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7063Y1 - 사용이 용이한 도어 스톱퍼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이 용이한 도어 스톱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7063Y1
KR200287063Y1 KR2020020016320U KR20020016320U KR200287063Y1 KR 200287063 Y1 KR200287063 Y1 KR 200287063Y1 KR 2020020016320 U KR2020020016320 U KR 2020020016320U KR 20020016320 U KR20020016320 U KR 20020016320U KR 200287063 Y1 KR200287063 Y1 KR 2002870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stopper
stopper device
easy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63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교환
송인구
김현만
Original Assignee
송인구
지교환
김현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인구, 지교환, 김현만 filed Critical 송인구
Priority to KR20200200163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70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70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7063Y1/ko

Link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출입문을 일정한 각도로 열림 상태를 유지 시켜주는 도어 스톱퍼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무용 및 주거용 건물의 출입문이나 방화문을 일정각도로 열림상태를 유지 시켜주는 도어 스톱퍼의 접고, 펴고를 용이하게 하는 사용이 용이한 도어 스톱퍼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탄성부재의 탄성에 의해 안내부재를 아래로 당기게 하여 버팀 부재를 자동으로 접히게 하고, 고정된 버팀 부재는 일정한 외부 힘을 가하여 지면에서 떨어 지게하면 탄력부재의 탄력에 의해 버팀 부재가 원위치 할 수 있도록 하여 자동으로 접힐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이 용이한 도어 스톱퍼장치를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사용이 용이한 도어 스톱퍼장치{omitted}
본 고안은 출입문을 일정한 각도로 열림 상태를 유지 시켜주는 도어 스톱퍼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무용 및 주거용 건물의 출입문이나 방화문의 도어에는 도어 스톱 퍼가 설치되어 도어를 일정각도로 열림 상태를 유지 시켜주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일반적인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4)에 고정된 부착판(2)에 의해 버팀 부재(1)가 체결되고, 상기 버팀 부재(1)아래에 스톱퍼(3)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도어 스톱퍼를 사용할 때는 이용자가 발을 이용하는 경우와 손을 이용하여 작동시키는 경우가 있는데, 통상적으로 발을 이용하여 작동시키고 있으며, 스톱퍼(3)를 아래로 내릴 때는 발을 이용하여도 자연스럽게 내려가서 도어(4)를 고정시킬 수 있으나, 도어(4)를 닫기 위하여 스톱퍼(3)를 위로 올릴 때는 발을 이용하여 도어(4)와 버팀 부재(1)사이에 발을 삽입하여 버팀 부재(1)를 위로 올리게 한다.
그러나 도어(4)와 버팀 부재(1)사이에 공간이 협소하여 발이 들어가지 않으면 몇 회 시도하다가 여의치 않을 때는 손을 이용하여 버팀 부재(1)를 위로 올리게 한다.
또한 양손에 짐을 들고 있을 때는 발을 이용하다가 여의치 않으면 들고 있는 짐을 내려놓고 손을 이용하게 된다.
그러므로 발을 사용할 때는 신발에 상처를 주게되고 손을 이용할 때는 손을더럽히게 하며 이용자가 허리를 굽혀야 하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생활의 편리성을 이용할 때 짜증이나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불편한 점을 해소하기위해 인출된 것으로, 사무용 및 주거용 건물의 출입문이나 방화문의 도어를 일정각도로 열림 상태를 유지 시켜주는 도어 스톱퍼의 접고 펴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도어 스톱퍼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도어 스톱퍼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사용이 용이한 도어 스톱퍼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사용이 용이한 도어 스톱퍼장치의 상세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사용이 용이한 도어 스톱퍼장치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케이스 7. 가이드 부재
8. 하우징 9. 탄성조절 부재
10. 버팀 부재 11. 스톱퍼
12. 고무 13. 안내부재
14. 탄성 부재 15. 톱니형 부재
16. 탄력 부재 17. 힌지
19. 핀 삽입구 20. 볼트
21. 핀 삽입구 22. 삽입 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사무용 및 주거용 건물의 출입문이나 방화문의 도어하부 일정한 위치에 볼트(6)를 이용하여 케이스(5)를 부착고정시킨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사용이 용이한 도어 스토퍼장치는 고정판(18)이 부착되어 있는 케이스(5)는 앞면에 일정한 크기의 구멍(23)을 형성시키고, 상기 케이스(5)내부에 볼트(20)를 이용하여 두 개의 가이드부재(7),(7a)를 고정하고, 상기 가이드부재(7),(7a)에 핀 삽입구(21)를 형성하여 둔다.
그리고 버팀 부재(10)상부에 톱니형 부재(15)를 형성하고, 상기 톱니형 부재(15)에 핀 삽입구(19)를 형성한 후, 상기 톱니형 부재(15)를 가이드부재(7),(7a)사이에 삽입한 후 핀(22)으로 핀삽입구(7a),(19),(7)에 삽입한다.
또한 톱니형태의 안내부재(13)를 가이드부재(7),(7a)사이에 삽입시키고, 상기 안내부재(13)를 톱니형 부재(15)와 맞 물리게 하며, 상기 안내부재(13)하부에 탄성부재(14)를 결합시키고, 상기 탄성부재(14)하부에 탄성조절부재(9)를 결합시킨 후, 상기 탄성조절부재(9)는 케이스(5)하부를 관통하여 케이스(5)하부와 결합시킨다.
한편 버팀 부재(10)측면에는 일정한 크기의 하우징(8)을 형성시키고, 상기 하우징(8)내부에 "C"형태의 탄력 부재(16)를 삽입시키고, 상기 탄력 부재(16)의 양끝부분은 하우징(8)내부의 턱에 걸리도록 장착하며, 버팀 부재(10)의 하우징(8)을 중심으로 절단한 후 힌지(17)를 이용하여 버팀 부재(10),(10a)를 분리 시킨다.
또한 버팀 부재(10)하부에는 일정한 크기의 스톱퍼(11)를 용접으로 부착하고, 상기 스톱퍼(11)하부에는 착, 탈이 가능한 고무(12)를 장착시킨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는 고정 핀(18)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도어 스토퍼의 스톱퍼(11)를 손 또는 발을 이용하여 아래로 내리면 버팀 부재(10)는 아래로 내려가게 된다.
이때 버팀 부재(10)가 아래로 내려갈 때 톱니형 부재(15)는 회전을 하게되고, 상기 톱니형 부재(15)가 회전할 때 안내부재(13)는 위로 올 라게 되며, 상기 안내부재(15)가 위로 올라가면 탄성 부재(14)는 늘어지게 된다.
버팀 부재(10)가 아래로 내려가면 고무(12)가 바닦에 일착이 되어 도어(4)는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열려 있는 상태가 된다.
반대로 도어(4)를 닫기 위해서는 이용자가 발을 이용하여 버팀 부재(10)의측면을 툭치면 힌지(17)를 중심으로 버팀 부재(10),(10a) 는 일정한 각도로 휘어지게되며, 이때 탄력 부재(16)도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도 4] 의 [가)도] ).
고무(12)면이 바닥면에서 떨어지게 되면 탄성 부재(14)의 탄성에 의해 안내부재(13)를 아래로 내리게 되면 톱니형 부재(15)를 반대로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때 버팀 부재(10)는 상부로 자동으로 접히게 된다.
그리고 버팀 부재(10)는 탄력 부재(16)의 탄력에 의해 휘어져 잇던 것이 원위치하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도어 스톱퍼를 이용할 때 발을 이용하거나 손을 이용할 때 불편한 사항이 있었으나, 이용자가 발로 툭하고 치면 자동으로 버팀 부재(10)가 접쳐지므로 양손에 짐을 들고 있어도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없고, 무리하게 발로 올리지 않아도 되며, 손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노약자나 어린이도 접고 펴는데 유용하며, 도어 스톱퍼를 접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리에 신경을 쓸 필요가 없어지므로 도어 스톱퍼를 사용함에 있어서 실용상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출입문을 일정한 각도로 열림 상태를 유지 시켜주는 도어 스톱퍼에 있어서, 전면에 일정한 크기의 구멍(23)이 형성된 케이스(5)를 고정판(18)에의해 도어(4)에 부착하며, 상기 케이스(5)내부에 안내부재(13)와 탄성 부재(14)를 상호결합하며, 상기 탄성 부재(14)에는 탄성 조절 부재(9)를 결합하고, 톱니형 부재(15)가 형성된 버팀부재(10)하부에는 고무(12)를 착, 탈할 수 있는 스톱퍼(11)를 형성하고, 상기 버팀부재(10)측면에는 일정크기의 하우징(8)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8)에는 탄력 부재(16)를 삽입한 후, 상기 하우징(8)을 중심으로 버팀 부재(10)를 절단하여 힌지(17)로 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이 용이한 도어 스톱퍼장치.
KR2020020016320U 2002-05-22 2002-05-22 사용이 용이한 도어 스톱퍼장치 KR2002870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320U KR200287063Y1 (ko) 2002-05-22 2002-05-22 사용이 용이한 도어 스톱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320U KR200287063Y1 (ko) 2002-05-22 2002-05-22 사용이 용이한 도어 스톱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7063Y1 true KR200287063Y1 (ko) 2002-08-27

Family

ID=73076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6320U KR200287063Y1 (ko) 2002-05-22 2002-05-22 사용이 용이한 도어 스톱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706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293B1 (ko) 2008-05-07 2008-10-20 (주) 대동종합건설 도어 스토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293B1 (ko) 2008-05-07 2008-10-20 (주) 대동종합건설 도어 스토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9651B1 (ko) 캐노피의 프레임 구조
KR200400446Y1 (ko) 원터치 절첩식 텐트 프레임 구조
KR200287063Y1 (ko) 사용이 용이한 도어 스톱퍼장치
KR20190096250A (ko) 손끼임방지용 도어힌지장치
US20050235404A1 (en) Toilet seat device for disabled person
KR200287070Y1 (ko) 자동복구용 도어 스톱퍼장치
EP1451426B1 (en) Device consisting of a stay device and a lock device plus a window construction with such a device
KR200287099Y1 (ko) 복구가 용이한 도어 스톱퍼장치
KR200288511Y1 (ko) 도어 스톱퍼
KR100705712B1 (ko) 휴대용 텐트의 차양막 고정구조
KR200325008Y1 (ko) 도어의 고정 및 해제장치
TWM244927U (en) Treadmill capable of automatically positioning running platform in a folded state
JP3730915B2 (ja) 建物開口部用網戸
KR200418527Y1 (ko) 모자의 전면부 절접장치
JP5264087B2 (ja) 折り畳み脚固定装置
KR200337102Y1 (ko) 고정장치를 제어하는 손잡이
KR200263389Y1 (ko) 양변기의 커버 및 좌판 개폐장치
KR200213386Y1 (ko) 열린 문 고정장치
KR200370402Y1 (ko) 도어 스톱퍼
KR200414472Y1 (ko) 원터치로 고정과 풀림이 가능한 도어 스토퍼
KR100702812B1 (ko) 변기카바 좌판 타임열림장치
KR200235236Y1 (ko) 다리미판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215941Y1 (ko) 도배용 디딤판
KR200207152Y1 (ko) 여닫이문지지용 걸림쇠
KR200276418Y1 (ko) 유모차의 등받이 각도조절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