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9024Y1 - 착탈식 사용자 단말의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 - Google Patents

착탈식 사용자 단말의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9024Y1
KR200289024Y1 KR2020020017712U KR20020017712U KR200289024Y1 KR 200289024 Y1 KR200289024 Y1 KR 200289024Y1 KR 2020020017712 U KR2020020017712 U KR 2020020017712U KR 20020017712 U KR20020017712 U KR 20020017712U KR 200289024 Y1 KR200289024 Y1 KR 2002890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d
input
voice
answering devi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77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준
Original Assignee
(주)디에스피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에스피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디에스피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20200200177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90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90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9024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전화 응답 기능, 디지털 녹음 기능을 가지며 음성 인식 기능을 이용한 음성 다이얼링과 문자 변환을 수행하는 휴대용 사용자 단말에 착탈 가능한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에 관한 것임.
2.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자동 응답, 메시지 녹음 및 전화번호 저장 기능을 직접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사용자 단말에 착탈 가능한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를 제공함.
3. 고안의 해결 방법의 요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거나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입출력부,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음성 신호 및 전화번호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음성 입출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거나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음성 입출력부로 출력시키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링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 및 상기 입력부의 키 입력에 따라 상기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를 자동 응답 모드, 핸즈 프리 모드, 디지털 녹음 모드, 재생 모드, 안내말 녹음 모드 및 음성 인식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진입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함.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이동통신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전자수첩 등 사용자 단말에 이용됨.

Description

착탈식 사용자 단말의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Multifunctional Auto Answering Apparatus Removable from User Terminal}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전자수첩 등 사용자 단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화 응답 기능, 디지털 녹음 기능을 가지며 음성 인식 기능을 이용한 음성 다이얼링과 문자 변환을 수행하는 휴대용 사용자 단말에 착탈 가능한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자 단말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의 편의성으로 인하여 그 이용이 일반화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가 잠시 부재중이거나 회의 등 당장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에서는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자동 응답, 메시지 녹음 및 전화번호 저장 기능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우선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에 호 접속이이루어진 상태에서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 측에 저장되어 있는 메시지를 확인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동통신 서비스 이용료를 부담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나날이 사회가 복잡해짐에 따라 다양한 기능이 추가된 사용자 단말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회의 또는 대화 내용을 녹음하여 추후에 데스크 탑 컴퓨터 등에서 녹음된 내용을 편집하거나 이메일 등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나, 음성 인식 기술을 응용하여 음성 다이얼링 또는 음성/문자 변환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 또는 Full-Duplex 방식의 핸즈프리 기능을 갖는 사용자 단말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자동 응답, 메시지 녹음 및 전화번호 저장 기능을 직접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사용자 단말에 착탈 가능한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의 필요성에 부응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회의 또는 대화 내용을 녹음하여 추후에 데스크 탑 컴퓨터 등에서 녹음된 내용을 편집하거나 이메일 등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음성 인식 기술을 응용하여 음성 다이얼링 또는 음성/문자 변환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 및 Full-Duplex 방식의 핸즈프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사용자 단말에 착탈 가능한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명세서의 도면,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로부터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장점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의 블럭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의 동작 흐름도,
도3은 도2의 자동 응답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흐름도,
도4는 도2의 핸즈 프리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흐름도,
도5는 도2의 디지털 녹음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흐름도,
도6은 도2의 재생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흐름도,
도7은 도2의 안내말 녹음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흐름도,
도8a는 도2의 음성 인식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흐름도,
도8b는 도8a의 음성 등록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흐름도,
도8c는 도8b의 사용자 등록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흐름도,
도8d는 도8b의 전화번호 등록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흐름도,
도8e는 도8b의 문자 등록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흐름도,
도8f는 도8c 및 도8d의 단어 교육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 흐름도,
도8g는 도8a의 음성 다이얼링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사용자 단말 110 :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
111 : 제어부 113 : 표시부
115 : 입력부 117 : 메모리부
120 : 음성 입출력부 130 : 디지털 신호 처리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사용자 단말에 착탈 가능한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거나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입출력부,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음성 신호 및 전화번호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음성 입출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거나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음성 입출력부로 출력시키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링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 및 상기 입력부의 키 입력에 따라 상기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를 자동 응답 모드, 핸즈 프리 모드, 디지털 녹음 모드, 재생 모드, 안내말 녹음 모드 및 음성 인식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진입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에 착탈 가능한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의 블럭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는 사용자 단말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사용자 단말의 핸즈프리 지원용 잭 단자에 인터페이싱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편의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를 사용자 단말에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는 사용자 단말에 결합되어 사용자 단말의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110)는 제어부(111), 표시부(113), 입력부(115), 메모리부(117), 디지털 신호 처리부(130) 및 음성 입출력부(120)로 구성된다.
음성 입출력부(120)는 메모리부(117)에 저장된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음성 입출력부(120)는 마이크로폰(미도시) 및 스피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1)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즉 사용자 단말로부터 링 신호가 검출되면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를 후술되는 자동 응답 모드로 전환시킬 뿐만 아니라, 입력부(115)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디지털 녹음 기능, 음성 다이얼링 기능 및 문자 변환 기능의 수행을 제어하게 된다.
표시부(113)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의 동작 상태에 따라 녹색과 적색 LED를 점멸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현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입력부(115)는 제어부(111)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부(111)는 항상 입력부(115)를 스캔하여 키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메모리부(117)는 후술되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의 자동 응답 기능 및 디지털 녹음 기능세서 녹음된 메시지 또는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130)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의 가장 주요한 부분으로서 음성 입출력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는 디지털 신호 처리 제어부(111)가 지원하는 국제 표준인 G.711, G.726, G.723.1 방식, True Speech 8.5, Triple rate coder 방식에 의해 압축된다. 음성 입출력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130)의 내부에 있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고 디지털 신호 처리 제어부(111)에 의해 압축된다. 이렇게 압축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부(117)에 저장되거나 외부 장치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117)에 저장되어 있는 압축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는 디지털 신호 처리 제어부(111)에 의해 복원되고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음성 입출력부(12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즉 음성 신호는 아날로그 앰프에 의해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증폭되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다. 한편, 디지털 신호 처리부(130)는 음성 입출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음성 데이터에 대하여 음성 인식 알고리즘으로 분석하여 제어부(111)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의 동작 흐름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110)의 제어부(111)는 초기 대기 모드(S201)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링 신호가 예를 들어 2회 입력되는지를 판단하여(S203) 링 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현재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110)가 자동 응답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205)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110)가 자동 응답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110)의 제어부(111)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110)를 자동 응답 모드로 진입시킨다(S207). 상기 단계 S205에서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110)가 자동 응답 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핸즈 프리 모드로 진입시킨다(S209).
상기 단계 S203에서 링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110)의 제어부(111)는 입력부(115)로부터 녹음키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211) 녹음키가 입력되는 경우에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110)의 제어부(111)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110)를 디지털 녹음 모드로 진입시킨다(S213). 상기 단계 S211에서 입력부(115)로부터 녹음키가 입력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110)의 제어부(111)는 상기 입력부(115)로부터 재생키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215) 재생키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110)의 제어부(111)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110)를 재생 모드로 진입시킨다(S217).
상기 단계 S215에서 입력부(115)로부터 재생키가 입력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110)의 제어부(111)는 상기 입력부(115)로부터 안내말 녹음키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219) 안내말 녹음키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110)의 제어부(111)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110)를 안내말 녹음 모드로 진입시킨다(S221).
상기 단계 S219에서 입력부(115)로부터 안내말 녹음키가 입력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110)의 제어부(111)는 상기 입력부(115)로부터 음성 인식키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223) 음성 인식키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110)의 제어부(111)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110)를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시킨다(S225).
도3은 도2의 자동 응답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110)가 상기 단계 S201 내지 S205에 의해 자동 응답 모드로 진입된 상태에서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110)의 제어부(111)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130)를 통해 메모리부(117)를 검색하여 안내말 데이터를 독출하고 사용자 단말(100)로 안내말을 전송한다. 전송된 안내말은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호 접속된 상대방 단말로 전송된다(S301).
다음으로 상대방 단말로부터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전송된 음성 메시지는 제어부(111)의 제어에 따라 디지털 신호 처리부(130)를 통해 메모리부(117)에 저장된다(S303). 제어부(111)는 메시지가 메모리부(117)에 저장되는 과정 중에 입력부(115)를 통해 정지키가 입력되는지를 계속적으로 스캔하여(S305) 정지키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당해 메시지 저장 과정을 중단하게 된다. 상기 단계 S305에서 입력부(115)로부터 정지키가 입력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11)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130)를 통해 상대방 단말로부터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전송된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톤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DTMF 톤의 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당해 입력된 DTMF 톤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메모리부(117)에 저장한다(S309). 한편, 제어부(111)는 메시지 녹음을 시작한 후 상대방 단말로부터 캐리가 검출되는지를 판단하여(S311) 소정 시간, 예를 들어 10초 동안 캐리가 검출되지 않으면 현재까지 녹음된 메시지를메모리부(117)에 저장하고 리턴한다. 메모리부(117)에 저장된 메시지는 후술되는 재생 모드를 통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다.
도4는 도2의 핸즈 프리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110)가 상기 단계 S201 내지 S205에 의해 핸즈 프리 모드로 진입된 상태에서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110)의 제어부(111)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130)를 통해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110)가 Digital Full Duplex 방식의 핸즈 프리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S401). 한편, 제어부(111)는 핸즈 프리 기능이 활성화된 후 상대방 단말로부터 캐리가 검출되는지를 판단하여(S403) 소정 시간, 예를 들어 10초 동안 캐리가 검출되지 않으면 현재 활성화된 핸즈 프리 기능을 종료시키고 리턴한다. 또한, 제어부(111)는 핸즈 프리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입력부(115)를 통해 정지키가 입력되는지를 계속적으로 스캔하여(S405) 정지키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 활성화된 핸즈 프리 기능을 종료시키고 리턴한다.
도5는 도2의 디지털 녹음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110)가 상기 단계 S201 내지 S211에 의해 디지털 녹음 모드로 진입된 상태에서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110)의 제어부(111)는 음성 입출력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에 대해 디지털 신호 처리부(130)를 통해 디지털 변환 및 음성 압축시키고메모리부(117)에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된 음성 신호를 저장한다(S501). 한편, 제어부(111)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130)를 통해 디지털 녹음 기능이 활성화된 후 묵음이 소정 시간 예를 들어 20초 동안 검출되는지를 판단하여(S503) 소정 시간동안 묵음이 검출되면 현재까지 녹음된 음성 신호를 메모리부(117)에 저장한 후(S507) 활성화된 디지털 녹음 모드를 종료시키고 리턴한다. 또한, 제어부(111)는 디지털 녹음 모드에서 입력부(115)를 통해 정지키가 입력되는지를 계속적으로 스캔하여(S505) 정지키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까지 녹음된 음성 신호를 메모리부(117)에 저장한 후(S507) 활성화된 디지털 녹음 모드를 종료시키고 리턴한다.
도6은 도2의 재생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110)가 상기 단계 S201 내지 S215에 의해 재생 모드로 진입된 상태에서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110)의 제어부(111)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130)를 통해 메모리부(117)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메시지를 검색하여 독출하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130) 및 음성 입출력부(120)를 통해 음성 메시지를 재생하여 출력한다(S601). 이 과정에서 제어부(111)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부(115)를 통해 메시지 이동키가 입력되는지를 스캔하여(S603) 메시지 이동키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130)를 통해 현재 출력되고 있는 음성 메시지의 이전 메시지 또는 다음 메시지를 메모리부(117)에서 검색 및 독출하고(S605) 디지털 신호 처리부(130) 및 음성 입출력부(120)를통해 음성 메시지를 재생하여 출력한다(S601). 또한 제어부(111)는 음성 메시지가 출력되는 과정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부(115)를 통해 메시지 삭제키가 입력되는지를 스캔하여(S607) 메시지 삭제키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130)를 통해 현재 출력되고 있는 음성 메시지를 메모리부(117)로부터 삭제하고(S609) 그 이전 메시지 또는 다음 메시지를 메모리부(117)에서 검색 및 독출하고(S605) 디지털 신호 처리부(130) 및 음성 입출력부(120)를 통해 음성 메시지를 재생하여 출력한다(S601). 또한, 제어부(111)는 재생 모드에서 입력부(115)를 통해 정지키가 입력되는지를 계속적으로 스캔하여(S611) 정지키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재생 모드를 종료시키고 리턴한다.
도7은 도2의 안내말 녹음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110)가 상기 단계 S201 내지 S219에 의해 안내말 녹음 모드로 진입된 상태에서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110)의 제어부(111)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130)를 통해 음성 입출력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에 대해 디지털 변환 및 음성 압축시키고 메모리부(117)에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된 안내말 신호를 저장한다(S701). 한편, 제어부(111)는 입력부(115)를 통해 정지키가 입력되는지를 계속적으로 스캔하여(S703) 정지키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까지 녹음된 안내말 신호를 메모리부(117)로부터 독출하여 음성 입출력부(120)를 통해 출력시킴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녹음된 안내말을 확인시킨다(S705). 한편, 제어부(111)는 디지털 신호처리부(130)를 통해 녹음된 안내말이 묵음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당해 묵음의 안내말을 메모리부(117)로부터 삭제한 후 안내말 녹음 모드를 종료시키고 리턴한다.
도8a는 도2의 음성 인식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110)가 상기 단계 S201 내지 S223에 의해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된 상태에서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110)의 제어부(111)는 음성 인식을 위한 사전 처리를 위한 음성 등록 단계(S801)를 수행한 후, 후술되는 음성 다이얼링 단계(S803)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실행시키게 된다.
도8b는 도8a의 음성 등록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110)가 음성 등록 단계(S801)로 진입된 상태에서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110)의 제어부(111)는 입력부(115)를 통해 사용자 등록키(S811), 전화번호 등록키(S815) 또는 문자 등록키(S819)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스캔하여 사용자 등록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110)를 사용자 등록 모드로 진입시키고(S813), 전화번호 등록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110)를 전화번호 등록 모드로 진입시키며(S817), 문자 등록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110)를 문자 등록 모드로 진입시킨다(S821).
또한, 제어부(111)는 음성 등록 단계(S801)에서 입력부(115)를 통해 정지키가 입력되는지를 계속적으로 스캔하여(S823) 정지키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음성 등록 단계(S801)를 종료시키고 리턴한다.
도8c는 도8b의 사용자 등록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흐름도이다. 사용자 등록 모드는 사용자 검증을 위해 사용자가 선택한 소정의 단어를 미리 인식시킴으로써 사용자 인증에 이용하기 위한 모드로서,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11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음성을 미리 인식시켜 다른 사용자와 구별함으로써 오동작을 방지시키기 위한 모드이다. 본 사용자 등록 모드를 통해 등록된 사용자 음성은 사용자 인증에 사용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110)가 상기 단계 S811에 의해 사용자 등록 모드로 진입된 상태에서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110)의 제어부(111)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130)를 통해 후술되는 단어 교육 단계(S825)를 수행한 후에 단어 교육 단계(S825)를 통해 등록 저장된 교육 단어를 사용자 인식을 위한 단어로서 메모리부(117)에 저장시킨다(S827).
도8d는 도8b의 전화번호 등록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흐름도이다. 전화번호 등록 모드는 후술되는 음성 다이얼링을 이용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선택하는 소정의 단어와 전화번호를 미리 등록시키는 모드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110)가 상기 단계 S811 내지 S815에 의해 전화번호 등록 모드로 진입된 상태에서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110)의제어부(111)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130)를 통해 후술되는 단어 교육 단계(S825)를 수행하고,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DTMF 톤으로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부(130)에서 인식하도록 하고(S829) 상기 단어 교육 단계(S825)에서 등록 저장된 단어와 상기 단계 S829에서 수신한 전화번호를 매핑하여 메모리부(117)에 등록시킨다(S831). 이렇게 등록된 전화번호는 후술되는 음성 다이얼링 단계(S803)에서 이용된다.
도8e는 도8b의 문자 등록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흐름도이다. 문자 등록 모드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110)가 사용자의 음성으로 입력되는 단어를 인식하고 인식된 단어를 문자로 변환시켜 사용자 단말(100)에서 문자 메시지 편집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110)가 상기 단계 S811 내지 S819에 의해 문자 등록 모드로 진입된 상태에서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110)의 제어부(111)는 음성 입출력부(120)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으로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130)로 하여금 단어를 인식시키고(S833) 사용자 등록 모드(S813)를 통해 이미 메모리부(117)에 등록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확인용 단어와 음성 입출력부(120)를 통해 사용자 음성으로 입력되는 단어를 확인하여 사용자 확인을 수행한다(S835). 상기 단계 S835의 판단 결과 음성 입출력부(120)를 통해 사용자 음성으로 입력된 단어가 사용자 확인용 단어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단계 S833에서 인식한 단어를 문자 등록용 단어로 인식하여 당해 인식 단어를 문자로 변환한다(S837). 상기 단계 S835의 판단 결과 음성 입출력부(120)를 통해 사용자 음성으로 입력된 단어가 사용자 확인용 단어인 것으로 판단되면 지금까지 문자로 변환한 단어를 문장으로써 메모리부(117)에 저장하고(S839) 리턴한다. 메모리부(117)에 저장된 문장은 추후에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문자 메시지를 편집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도8f는 도8c 및 도8d의 단어 교육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 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110)의 제어부(111)는 음성 입출력부(120)를 통해 사용자 음성으로 단어를 입력받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130)를 통해 상기 입력된 단어에 대해 패턴을 추출하여 제1단어로 인식(S841)한 후, 음성 입출력부(120)를 통해 사용자 음성으로 단어를 다시 입력받아 상기 다시 입력된 단어에 대해 패턴을 추출하여 제2단어로 인식한다(S843).
다음으로 제어부(111)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130)를 통해 상기 인식된 제1단어와 제2단어가 동일한 단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845). 상기 제1단어와 제2단어에 차이가 많이 존재하면 추후 당해 단어에 대한 음성 인식률이 떨어지게 된다. 상기 단계 S845의 판단 결과 동일 단어로 판단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단계 S841부터 다시 절차를 수행하고, 동일 단어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당해 인식된 단어를 음성 입출력부(120)를 통해 출력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의도한 단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사용자로 하여금 확인하도록 한다(S847). 상기 단계 S847의 판단 결과 사용자로부터 사용자가 의도한 단어가 아닌 것으로 입력되면 상기 단계 S841부터 다시 절차를 수행하고, 사용자로부터 사용자가 의도한 단어인 것으로 입력되면 상기 단어를 교육된 단어로써 메모리부(117)에 저장하고(S849) 리턴한다. 이렇게 메모리부(117)에 저장된 교육 단어는 상기 단계 S827에서 사용자 확인용 단어로 등록되거나 상기 단계 S831에서 상기 단계 S829의 수신 전화번호와 매핑되어 메모리부(117)에 등록된다.
도8g는 도8a의 음성 다이얼링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110)가 상기 음성 다이얼링 단계(S803)로 진입된 상태에서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110)의 제어부(111)는 음성 입출력부(120)를 통해 사용자 음성으로 단어를 입력받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130)를 통해 상기 입력된 단어에 대해 패턴을 추출하여 인식(S851)한 후, 상기 전화번호 등록 모드(S817)에서 이미 등록되어 메모리부(117)에 저장된 전화번호와 매핑되어 있는 단어를 검색하여(S853) 상기 단계 S851에서 인식된 단어와 동일한 단어가 메모리부(117)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855). 상기 단계 S855의 판단 결과 상기 단계 S851에서 인식된 단어와 동일한 단어가 메모리부(117)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당해 단어와 매핑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여 다이얼링이 될 수 있도록 한다(S861).
한편, 상기 단계 S855의 판단 결과 상기 단계 S851에서 인식된 단어와 동일한 단어가 메모리부(117)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단계 S851에서 인식된 단어는 메모리부(117)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가 아닌 다른 전화번호이므로디지털 신호 처리부(130)를 통해 상기 단계 S851에서 인식된 단어를 전화번호로 변환하여 일시 저장한다(S857).
다음으로 디지털 신호 처리부(130)를 통해 사용자 등록 모드(S813)를 통해 이미 메모리부(117)에 등록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확인용 단어와 음성 입출력부(120)를 통해 사용자 음성으로 입력되는 단어를 확인하여 사용자 확인을 수행한다(S859). 상기 단계 S859의 판단 결과 음성 입출력부(120)를 통해 사용자 음성으로 입력된 단어가 사용자 확인용 단어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단계 S851부터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 S859의 판단 결과 음성 입출력부(120)를 통해 사용자 음성으로 입력된 단어가 사용자 확인용 단어인 것으로 판단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130)를 통해 상기 단계 S857에서 일시 저장된 전화번호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여 다이얼링이 될 수 있도록 한다(S861).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할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는 자동 응답 기능, 디지털 녹음 기능, 음성 인식 다이얼링 기능, 음성 인식 문자 변환 기능, 자동 전화번호 인식기능등의 대표적인 기능 등을 가지고 있으며 그 효과들로는 다음과 같이 열거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는 추가적인 비용의 지불이 필요하지 않으며 자동 전화응답기능으로 전화 내용도 녹음(최대 80분 메시지 개수 제한 없음) 할 수 있으며 수신된 전화번호 확인등과 중요한 회의나 메모 등을 바로 음성으로 녹음할 수 있으며 저장된 음성 DATA를 컴퓨터에서 편집 또는 이메일로도 전송 할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는 휴대폰용 자동 응답 장치가 존재 하지 않았으며 유일하게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핸드프리는 상대방과 통화 할 때만 사용가능하며 완벽한 양방향 Full duplex 방식의 핸드프리를 구현 할 수 없는(오로지 단 방향으로만 가능) 단점을 가지고 있으나 본 기기는 양방향의 완벽한 Full Duplex기능의 구현으로 최상의 통화 품질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음성 인식 기술을 적용하여 음성으로 문자를 입력하고 전화도 걸고 끊는 등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기존의 문자 메시지 전송 등에 이 기술을 접목하여 문자메시지 작성 시 획기적으로 시간을 단축 할 수 있으며 그 편리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그리고 기존 PDA나 전자수첩 등에서 각종 기념일 및 Schedule 관리 등의 기능을 사용상의 번거로움을 없이 간단한 조작만으로 이들 기능을 수행 할 수 있다.
상기의 기능 등을 통하여 기존의 핸드폰과 핸드프리, PDA 그리고 전자수첩 등의 기능들 중 극히 제한적으로 사용되던 중요 기능들을 통합하여 그 사용상의 편리성을 극대화하고 또한 Full Duplex의 완벽한 구현으로 최상의 통화품질을 제공 할 수 있다. 또한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는 음성 인식 장치를 독자 개발하여 활용함으로써 외화유출을 줄일 수 있다.

Claims (17)

  1. 사용자 단말에 착탈 가능한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거나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입출력부;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음성 신호 및 전화번호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음성 입출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거나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음성 입출력부로 출력시키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링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 및 상기 입력부의 키 입력에 따라 상기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를 자동 응답 모드, 핸즈 프리 모드, 디지털 녹음 모드, 재생 모드, 안내말 녹음 모드 및 음성 인식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진입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에 착탈 가능한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링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가 자동 응답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를 자동 응답 모드로 진입시키고,
    자동 응답 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를 핸즈 프리 모드로 진입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 착탈 가능한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가 자동 응답 모드로 진입한 경우에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안내말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상대방 단말로 상기 안내말 신호를 전송시키고, 상기 상대방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 메시지를 디지털 신호 처리하여 상기 메모리부로 저장시키며, 상기 상대방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수신되는 DTMF 톤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 착탈 가능한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가 상기 메모리부로 상기 수신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는 과정에서 상기 상대방 단말로부터 캐리가 소정 시간 동안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자동 응답 모드를 종료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 착탈 가능한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가 자동 응답 모드로 진입한 경우에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Digital Full Duplex 방식으로 핸즈 프리 기능을 수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 착탈 가능한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가 Digital Full Duplex 방식으로 핸즈 프리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상대방 단말로부터 캐리가 소정 시간 동안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핸즈 프리 모드를 종료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 착탈 가능한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가 디지털 응답 모드로 진입한 경우에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상기 음성 입출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통해 소정 시간동안 묵음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소정 시간 동안 묵음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디지털 응답 모드를 종료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 착탈 가능한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가 재생 모드로 진입한 경우에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메시지를 독출하여 상기 음성 입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메시지 이동키가 입력되면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다른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입력부를 통해 메시지 삭제키가 입력되면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가 현재 출력 중인 메시지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삭제하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다른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 착탈 가능한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가 안내말 녹음 모드로 진입한 경우에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상기 음성 입출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안내말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 및 상기 음성 입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안내말 확인키가 입력되면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통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안내말 음성 신호가 묵음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묵음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안내말 음성 신호를 삭제하도록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 착탈 가능한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가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한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의 키 입력에 따라 상기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를 사용자 등록 모드, 전화번호 등록 모드, 문자 등록 모드 및 음성 다이얼링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진입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 착탈 가능한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가 사용자 등록 모드로 진입한 경우에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상기 음성 입출력부를 통해 사용자 음성으로 입력되는 제1단어 및 제2단어에 대하여 패턴을 추출함으로써 상기 제1단어 및 제2단어를 인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통해 제1단어 및 제2단어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여 동일한 단어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메모리부에 상기 단어를 사용자 확인용 단어로 저장시키도록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 착탈 가능한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가 전화번호 등록 모드로 진입한 경우에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상기 음성 입출력부를 통해 사용자 음성으로 입력되는 제1단어 및 제2단어에 대하여 패턴을 추출함으로써 상기 제1단어 및 제2단어를 인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통해 제1단어 및 제2단어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여 동일한 단어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단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전화번호와 매핑시키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시키도록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 착탈 가능한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통해 제1단어 및 제2단어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여 동일한 단어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음성 입출력부로 상기 단어를 출력시키고, 상기 입력키를 통해 사용자가 의도한 단어인지 여부를 더 확인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 착탈 가능한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가 문자 등록 모드로 진입한 경우에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상기 음성 입출력부를 통해 사용자 음성으로 입력되는 단어에 대하여 패턴을 추출함으로써 상기 단어를 인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통해 상기 단어가 사용자 확인용 단어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 확인용 단어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인식된 단어를 문자로 변환시키고, 사용자 확인용 단어인 것으로 판단되면 지금까지 문자로 변환된 단어를 문장으로써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 착탈 가능한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문장을 독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에서 단문 메시지 편집에 사용되도록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 착탈 가능한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
  16. 제10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가 음성 다이얼링 모드로 진입한 경우에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상기 음성 입출력부를 통해 사용자 음성으로 입력되는 제3단어에 대하여 패턴을 추출함으로써 상기 제3단어를 인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통해 상기 제3단어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으며 전화번호와 매핑되어 있는 단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일치하는 단어와 매핑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다이얼링을 수행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 착탈 가능한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3단어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으며 전화번호와 매핑되어 있는 단어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상기 음성 입출력부를 통해 사용자 음성으로 입력되는 제4단어에 대하여 패턴을 추출함으로써 상기 제4단어를 인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단어를 전화번호로 변환하여 일시 저장시키고,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통해 상기 제4단어가 사용자 확인용 단어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 확인용 단어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일시 저장된 전화번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다이얼링을 수행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 착탈 가능한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
KR2020020017712U 2002-06-11 2002-06-11 착탈식 사용자 단말의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 KR2002890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712U KR200289024Y1 (ko) 2002-06-11 2002-06-11 착탈식 사용자 단말의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712U KR200289024Y1 (ko) 2002-06-11 2002-06-11 착탈식 사용자 단말의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9024Y1 true KR200289024Y1 (ko) 2002-09-11

Family

ID=73124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712U KR200289024Y1 (ko) 2002-06-11 2002-06-11 착탈식 사용자 단말의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902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1508B2 (en) Method an apparatus for converting a voice signal received from a remote telephone to a text signal
US6546262B1 (en) Cellular telephone accessory device for a personal computer system
KR100804855B1 (ko) 음성으로 제어되는 외국어 번역기용 방법 및 장치
US7519398B2 (en)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a communication processing program
US5321737A (en) Cordless telephone communication system having base stations with memory for quick access to information
CN100385425C (zh) 用于在移动终端中存储和读取数据的设备和方法
KR20030050151A (ko) 차량용 핸즈프리 시스템
US8229086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ilently selectable audible communication
EP1170932B1 (en) Audible identification of caller and callee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N101510917B (zh) 一种移动终端无声通话的方法
EP0856979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information from a voice message
JP4118098B2 (ja) 無線通信装置
CN100353417C (zh) 用于提供文本消息的方法和装置
KR100467593B1 (ko) 음성인식 키 입력 무선 단말장치, 무선 단말장치에서키입력 대신 음성을 이용하는 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200289024Y1 (ko) 착탈식 사용자 단말의 다기능 자동 응답 장치
KR20020089546A (ko) 통화 내용 저장 및 출력 시스템과 그 방법
US20030210768A1 (en) Manual and automatic record feature in a telephone
KR20000030389A (ko) 음성과 문자를 이용한 전화번호 안내방법 및 그 시스템
JP3997278B2 (ja) 電話装置、音声合成システム、音素情報登録装置、音素情報登録・音声合成装置
KR940011237B1 (ko) 음성 다이얼링 장치 및 방법
KR101002905B1 (ko) 음성 인식을 이용한 유·무선 단말기 제어 방법 및 그유·무선 단말기
KR200245838Y1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전화통화내용 메모 시스템
KR20030026141A (ko) 전화번호 안내시스템
KR20040021974A (ko) 차량용 음성인식 핸즈프리 장치
JPH04287558A (ja) 障害者用音声通信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