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9017Y1 - 쟁기 - Google Patents

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9017Y1
KR200289017Y1 KR2020020017286U KR20020017286U KR200289017Y1 KR 200289017 Y1 KR200289017 Y1 KR 200289017Y1 KR 2020020017286 U KR2020020017286 U KR 2020020017286U KR 20020017286 U KR20020017286 U KR 20020017286U KR 200289017 Y1 KR200289017 Y1 KR 2002890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ow
pair
frost
leg portion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72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호
강명선
이상순
현영준
박명호
윤창신
고광수
이순금
Original Assignee
제주도(농업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도(농업기술원) filed Critical 제주도(농업기술원)
Priority to KR20200200172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90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90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9017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쟁기에 관한 것으로, 경운기 등에 연결되는 요동자(2)에 연결된 한쌍의 성애(3)와, 각 성애(3)의 끝에서 아래로 뻗은 다리부(40), 이 다리부(40)의 하단에 보습(41) 및 볏(42)이 부착된 쟁기(1)에서, 상기 요동자(2)의 중심과 각 성애(3)의 사이에는 적어도 한쌍의 압축스프링(50)이 연결되고, 상기 각 성애(3)의 끝에는 경심조절장치(20)와 경폭조절장치(30) 및 상기 다리부(40)가 장착될 수 있는 섹터조립체(10)가 구비되어 있어서, 쟁기의 다리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한쌍의 쟁기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작업자가 편리하게 농경지의 조건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한편, 견인저항이 쟁기들 사이의 중심에 있게 되므로 직진성을 유지할 수 있어, 궁극적으로 작업능률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쟁기 {Plow}
본 고안은 경운기 등에 의해 견인되면서 토양을 갈도록 된 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진행방향의 좌우로 배치된 한쌍의 쟁기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쟁기에 관한 것이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쟁기는 작물을 재배할 목적으로 우마 등의 가축이나 기계를 이용하여 흙을 파서 일구고 뒤집어 엎어 두둑을 만드는 데에 사용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용도를 위해 경운기와 같은 기계에 장착되는 쟁기는 일반적으로 소정 형상의 메인프레임에 대략 수직으로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다리부를 구비하고, 이들 다리부의 하단에 보습과 볏이 고정설치되어서, 경운기가 전진하면 이와연결된 쟁기가 견인되면서 한쪽 또는 양쪽 옆으로 농경지의 흙을 갈아엎을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쟁기는 이 쟁기의 진행방향에서 일정 각도를 이루며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경운하는 과정 중에 토양의 저항에 의해 진행방향에서 견인중심점이 편심되면서 직진하기가 어렵게 되고 이에 따라 땅이 고르게 갈리지 않는 부분이 발생하고, 자주 경운기의 운전을 교정해야 하므로 작업자가 쉽게 피로감을 느끼면서 효과적으로 작업을 수행하기 곤란하게 되는 등 작업성능이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경심조절장치에 의해 쟁기의 다리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경폭조절장치에 의해 한쌍의 쟁기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서, 작업자가 편리하게 농경지의 조건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쟁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통상 한쌍의 성애를 연결한 구조이기 때문에 쟁기가 좌우로 움직일 수 있으나, 상기 성애 사이에 스프링을 연결함으로써 경운시 쟁기의 견인저항이 양쪽 쟁기 사이의 중심에 있게 되므로 직진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쟁기가 좌우로 변동되더라도 견인방향과 쟁기이동방향이 쉽게 평행이 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의도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 쟁기를 제공하는 데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쟁기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쟁기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쟁기의 배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고안은, 경운기 등에 연결되는 요동자에 연결된 한쌍의 성애와, 각 성애의 끝에서 아래로 뻗은 다리부, 이 다리부의 하단에 보습 및 볏이 부착된 쟁기에 있어서, 상기 요동자와 각 성애의 사이에는 적어도 한쌍의 압축스프링이 연결되고, 상기 각 성애의 끝에는 선회할 수 있으면서 경심조절장치와 경폭조절장치 및 상기 다리부가 장착되는 섹터조립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심조절장치는 섹터조립체의 연장부를 수직하게 관통하고서 핸들과 고정되어 있는 한편, 아래끝은 상기 다리부의 뒷면에 끼워져 회전가능하게 나사연결되는 연결부를 갖춘 조절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경폭조절장치는 상기 각 성애의 끝에서 선회할 수 있는 섹터조립체에 양끝이 각각 고정되고, 서로 평행하면서 수평하게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턴버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쟁기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쟁기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쟁기의 배면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쟁기(1)는 경운기(도시되지 않음) 등에 연결되도록 형성된 요동자(2)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된 한쌍의 성애(3)와, 각 성애(3)의 끝에 선회할 수 있으면서 경심조절장치(20)와 경폭조절장치(30) 및 다리부(40)가 장착되는 섹터조립체(10)를 구비한다.
이 섹터조립체(10)는 상기 성애(3)의 끝에서 선회가능하게 직접 연결된 본체(11)와, 이 본체(11)에서 약간 경사져 위로 뻗은 연장부(12)로 구성되되, 이들 본체(11)와 연장부(12)는 중공의 각기둥이나, 단면이 ㄱ 또는 ㄷ 형상으로 된 판재로 형성되어, 적당히 용접 등과 같은 공지된 방법으로 서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의 측벽의 하부에는 다리부(40)의 위끝이 축선회가능하게 나사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1)의 하부에서부터 아래로 뻗은 이 다리부(40)의 하단에는 종래의 쟁기와 같이 보습(41) 또는 볏(42)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경심조절장치(20)는 섹터조립체(10)의 연장부(12)를 수직하게 관통하고서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핸들(21)의 한끝과 고정되어 있는 한편, 아래끝은 상기 다리부(40)의 뒷면에 끼워져 회전가능하게 나사연결되는 연결부(22)를 갖춘 조절나사이다.
또, 상기 경폭조절장치(30)는 각 성애(3)의 끝에서 선회할 수 있도록 된 양쪽 섹터조립체(10)의 본체(11)상에 양끝이 각각 고정되고, 서로 평행하면서 수평하게 위치된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기로는 한쌍의 턴버클이다.
한편, 상기 요동자(2)의 중앙에서부터 각 성애(3)의 길이방향의 중간부분에는 압축스프링(50)이 각각 연결되어 있는데, 본 고안에 따른 쟁기(1)에서는 도 3에서 명확히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하로 한쌍씩, 모두 4개의 압축스프링(50)이 연결되어 있다. 각 압축스프링(50)의 끝은 적소에 용접되거나, 별도로 형성된 구멍에 걸림고정될 수 있다.
이제, 본 고안에 따른 쟁기(1)의 각 부재의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경심조절장치(20)의 핸들(21)을 작업자가 파지한 채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 핸들(21)에 고정된 조절나사가 회전하면서 섹터조립체(10)의 본체(11)에 대해 상하이동하게 된다. 이어서, 조절나사의 한끝에 있는 연결부(2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다리부(40)가 상기 섹터조립체(10)의 본체(11)의 측벽을 중심으로 축선회되면서 아래로 내려지거나, 반대로 들어올려지게 되는 것이다. 결국, 상기 다리부(40)의 각도를 용이하게 변경시켜, 쟁기가 땅을 파고드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경폭조절장치(30)는 전술된 바와 같이 한쌍의 턴버클로서, 이러한 턴버클은 이미 그 구조와 작동이 널리 알려져 있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되, 여기서는 작업자가 농경지의 조건에 따라 턴버클을 조이거나 풀어서 쟁기들 사이의 간격을 좁게 또는 넓게 조절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끝으로, 상기 한쌍의 성애(3)를 각각 압축스프링(50)을 매개로 요동자(2)에 연결함으로써, 경운시 쟁기(1)의 견인저항이 그들 사이의 중심에 있게 되므로 직진성을 항상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쟁기의 다리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한쌍의 쟁기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서, 작업자가 편리하게 농경지의 조건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한쌍의 성애 사이에 스프링을 연결함으로써 경운시 견인저항이 쟁기들사이의 중심에 있게 되므로 직진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쟁기가 좌우로 변동되더라도 견인방향과 쟁기이동방향이 쉽게 평행이 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의도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됨으로써, 궁극적으로 작업을 수행하기가 효율적으로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3)

  1. 경운기 등에 연결되는 요동자(2)에 연결된 한쌍의 성애(3)와, 각 성애(3)의 끝에서 아래로 뻗은 다리부(40), 이 다리부(40)의 하단에 보습(41) 및 볏(42)이 부착된 쟁기(1)에 있어서,
    상기 요동자(2)의 중앙과 각 성애(3)의 사이에는 적어도 한쌍의 압축스프링(50)이 각각 연결되는 한편, 상기 각 성애(3)의 끝에서 선회가능하게 직접 연결된 본체(11)와, 이 본체(11)에서 약간 경사져 위로 뻗은 연장부(12)로 구성되고서, 경심조절장치(20)와 경폭조절장치(30) 및 상기 다리부(40)가 장착될 수 있는 섹터조립체(1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쟁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심조절장치(20)는 섹터조립체(10)의 연장부(12)를 수직하게 관통하고서 핸들(21)과 고정되어 있는 한편, 아래끝은 상기 다리부(40)의 뒷면에 끼워져 회전가능하게 나사연결되는 연결부(22)를 갖춘 조절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쟁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폭조절장치(30)는 상기 각 성애(3)의 끝에서 선회할 수 있는 섹터조립체(10)에 양끝이 각각 고정되고, 서로 평행하면서 수평하게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턴버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쟁기.
KR2020020017286U 2002-06-05 2002-06-05 쟁기 KR2002890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286U KR200289017Y1 (ko) 2002-06-05 2002-06-05 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286U KR200289017Y1 (ko) 2002-06-05 2002-06-05 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9017Y1 true KR200289017Y1 (ko) 2002-09-11

Family

ID=73124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286U KR200289017Y1 (ko) 2002-06-05 2002-06-05 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901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2890B1 (ko) 2010-07-30 2013-12-19 김성민 가변식 논고랑 형성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2890B1 (ko) 2010-07-30 2013-12-19 김성민 가변식 논고랑 형성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89017Y1 (ko) 쟁기
US4595064A (en) Drag attachment for a disk
JP3892222B2 (ja) 圃場用複合作業機
US5628373A (en) Earth working implement
US4854391A (en) Hand propelled soil cultivation tool
JP3878184B2 (ja) 複合耕耘装置
JP3129872U (ja) 複合耕耘装置
GB2053634A (en) Agricultural subsoiling tool
CN112673722B (zh) 组装式耕深可调松土机
CN2548399Y (zh) 一种深松犁具和采用该犁具的联合整地机
US3425496A (en) Vibrating tillage implement
KR200384643Y1 (ko) 쟁기의 이중 보습
RU2618327C1 (ru) Культиватор-глубокорыхлитель
CN107027354A (zh) 一种用于旋耕机平整器的安装架
CN206585907U (zh) 一种用于旋耕机平整器的安装架
CN220476249U (zh) 翻转犁
RU2161388C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е почвообрабатывающее орудие
RU2623042C1 (ru) Стрельчатая лапа культиватора с регулируемым углом атаки
RU2165133C1 (ru) Универсальный рыхлитель
US20230413710A1 (en) Tillage gang adjustment
US2655855A (en) Multiple purpose cultivator attachment
US4149600A (en) Soil cultivating machines
US4690223A (en) Rod weeder attachment for an agricultural implement
RU206814U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агрегат с универсальным почвообрабатывающим устройством
CN220586753U (zh) 一种拉链式翻转犁地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