는 보강판에 손상이 가해지지 아니하도록 하기 위하여 수작업으로 봉제를 행하게 되는 것이었던바, 작업성이 크게 떨어짐은 물론, 균일한 강도와 내구성을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더욱이, 종래의 낚시가방에 있어서는 낚시가방이 기립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별도의 지지수단이 마련되어 있아 낚시가방을 세워두지 못하고 항시 눕혀두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낚시가방의 메인주머니에는 지퍼가 일렬로 마련되어 있고 지퍼를 개방하더라도 메인주머니의 개방 입구가 그다지 크게 열리지 않기 때문에 메인주머니로낚시용품을 수납하거나 꺼내기가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메인주머니에 분리형의 보강판을 적용하여 그 길이를 비교적 길게 제조하면서도 통상의 산업용 재봉기로 충분히 재봉할 수 있도록 한 작업성이 우수한 낚시가방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필요에 따라 세워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낚시가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메인주머니의 개방 입구를 통해 용품들을 용이하게 꺼내고 넣을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이 향상된 낚시가방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낚시가방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시가방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낚시가방을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
도 4a는 도 2의 봉재띠 위치에 보강판이 배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4b는 도 4a에서 보강판이 부분적으로 이동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낚시가방, 110: 메인주머니, 112,114: 보조주머니, 116: 파지용 손잡이, 118: 보강판, 120: 덮개판, 122a,122b: 메인지퍼, 125: 봉재띠, 125a,125b: 상하측 봉제선, 127: 띠형심재, 130: 하부캡, 140: 거치용 다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낚시용품을 수납하는 메인주머니와, 상기 메인주머니의 외측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주머니를 갖는 낚시가방에 있어서, 상기 메인주머니의 내외피 사이에 수용공간을 마련하고, 여기에 상하 분할된 2장의 보강판재를 설치하여 상측판재 이동시 메인주머니의 내외피 상단이 부분적으로 접힐 수 있도록 하며, 상하측판재의 겹쳐부 외측에는 외피 표면에 횡방향의 봉제띠를 배열한 후, 이를 2열의 봉제선으로 고정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메인주머니에는, 주머니의 개방 입구를 크게 유지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한 쌍의 지퍼가 마련되는 것이며, 상기 한 쌍의 메인지퍼사이에 덮개판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주머니의 배면에는 상기 메인주머니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거치용 다리를 설치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시가방의 일면을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낚시가방을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낚시가방(100)은, 비교적 길이가 길게 재단되는 소정폭의 원단을, 대체로 원통형으로 성형되는 하부캡(130)의 주연을 따라 둥글게 봉제하여 구성한 메인주머니(110)와, 메인주머니(110)의 측부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보조주머니(112,114)들로 구성되어 있다.
보조주머니(112,114)에는 비교적 크기가 작고 쉽게 꺼내거나 자주 사용할 수 있는 낚시용품, 예를 들어 낚시바늘, 낚시찌, 떡밥 등이 수납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주머니(112,114)에는 주머니를 개방 및 차폐할 수 있는 보조지퍼(112a,114a)가 마련되어 있다.
보조주머니(112,114)를 부가적으로 설치하고 있는 상기 메인주머니(110)는, 전방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덮개부(120)를 구성하고 있으며, 그 배면에는 낚시가방(100)을 수평으로 들고 다니기 위한 파지용 손잡이(116)와 함께 거치용 다리(140)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120)에는 또한, 메인주머니(110)의 개방폭을 최대한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좌우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지퍼(122a,122b)를 형성하고 있고, 이러한 덮개부(110)의 외부에는 뜰채고정용 밴드(124)가 부설되어 있다.
이같은 상기 메인주머니(110)는, 통상의 제작방법에 따라 펼쳐진 상태에서 제작되는 것으로서, 길이방향으로 절단된 전폭의 원단 한장을, 또는 여러장으로 재단된 좁은폭의 원단을 좌우방향으로 서로 연결하여 메인주머니(110) 둘레 면적에 해당하는 전폭의 시이트를 제작한 다음, 그 좌우 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한쌍의 지퍼(122a,122b)를 설치하는 것이며, 이를 다시 원통형으로 성형되는 하부캡(130)의 주연을 따라 봉제하여 시이트 좌우 양단에 설치된 한쌍의 지퍼(122a,122b)가 마주보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메인주머니(110)의 외측에 파지용 손잡이(116) 및 거치용 다리(140) 등을 리벳 고정하여 부착하는 방법으로 소망하는 낚시가방(100)을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덮개부(120)는, 일면의 지퍼(122a 또는 122b)만이, 혹은 양면이 모두 메인주머니(110)로 부터 분리된 상태로 봉제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메인주머니(110)는, 도 3 및 도 4에 예시하는 바와같이 내외피(111,113) 사이에 보강판재(118)를 수용하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 보강판재(118)는 상하로 분할된 2장(118a,118b)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보강판재(118)를 상하로 분할하는 이유는, 상기 메인주머니(110)를 구성하는 3가지의 소재중 내외피(111,113)가 유연성을 가지는 것이므로 굴곡이 자유롭고 또한 복원력이 우수한 반면, 상기 보강판재(118)는 내구성 유지를 위하여 굴곡이나 접힘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다시말해, 상기 메인주머니(110)는, 도 4a 및 도 4b 도시와 같이, 천연 또는 인조가죽의 질감을 갖는 외피(113)와, 수용되는 낚시용품들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있도록 비교적 신축성을 보유하지 아니하는 내피(111)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들 사이에 소정의 내부공간(115)을 형성하게 되는 것인데, 별도의 부착물을 설치하지 아니한 체 한장의 연속된 시이트가 사용되는 내피(111)와는 달리, 상기 외피(113)의 표면에는 보조주머니(112,114)와 기타의 기능성 악세서리들이 선택적으로 부착된 상태로 조립되는 것이다.
상기 외피(113)와 내피(111) 사이의 수용공간(115)에는, 상하로 분리될 수 있도록 2장으로 구성된 보강판재(118a,118b)가 단부를 서로 적층하는 상태로 끼워져 설치된다. 이같은 보강판(118)은, PVC 등과 같이 경질이면서도 소정의 탄성을 보유하는 소재가 사용되는 것이며, 메인주머니(110)의 전체적인 구조와 형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전체면에 걸쳐 삽입된다.
이러한 보강판(118)은, 대체로 1m의 길이를 넘지 않도록 절단되어 내외피(111,113) 사이의 수용공간(115)에 끼워지는 것인데, 상하로 구분되어 포개어진 상태로 삽입되는 상기 2장의 보강판재(118a,118b)는 메인주머니(110)의 크기와 동일한 면적을 유지하게 됨으로서 상기 수용공간(115) 내에서 유동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분할된 2장의 보강판재(118a,118b)는, 이들이 상하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의하여 적층부의 외측에, 횡방향의 봉제띠(125)를 구성한다. 이때, 상기 봉제띠(125)는 메인주머니(110)의 외피(113) 바깥쪽에 2열의 봉제선(125a,125b)으로 고정시킨다. 2열의 봉제선(125a,125b) 중 상측봉제선(125a)은 분할된 2장의 보강판재(118a,118b) 중 상측판재(118a)를, 하측봉제선(125b)은 하측판재(118b)를 각각 고정하는 역활을 담당하게 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낚시가방(100)을 제조함에 있어서는, 먼저 보조주머니(112,114)와 기타의 기능성 악세서리들을 표면에 부착하고 있는 신축소재 외피(113)와, 비신축성의 내피(111)를 각각 소망하는 크기로 제단한다. 그리고, 이들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분할된 2장의 보강판재(118a,118b)를 배열한 다음, 내외피(111,113)의 테두리부에 지퍼(122)를 삽입하여 일체로 봉제하여 메인주머니(110)를 완성하게 된다. 이때, 봉제된 메인주머니(110)의 외측에는 파지용 손잡이(116)나 거치용 다리(140)등 리벳을 사용하여 고정하는 어떠한 부착물도 부착하여서는 아니된다. 이들은 상측판재(118a)의 하부이동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봉제된 내외피(111,113) 사이의 수용공간(115)에는, 분할된 2장의 보강판재(118a,118b)가 고정되지 아니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다시말해, 삽입된 2장의 보강판재(118a,118b)중 상측판재(118a)는 상기 수용공간(115) 내에서 상기 하측판재(118b)와 포개어지는 형태로 하향 미끄럼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113)와 내피(111) 사이를 벌려 상측판재(118a)가 하측판재(118b)와 겹쳐지도록 한다. 그러면 최초 상측판재(118a)가 위치하고 있던 메인주머니(110)의 상부영역(U)에는 보강판(118)이 없는 상태가 되므로 메인주머니(110)의 상부영역(U)은 메인주머니(110)의 하부영역(D)에 대해 접혀질 수 있게 된다 (도 4a의 점선 참조).
이처럼 메인주머니(110)를 구성하는 유연소재인 내외피(111,113)가 부분적으로 접히게 되면, 메인주머니(110)의 전체 길이가 1/2에 가깝게 짧아지기 때문에 통상의 공업용 재봉기를 사용하여 상기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하부캡(130)의 상부 주연을 따라 안정적으로 재봉할 수 있는 상태에 놓이게 된다.
메인주머니(110)를 하부캡(130)에 안정적으로 부착하게 되면, 2장의 보강판재(118a,118b)중 하측판재(118b)는 내외피(111,113)의 하단과 더불어 하부캡(130)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며, 따라서 미부착 상태에 있는 상측판재(118a)만이 수용공간(115) 내에서 유동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도 4b에서와 같이 상측판재(118a)를 다시 초기의 상태로 복귀시켜 외피(113)와 내피(111) 사이를 상하 한쌍의 보강판재(118a,118b)로 보강하게 된다.
상측판재(118a)가 하측판재(118b)와 겹쳐짐이 없이 내외피(111,113)사이에 위치하고 나면, 이들 상하 한쌍의 보강판재(118a,118b)를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서 내구성을 갖춘 양질의 메인주머니(110)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하 한쌍의 보강판재(118a,118b)의 유동을 억제하기 위하여 외피(113)의 표면에 횡방향의 봉제띠(125)를 배열한 후, 2열의 봉제선(125a,125b)으로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봉제띠(125)의 내측에 띠형심재(127)를 삽입하게 되면 상하 보강판재(118a,118b)의 견고성이 더욱 증대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봉제띠(125) 재봉시 멜빵고리(119)를 일체로 마련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낚시가방(100) 배면에는, 가방을 지면에 세우는데 사용되는 거치용 다리(140)를 부착한다. 거치용 다리(140)는, 메인주머니(110)의 중앙부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141) 상에 일단이 지지되어 있는 한 쌍의 지지다리(142)와, 낚시가방(100)의 하부에 고정된 제2고정부(143)에 그 일단이 지지되며 타단은 한쌍의 지지다리(142)에 연결되는 탄성 연결부(144)를 갖는다. 탄성 연결부(144)는 한 쌍의 지지다리(142)가 메인주머니(118) 측으로 접히거나 혹은 그 반대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탄성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한 쌍의 지지다리(142)를 메인주머니(110)로부터 이격되도록 펼친 후 낚시가방(100)을 비스듬하게 지지시킴으로써, 낚시가방을 바닥에 눕히지 아니하고도 필요한 낚시용품을 용이하게 꺼내거나 넣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메인주머니에 분리형의 보강판을 적용하여 그 길이를 비교적 길게 제조하면서도 통상의 산업용 재봉기로 충분히 재봉할 수 있도록 한 작업성이 우수한 낚시가방 구조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세워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특히 메인주머니의 개방 입구를 통해 용품들을 용이하게 꺼내고 넣을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이 향상된 낚시가방을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3)

  1. 낚시용품을 수납하는 메인주머니와, 상기 메인주머니의 외측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주머니를 갖는 낚시가방에 있어서,
    상기 메인주머니의 내외피 사이에 수용공간을 마련하고, 여기에 상하 분할된 2장의 보강판재를 설치하여 상측판재 이동시 메인주머니의 내외피 상단이 부분적으로 접힐 수 있도록 하며, 상하측판재의 겹쳐부 외측에는 외피 표면에 횡방향의 봉제띠를 배열한 후, 이를 2열의 봉제선으로 고정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가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주머니에는, 주머니의 개방 입구를 크게 유지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한 쌍의 지퍼를 마련하고, 상기 한 쌍의 메인지퍼 사이에 덮개판이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가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주머니의 배면에, 상기 메인주머니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거치용 다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가방.
KR2020020017906U 2002-06-12 2002-06-12 낚시가방 KR2002894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906U KR200289436Y1 (ko) 2002-06-12 2002-06-12 낚시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906U KR200289436Y1 (ko) 2002-06-12 2002-06-12 낚시가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9436Y1 true KR200289436Y1 (ko) 2002-09-16

Family

ID=73124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906U KR200289436Y1 (ko) 2002-06-12 2002-06-12 낚시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943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424Y1 (ko) 2014-04-13 2016-01-28 권용현 각도조절이 가능한 낚시가방용 받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424Y1 (ko) 2014-04-13 2016-01-28 권용현 각도조절이 가능한 낚시가방용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54432A (en) Suitcase having removable divider with clothing pockets
US6494335B1 (en) Two frame collapsible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same
US5402883A (en) Golf bag with unique pockets and novel divider
US6948632B2 (en) Collapsible structure
US4887751A (en) Traveler's organizer bag luggage
US5009319A (en) Shape giving system for soft purses
US6959806B2 (en) Jewelry case
KR20190073581A (ko) 보관 포켓을 갖는 브라
US20090114648A1 (en) Collapsible structure
EP0276226A1 (en) COMBINED CLOTHING BAG AND BAG.
WO2020142647A1 (en) Neck pillow with removable and configurable insert
CA1287817C (en) Cover for a carrying case
US4126252A (en) Foldable garment support frame
US20090308768A1 (en) Golf Club Bag And Method Of Manufacture
US6702168B2 (en) Modular personal container
CA2264478C (en) Article of luggage having divider for opposing sections
KR200289436Y1 (ko) 낚시가방
US20010020618A1 (en) Two frame collapsible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same
US20110083931A1 (en) Garment organizing system, assembly, and method
EP3253249B1 (en) Bag expanding assembly
KR101823664B1 (ko) 골프 백
JP6762566B2 (ja) 物品収納ケース
JP7017703B2 (ja) エプロン
US5845773A (en) Golf bag divider construction
US6149000A (en) Golf bag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