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7704Y1 - 오폐수 처리용 정화조 - Google Patents

오폐수 처리용 정화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7704Y1
KR200287704Y1 KR2020020015604U KR20020015604U KR200287704Y1 KR 200287704 Y1 KR200287704 Y1 KR 200287704Y1 KR 2020020015604 U KR2020020015604 U KR 2020020015604U KR 20020015604 U KR20020015604 U KR 20020015604U KR 200287704 Y1 KR200287704 Y1 KR 2002877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present
band
functional
a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56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용주
Original Assignee
권용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용주 filed Critical 권용주
Priority to KR20200200156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77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77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7704Y1/ko

Links

Landscapes

  • Treatment Of Biological Wast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입구(21)에 투입되는 오폐수를 다단계로 처리하여 유출구(26)로 배출하는 정화조에 관련된다. 본 고안의 특징으로서 적어도 4면에 각각의 리브(20)를 지니는 별개의 기능조로 형태로 유량조정조(11), 혐기조(12), 폭기조(13), 폭기조(14), 침점조(15)를 성형하되, 상기 각각의 기능조(11-15)는 인접되는 면에 형성되는 유로(22-25)에 의해 동시에 연통되도록 외면에서 복수의 밴드(30)로 결속되어 일체화하는 방식을 택한다.
이에 따라, 각각의 독립적인 기능공간을 별개로 성형하여 밴드로 결속함에 따라 보관, 운반, 설치에 따른 편리성을 향상하고 누수 가능성을 근원적으로 배제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오폐수 처리용 정화조 {Sewage treatment tank}
본 고안은 오폐수 처리용 정화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관, 운반, 설치에 따른 편리성을 향상하고 누수 가능성을 근원적으로 배제하는 오폐수 처리용 정화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 합병정화조는 오수와 폐수를 유입하는 유입구와 정화 처리된 오폐수를 유출하는 유출구 사이에 혐기조, 호기성유동조, 호기성접촉조, 침전조를 순차적으로 배치하여 오수와 폐수를 처리한다. 각각의 조는 격판(배플)으로 구분되고 호기성조는 산기구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를 공급받는다.
이외에도 표면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담체, 입상물질을 포획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캡슐, 캡슐 내에서 활성 미생물을 고정화하는 고정화 충진물질, 전체의 비중을 조절하는 다기능성 충진물질 등의 내부시설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정화조는 합성수지 소재를 이용하여 격판을 포함한 일체의 구조로 성형되는데, 부피가 커서 보관, 운반, 설치에 불편이 초래되고 경비가 증가된다. 또한 일체로 성형하는 과정에서 소재의 유동성과 냉각성이 미흡하면 미세한 크랙 등의 결함이 발생하기 쉬운데, 이러한 상태로 상기한 내부시설을 설치하여 가동하면 이내 누수되어 보수가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종래의 다른 경우에 있어서 정화조는 각각의 조를 구분하여 성형하고 열접합하는 방식이 사용되는데, 각각의 조는 일측의 벽면을 제거한 ㄷ자 단면으로 성형하여 더욱 부피를 줄여 보관이 가능하다. 그러나 열접합에 따른 추가적인 공수의 부담이 적지 않고 열접합 불량에 의한 누수의 우려가 불식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각의 독립적인 기능공간을 구비한 단일조를 별개로 성형하여 밴드로 결속함에 따라 보관, 운반, 설치에 따른 편리성을 향상하고 누수 가능성을 근원적으로 배제하는 오폐수 처리용 정화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정화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식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정화조의 요부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밴드결속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밴드결속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도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1: 유량조정조 12: 혐기조
13, 14: 폭기조 15: 침전조
20: 리브 21-26: 유로
30: 밴드 31: 수지
32: 와이어 34, 44: 결속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유입구(21)에 투입되는 오폐수를 다단계로 처리하여 유출구(26)로 배출하는 정화조에 있어서: 적어도 4면에 각각의 리브(20)를 지니는 별개의 기능조로 형태로 유량조정조(11), 혐기조(12), 폭기조(13), 폭기조(14), 침점조(15)를 성형하되, 상기 각각의 기능조(11-15)는 인접되는 면에 형성되는 유로(22-25)에 의해 동시에 연통되도록 외면에서 복수의 밴드(30)로 결속되어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고안의 상기 유로(22-25)는 하류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위치에 형성되고 관을 삽입하여 연결된다.
또한, 본 고안의 일예로 상기 밴드(30)는 연질의 수지(31)와 와이어(32)로 성형되어 양단부에서 결속되고, 다른예로 상기 밴드(30)는 경질의 수지(31)와 와이어(32)로 성형되는 직선부재(41), ㄷ자부재(42), ㄱ자부재(43)를 조합하여 각각의 단부에서 결속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정화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식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정화조의 요부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유입구(21)에 투입되는 오폐수를 다단계로 처리하여 유출구(26)로 배출하는 정화조에 관련되며, 유량조정조(11), 혐기조(12), 폭기조(13),폭기조(14), 침점조(15)를 기능조로 구비한다. 유량조정조(11)는 하류의 폭기조(13)(14)에 생존하는 미생물의 분해능력에 상응하는 양의 폐수를 공급하며, 혐기조(12)는 인방출과 탈질 작용으로 폐수내의 질소와 인을 제거한다. 폭기조(13)(14)는 산화작용과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소화작용으로 각종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동시에 침전하기 쉬운 오니로 변환시킨다. 침점조(15)는 폭기조(13)(14)에서 분해된 오니를 침전시켜 상등수만 유출구(26)로 배출하는 동시에 오니는 상류측의 유량조정조(11)로 보낸다.
이러한 정화조는 접촉산화방식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나 본 고안은 다단계의 처리과정을 거치는 여타의 방식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유량조정조(11), 혐기조(12), 폭기조(13), 폭기조(14), 침점조(15)가 적어도 4면에 각각의 리브(20)를 지니는 별개의 기능조로 형태로 성형된다. 혐기조(12)와 폭기조(13)(14)는 유사한 용량인 반면 유량조정조(11)는 이보다 크고 침점조(15)는 이보다 작다. 각각의 기능조(11-15)가 다른 크기를 지니더라도 리브(20)는 동일한 형태와 크기로 형성한다. 리브(20)는 체크무늬처럼 수평과 수직으로 돌출되는 형태로서 적어도 4개소의 측면에 형성하지만 바닥면까지 연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에서 각각의 기능조(11-15)는 리브(20)를 지니므로 독립적인 강도가 유지되고 종래와 같이 큰 용량을 일체로 성형하거나 열접합하는데 따른 누수의 우려가 경감될 뿐 아니라 결함이 발견되면 해당 부분만 교체가 용이하다.
이러한 유량조정조(11), 혐기조(12), 폭기조(13)(14), 침점조(15)는 종래와마찬가지로 상면이 개방되고 개방된 면에 덮개(10)를 결합하는 방식이다. 다만 덮개(10)의 저면에 충분한 깊이의 단턱(10a)을 형성하여 전체의 기능조(11-15)가 긴밀하게 맞물리도록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각각의 기능조(11-15)는 인접되는 면에 형성되는 유로(22-25)에 의해 동시에 연통되도록 외면에서 복수의 밴드(30)로 결속되어 일체화된다. 부호 22는 유량조정조(11)와 혐기조(12)를 연통하는 유로이고, 부호 23은 혐기조(12)와 상류측 폭기조(13)를 연통하는 유로이고, 부호 24는 상류측 폭기조(13)와 하류측 폭기조(14)를 연통하는 유로이고, 부호 25는 하류측 폭기조(14)와 침점조(15)를 연통하는 유로이다. 기능조(11-15)를 밴드(30)로 결속하여 일체화하면 각각의 유로(22-25)가 일치된다.
이때, 상기 유로(22-25)는 하류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위치에 형성되고 관을 삽입하여 연결된다. 도 1에서 유로(22-25)의 높이가 변화되는 상태를 알 수 있으며 각각의 높이 차이는 기능조(11-15)의 높이 1400㎜을 기준으로 할 때 대략 50㎜ 내외로 한다. 유로(22-25)에 삽입되는 관은 각각의 기능조(11-15)의 일면에 일체로 성형할 수도 있으나, 성형성, 보관성 등을 고려하여 별도의 규격품을 기밀이 유지되도록 접합하는 것이 좋다.
혐기조(12)와 상류측 폭기조(13)에는 미생물을 배양하기 위한 여재가 설치되고, 하류측 폭기조(14)에는 오폐수에 존재하는 호기성, 임의성, 혐기성 미생물을 동시에 부착시키는 특수한 재질의 링(ring)이 접촉매질로 사용된다. 이러한 여재와 링은 동일한 높이로 설치하고 상기 유로(22-25)는 그 상측으로 배치된다. 이에따라 오폐수의 원활한 폭기 작용으로 응집성을 지닌 플럭 형태의 오니가 생성되고, 접촉매질에 미생물의 부착이 신속하여 부하변동에 대한 적응력이 향상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밴드결속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밴드결속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도식도이다.
도 3에서, 본 고안의 밴드(30)는 연질의 수지(31)와 와이어(32)로 성형되어 양단부에서 결속된다. 2-3가닥의 와이어(32)를 인서트 사출하여 수지(31)를 피복한 밴드(30)가 밴드(30)로 사용된다. 와이어(32)는 금속재인 철선이 적절하고, 수지(31)는 PE가 적절하다. 밴드(30)의 양단에는 관통공을 지닌 결속구(34)가 일체로 성형되어 볼트로 체결된다. 와이어(32)의 단부를 결속구(34)에 연장하여 성형하면 결속을 위한 인장강도가 향상된다.
이러한 밴드(30)는 기능조(11-15)의 외면에서 상하 2-3열로 설치하되 외면에 형성된 리브(20)에 홈을 형성하여 삽착하는 것이 미끄럼 이탈을 방지하는 측면에서 유리하다. 각각의 기능조(11-15)가 접하는 면에 형성되는 리브(20)는 상호 맞물림이 가능한 구조로 성형하면 밴드(30)에 작용하는 인장력이 다소 경감된다.
도 4에서, 본 고안의 밴드(30)는 경질의 수지(31)와 와이어(32)로 성형되는 직선부재(41), ㄷ자부재(42), ㄱ자부재(43)를 조합하여 각각의 단부에서 결속된다. 도 3에 비하여 와이어(32)의 굵기를 증가시키면 수지(31)는 PE 또는 그보다 연질을 사용하고, 동일한 굵기의 와이어(32)를 사용한다면 수지(31)는 PE보다 경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의 밴드(30)는 직선부재(41), ㄷ자부재(42), ㄱ자부재(43)의 3가지 형태로 성형되며 각각 양단에 결속구(44)를 구비하여 볼트로 체결된다. 도 4a는 2개의 ㄷ자부재(42)와 2개의 직선부재(41)로 결속하는 것을 예시하고, 도 4b는 4개의 ㄱ자부재(43)와 4개의 직선부재(41)로 결속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3의 구성은 미리 설정된 기능조(11-15)의 크기에 맞추어 밴드(30)의 길이를 결정해야 하는 반면 롤에 권취하여 보관하기 용이하다. 도 4의 구성은 다양한 부재를 보관해야 하는 불편이 있는 반면 어떠한 종류의 기능조(11-15)에 대하여도 길이를 변경하여 결속하기 용이하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본 고안은 각각의 독립적인 기능공간을 별개로 성형하여 밴드로 결속함에 따라 보관, 운반, 설치에 따른 편리성을 향상하고 누수 가능성을 근원적으로 배제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다른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유입구(21)에 투입되는 오폐수를 다단계로 처리하여 유출구(26)로 배출하는 정화조에 있어서:
    적어도 4면에 각각의 리브(20)를 지니는 별개의 기능조로 형태로 유량조정조(11), 혐기조(12), 폭기조(13), 폭기조(14), 침점조(15)를 성형하되,
    상기 각각의 기능조(11-15)는 인접되는 면에 형성되는 유로(22-25)에 의해 동시에 연통되도록 외면에서 복수의 밴드(30)로 결속되어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용 정화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22-25)는 하류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위치에 형성되고 관을 삽입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용 정화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30)는 연질의 수지(31)와 와이어(32)로 성형되어 양단부에서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용 정화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30)는 경질의 수지(31)와 와이어(32)로 성형되는 직선부재(41),ㄷ자부재(42), ㄱ자부재(43)를 조합하여 각각의 단부에서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용 정화조.
KR2020020015604U 2002-05-22 2002-05-22 오폐수 처리용 정화조 KR2002877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604U KR200287704Y1 (ko) 2002-05-22 2002-05-22 오폐수 처리용 정화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604U KR200287704Y1 (ko) 2002-05-22 2002-05-22 오폐수 처리용 정화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7704Y1 true KR200287704Y1 (ko) 2002-09-05

Family

ID=73123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5604U KR200287704Y1 (ko) 2002-05-22 2002-05-22 오폐수 처리용 정화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770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858B1 (ko) * 2004-07-20 2007-01-24 고나영 폭기실에 침전조를 갖는 정화조
KR100800421B1 (ko) 2007-03-28 2008-02-04 박경환 콘크리트 정화조
KR100987011B1 (ko) 2009-10-12 2010-10-11 주식회사한국지씨엠 하천수 정화 구조물
CN109250874A (zh) * 2018-11-19 2019-01-22 戴翔 无动力生活污水处理净化设备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858B1 (ko) * 2004-07-20 2007-01-24 고나영 폭기실에 침전조를 갖는 정화조
KR100800421B1 (ko) 2007-03-28 2008-02-04 박경환 콘크리트 정화조
KR100987011B1 (ko) 2009-10-12 2010-10-11 주식회사한국지씨엠 하천수 정화 구조물
CN109250874A (zh) * 2018-11-19 2019-01-22 戴翔 无动力生活污水处理净化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321728C (zh) 带状扩散器pct i
CA2332530A1 (en) Multistage facultativ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CN107902758B (zh) 一种用于城市生活污水多级a/o组合脱氮除磷的一体化设备
CA2398461A1 (en) Multistage immersion type membrane separator and high-concentration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using same
US6475395B1 (en) Liquid treatment process with in-plant pressure monitoring of submerged diffusers
US11434155B2 (en) Low-pressure, reversible airlift mixing system for use with a membrane aerated biofilm reactor
KR200287704Y1 (ko) 오폐수 처리용 정화조
WO2021093215A1 (zh) 一种移动床生物膜反应器耦合氨氧化的一体化净化槽
CN102198971B (zh) 上向流曝气生物滤池及其曝气方法
WO2018150055A1 (en) A low-pressure, reversible airlift mixing system for use with a membrane aerated biofilm reactor
CN210150801U (zh) 一种应用生物倍增和流化床工艺的集成式一体化污水处理罐
US11235292B2 (en) Ventilation element
JP4132771B2 (ja) 生物反応槽およびその攪拌方法
JP5192011B2 (ja) 処理槽の上蓋部に設けられる排水機構の構造、処理槽の上蓋部の構造、及び、処理槽
CN110526399B (zh) 一种污水处理系统
CN210012657U (zh) 一种分段进水式气升回流一体化污水处理装置
JP2009148723A (ja) 曝気槽
JP2002282887A (ja) 曝気槽
CN214829332U (zh) 一种aao法污水处理实验装置
CN211770813U (zh) 一种hfst硝化塔系统
CN215480017U (zh) 单一动力式abr-mbr污水处理系统
CN220182947U (zh) 一种可实现污泥自回流式部分亚硝化装置
CN209210480U (zh) 一种生化反应一体化槽
KR100974488B1 (ko) 정화조의 칸막이
KR200368396Y1 (ko) 폭기실에 침전조를 갖는 정화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