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9397Y1 - 차광판을 구비한 가로등 - Google Patents

차광판을 구비한 가로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9397Y1
KR200289397Y1 KR2020020017315U KR20020017315U KR200289397Y1 KR 200289397 Y1 KR200289397 Y1 KR 200289397Y1 KR 2020020017315 U KR2020020017315 U KR 2020020017315U KR 20020017315 U KR20020017315 U KR 20020017315U KR 200289397 Y1 KR200289397 Y1 KR 2002893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treet lamp
street
plate
shield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73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관
Original Assignee
이종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관 filed Critical 이종관
Priority to KR20200200173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93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93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9397Y1/ko

Links

Landscapes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로등에 관한 것으로, 가로등 몸체를 상·하로 분리 형성하고, 그 내부에 반사판 및 전구등을 설치하되, 가로등의 불빛이 후방을 제외한 지면 및 전방을 향해 조사되도록 후방부에 차광판을 설치함으로서 가로등 후방에 위치하는 주변의 농작물의 이상발육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또한, 주택가의 경우에 가로등의 불빛이 가로등 후방에 위치한 주택으로 스며들지 않도록 함으로서, 가로등 불빛에 의해 주민들이 불면증에 시달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농작지 및 축산지 또는 주택가 주변의 각종 도로에 설치되는 가로등에 있어서, 상하로 분리 형성되는 가로등 몸체의 하부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로등 몸체상부 내측부에는 반사판과 전구를 설치하여서 구성하되, 상기 빛이 지면과 전방을 향해 조사되고 후방으로 조사되지 않도록 가로등 몸체하부 개구부 후방에 차광판을 고정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케 결합 설치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광판을 구비한 가로등{The width back which it has intercepts the light it sold }
본 고안은 가로등에 관한 것으로, 가로등 몸체를 상·하로 분리 형성하고, 그 내부에 반사판 및 전구등을 설치하되, 가로등의 불빛이 후방을 제외한 지면 및 전방을 향해 조사되도록 후방부에 차광판을 설치함으로서 가로등 후방에 위치하는 주변의 농작물의 이상발육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또한, 주택가의 경우에 가로등의 불빛이 가로등 후방에 위치한 주택으로 스며들지 않도록 함으로서, 가로등 불빛에 의해 주민들이 불면증에 시달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가로등의 불빛이 지면 및 전방을 향해 집중조사 되도록 함으로서 운전자 및 보행자의 시야를 확보하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로가에 일정간격으로 세워져 있는 가로등에 불빛에 농작물이 많이 노출됨으로 인해 하루 일조량에 관계없이 계속적인 일조조건을 가짐으로 해서 농작물의 이상발육이 생기고, 그로 인한 생산량감소와 병충해가 발생되고 가축들의 스트레스에 의한 질병 등이 발생할 우려가 많았다.
이와 같은 종래의 가로등은 지주 상단에 도로 방향으로 아암(arm)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아암의 끝단에는 램프가 포함된 등기구가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가로등기구는 도 1a와 같이 램프(3)를 포함하는 하우징(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램프(3)를 보호하기 위해 하우징(3) 하단에는 투명한 커버(5)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9는 아암(arm)을 나타낸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서는 도로 주변에 농작물을 재배하고 있는 농지가 있는 경우, 야간에 도로를 조명하기 위해 램프(3)로부터 발산되는 빛은 도로 뿐 아니라 그 일부가 등기구의 후방에 위치한 도로 주변의 농작물에 조사(照射)됨에 따라 농작물은 과다한 일조량에 의해 개화를 하지 못하거나 열매를 맺지 못하는 등 농작물의 성장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하게 되는 것은 물론, 가로등이 교량위에 배치된 경우, 가로등기구의 램프로부터 조사되는 빛에 의해 어족의 생태계를 파괴하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로등기구의 램프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모두 도로 측으로 조사되지 못하고 일부의 빛이 도로의 후방으로 조사됨에 따라 가로등의 광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도 1b와 같이 하우징(1a)과 커버(5a) 내측에 별도의 격자형 차광막(7)을 배치하였으나 이 경우에도 램프(3a)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상기 격자형 차광막 사이로 산란됨에 따라 도로 주변 즉, 농작물이 있는 농지방향으로 빛이 새어 나오게되어 그 차광효과가 미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 농작물이 경작되고 있는 도로 및 가축들을 사육하는 도로 또는 주택가의 도로에서 도로방향으로 조사되는 빛 외에 빛이 농지 및 가축 사육지 또는 주택가로 조사되는 것을 차광시키고 그차광한 빛을 전방으로 또는 지면을 향하도록 차광판을 형성하여 농작물 이상 발육 억제 및 가축들의 스트레스 등에 의한 질병을 줄이며, 주택가 등지에서 주민들이 불면증에 시달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그 빛을 전방과 지면으로 조사하도록 함으로서, 운전자 및 보행자의 시야를 확보하도록 한 차광판을 구비한 가로등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는 종래의 가로등의 일 실시예.
도 1b는 종래의 가로등의 다른 실시예.
도 2는 본 고안의 차광판을 구비한 가로등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 에 나타난 가로등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 의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가로등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1 : 몸체상부 12 : 지주결합공
15 : 몸체하부 16 : 개구부 17 : 차광판결합공
20 : 반사판 25 : 무광반사판 30 : 전구
31 : 소켓 40 : 차광판 41 : 결합돌기
42 : 결합공 43 : 볼트 100 : 가로등
따라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농작지 및 축산지 또는 주택가 주변의 각종 도로에 설치되는 가로등에 있어서, 상하로 분리 형성되는 가로등 몸체의 하부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로등 몸체상부 내측부에는 반사판과 전구를 설치하여서 구성하되, 상기 빛이 지면과 전방을 향해 조사되고 후방으로 조사되지 않도록 가로등 몸체하부 개구부 후방에 차광판을 고정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케 결합 설치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도 2는 본 고안의 차광판을 구비한 가로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3은 도 2 에 나타난 가로등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 의 부분 단면도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몸체상부(11)와 몸체 하부(15)로 구성되는 몸체(10)와,반사판(20)과, 전구(30)와, 차광판(40)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로등(100)의 몸체(10)는 상·하로 분리하여 주물 또는 사출성형한 것이고, 몸체상부(10)는 저면이 개방되어 돔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후방에 지주등에 고정할 수 있는 지주결합공(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하부(15)는 평면이 개방되어 있고, 빛이 조사되도록 개구부(16)를 갖는다.
따라서, 몸체상부(11)와 몸체하부(15)는 서로 대향하게 결합하도록 하되, 조사되는 개구부가 지면을 향하도록 결합한다.
이때, 개구부(16)는 특정한 형상을 따르지 않으나 원형 또는 4각 형상 및 타원형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반사판(20)은 바가지를 없어놓은 형상으로 외주연 일측에 전구(30) 및 소켓(31)등을 연결하도록 홈(21)을 형성하고, 외주연에서 중앙으로 일정간격으로 굴곡을 갖는 띠를 형성한다.
이때, 굴곡부는 난반사 효율을 높여 조사범위를 넓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
조사 범위내의 광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판(20)은 반사 효율이 높아야 할 것이므로 알루미늄재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상기 반사판(20)을 후방으로 반사되지 않도록 반사판 내부경사면(22)에 결합홀(23)을 형성하고, 빛이 반사되지 않도록 하는 무광반사판(25)의 일면에 결합돌기(26)를 형성하게 되면, 후방으로 반사되는 빛을 90%이상 차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판(20)과 무광반사판(25)은 결합홀(23)과 결합돌기(26)로 결합하였으나, 여기에 한정하지않고 결합수단으로 볼트체결등의 통상의 결합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반사판(20)은 무광반사판(25)으로 후방으로 조사되는 빛을 차광하였으나, 여기에 한정하지 않고, 반사판(20)의 내부 경사면(22)에 무광으로 코팅처리하거나 페이트칠등으로 무광처리하여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전구(30)는 몸체(10) 안의 반사판(20) 안에 설치하며 별도로 고정된 소켓(31)에 결합하되 일반적인 통상적인 형태의 가로등에 사용되는 공지의 전구를 사용한다.
상기 차광판(40)은 호형의 외주연 일측을 연장돌출시켜 결합돌기(41)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돌기(41)에 볼트 결합 홀(42)이 천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차광판(40)은 일정경사각(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는 수직하는 방향에서 전방을 향해. 30~60°정도의 범위 내이어야 하고 가장 바람직한 경사각(α)은 45°이다.
이때, 차광판(40)은 내면에 반사효율이 높여 조사되는 빛의 손실을 줄여 조사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호형의 내면에 거울 면을 갖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차광판(40)은 별도로 폭 따라 다양한 형태 크기로 구분하여 준비하고, 경사각에 따라 종류를 달리하여 생산하면 다양한 형태의 조사 범위 또는 조사각을 갖게 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차광판(40)은 가로등 몸체하부(15)의 개구부(16) 내주연의 1/4 ~ 1/2 의 폭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은데 이는 너무 넓게 형성하면 조사범위가 좁게 되고 너무 좁게 되면 그 목적하는 바를 달성하지 못할 것이다.
하부 몸체(15)에는 차광판(40)을 고정할 수 있는 홀을 천공하여 차광판 결합공(17)을 형성하였다.
또한, 가로등(100)의 몸체 하부(15)에 결합 설치되는 차광판(40)의 고정수단으로 볼트(43) 또는 별도의 체결구를 이용하여 결합하였으나, 여기에 한정하지 않고 하부몸체와 차광판을 일체로 하여 성형하여도 좋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그리고, 몸체하부(15)와 차광판(40)의 고정수단으로 결착요홈과 결착돌기를 이용하여 결합하여도 같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만약 본 고안의 가로등(100)을 설치하여 차광효과를 원하지 않을 경우 볼트를 풀기만 하면 되므로 착탈이 용이하다.
도 5의 사용상태도는 지면과 전방을 향해 조사되는 빛을 보인 것이다.
이때, 후방으로 보도부분까지 조사되는 빛의 노출범위를 확대할 수 있고, 전방으로는 도로폭끝까지의 허용범위를 갖는다.
따라서, 이처럼 하나의 예를 특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여기에 국한되지 않고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가능할 것이다.
본 고안은 가로등에 차광판을 결합하여 빛의 조사범위가 지면과 전방을 향하여 하게 함으로 해서 농작물이 경작되고 있는 도로 및 가축들을 사육하는 도로 또는 주택가의 도로에서 도로 측으로 조사되는 빛 이외의 빛이 농지 및 가축 사육지 또는 주택가로 조사되는 것을 차광시켜서 농작물 이상 발육을 억제 및 가축들의 스트레스 등에 의한 질병을 줄이며, 주택가 등지에서 주민이 불면증에 시달릴 것을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그 빛을 전방과 지면으로 조사하도록 함으로서, 운전자 및 보행자의 시야를 확보하도록 함으로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4)

  1. 농작지 및 축산지 또는 주택가 주변의 각종 도로에 설치되는 가로등에 있어서,
    상하로 분리 형성되는 가로등 몸체(10)의 하부(15)에 개구부(16)를 형성하고, 상기 가로등 몸체(10) 상부(11) 내측부에는 반사판(20)과 전구(30)를 설치하여서 구성하되, 상기 빛이 지면과 전방을 향해 조사되고 후방으로 조사되지 않도록 가로등 몸체(10)의 하부(15) 개구부(16) 후방에 차광판(40)을 고정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케 결합 설치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판을 구비한 가로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판(40)의 경사각(α)은 전방으로 30~60°정도의 경사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판을 구비한 가로등.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판(40)은 가로등 몸체하부(15) 개구부(16) 외주연의 1/4 ~ 1/2 의 폭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판을 구비한 가로등.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판(40)은 몸체 하부(15) 후방에 일체로 주물 또는 사출성형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판을 구비한 가로등.
KR2020020017315U 2002-06-05 2002-06-05 차광판을 구비한 가로등 KR2002893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315U KR200289397Y1 (ko) 2002-06-05 2002-06-05 차광판을 구비한 가로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315U KR200289397Y1 (ko) 2002-06-05 2002-06-05 차광판을 구비한 가로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9397Y1 true KR200289397Y1 (ko) 2002-09-16

Family

ID=73076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315U KR200289397Y1 (ko) 2002-06-05 2002-06-05 차광판을 구비한 가로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9397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195B1 (ko) 2007-07-27 2009-06-17 대한라이팅 주식회사 가로등의 차광판 조정장치
KR100993438B1 (ko) 2009-03-16 2010-11-09 최재민 파워 엘이디를 사용한 가로등
KR101427787B1 (ko) * 2013-12-18 2014-08-12 상보산업 주식회사 등기구의 빛가림막 착탈 장치
KR101446889B1 (ko) * 2014-02-18 2014-11-04 주식회사 레젠 빛 공해 방지를 위한 실드를 갖는 조명등기구
KR101977228B1 (ko) * 2018-07-05 2019-05-13 (주)화전조명 빛 공해 방지수단이 구비된 실외등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195B1 (ko) 2007-07-27 2009-06-17 대한라이팅 주식회사 가로등의 차광판 조정장치
KR100993438B1 (ko) 2009-03-16 2010-11-09 최재민 파워 엘이디를 사용한 가로등
KR101427787B1 (ko) * 2013-12-18 2014-08-12 상보산업 주식회사 등기구의 빛가림막 착탈 장치
KR101446889B1 (ko) * 2014-02-18 2014-11-04 주식회사 레젠 빛 공해 방지를 위한 실드를 갖는 조명등기구
KR101977228B1 (ko) * 2018-07-05 2019-05-13 (주)화전조명 빛 공해 방지수단이 구비된 실외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8597B2 (en) Outdoor lighting fixture
US4358816A (en) Roadway luminaire
JP4839447B2 (ja) 街路灯
US20140254161A1 (en) Light-Directing Apparatus with Protected Reflector-Shield and Lighting Fixture Utilizing Same
CA1174214A (en) Compound reflector for luminaire
US7918588B2 (en) Full or near-full cut-off visor for light fixture
US4701832A (en) Luminaire for roadway and area lighting
US9039239B2 (en) Lighting system with lens-retaining structure
US10293742B2 (en) Lamp assembly for a vehicle
KR200289397Y1 (ko) 차광판을 구비한 가로등
US6971772B1 (en) Luminaire globes having internal light control elements
KR101425515B1 (ko) 각도조절이 되는 분할광원을 갖는 가로등용 엘이디 등기구
KR102075234B1 (ko) 엘이디모듈의 전·후사광 차단장치
KR101690597B1 (ko) 빛공해 방지를 위한 조명등 조사범위 조절장치
KR101103600B1 (ko) 조사각 제한을 위한 가로등의 램프 헤드용 차광기구
KR200465312Y1 (ko) 가로등기구용 빛가림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로등기구
KR101425516B1 (ko) 각도조절이 되는 분할광원을 갖는 가로등용 엘이디 등기구
CA2481183A1 (en) Luminaire reflector
KR200405551Y1 (ko) 인입출이 가능한 차광판을 구비한 조명등
KR100939042B1 (ko) 난반사 방지용 고효율 등기구
KR101760116B1 (ko) 등기구용 빛가림 장치
CN211875809U (zh) 一种带有驱虫效果的园林专用地埋灯
KR101425520B1 (ko) 각도조절이 되는 분할광원을 갖는 가로등용 엘이디 등기구
KR200238541Y1 (ko) 가로등헤드
KR101859030B1 (ko) 빛 공해 차단이 가능한 고효율 led 조명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