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6579Y1 - 작업대 - Google Patents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6579Y1
KR200286579Y1 KR2020020016234U KR20020016234U KR200286579Y1 KR 200286579 Y1 KR200286579 Y1 KR 200286579Y1 KR 2020020016234 U KR2020020016234 U KR 2020020016234U KR 20020016234 U KR20020016234 U KR 20020016234U KR 200286579 Y1 KR200286579 Y1 KR 2002865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ffold
support
support member
fixing
foot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62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기태
Original Assignee
홍기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기태 filed Critical 홍기태
Priority to KR20200200162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65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65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6579Y1/ko

Links

Landscapes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설비공사, 실내작업등에 편리하고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는 작업대(2)에 관한 것으로서, 지지대(20)와 발판대(10)이 절첩 가능한 힌지(30)로 구비되어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지지대(20)의 높이조절과 발판(1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장소와 용도에 적절히 사용될 수 있는 작업대(2)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작업대{Working Rack}
본 고안은 각종 설비공사, 실내작업등에 편리하고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고, 절첩이 가능하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며, 높이 조절과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장소와 용도에 적절히 사용될 수 있는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설비공사나 실내작업등에 사용되는 작업대는 적당한 높이를가지는 대략 "ㄷ"자 형상의 작업대가 주로 사용되어 왔는데 이는 부피가 커서 이동이 불편하였다.
또한, 경사면과 같이 바닥이 고르지 못한 장소에서는 작업대의 설치가 불안하여 작업자가 원활한 작업을 하는데 제약을 받아 작업능률이 저하되고, 용도에 따른 길이 조절이나 높이 조절이 불가능하여 작업자의 작업영역이 협소할 뿐만 아니라, 작업이 능률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서, 길이와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하여 각종 작업시 작업자가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작업 능률을 높이고, 절첩이 가능하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며, 특히, 각각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부재를 구비하여 계단, 경사면 등과 같이 바닥의 형상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설치가 가능한 작업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작업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작업대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도 2a는 작업대의 접힌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작업대가 펴진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수단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3a는 제 1발판이 핀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제 2발판이 슬라이딩될 때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수단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a는 지지대가 핀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지지대가 슬라이딩될 때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작업대 10: 발판대
12: 제 1발판 12': 삽입홀
14: 제 2발판 16: 보강부재
18: 제 1힌지 20: 지지대
22: 제 1지지부재 22': 삽입홀
24: 제 2지지부재 26: 측면 발판
28: 제 2 힌지 30: 힌지
30': 프랜지 32: 결착수단
34: 결착부재 36: 요홈
38: 결착봉 40: 고정수단
42: 프랜지 44: 스프링
46: 고정핀 48: 파지부
50: 고정홀 52: 보조핀
60: 미끄럼방지부재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발판대와 발판대를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대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발판대와 지지대는 절첩가능한 힌지로 결합되어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며, 상기한 지지대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슬라이딩 구조로 구비되고, 또한 상기한 발판대도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장소와 용도에 적절히 사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작업대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작업대는 크게 제 1발판(12)와 제 2 발판(14), 발판대(10)를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대(20)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발판대(10)와 지지대(20)는 절첩 가능한 힌지(30)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 1발판(12)은 그 장방향으로 관통된 중공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발판(12)의 내부에 압입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슬라이딩되는 제 2발판(14)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 2발판(14)의 일측면에는 다수의 고정홀(50)이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한 제 1발판(12)의 일측면에는 고정수단(40)이 구비되며, 상기 제 2발판(14)의 고정홀(50)에 압입되어 발판대(10)을 고정시킬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 고정핀(46)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 1발판(12)의 일측끝단부와, 상기 제 1발판(12)에 대향되는 제 2발판(14)의 일측끝단부에는 끝단부를 감싸고 있는 보강부재(16)가 볼트로서 결합되고, 상기한 발판대(10)과 보강부재(16)가 결합된 양측면에는 제 1힌지(18)가 고정 결합된다.
한편, 지지대(2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한 쌍의 지지대(20)는 서로 대응되게 상협하광의 형태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지지대(20)는 제 1,2지지부재(22,24)로 구비되며, 상기 제 1지지부재(22)는 장방향으로 관통된 중공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지지부재(22)의 내부에 슬라이딩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 2지지부재(24)가 출입가능하게 압입되어 구비되며, 상기 제 2지지부재(24)의 일측면에는 다수의 고정홀(50)이 이격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지지부재(24)가 바닥에 접하는 면에는 미끄럼방지부재(60)가 볼트로서 결합된다.
한편, 상기 제 1지지부재(22)는 상부 양측면에는 제 2힌지(28)가 고정결합되며, 상기한 제 1,2힌지(18,28)는 볼트로써 결합되어 지지부재(20)의 절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비된다.
첨부도면 도 1의 A는 지지대와 발판대에 고정결합된 힌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발판대(10)와 지지대(20)는 제 1,2힌지(18,28)의 플랜지부(30')가 맞닿아 발판대(10)을 지지하는 지지부재(20)가 고정됨으로써, 작업자가 발판대(10)에 올라가 작업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첨부도면 도 1의 B는 결착수단를 확대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제 1힌지(18)의 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결착수단(32)은 상기 제 1지지부재(22)의 그 일단이 각각 제 1,2발판(12,14)의 일단부에 회전가능하게 힌지되고, 이 힌지부상에는 회전된 제 1지지부재를 제 1,2발판상에 고정시키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결착수단(32)은 제 1,2발판의 각 일단부에 회전가능하게 힌지된 결착부재(34)와 상기 결착부재(34)의 일측 외주면으로부터 중심축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요홈(36)이 구비되며, 상기 요홈(36)에 대응한 결착봉은 제 1지지부재(22)의일측에 회전된 결착부재(34)의 요홈(36)이 끼워져 고정되면서 상기 제 1,2발판(12,14)에 제 1지지부재(22)를 회전불가능한 상태로 고정시키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 1지지부재(20)의 내측면에 수직하게 고정결합된 측면발판(26)이 다수 구비되며, 상기 측면발판(26)은 작업자가 밟고 상부의 발판대(10)으로 오를수 있도록 소정의 거리에 이격되게 구비된다.
첨부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작업대의 절첩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본 고안의 작업대(2)에는 지지대(20)와 발판대(10)에 고정결합되며 절첩 가능한 힌지(30)로 구비된다.
첨부도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대(2)의 보관이나 운반이 용이하도록 접힌상태를 나태낸 도면으로서, 발판대(10)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된 지지대(20)가 제 1,2힌지(18,28)의 의해 회전되며, 상기한 지지대(20)의 측면발판(26)이 상부발판대(10)의 하면에 맞닿아 고정되고, 또한 타측의 지지대(20)가 제 1,2힌지(18,28)의 의해 회전되어 절첩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첨부도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판대(10)에 제 1,2힌지(18,28)의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대(20)는 외력을 가해줌으로써 회전되며, 상기 제 1,2힌지(18,28) 일측의 플랜지부(30')가 맞닿아 발판대(10)에 힌지된 지지대(20)가 고정된다.
한편, 상기 제 1발판(22)의 고정핀(46)은 첨부도면 도 3a와 같이 제1발판(12)의 고정홀(50)에 삽입됨으로써 제 1,2발판(12,14)이 고정되며, 첨부도면 도 3b와 같이 고정수단(40)의 파지부(48)를 당김으로써 고정상태가 해제된다.
상기 제 2발판(14)의 일측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천공된 다수의 고정홀(50)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홀(50)에 삽입되어 발판대(10)의 출입된 상태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핀(46)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 1발판(12)의 일측면에는 고정홀(50)과 대응되게 천공되어 고정핀(46)의 출입이 가능한 삽입홀(12')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12')과 고정홀(50)에 순차적으로 고정핀(46)이 삽입된다.
또한, 상기 제 1발판(12)과 제 2발판(14)의 사이에 위치한 고정핀(46)의 외주면에는 고정핀(46)이 탄발력을 갖도록 보조핀(52)에 의해 스프링(44)의 탄성력을 막아 줌으로써, 상기 고정수단(40)이 탄발력을 갖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고정핀(46)을 고정홀(50)로부터 빼낼시에는 스프링(44)을 압축시키고, 고정핀(46)을 당긴 외력을 제거되면 스프링(44)의 탄발력이 고정핀(46)의 이동력으로 작용되어 고정홀(50)에 다시 삽입된다.
상기와 같은 고정수단(40)의 고정핀(46)은 첨부도면 도 4와 같이 제 1발판(12)의 일측면에 구비된 고정수단(40)과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와 같은 고정핀(46)은 첨부도면 도 4a와 같이 제1,2 지지부재(22, 24)의 삽입홀(22')과 고정홀(50)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서, 제 1,2지지부재(22,24)가 고정되며, 첨부도면 도 4b와 같이 고정수단(40)의 파지부(48)를 당김으로써 고정상태가 해제되어, 상기한 제 1,2의 지지부재(22,24)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첨부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지지대(20)에 구비된 고정수단(40)은 계단과 같은 곳에서도 설치될 수 있도록 각각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계단이외의 경사면이나 바닥형상이 고르지 못한 곳에서도 작업의 용도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절첩식 작업대는 절첩이 가능하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며, 각종 설비공사, 실내작업등에 편리하고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높이조절과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장소와 용도에 적절히 사용될 수 있어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사람이 밟고 올라서서 소정의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된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2)는 중공의 플레이트로서 구비된 제 1 발판(12)과, 상기 제 1발판(12)의 내부에 출입가능하게 압입되어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중공의 제 2발판(14)으로 이루어져서 사람이 밟고 올라설 수 있도록 된 발판대(10)와;
    상기 발판대(10)를 이루는 제 1,2발판(12,14)의 일단부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힌지되고, 이 양측의 부재 사이에는 이를 수직하게 연결하여서 사람이 밟고 올라갈 수 있도록 된 측면발판(26)을 갖는 중공의 제 1지지부재(22)와, 상기 제 1지지부재(22)의 내부에 출입가능하게 압입되어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중공의 제 2지지부재(24)로 이루어져서 발판대(10)를 지지하도록 된 지지대(20)와;
    상기 발판대(10)와 지지대(20)에 각각 구비되어서 발판대(10)의 제 1발판(12)으로부터 길이 조절된 제 2발판(14)과, 지지대(20)의 제 1지지부재(22)로부터 높이 조절된 제 2지지부재(24)를 각각 출입된 상태로서 위치 고정시키도록 된 고정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40)은, 상기 제 2발판(14)과 제 2지지부재(24)의 일측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천공된 다수의 고정홀(50)과;
    상기 고정홀(50)에 대응한 제 1발판(12)과 제 1지지부재(22)의 일측면에 고정홀(50)에 대향되게 천공된 삽입홀(12',22')과;
    상기 삽입홀(12',22')과 고정홀(50)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면서 결합되어 발판대(10)와 지지대(20)를 길이 조절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고정핀(46)과;
    상기 제 1발판(12)과 제 2발판(14) 및 제 1지지부재(22)와 제 2지지부재(24)의 사이에 위치한 고정핀(46)의 외주면에 구비되면서 고정핀(46)에 탄발력을 제공하도록 된 스프링(44)과;
    상기 스프링(44)과 제 2발판(14), 제 2지지부재(24)의 사이에 위치한 고정핀(46)의 외주면에 구비되면서, 스프링(44)을 안정적으로 압축시킴과 아울러 이 스프링(44)의 인장력을 고정핀(52)의 작동력으로서 작용되도록 한 보조핀(5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지지부재(22)는 그 일단이 각각 제 1,2발판(12,14)의 일단부에 회전가능하게 힌지되고, 이 힌지부상에는 회전된 제 1지지부재(22)를 제 1,2발판(12,14)상에 고정시키도록된 결착수단(32) 구비되되, 상기 결착수단(32)은 상기 제 1,2발판(12,14)의 각 일단부에 회전가능하게 힌지된 결착부재(34)와;
    상기 결착부재(34)의 일측 외주면으로부터 중심축으로 절개되어 형성된요홈(36)과;
    상기 요홈(36)에 대응한 제 1지지부재(22)의 일측에 회전된 결착부재(34)의 요홈(36)이 끼워져 고정되면서 상기 제 1,2발판(12,14)에 제 1지지부재(22)를 회전불가능한 상태로 고정시키도록 된 결착봉(38)이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
KR2020020016234U 2002-05-28 2002-05-28 작업대 KR2002865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234U KR200286579Y1 (ko) 2002-05-28 2002-05-28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234U KR200286579Y1 (ko) 2002-05-28 2002-05-28 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6579Y1 true KR200286579Y1 (ko) 2002-08-22

Family

ID=73123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6234U KR200286579Y1 (ko) 2002-05-28 2002-05-28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657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204B1 (ko) * 2008-04-16 2008-09-18 송일상 인테리어용 발판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204B1 (ko) * 2008-04-16 2008-09-18 송일상 인테리어용 발판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4992B1 (ko) 절첩식 작업대
US7172053B2 (en) Knockdown sawhorse
CN201002252Y (zh) 工具支撑设备
EP1410881B1 (en) Portable work bench
US6427804B1 (en) Step-up stool
KR101745483B1 (ko) 사다리 전도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사다리
US20050214085A1 (en) Portable adjustable support for drill
US9725915B1 (en) Construction system
KR200286579Y1 (ko) 작업대
US5758744A (en) Sawhorse
JP2003105967A (ja) 仮設足場
KR100855365B1 (ko) 작업대
KR100518095B1 (ko) 건설현장용 슬라이딩 및 절첩식 이동 사다리
KR200303789Y1 (ko) 보조작업대
US4228871A (en) Bracket
KR100714993B1 (ko) 절첩식 작업대
GB2244753A (en) Platforms for workmen
KR200356582Y1 (ko) 이동식 접이 계단
JP3044376B2 (ja) 天板を伸縮自在な作業用足場台及び伸縮自在な天板
KR200412243Y1 (ko) 사다리
JP4476044B2 (ja) 梯子用足場
KR101814713B1 (ko) 이동식 작업대
KR20210015011A (ko) 사다리
AU2004202246B2 (en) Plank Support Stand
JP3883981B2 (ja) 足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