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8008Y1 - 수조용 히터장치 - Google Patents

수조용 히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8008Y1
KR200288008Y1 KR2020020016747U KR20020016747U KR200288008Y1 KR 200288008 Y1 KR200288008 Y1 KR 200288008Y1 KR 2020020016747 U KR2020020016747 U KR 2020020016747U KR 20020016747 U KR20020016747 U KR 20020016747U KR 200288008 Y1 KR200288008 Y1 KR 2002880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emperature
housing
heat generating
hea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67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형
Original Assignee
현대티타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티타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티타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167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80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80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8008Y1/ko

Links

Landscapes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조용 히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수조(水槽)에 담겨지는 물이나 용액의 수온(水溫)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함은 물론, 구조가 간단하고 과열이나 누전에 의한 화재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수조용 히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수조용 히터장치는, 발열부와, 이 발열부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하고 이 발열부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전달하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수조내의 수온을 지속적으로 감지하고 자체적으로 스위칭되면서 상기한 발열부에 전기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수온 감지센서와, 상기한 발열부가 허용온도 이상으로 과열되는 것을 감지하여 전기의 공급을 차단시키는 발열부감지센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조용 히터장치{Heating Device For Water Tank}
본 고안은 수조용 히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수조에 담겨지는 물이나 용액의 수온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함은 물론, 구조가 간단하고 과열이나 누전에 의한 화재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수조용 히터장치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조(水槽)는 그 용도에 따라 관상어가 담겨지는 대형의 수족관(水族館)이나 음식점 등에서 활어를 일시적으로 보관하기 위한 간이수조(簡易水槽) 그리고 도금용액이 담겨지는 도금조(鍍金槽) 등이 있으며, 이들 수조에는 별도의 히터가 설치되어 이들 수조에 담겨지는 물이나, 도금액 등이 최적의 수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에서 수족관이나 음식점 등에 설치되는 간이수조에는 그 목적에 따라 관상어(觀賞魚)나 활어(活魚) 등이 상기한 수조내에서 최적의 상태로 서식할 수 있도록 주로 동절기에 히터를 설치하게 되며, 상기한 도금조는 도금조건에 따라 도금액이 원활하게 도금될 수 있도록 히터에 의해 도금액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히터의 일반적인 구조를 살펴보면, 발열부로 이루어지는 히터본체와, 이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열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콘트롤러로 구성되며, 상기한 콘트롤러에는 수온감지센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조내의 물이나 용액 등의 수온을 지속적으로 감지한 후 상기한 콘트롤러에 표시하게 되고 이렇게 표시된 온도를 사용자가 직접 확인하면서 상기한 콘트롤러를 조작하여 상기한 발열부의 온도를 적절하게 조절하므로서 수조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히터는 수온감지센서가 수조내에 유입된 물이나 용액에 직접 접촉하면서 수온을 감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한 수조의 부분적인 파손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에 의해 누수가 발생하게 되면 이를 적절하게 감지하지 못하게 되므로 히터가 과열되어 대형의 화재를 유발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종래의 히터는 전기를 이용하여 발열체가 발열하는 전기히터가 주로 사용되므로 이 발열부와 전기공급선의 접촉부에 물이나 용액이 닿게 되면 쇼트가 일어나 수조내에 담겨진 물고기가 손상되거나 감전되어 막대한 피해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특히, 도금조의 용액에 쇼트가 일어나게 되면 작업자가 감전될 수 있는 안정상의 문제점에 노출되어 있다.
또, 상기한 종래의 히터는, 고열로 발열하는 발열부가 수조내에서 그대로 노출되어 히팅을 행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이 발열부에 어류 또는 인체가 직접 접촉하지 못하도록 셋팅하여야 하므로 셋팅시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종래의 히터는 상기한 발열부가 콘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발열부의 과열시에 전기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는 안전장치가 구비되지 아니하여 이에 따른 제품의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각종 수조에 유입되는 물이나 용액의 수온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함은 물론, 구조가 간단하고 과열이나 누전 등에 의해 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수조용 히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발열부와, 이 발열부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하고 이 발열부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전달하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수조내의 수온을 지속적으로 감지하고 자체적으로 스위칭되면서 상기한 발열부에 전기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수온 감지센서와, 상기한 발열부가 허용온도 이상으로 과열되는 것을 감지하여 전기의 공급을 차단시키는 발열부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수조용 히터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조용 히터장치를 간이수조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조용 히터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전체결합사시도.
도 4는 도 3의 내부단면도.
도 5는 도 4의 일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조용 히터장치의 바람직한 작동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
도 7, 도 8,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히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정면도,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히터장치가 음식점 등의 간이 수조에 설치되는 것을 일예로 설명한다.
도 1, 도 2,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히터장치는,
발열부(2)와, 이 발열부(2)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하고 이 발열부(2)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전달하는 하우징(4)과, 이 하우징(4)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수조(T) 내의 해수(W) 온도를 지속적으로 감지하여 자체적으로 스위칭되면서 상기한 발열부(2)에 전기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수온감지센서(6)와, 상기한 발열부(2)가 허용온도 이상으로 과열되는 것을 감지하여 전기의 공급을 차단시키는 발열부감지센서(8)를 포함한다.
상기한 발열부(2)는 내부식성 및 열전도도가 우수한 스테인레스 계열 또는 이와 유사한 금속파이프로 이루어지고, 내측에는 소정의 발열체(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음)가 설치되어 전기의 인가에 따라 자체적으로 열을 발생시키는 통상적인 히팅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발열부(2)는 밴딩 또는 이와 유사한 성형방법에 의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지그재그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렇게 발열부(2)를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하면, 한정된 공간내에서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한 하우징(4)에 설치할 때에도 공간확보 및 조립이 용이하다.
상기에서는 발열부(2)를 지그재그형태로 형성한 것으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한 하우징(4)의 형태를 감안하여 본 고안의 목적을 만족하는 형태(예를들면, 나선형태, 타원형태)는 모두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금속파이프가 밴딩되어 형성되는 발열부(2)의 양측 선단부에는 접속구(10)가 설치되고 이 접속구(10)에는 전기공급선(12)이 연결되며, 이 전기공급선(12)은 내측에 전류선(14)이 각각 내재되어 상기한 발열부(2)의 접속구(10)와 연결된다.
상기한 전기공급선(12)의 선단에는 별도의 콘덴서(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음)로부터 전기를 공급받기 위한 접속플러그(16)가 구비된다.
상기한 전기공급선(12) 일측에는 이 공급선(12)의 전류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한 발열부(2)의 작동상태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확인장치 (D)가 설치된다.
상기한 확인장치(D)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의 인가여부에 따라 빛을 발광하여 외부에서 상기한 발열부(2)의 작동상태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통상의 램프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일실시예에서는 상기한 확인장치(D)가 통상의 램프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전기공급선(12)의 전류선(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의 인가여부에 따라 빛을 발광하여 이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도록 한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본 고안이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는 않지만 소정의 음성이 녹음되어 전기의 인가에 따라 음성이 재생되는 스피커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청각을 통해 상기한 발열부(2)의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한 발열부(2)의 발열온도를 센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본 고안의 목적을 만족하는 확인구조는 모두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하우징(4)은 히터의 외형을 이루며 상기한 발열부(2)에서 발생되는 열을 수조(T) 내에 담겨진 해수(W)에 전달하여 일정한 수온이 유지되도록 한 것으로, 소정의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한 발열부(2) 전체를 감싸며 결합하는 제1케이스 (18)와 제2케이스(20)로 구성된다.
상기한 하우징(4) 즉, 제1케이스(18) 및 제2케이스(20)는 금형 또는 이와 유사한 성형방법에 의해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성형되고 내측에는 소정의 공간부 (18a,20a)가 각각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제1케이스(18) 및 제2케이스 (20)가 결합하여 통상의 물고기 형태의 외형을 이루는 것을 일예로 도면에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제1케이스(18) 및 제2케이스(20)의 두께는 0.3mm∼1.5mm 범위내로 성형되고, 재질은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티타늄(Ti/TITANIUM)이 사용되면 좋다.
그리고, 상기한 제1케이스(18) 및 제2케이스(20)의 두께가 상기한 범위보다 작게 형성되면 외력에 의해 변형되어 쉽게 파손되고, 상기한 범위보다 크게 형성하면 원가의 상승이 불가피할 뿐만 아니라 열전도성이 저하되어 만족할 만한 열효율을 기대하기 어렵다.
상기한 제1케이스(18)의 공간부(18a) 일측에는 상기한 수온감지센서(6)가 해수(W)의 온도를 원활하게 센싱할 수 있도록 감지면(22)이 형성되는데, 이 감지면(22)은 상기한 수온감지센서(6)의 센싱면이 접촉하여 원활하게 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형태가 변형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최대한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하우징(4)의 제1케이스(18) 및 제2케이스(20)에는 상기한 전기공급선 (12)이 관통하여 설치되는 배선홈(18b,20b)이 각각 형성되고 이 배선홈 (18b,20b)에는 삽입되는 전기공급선(12)을 고정하고 이 배선홈(18b,20b)을 통해 외부의 물이나 습기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재질의 패킹부재(24)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한 제1케이스(18)와 제2케이스(20)는 이들의 접촉부(테두리부)에 별도의 방수접착제를 도포하여 수밀이 유지되도록 결합하거나, 상기한 제1케이스(18)와 제2케이스(20)를 끼움결합되는 구조로 형성하고 이들 접촉부에 고무패킹 등을 설치하여 수밀성이 유지되도록 결합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용접(WELDING)에 의해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한 제1케이스(18) 및 제2케이스(20)가 결합한 후 충분한 수밀성이 유지되는 결합구조 및 방법은 모두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한 하우징(4)의 제1케이스(18) 및 제2케이스 (20)가 물고기형태를 이루며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는 상기한 일실시예에 따른 수조(T)의 용도를 감안하여 장식적인 효과를 발휘하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한 하우징(4)이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설치되는 수조의 용도 및 목적을 감안하여 이에 대응하는 형태로 적절하게 형성하면 된다.
상기한 제1케이스(18) 및 제2케이스(20)가 상기한 발열부(2)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할 때에 이 발열부(2)가 상기한 제1 및 제2케이스(18,20)의 내측면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한 발열부(2)에서 누전이 발생하여도 전기가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한 발열부(2)와 케이스(18,20) 사이에 절연패드(P)가 설치된다.(도 5참조)
상기한 절연패드(P)는 상기한 제1케이스(18) 및 제2케이스(20)에 대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이들 케이스(18,20)가 결합할 때에 상기한 발열부(2)를 감싸며 설치되는 것으로 재질은 절연성 및 열전도도가 우수하고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재질이면 모두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한 발열부(2)와 연결된 전기공급선(12)의 일측 전류선(14)에는 수온감지센서(6)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이 센서는 상기한 하우징(4)의 내측에 설치되는 절연패드(P)의 가이드홀(26)을 관통하여 상기한 제1케이스(18)에 감지면 (22)에 접촉하는 형태로 고정되며, 이 센서는 통상의 바이메탈(BIMETAL)이 사용된다.
상기한 바이메탈은 전류선이 연결되는 두 개의 접점 사이에 온도에 의한 팽창계수가 서로 다른 두 개의 얇은 금속편을 맞붙여 연결한 것으로, 센싱된 외부의 온도가 허용범위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에서 팽창계수가 높은 쪽의 금속이 휘어져 접점과 이격되어 전류를 차단하고 다시 저온이 되면 상기한 금속편이 원래의 수평한 상태로 복귀하여 접점에 접촉하여 전류를 통과시키게 되므로 감지되는 온도에 따라 적절하게 스위칭되면서 접점을 단락 또는 연결하면서 전류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통상적인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러한 구조는 가정용 밥통 등에 이미 널리 사용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실시예는 수온감지센서(6)가 외부의 온도에 따라 스위칭되면서 전기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바이메탈이 사용되는 것을 일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본 고안의 목적을 만족하는 센싱부재는 모두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한 발열부(2)의 외측테두리 일측에는 이 발열부(2)에서 발생되는 열을 지속적으로 감지하기 위한 발열부감지센서(8)가 설치된다.
상기한 발열부감지센서(8)는 상기한 발열부(2)의 일측 접속구(10)와 상기한 수온감지센서(6)의 접점을 거쳐 연결되는 전류선(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한 수온감지센서(6)의 센싱에 관계없이 상기한 발열부(2)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감지한다.
상기한 발열부감지센서(8)는 상기한 수온감지센서(6)와 연결된 전류선(14)에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한 절연패드(P)에 의해 상기한 제1케이스(18) 및 제2케이스 (20)와 절연된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한 발열부감지센서(8)는 통상의 온도퓨즈(THERMO FUSE)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 퓨즈는 전류의 흐름에 관계없이 외부로부터 감지되는 열에 의해 자체적으로 접점이 단락되어 이 퓨즈에 연결된 전류선(14)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여 상기한 발열부(2)에 공급되는 전기를 근본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상기한 발열부감지센서(8)는 상기한 발열부(2)에서 발생되는 열을 원활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이 발열부(2)와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첨부된 도면에서는 상기한 발열부(2)의 외측에 인접하여 설치된 것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는 발열파이프 사이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이외에도 상기한 발열부(2)의 발열온도를 최대한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는 다양하게 셋팅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발열부감지센서(8)가 허용범위 이상으로 감지된 온도에 의해 자체적으로 단락되면서 전류를 차단하는 온도휴즈(THERMO FUSE)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허용범위 이상으로 감지된 전류에 의해 자체적으로 단락되면서 전류를 차단하는 전류휴즈(CURRENT FUSE)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한 수온감지센서(6) 및 발열부감지센서(8)는 상기한 절연패드(P)에 의해 상기한 발열부(2)와 동일하게 상기한 제1케이스(18)와 제2케이스(20)의 공간부(18a,20a)에서 절연된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한 발열부(2), 수온감지센서(6), 발열부감지센서(8)의 설치 및 배선이 완료되면 상기한 하우징(4) 즉, 제1케이스(18) 및 제2케이스(20)에 형성된 배선홈 (18b,20b)을 통해 전기공급선(12)을 인출하고 이 배선홈(18b,20b)에는 패킹부재(24)를 설치하여 상기한 전기공급선(12)을 상기한 배선홈(18b,20b)에 고정시킨 다음 상기한 제1케이스(18)와 제2케이스(20)가 수밀이 유지되도록 결합하면된다.
그리고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전기공급선(12)이 상기한 하우징(4)의 테두리 일측 즉, 물고기의 등부분에 인출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아가미나 꼬리부에서 인출되어 고정될 수 도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위치에서 인출 및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조용 히터장치의 바람직한 작동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한 수조(T)에 담겨진 해수(W)에 상기한 하우징 (4)을 넣고 이 하우징(4)이 일정한 자세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한 전기공급선 (12) 일측에 후크형태로 이루어지는 별도의 고정구(C)를 설치하여 상기한 수조(T)의 일측에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하우징(4)의 고정이 완료되면 상기한 전기공급선(12)의 접속플러그(16)를 별도의 콘텐서(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음) 접속하면 상기한 하우징(4)의 내측에 설치된 발열부(2)가 열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렇게 발생된 열은 상기한 하우징(4)을 통해 해수(W)에 전달되므로 수조(T)에 담겨진 해수(W)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이때 상기한 전기공급선(12)에 설치된 확인장치(D)도 작동하여 빛을 발광한다.
상기와 같이 수조(T)에 담겨진 해수(W)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상기한 하우징(4)의 내측에 설치된 수온감지센서(6)가 해수(W)의 온도를 감지하게 되며, 이 수온감지센서(6)는 해수(W)의 수온이 셋팅된 온도범위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OFF상태로 스위칭되어 상기한 발열부(2)에 전류를 차단하게 되며 상기한 전기공급선 (12)에 설치된 확인장치(D)도 전류가 차단되어 소등된다.
상기와 같이 발열부(2)가 작동하지 않게 되면, 수조(T)에 담겨진 해수(W)의 온도가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고 허용온도 이하로 내려가게 되며, 이렇게 해수(W)의 온도가 허용범위 이하로 내려가면 상기한 수온감지센서(6)가 이를 감지하여 다시 ON 상태로 스위칭되어 상기한 발열부(2)에 전류를 공급한다.
그러면, 상기한 발열부(2)가 발열하여 수온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되고 상기한 전기공급선(12)에 설치된 확인장치(D)도 함께 동작하여 빛을 발광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조(T)에 담겨진 해수(W)의 온도에 따라 상기한 수온감지센서 (6)가 적절하게 ON/OFF 상태로 스위칭되면서 상기한 발열부(2)의 작동을 제어하므로서 해수(W)의 온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한 확인장치(D)를 통해 외부에서 작동상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수온감지센서(6)의 파손이나 전기적인 쇼크 또는 수조(T)에 담겨진 해수(W)의 누수가 발생되어 상기한 수온감지센서(6)가 원활하게 해수(W)의 온도를 센싱하지 못하여 상기한 발열부(2)가 해수(W)의 온도에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작동되어 과다한 열을 발생시키게 되면 이 발열부(2)와 인접하여 이 발열부(2)의 발열온도를 지속적으로 감지하는 발열부감지센서(8)가 이를 감지하여 허용온도범위 이상이 감지되면 자체적으로 접점을 단락시켜 상기한 발열부(2)에 전류의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발열부감지센서(8)는 상기한 수온감지센서(6)가 오작동하더라도 상기한 발열부(2)가 과다한 열을 발생시키면 이 발열부(2)에 공급되는 전류를 근본적으로 차단하므로서 과열이나 누전 등에 의한 화재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한 하우징(4)이 수조(T)의 내부에 담겨져 해수(W)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때에 이 수조(T)에 담겨진 활어(F)나 인체의 일부가 직접 접촉할 수 있는 상태로 노출되어 히팅을 행하는 것인 반면, 도 7, 도 8, 도 9는 상기한 하우징(4)의 외측에 접촉방지커버(28)를 설치하여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며 히팅을 행하는 것을 일예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접촉방지커버(28)는 상기한 하우징(4)의 형태에 대응하여 이 하우징 (4) 전체를 감쌀 수 있도록 중합부가 형성된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의 망부재(MESH)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망부재는 그 구조상 표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해수(W)가 원활하게 유입 및 배출되므로 하우징(4)에 의한 히팅효과를 저하시키지 않고 외부로부터 활어(F)나 인체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화상(火傷)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일실시예는 본 고안에 따른 수조용 히터장치가 음식점의 간이수조(T)에 설치된 것을 일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어 실시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도면에는 나타내고 있지 않지만 금속의 표면에 도금을 행하는 도금업체의 도금조나 대형의 수족관에도 폭넓게 활용될 수 있으며, 물론 이때에도 상기와 같이 수온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고 과열 및 누전 등에 의한 화재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수조용 히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조용 히터장치는, 수온감지센서가 수조내에 담겨진 물이나 용액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감지하고 감지된 온도에 따라 자체적으로 ON/OFF 상태로 스위칭 되면서 상기한 발열부의 작동을 제어하게 되므로 수조내에 담겨진 물이나 용액을 셋팅된 온도범위 내에서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수조용 히터장치는, 상기한 발열부의 과다한 열 발생을 감지하는 발열부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상기한 발열부가 수조에 담겨진 물이나 용액의 온도에 관계없이 과다한 열을 발생시키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전류의 공급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게 되므로 이에 따른 제품의 파손이나 대형의 화재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므로서 제품의 신뢰도(信賴度)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수조용 히터장치는, 상기한 확인장치에 의해 상기한 발열부의 동작상태를 외부에서 시각 또는 청각을 통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어 더욱 향상된 사용 편의성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수조용 히터장치는 하우징의 외측에 이 하우징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접촉방지부재가 설치되고 상기한 발열부는 하우징의 내측에서 절연(絶緣)패드에 의해 절연된 상태로 설치되어 열에 의한 화상이나 누전(漏電) 등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수조용 히터장치는, 상기한 하우징이 열전도(熱傳導)가 우수한 티타늄(TITANIUM)으로 이루어지고, 수조의 용도에 따라 이에 적합한 외형(예를 들면, 물고기 형태)으로 형성되어 열효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시각적으로도 장식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6)

  1. 발열부와, 이 발열부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하고 이 발열부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전달하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수조내의 수온을 지속적으로 감지하고 자체적으로 스위칭되면서 상기한 발열부에 전기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수온 감지센서와, 상기한 발열부가 허용온도 이상으로 과열되는 것을 감지하여 전기의 공급을 차단시키는 발열부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수조용 히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하우징은 티타늄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로 구성되며, 이들의 결합에 의해 소정의 형태로 외관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용 히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발열부는 전기의 인가에 따라 소정의 발열체가 히팅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하우징의 내측 공간부에서 절연패드에 의해 절연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용 히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발열부감지센서는, 온도휴즈(THERMO FUSE) 또는 전류휴즈(CURRENT FUSE)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이들 휴즈는 상기한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한 발열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이 발열부에서 발생되는 열 또는 공급되는 전류를 지속적으로 감지하여 감지된 온도 또는 전류가 허용범위 이상이면 자체적으로 전류선을 단락시켜 상기한 발열부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용 히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수온감지센서는, 바이메탈(BIMETAL)로 이루어지고, 이 센서는 상기한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수조에 담겨진 물이나 용액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감지하여 감지된 온도에 따라 온/오프(ON/OFF) 상태로 스위칭되면서 상기한 발열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용 히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하우징의 외측에는 이 하우징의 표면에 인체나 어류 등이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접촉방지부재가 설치되고 이 방지부재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금속 또는 합성수지 메쉬(MESH)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용 히터장치.
KR2020020016747U 2002-05-31 2002-05-31 수조용 히터장치 KR2002880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747U KR200288008Y1 (ko) 2002-05-31 2002-05-31 수조용 히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747U KR200288008Y1 (ko) 2002-05-31 2002-05-31 수조용 히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0595A Division KR100432634B1 (ko) 2002-05-31 2002-05-31 수조용 히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8008Y1 true KR200288008Y1 (ko) 2002-09-05

Family

ID=73123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6747U KR200288008Y1 (ko) 2002-05-31 2002-05-31 수조용 히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800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78548B (en) Washing machine with improved heater-mounting structure
JP4669779B2 (ja) 電気毛布/パッド
JP5056500B2 (ja) 便座装置
KR100432634B1 (ko) 수조용 히터장치
KR200288008Y1 (ko) 수조용 히터장치
JP2010067575A (ja) ヒーター用ケーブルとそれを備えた凍結防止ヒーター
KR100385648B1 (ko) 활어 수족관용 히터의 안전장치
KR100761865B1 (ko) 온수기의 히터장치
WO2004021742A3 (en) Improvements in thermostat for water boiler
DE602005016321D1 (de) Aquarium-wassererwärmungsvorrichtung
JP5029557B2 (ja) 便座ヒー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便座装置
JPH1062268A (ja) 観賞魚用温水ヒーター
KR200294001Y1 (ko) 수조용 히터장치
KR200274853Y1 (ko) 조립식 전기보일러장치
JP4821695B2 (ja) 便座装置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KR200313236Y1 (ko) 수조용 히터장치
KR200236508Y1 (ko) 활어 수족관용 히터의 안전장치
KR20010001178U (ko) 배관의 동파방지장치
KR100579439B1 (ko) 정온도계수 써미스터를 이용한 온수히터
KR100411488B1 (ko) 조립식 전기보일러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히팅파이프조립체
JP2005111153A (ja) 暖房便座
CN218277175U (zh) 一种穿戴设备用无异物感恒温控制器
KR102594937B1 (ko) 방수구조를 갖춘 동파방지용 열선의 온도조절기
KR200434562Y1 (ko) 온수기의 히터장치
JP2008228704A (ja) 水中用ヒー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3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