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8383Y1 - 한방 목침 - Google Patents

한방 목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8383Y1
KR200288383Y1 KR2020020017967U KR20020017967U KR200288383Y1 KR 200288383 Y1 KR200288383 Y1 KR 200288383Y1 KR 2020020017967 U KR2020020017967 U KR 2020020017967U KR 20020017967 U KR20020017967 U KR 20020017967U KR 200288383 Y1 KR200288383 Y1 KR 2002883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herbal
main body
needl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79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발
Original Assignee
이종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발 filed Critical 이종발
Priority to KR20200200179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83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83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8383Y1/ko

Links

Landscapes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목침에 관한 것으로, 목침의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공간부의 내측에 한방 방향 약제를 내입시켜 여기에서 발산되는 한방 향기를 사용자가 수면시에 맡을 수 있는 한방 방향제가 내입된 목침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한방 목침은, 사용자의 체질에 맞게 조제된 한방 향기 재료가 내입되는 망사 재질의 향기낭과; 직육면체로 형성된 향나무 등의 목재로 상부에 향기낭이 내입되는 요입부가 형성된 사각 함체로 형성되며, 양측면에 요입부에 내입된 향기낭의 향기가 외부를 배출되도록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본체와; 본체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며, 본체의 상부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요입부에 내입되는 향기낭의 이탈을 방지하며 향기낭의 향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덮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한방 목침은, 적정량의 한약재를 조합하여 목침 속에 삽입하여 사용자가 취침시에 자연스럽게 한약제의 향기를 들이마실 수 있어, 보다 편안하고 안락한 수면을 취할 수 있으며, 또한, 취침시에 사용자의 목과 머리부분이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한방 목침{herb medicine wooden pillow}
본 고안은 목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목침의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공간부의 내측에 한방 방향 약제를 내입시켜 여기에서 발산되는 한방 향기를 사용자가 수면시에 맡을 수 있는 한방 방향제가 내입된 목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개는 사람이 수면시에 머리, 목 등을 편안하게 받쳐 주기 위하여 사용되는 수면시의 필수품으로 일반적인 가정에서 반드시 사용되는 것이다.
베개의 종류로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쿠션과 같이 부드러운 종류와 나무 또는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목침 등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배게는 인생의 3분의 1을 수면으로 보내는 인간에게 있어서는 매우 중요한 생활용품이고, 사용자의 쾌적한 수면과 건강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베개를 잘못 사용하거나 올바른 자세로 수면을 취하지 않으면 목부위와, 척추 등의 관절질환과, 목부분의 근육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목디스크로 발전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베개의 한 종류인 목침은 직육면체의 나무를 이용하여 형성시킨 것으로, 나무재질이 사용자의 머리를 차게 하여 숙면에 도움을 주고 사용자의 건강에 이바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한의학에서는 다양한 한약재들이 있으며, 이를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환자에게 냄새를 맡게 함으로써 환자의 질환을 치료하는 향기 치료방법이 있으며 이는 동의보감에 나오는 신침법과 일맥상통한다.
이러한, 신침법에 사용되는 한약재에는 천궁(天芎),당귀(當歸),백지(白芷),신이(辛夷),두형(杜衡),백출(白朮),고본(蒿本),목란(本蘭),천초(川椒),계피(桂皮),건강(乾薑),방풍(防風),인삼(人蔘),길경(桔梗),백복령(白茯芩),형실(荊實),육종용(肉蓉),비렴(飛廉),백실(柏實),의이(薏苡),관동화(款冬花),백미(白微),진초(眞草),미무(迷霧) 등이 있으며, 이를 사용자의 신체 체질(태양인, 태음인, 소양인, 소음인 등)에 따라 적정량 조합하여 사용자가 냄새를 맡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질병을 고치거나, 건강 증진을 꾀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침과, 한방 향기 요법에서 안출된 것으로, 적정량의 한약재를 조합하여 목침 속에 삽입하여 사용자가 취침시에 자연스럽게 한약제의 향기를 들이마실 수 있으며, 또한 취침시에 사용자의 목과 머리부분이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한방 목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한방 목침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한방 목침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한방 목침의 종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한방 목침의 횡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목침 11 : 본체
12 : 덮개부 13 : 요입부
14, 16 : 통공 15 : 힌지부
17 : 오목면 18 : 망부재
19 : 자석부재 19a : 접착부
20 : 향기낭 21 : 한방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한방 목침은, 사용자의 체질에 맞게 조제된 한방 향기 재료가 내입되는 망사 재질의 향기낭과; 직육면체로 형성된 향나무 등의 목재로 상부에 상기 향기낭이 내입되는 요입부가 형성된 사각 함체로 형성되며, 양측면에 상기 요입부에 내입된 향기낭의 향기가 외부를 배출되도록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상부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요입부에 내입되는 상기 향기낭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향기낭의 향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덮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덮개부의 상면에 사용자의 후두부에 대응되는 오목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의 일측에 힌지 결합된 상기 덮개부의 회동측 하부에 판형상의 자석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본체의 상기 자석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자석부재의 자력에 의해 접착되는 금속재질의 접착부가 마련되어 상기 덮개부의 개폐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한방 목침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한방 목침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한방 목침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한방 목침의 종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한방 목침의 횡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한방 목침(10)은, 외형을 형성하는 목침(10)과, 상기 목침(10)에 형성된 요입부(13)에 내입되어 한약 성분을 배출하는 향기낭(20)이 마련된다.
상기 목침(10)은, 상기 향기낭(20)이 내입되도록 요입부(13)가 형성된 본체(11)와, 상기 본체(11)에 힌지 결합되어 내입된 향기낭(2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덮개부(12)가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1)는 직육면체로 형성된 향나무 등의 목재로 상부에 요입부(13)가 형성된 사각 함체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11)의 양측면에는 상기 요입부(13)에 내장되는 향기낭(20)에서 발생되는 향기가 상기 본체(11)의 외측으로 발산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공(14)이 형성되며, 상부 일측에는 상기 덮개부(12)가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15)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12)는 상기 본체(11)의 상부 일측에 상기 본체(11)의 재질과 동일한 향나무 등의 목재로 상기 본체(11)의 힌지부(1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본체(11)의 상부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덮개부(12)의 상면 양측에는 상기 덮개부(12)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되어 상기 본체(11)의 요입부(13)에 내입된 향기낭(20)의 향기가 배출되는 다수의 통공(16)이 형성되며, 상기 덮개부(12)의 중앙부는 목침(10)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후두부형상에 대응되도록 오목면(17)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1) 및 상기 덮개부(12)에 형성된 상기 각 통공(14, 16)의 내측에는 상기 본체(11)의 요입부(13)에 내입되는 향기낭(20)의 가루가 상기 목침(1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망부재(18)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본체(11)의 상면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상기 덮개부(12)의 회동측 하면에는 얇은 판형상의 자석부재(19)가 마련되고, 상기 본체(11)의 상면, 즉상기 덮개부(12)의 상기 자석부재(19)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자석부재(19)의 자력에 의해 상기 덮개부(12)가 개폐되는 것을 제한하는 금속재질의 접착부(19a)가 마련된다.
상기 향기낭(20)은, 상기 향기낭(20)의 내부에 내입되는 다양한 종류의 한방제(21)들에서 발생되는 향기가 배출되도록 통기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며, 또한, 내부에 삽입된 한방제(21)가 유출되지 않는 망재질로 마련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한방 목침의 작용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자신의 체질에 적당한 처방에 따른 향기 한방제(21)를 조제하여 향기낭(20)에 담고, 이를 상기 본체(11)의 요입부(13)에 내입시키고, 상기 본체(11)의 상부에 힌지 결합된 상기 덮개부(12)를 덮어 목침을 취침시에 사용하며, 이때 상기 덮개부(12)에 마련된 자석부재(19)가 상기 본체(11)의 상면에 마련되는 접착부(19a)에 접착되어 상기 덮개부(12)의 개폐가 방지된다.
또한, 향기낭(20)에 내포된 한방제(21)에서 발생하는 향기는 상기 본체(11) 및 상기 덮개부(12)에 마련된 각 통공(14, 16)을 통하여 목침(10)의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가 취침시에 한방제(21)의 향기를 이루는 미세한 입자들이 사용자의 코로 흡입되며, 코의 점막을 통하여 사용자의 체내로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한방제(21)의 효능을 얻도록 한다.
또한, 목침(10)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후두부가 상기 덮개부(12)의 상면에 형성된 오목면(17)에 안착되어 오목면(17)이 사용자의 목과 후두부 주위를 지지하여사용자가 취침시에 항상 올바를 머리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고안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고안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한방 목침은, 적정량의 한약재를 조합하여 목침 속에 삽입하여 사용자가 취침시에 자연스럽게 한약제의 향기를 들이마실 수 있어, 보다 편안하고 안락한 수면을 취할 수 있으며, 또한, 취침시에 사용자의 목과 머리부분이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사용자의 체질에 맞게 조제된 한방 향기 재료가 내입되는 망사 재질의 향기낭과;
    직육면체로 형성된 향나무 등의 목재로 상부에 상기 향기낭이 내입되는 요입부가 형성된 사각 함체로 형성되며, 양측면에 상기 요입부에 내입된 향기낭의 향기가 외부를 배출되도록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상부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요입부에 내입되는 상기 향기낭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향기낭의 향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덮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목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상면에 사용자의 후두부에 대응되는 오목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목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 힌지 결합된 상기 덮개부의 회동측 하부에 판형상의 자석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본체의 상기 자석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자석부재의 자력에 의해 접착되는 금속재질의 접착부가 마련되어 상기 덮개부의 개폐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목침.
KR2020020017967U 2002-06-12 2002-06-12 한방 목침 KR2002883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967U KR200288383Y1 (ko) 2002-06-12 2002-06-12 한방 목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967U KR200288383Y1 (ko) 2002-06-12 2002-06-12 한방 목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8383Y1 true KR200288383Y1 (ko) 2002-09-09

Family

ID=73076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967U KR200288383Y1 (ko) 2002-06-12 2002-06-12 한방 목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8383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605Y1 (ko) 2010-11-03 2013-02-28 신영철 한방 건강 베개
KR101520274B1 (ko) * 2014-12-25 2015-05-14 경상남도 유향수지(乳香樹脂)를 이용한 베개 충전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20330B1 (ko) 2015-03-05 2016-05-12 김 창 만 수납공간이 구비된 친환경적인 목침
KR20170000392U (ko) 2015-07-19 2017-02-01 이광준 기능성 목침
KR102458649B1 (ko) 2021-11-23 2022-10-27 유경희 기능성 스마트 베개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605Y1 (ko) 2010-11-03 2013-02-28 신영철 한방 건강 베개
KR101520274B1 (ko) * 2014-12-25 2015-05-14 경상남도 유향수지(乳香樹脂)를 이용한 베개 충전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20330B1 (ko) 2015-03-05 2016-05-12 김 창 만 수납공간이 구비된 친환경적인 목침
KR20170000392U (ko) 2015-07-19 2017-02-01 이광준 기능성 목침
KR102458649B1 (ko) 2021-11-23 2022-10-27 유경희 기능성 스마트 베개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8470B1 (ko) 한방 건강베개
KR200288383Y1 (ko) 한방 목침
KR102152448B1 (ko) 숙면 유도용 기능성 베개
KR200443957Y1 (ko) 기능성 베개
US20090151078A1 (en) Transformable Pillow
KR101455970B1 (ko) 기능성베개
CN205814095U (zh) 一种决明子薰衣草功能枕头
KR101389739B1 (ko) 다용도 코걸이
KR200271779Y1 (ko) 목베개
KR20110051699A (ko) 찜질팩 기능을 갖는 봉제완구
KR200225892Y1 (ko) 한방베개
CN209644537U (zh) 一种凉席
KR200481368Y1 (ko) 숙면 유도용 침구류
KR20050033337A (ko) 한방 건강베개
KR200405712Y1 (ko) 건강베개
KR200342154Y1 (ko) 한방 건강베개
KR200431350Y1 (ko) 아로마향 건강베개
KR20020027401A (ko) 건강기능베개
WO2019195345A1 (en) Oil-infused elastomeric therapeutic device
KR200328072Y1 (ko) 홈 사우나기
CN211021812U (zh) 香薰助眠床垫及睡床
KR200309430Y1 (ko) 아로마테라피 마스크
JPH10277171A (ja) マスク
KR200255246Y1 (ko) 한약 방향제
JP3030661U (ja) 生薬袋付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