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8055Y1 -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8055Y1
KR200288055Y1 KR2020020013351U KR20020013351U KR200288055Y1 KR 200288055 Y1 KR200288055 Y1 KR 200288055Y1 KR 2020020013351 U KR2020020013351 U KR 2020020013351U KR 20020013351 U KR20020013351 U KR 20020013351U KR 200288055 Y1 KR200288055 Y1 KR 2002880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igital audio
audio
digital
broad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33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부
김근도
Original Assignee
(주)프리샛 코리아
김종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프리샛 코리아, 김종부 filed Critical (주)프리샛 코리아
Priority to KR20200200133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80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80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8055Y1/ko

Links

Landscapes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신호에 대한 디지털 신호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주제어부와, 상기 안테나로부터 소정의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신호가 입력 시 상기 주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신호에 대한 디지털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신호 처리부와, 상기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신호 처리부에 의해 디지털 신호 처리된 데이터 정보, 방송의 수신상태 및 구성요소의 동작과정을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부와,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에 의해 디지털 신호 처리된 오디오 정보 및 데이터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수단과, 차량에 설치된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공급을 위한 소정의 연결수단이 결합되는 충전단자를 통하여 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에 충전전압을 공급하는 전원충전부 및 상기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음성출력단자를 통하여 차량용 오디오에 전송하기 위한 음성출력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는 사용자가 휴대 가능하거나 또는 차량용 거치대에 실장가능 하도록 소형화함으로써, 차량의 바테리를 통하여 구동 전원을 공급받음으로서 별도의 전원공급장치가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장소에 관계없이 항상 휴대하여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Portable digltal audio broadcasting receiver}
본 고안은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거치대에 장착 가능한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오디오 방송(Digital Audio Broadcasting : DAB)은 AM과 FM에 이은 3세대의 라디오로서 CD급 수준의 음질과 멀티미디어시대에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 우수한 이동 수신의 품질을 제공하는 차세대 라디오 방송으로서 종래의 단 방향성의 듣는 라디오에서 고품질의 오디오, 디스플레이,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 및 양방향성 등의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범 유럽에서 공동으로 제안한 EUREKA-147 방식(out-of-band)과 다른 하나는 미국에서 제안한 인밴드(IN-BAND)방식으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오디오 방송중 하나인 범 유럽에서 공동으로 제안한 EUREKA-147 방식은, 아날로그 방송이 서비스되는 FM 대역 이외의 새로운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방식으로서 새로운 주파수 대역의 이용과 광대역 전송을 특징으로 하며, 30MHz부터 3GHz의 주파수 대역, 즉 VHF, UHF 및 L/S 대역에서 운용할 수 있으므로 현재의 FM대역과 TV 대역을 통한 지상파 방송과 L/S 대역을 통한 위성 방송이 가능하여 광대역 전송으로 인한 이동체에서의 수신 성능 개선 및 고속의 데이터 전송,그리고 단일 주파수망 구성을 통한 주파수의 효율적 이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현재까지 개발된 디지털 오디오방송 시스템 중 가장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미국에서 제안한 인밴드(IN-BAND)방식은,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이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을 공유하는 방식으로서 AM 혹은 FM 채널에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In-Band On-Channel (IBOC) 방식과 FM 채널의 인접 채널을 이용하는 In-Band Adjacent-Channel (IBAC) 방식이 제안되었다.
여기서, IBOC방식은 주파수 밀집 지역에서 주파수 효율을 높일 수 있지만 기존 아날로그 신호와의 상호 간섭문제가 발생하며, IBAC의 경우 FM 방송 채널사이에 비어 있는 보호대역(guard band)을 이용하므로 상호간섭에 대처가 비교적 용이하다. IBOC 방식은 FM 신호에 비해 25dB 이하의 낮은 전력에서 동작 가능하지만, 아날로그 신호에 간섭을 야기할 수 있다. 실험에 의하면 디지털 신호가 FM 신호의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서는 45dB 정도의 레벨차이가 요구된다고 한다. 따라서, FM 수신기에서는 디지털 신호의 간섭을 줄여야 하며, 반대로 디지털 오디오방송 수신기는 FM 신호를 추출하여 제거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IBOC 방식은 다중경로 페이딩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Eureka 147 방식에서 사용되는 OFDM 변조 방식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IBAC 의 경우 단일 반송파를 사용하고, 채널등화 기술을 채용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상 방송국에서 지상파를 이용한 방송 서비스 위성을 이용한 서비스가 있다.
상기의 위성 방송은 방송국에서 제작된 영상 및 음성 신호등을 송신 지구국을 통하여 발사하고 저궤도 위성인 인공위성을 중계기로 사용하여 먼곳에 있는 수신 지구국으로 신호를 보내는 것으로서, 지상 디지털 방송 지구국에서 디지털 방송을 위한 위성으로 신호가 전송되고 전송된 신호는 위성에서 수신되어 L-밴드를 통해 다운스트림 된다.
상술한 지상파를 이용한 방송 시스템에서는 방송 지구국에서 디지털 방송을 직접 출력한다.
이러한 두가지 방식에 의해 출력된 방송 신호는 이동 및 고정 디지털 수신기에 의해서 수신되게 된다.
또한, 디지털 위성 방송은 위성을 이용하여 방송신호를 각 단말기로 전송하는 시스템이며, 하나의 중계기로 여러개의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고, 하나의 프로그램에는 오디오, 비디오 및 여러 종류의 데이터가 다중화 될 수 있으며, 또한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는 소정의 가정용 안테나로 이 신호를 수신하고 증폭된 신호를 전달받아 디코딩 한 후 이를 가입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종래, 상기한 바와 같은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용 수신기는 부피가 커서 휴대하는 것이 불가능하였으며 또한 차량에 카스테레오와 같이 고정되어 설치되어 사용자 자신의 차량이외에서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을 수신할 수 없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용 거치대에 실장가능하고 또한 사용자가 휴대가능 하도록 소형화 된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방송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가 차량용 거치대에 실장된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불럭도.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0 :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
110 : 안테나 120 : 주제어부
130 :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신호 처리부
131 : 다운컨버터 132 : 프론트엔드부
133 : 채널디코더 134 : 오디오/비디오 디코더
135 : DA컨버터 130 :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부
140 : 표시부 150 : 음성출력부
151 : 음성출력단자 160 : 전원충전부
161 : 전원충전단자 162 : 외부입력단자
170 : 저장수단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는, 차량용 거치대에 장작 가능한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와,상기 안테나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신호에 대한 디지털 신호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주제어부와, 상기 안테나로부터 소정의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신호가 입력 시 상기 주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신호에 대한 디지털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신호 처리부와, 상기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신호 처리부에 의해 디지털 신호 처리된 데이터 정보, 방송의 수신상태 및 구성요소의 동작과정을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부와, 상기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신호 처리부에의해 디지털 신호 처리된 오디오 정보 및 데이터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수단과, 차량에 설치된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공급을 위한 소정의 연결매체가 결합되는 충전단자를 통하여 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에 충전전압을 공급하는 전원충전부 및 상기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음성출력단자를 통하여 차량용 오디오에 전송하기 위한 음성출력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3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방송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가 차량용 거치대에 실장 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 이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소형의 구조를 갖고 있으며, 차량용 거치대에 실장 한 후 차량에 설치된 소정의 전원공급수단, 예를 들면 바테리를 통하여 충전 전압을 소정의 연결수단이 결합되는 전원공급단자를 통하여 공급받아 충전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에 형성된 음성출력단자에 결합되는 소정의 저장매체, 예를 들면 잭 등을 사용하여 dab방송, 음악 등의 음성 데이터를 차량용 오디오에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는 외부에 장착 가능한 lcd등의 표시장치에 데이터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다른 목적을 위한 USB 포트 및 기타 데이터 포맷 케이블이 장착되는 연결단자가 부가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도 3을 통하여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 및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100)는 안테나(110)와, 주제어부(120)와, 다운컨버터(131), 프론트엔트부(132), 채널디코더(133), 오디오/비디오 디코더(134), DA컨버터(135)를 포함하여 구성된 디지털 신호 처리부(130)와, 표시부(140)와, 저장수단(150)과, 전원충전단자(161)가 형성된 전원충전부(160)와, 음성출력단자(171)가 형성된 음성출력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안테나(110)는 위성 또는 기지국을 통하여 전송되는 소정의 주파수, 예를 들면 175Mhz-242Mhz 내지 1452Mhz-1500Mhz 대역의 주파수를 갖는 방송파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디지털 방송용 안테나, AM 수신용 안테나 및 FM수신용 안테나를 포함한다.
주제어부(120)는 상기 안테나(110)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신호에 대한 디지털 신호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후술하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신호 처리부(130), 표시부(140), 저장수단(150), 전원충전부(160) 및 음성출력부(170) 등의 각각의 구성요소에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신호 처리부(130)는 안테나(110)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오디오 정보, 예를 들면 DAB 방송 및 음악 등의 오디오 정보와 날씨정보, 교통정보 등의 데이터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신호가 입력 시, 상기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신호 처리부(130)는 상기 주제어부(120)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신호에 대한 디지털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신호에 대한 데이터 복원을 수행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안테나(110)는 위성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소정의 디지털 방송 신호, 예를 들면 DAB방송, 음악 등의 오디오 방송 신호와 날씨정보, 교통정보 등의 일반적인 데이터 정보가 포함된 175Mhz-242Mhz 내지 1425Mhz-1492Mhz의 디지털 방송신호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방송파 신호를 수신한 후이를 후술하는 다운컨버터(131)로 전달한다.
다운컨버터(131)는 상기 안테나(110)로부터 전달되는 소정의 고주파 성분을 갖는 방송파를 상기 주제어부(120)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후술하는 프론트엔드부(132)에서 처리 가능한 저주파 신호로 변환한 후 이를 후술하는 프론트엔드부(132)로 전달한다.
프론트엔드부(132)는 상기 주제어부(120)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다운컨버터(131)로부터 입력된 주파수를 필터링하고, 디코딩하기 위해 중간 주파수 (IF)로 변환하고 특정채널의 신호를 선택한 후 이를 후술하는 채널 디코더(133)로 전달한다.
또한, 프론트엔드부(132)는 상기 다운컨버터(131)에서 입력된 신호에 대하여 송신측에서 실행한 OFDM변조, 주파수 변조, DQPSK 부호화, 타임 인터리빙, 비터비 부호화에 의해 변환된 신호를 OFDM 변조에 대한 복조를 수행하고, 에러 정정을 위한 주파수 인터리빙 신호를 복원하며, DQPSK 부호화된 신호를 복호화 한 후에 시간에 대한 인터리빙을 타임 디 인터리버에서 복원하고 비터비 디코더에 의해 비터비 부호화된 것을 복호화 한다.
채널 디코더(133)는 상기 안테나(110)에 의해 수신된 소정의 방송신호, 예를 들면 DAB방송, 음악 등의 오디오 방송 또는 날씨정보, 교통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정보를 상기 주제어부(120)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베이스 대역의 방송 신호로의 복조를 수행한다.
채널 디코더(133)는 I/Q 복조회로, OFDM 복조회로 그리고 비터비 디코딩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I/Q 복조회로는 수신된 신호를 직교검파 하고, 그 신호를 I 신호와 Q 신호에 복조하고, 상기 OFDM 복조회로는 수신신호에 대하여 FFT처리를 행하고, OFDM 신호를 원래 데이터로 복조하고, 상기 비터비 디코딩 회로는 비터비 코드 즉 콘벌루션 코드로 수신 신호에 대하여 오차 정정 처리를 행한다.
채널 디코더(133)는 동기용 TFPR신호를 수신하고, TFPR신호의 수신출력에 의거하여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 및 타이밍 제어를 행하는 AFC(자동주파수제어: Automatic frequency controlling) 회로를 갖는다.
또한, 채널 디코더(133)는 수신 신호를 베이스대역 신호로 복조하고, 오디오 데이터와 일반 데이터를 후술하는 오디오/데이터 디코더(134)로 출력한다.
상기 오디오/데이터 디코더(134)는 상기 채널 디코더(133)로부터 전송된 채널정보, 오디오 정보 및 데이터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상기 주제어부(120)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디코딩 한다. 이 과정에서 디코딩 된 채널정보는 상기 주제어부 (120)로 전송되어 상기 주제어부(120)가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주제어부(120)가 지정한 채널의 오디오 및 데이터 정보를 후술하는 DA컨버터(135)를 통해 출력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오디오/데이터 디코더(134)는 상기 주제어부(120)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소정의 디코딩 방식, 예를 들면 mpeg 레이어 방식에 의거하여 채널 디코더(133)의 오디오 방송 신호 및 데이터 방송 신호에 대한 디코딩 처리를 수행한다. 즉, 오디오/데이터 디코더(1344)는 상술한 mpeg 레이어 방식 등의 소정의 디코딩 방식에 의거하여 상기 채널 디코더(133)로부터 전송되는 소정의 압축된 오디오/데이터 방송 신호, 예를 들면 DAB방송, 음악, 날씨 및 교통정보 등의 오디오/데이터 방송 신호를 송신전의 방송신호인 본래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신호로 디코딩 한다.
이 과정에서 오디오/데이터 디코더(134)는 디코딩 된 데이터에서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과는 달리 전송된 신호에 프로그램 관련 데이터(방송의 제목, 노래의 제목, 가수 이름, 뉴스 제목, 관련 사진 등의 데이터)나 정보데이터(교통상황, 주식정보, 문자메시지, 사진 등의 데이터)를 상기 주제어부(120)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되도록 데이터 정보 신호를 후술하는 DA컨버터(135)로 전송한다. 상술한 전송 과정과 함께 오디오/데이터 디코더(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주제어부(121)로 채널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주제어부(120)로부터 디코더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의 방송 신호를 출력하도록 디코딩을 수행하고 해당 채널의 데이터 정보를 상기 주제어부(120)로 전송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상기 오디오/데이터 디코더(134)는 소정의 디코딩 방식에 의거하여 복원된 디지털 오디오 방송 데이터를 후술하는 DA컨버터(135)로 전송한다.
DA 컨버터(135)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 디코더(134)에서 전송되는 소정의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신호를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는 소정의 아날로그 방송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주제어부(120)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 방송신호를 후술하는 음성출력부(17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DA 컨버터(135)는 상기 오디오/데이터 디코더(134)에서 전송되는 소정의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신호, 예를 들면 DAB방송, 음악 등의 오디오 데이터 및날씨정보, 교통정보 등의 데이터 정보를 복호기 및 여파기를 사용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 한 후 이를 상기 주제어부(120)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후술하는 음성출력부(170) 및 표시부(140)로 전송한다.
표시부(140)는 상기 DA컨버터(135)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정보, 예를 들면 DAB 방송제목, 노래의 제목, 가수 이름 등의 음악정보 데이터 및 교통상황, 주식정보, 문자메시지, 사진, 뉴스 제목 등의 정보 데이터를 소정의 표시수단, 예를 들면 LCD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표시부(140)는 상기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100)의 수신상태 및 상기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의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한 작동상태를 디스플레이 한다.
음성 출력부(150)는 상기 DA컨버터(135)로부터 소정의 오디오 방송 데이터, 예를 들면 DAB방송 및 음악 등의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음성출력수단, 예를 들면 스피커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음성 출력부(150)는 상기 DA 컨버터(135)로부터 소정의 오디오 방송 데이터가 입력 시, 상기 주제어부(121)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100)에 형성된 음성출력단자(171)에 접속되는 소정의 연결수단, 예를 들면 케이블 및 잭을 통하여 차량용 오디오로 상기 디지털 오디오 방송 데이터, 에를 들면 DAB 방송 및 음악 등을 차량용 오디오로 출력한다.
전원 충전부(160)는, 상기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100)가 차량에 설치된 거치대에 설치된 경우, 상기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에 형성된 전원 충전단자(161)를 통하여 상기 차량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로부터 소정의 전원, 예를 들면 12V의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에 충전전압을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충전단자에는 상기 차량용 배터리로부터 공급전원을 인가 받기 위한 소정의 연결수단, 예를 들면 케이블 및 잭등이 결합되어 상기 차량용 배터리를 상기 전원충전부(160)로 공급한다.
저장부(170)는 상기 안테나(110)에 의해 수신되어 상기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신호 처리부(130)에 의해 디지털 신호 처리된 소정의 디지털 방송정보, 예를 들면 DAB 방송, 음악파일 등의 오디오 데이터 및 교통상황, 주식정보, 문자메시지, 사진 등의 데이터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저장부(170)는 사용자가 원하는 오디오 및 데이터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매체로서, 플래시 메모리,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DVD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사용자가 휴대 가능하거나 또는 차량용 거치대에 실장가능 하도록 소형화함으로써, 차량의 배터리를 통하여 구동 전원을 공급받음으로서 별도의 전원공급장치가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장소에 관계없이 항상 휴대하여 디지털 오디오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술한 본 고안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차량용 거치대에 장작 가능한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는,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신호에 대한 디지털 신호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주제어부;
    상기 안테나로부터 소정의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신호가 입력 시 상기 주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신호에 대한 디지털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신호 처리부와;
    상기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신호 처리부에 의해 디지털 신호 처리된 데이터 저정보, 방송의 수신상태 및 구성요소의 동작과정을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부와;
    상기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신호 처리부에 의해 디지털 신호 처리된 오디오 정보 및 데이터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수단과;
    전원공급을 위한 소정의 연결수단이 결합되는 충전단자를 통하여 차량에 설치된 전원공급부로부터 구동 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에 충전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충전부 및
    상기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소정의 연결수단이 결합되는 음성출력단자를 통하여 차량용 오디오에 전송하기 위한 음성출력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상기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고주파의 디지털 방송신호를 저주파로 변환하는 다운 컨버터와;
    상기 안테나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신호를 해당 채널로 튜닝 하는 튜너에 의해 특정 채널의 신호를 선택한 후 상기 선택된 신호를 중간주파수 신호로 변환하는 프론트엔드부와;
    상기 프론트엔드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소정의 복조회로를 통하여 베이스대역 신호로 복조 하는 채널 디코더와;
    상기 채널디코더로부터 베이스대역 신호로 복조 된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데이터 및 오디오 신호로 디코딩 하는 오디오/데이터 디코더와;
    상기 오디오/데이터 디코더에 의해 디코딩된 신호를 상기 음성 출력부로 출력하기 위하여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컨버터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출력단자는,
    상기 음성출력부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신호 처리된 dab방송 및 음악 등의 음성 데이터를 차량용 오디오로 전송하기 위한 연결수단으로서 잭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는,
    외부에 장착 가능한 lcd등의 표시장치에 데이터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다른 목적을 위한 usb 포트 및 기타 데이터 포맷 케이블이 장착되는 연결단자가 부가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
KR2020020013351U 2002-05-01 2002-05-01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 KR2002880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351U KR200288055Y1 (ko) 2002-05-01 2002-05-01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351U KR200288055Y1 (ko) 2002-05-01 2002-05-01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8055Y1 true KR200288055Y1 (ko) 2002-09-05

Family

ID=73075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3351U KR200288055Y1 (ko) 2002-05-01 2002-05-01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805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5208B1 (ko) Dmb 수신기 및 소비 전력 절감 방법
US20070089148A1 (en) Apparatus for providing supplementary function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nd method of the same
USRE43610E1 (en) Digital FM radio system
JP2010512070A (ja) ネットワークラジオ受信機
CN101534449A (zh) 移动数字广播电视的接收并传送的方法及所使用的终端
US8929959B2 (en) Method and a device for receiving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n a broadcast system
KR20060066022A (ko) 지상파 및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통합 수신 시스템
KR20050033304A (ko) Dmb 수신기
KR200288055Y1 (ko)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
CN105072265A (zh) 具有中国数字音频广播(cdr)接收功能的移动终端
WO2008128828A1 (en) A method and a device for receiving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n a broadcast system
KR20030086193A (ko)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KR200262879Y1 (ko) 탈ㆍ부착이 가능한 저장수단을 구비한 디지털 오디오방송 수신기
KR20030062747A (ko) 변복조장치 및 외부장치와 연동하는 저장매체를 구비한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
CN201248092Y (zh) 国标数字电视便携式接收装置
KR100724359B1 (ko)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겸용 디지털 티브이 장치 및 그의 오디오신호 처리 방법
KR100570871B1 (ko) Tv 튜너의 vhf 고주파 대역을 이용한 디지털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KR200290274Y1 (ko) 외장형 표시수단을 구비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
KR20030072075A (ko) Mp3 인코더가 내장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
CN204967944U (zh) 具有中国数字音频广播(cdr)接收功能的移动终端
JP4603058B2 (ja) デジタルブロードキャストシステムにおけるブロードキャスト受信装置及び方法
KR100511553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와 그의 동작방법
WO2001050649A1 (en) Power reduction method and device therefore
KR20030025602A (ko) 동영상 수신 기능을 갖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
JP4703755B2 (ja) 放送受信装置およびその消費電力の低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