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6178Y1 - A Fresh Valve For Adjusting The Quantity Of Fresh Water - Google Patents

A Fresh Valve For Adjusting The Quantity Of Fresh W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6178Y1
KR200286178Y1 KR2020020010765U KR20020010765U KR200286178Y1 KR 200286178 Y1 KR200286178 Y1 KR 200286178Y1 KR 2020020010765 U KR2020020010765 U KR 2020020010765U KR 20020010765 U KR20020010765 U KR 20020010765U KR 200286178 Y1 KR200286178 Y1 KR 2002861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water
rod
piston
push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076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테크이십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테크이십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테크이십일
Priority to KR20200200107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617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61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6178Y1/en

Links

Landscapes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대, 소변에 따라 세척수의 배출량을 달리하는 절수식 대변기 세척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그 주요구성은 레버(10) 또는 버튼(8)의 조작에 의하여 연동되는 밀대조립체(25)가 움직임에 따라 내부의 피스톤밸브(22)가 개방되며, 이 피스톤밸브(22)의 개방에 의하여 밸브몸체(4)의 상부공간에 형성한 압력실(18)에 채워진 물이 하부로 배출되므로서 피스톤(24)이 밸브몸체(4) 상부로 상승되면서 유입관(14)측의 물이 일정량 배수되도록 된 절수식 대변기 세척밸브에 있어서, 상기 밀대조립체(25)는 피스톤밸브(22)의 로드 일측과 적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조작부몸체(15)의 일측 단부에 지지판(30)에 의해서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버튼(8)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피스톤밸브(22)의 로드의 상측부분을 작동시키기 위한 상부밀대(26)와, 레버(10)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피스톤밸브(22)의 로드의 하측부분을 작동시키기 위한 하부밀대(2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배출관으로 배출되는 세척수의 양을 사용자가 원하는 최적의 상태로 조절할 수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saving toilet bowl washing valve for varying the discharge amount of the wash water according to the urine, urine,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push rod assembly (25) linked by the operation of the lever (10) or button (8) Accordingly, the piston valve 22 inside is opened, and the water filled in the pressure chamber 18 formed in the upper space of the valve body 4 is discharged to the lower portion by opening the piston valve 22. In the water-saving toilet bowl cleaning valve in which water in the inlet pipe (14) is drained a predetermined amount as the valve body (4) is raised above, the pusher assembly (25) has a proper distance from one side of the rod of the piston valve (22). It is fixed to one side end of the operation unit body 15 by the support plate 30 to maintain the upper, push rod 26 for opera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rod of the piston valve 22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button (8) ) And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lever 10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wer push rod 27 for opera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rod of the piston valve 22, by the above configuration to adjust the amount of wash wate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ipe to the optimum state desired by the user There is a number.

Description

절수식 대변기 세척밸브{A Fresh Valve For Adjusting The Quantity Of Fresh Water}A Fresh Valve For Adjusting The Quantity Of Fresh Water}

본 고안은 대, 소변에 따라 세척수의 배출량을 달리하는 절수식 대변기 세척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그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세척수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절수식 대변기 세척밸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saving toilet flush valve for varying the discharge of wash water according to large and ur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saving toilet flush valve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the wash water simply and stably.

이 분야의 종래의 기술로서는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21521에 개시된 대변기용 절수밸브가 있다.As a conventional technique in this field, there is a toilet water saving valve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221521.

위의 절수밸브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존 대변기밸브가 갖는 밸브몸체(4)의 조작부연결부(6)에 버튼(8)과 레버(10)를 갖는 조작부(12)를 결합하여, 버튼(8)을 누르면 작동구(32)의 로드(30)가 기울여져 그 기울임만큼 밀대(28)를 전진시켜 피스톤밸브(22)를 기울여지게 하여 압력실(18) 상부에 채워져 있던 세척수가 배출되도록 하고 따라서 피스톤(24)도 개방되어 유입관(14)으로부터 사전에 정해진 대유량의 세척수가 배출관(16)으로 배출되도록 하고, 또 레버(10)를 누르면 가압대(44)가 로드(30)를 전진시켜 밀대(28)도 전진시키고 따라서 피스톤밸브(22)가 기울여지면서 개방되므로서 피스톤(24)도 개방되어 유입관(14)으로부터 사전에 정해진 소유량의 세척수가 배출관(16)으로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The water-saving valve is coupled to the operation unit 12 having the button 8 and the lever 10 to the operation unit connecting portion 6 of the valve body 4 of the existing toilet valve as shown in Figure 1, Press (8) to incline the rod 30 of the actuating tool 32 to advance the push rod 28 by the inclination so that the piston valve 22 is tilted so that the washing water filled in the pressure chamber 18 is discharged. Therefore, the piston 24 is also opened so that the washing water of a predetermined large flow rate is discharged from the inlet pipe 14 to the discharge pipe 16, and when the lever 10 is pressed, the pressing table 44 opens the rod 30. Advancing the push rod 28 also advances and thus the piston valve 22 is inclined to open, thereby opening the piston 24 so that the predetermined amount of washing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inlet pipe 14 to the discharge pipe 16. .

위와 같은 구성의 대변기밸브는 기존 대변기밸브가 갖는 밸브몸체(4)의 조작부연결부(6)에 버튼(8)을 추가시킨 조작부(12)만을 간단히 교환 결합하므로서 기존 대변기 밸브에 일부부품의 교체만으로도 사용자가 사용목적에 따라 대유량과 소유량의 세척수를 선택적으로 배출하여 절수효과를 얻을 수는 있으나, 그러나, 위의 밸브는 레버(10)를 작동시켰을 때, 후방으로 갈수록 벌어진 수개의 탄성편(42)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안내구(46)의 좁은 안내공을 통과하면서 점차 오무려지게 되므로 탄성편(42) 후단부의 직경이 결합구(50)의 결합공(48) 직경보다 작아져 상기 결합구(50)의 계속되는 전진에도 불구하고 가압대(44)가 후퇴하는 구조에 의해서 소유량의 세척수를 배출토록 하기 때문에 소유량의 세척수를 배출토록 하기 위해서는 밀대(28)와 레버(10)의 사이에 작동구(32)와 가압대(44)와 안내구(46)와 탄성편(42)과 결합구(50)와 같은 여러가지 부품을 설치하여야 하므로 그 구조가 복잡하고, 또 부품수가 많아 제작단가 및 조립단가가 높아지므로 비경제적이었을 뿐만 아니라 밸브의 전체적인 부피도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toilet valve of the above configuration simply replaces and replaces the parts of the existing toilet valve by simply replacing and replacing the operation part 12 in which the button 8 is added to the operation part connecting part 6 of the valve body 4 of the existing toilet valv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water saving effect by selectively discharging the large flow rate and the low flow rate of the wash water, but when the lever 10 is operated, several elastic pieces (42) spread toward the rear side As shown in FIG. 2, the diameter of the rear end portion of the elastic piece 42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upling hole 48 of the coupling hole 50 because it is gradually eroded while passing through the narrow guide hole of the guide hole 46. In spite of the continuous advance of the sphere 50, the pressurizing rod 44 is discharged by the structure of retreating so that the amount of the washing water of the low flow rate is discharged. In this regard, various components, such as the operating tool 32, the presser 44, the guide 46, the elastic piece 42, and the engaging tool 50, must be installed, and the structure thereof is complicated, and the number of parts is high. And as the assembly cost is high, not only was it uneconomical, but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overall volume of the valve was also increased.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기존 대변기밸브에 일부부품의 교체만으로도 사용자가 사용목적에 따라 대유량과 소유량의 세척수를 선택하여 안정적으로 배출할 수 있으면서도 그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절수식 대변기 세척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user can select a large flow rate and a small amount of wash water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and stably discharge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by replacing some parts of the existing toilet valv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saving toilet bowl cleaning valve that can increase the productivity.

본 고안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절수식 대변기 세척밸브는 레버(10) 또는 버튼(8)의 조작에 의하여 연동되는 밀대조립체(25)가 움직임에 따라 내부의 피스톤밸브(22)가 개방되며, 이 피스톤밸브(22)의 개방에 의하여밸브몸체(4)의 상부공간에 형성한 압력실(18)에 채워진 물이 하부로 배출되므로서 피스톤(24)이 밸브몸체(4) 상부로 상승되면서 유입관(14)측의 물이 일정량 배수되도록 된 절수식 대변기 세척밸브에 있어서, 상기 밀대조립체(25)는 피스톤밸브(22)의 로드 일측과 적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조작부몸체(15)의 일측 단부에 지지판(30)에 의해서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버튼(8)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피스톤밸브(22)의 로드의 상측부분을 작동시키기 위한 상부밀대(26)와, 레버(10)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피스톤밸브(22)의 로드의 하측부분을 작동시키기 위한 하부밀대(2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water-saving toilet bowl clean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is the piston valve (22) as the push rod assembly 25 is interlocked by the operation of the lever 10 or button (8) ) Is opened, and the water filled in the pressure chamber 18 formed in the upper space of the valve body 4 is discharged to the lower side by opening the piston valve 22, the piston 24 is the valve body (4) In the water-saving toilet bowl washing valve to be discharged to a certain amount of water in the inlet pipe (14) while being raised to the upper portion, the push-up assembly 25 is the operation unit body 15 so as to maintain a proper distance from one side of the rod of the piston valve (22) It is fixed by one side of the support plate 30 by the support plate 30, the upper push rod 26 and the lever 10 for opera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rod of the piston valve 22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button (8) Lower side of the rod of the piston valve 22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wer push rod 27 for operating the part.

도 1은 종래의 대변기 세척밸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toilet cleaning valve.

도 2는 종래의 대변기 세척밸브에서 레버의 조작에 의한 세척수의 배출동작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ischarge operation state of the washing water by the operation of the lever in the conventional toilet cleaning valve.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절수식 대변기 세척밸브의 단면도이다.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ter-saving toilet flus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버튼의 조작에 의한 세척수의 배출동작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ischarge operation state of the washing water by the operation of the butt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레버의 조작에 의한 세척수의 배출동작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ischarge operation state of the washing water by the operation of the lev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Code Description of Main Parts of Drawing>

4 : 밸브몸체 8 : 버튼4: valve body 8: button

10 : 레버 14 : 유입관10: lever 14: inlet pipe

16 : 배출관 22 : 피스톤16 discharge pipe 22 piston

25 : 밀대조립체25: push rod assembly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절수식 대변기 세척밸브의 단면도이다.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ter-saving toilet flus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서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표시하였다.In FIG. 3, the same parts as those shown in FIG. 1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절수식 대변기 세척밸브(2)는 밸브몸체(4)와, 상기 밸브몸체의 일측에 설치된 조작부(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3, the water-saving toilet bowl cleaning valve 2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alve body 4 and an operation unit 12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valve body.

상기 밸브몸체(4)는 일측 상부에 유입관(14)이 연결되고, 하부에는 배출관(16)이 연결되며, 그 내부에 형성한 변좌(23)에는 유입관(14)측의 물을 배출관(16)측으로 개폐하기 위한 피스톤(24)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24)은 유입관(14)측의 물을 밸브몸체(4)의 상부에 형성한 압력실(18)에 연통시키기 위한 유입구(20)가 관통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는 헤드와 긴 로드로 구성된 피스톤밸브(22)가 스프링에 의해서 탄력 설치되어 있는 일반적인 구조로서, 상기 피스톤밸브(22)가 기울여지면 압력실(18)에 채워져 있던 물이 배출되면서 압력실(18) 내부의 압력이 강하함에 따라 피스톤(24)이 부상을 시작하게 되면서 유입관(14) 측의 물이 배출관(16)측으로 배출되게 되고, 동시에 피스톤(24)의 유입구(20)를 통하여 압력실(18)에 물이 채워지면서 피스톤(24)이 다시 하강하게 되어 지수가 되게 된다.The valve body 4 is connected to the inlet pipe 14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one side, the discharge pipe 16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the toilet seat (23) formed therein discharge water (inlet pipe 14) pipe ( A piston 24 for opening and closing to the side 16 is provided, and the piston 24 is an inlet for communicating water at the inlet pipe 14 side to the pressure chamber 18 form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valve body 4. 20 is penetrated therein, and a piston valve 22 composed of a head and a long rod is elastically installed by a spring. When the piston valve 22 is tilted, it is filled in the pressure chamber 18. As the water inside is discharged, the pressure in the pressure chamber 18 drops, the piston 24 starts to float, and the water on the inlet pipe 14 side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ipe 16 side, and at the same time, the piston 24 Piston 24 is lowered again while water is filled in the pressure chamber 18 through the inlet 20 of the Is is to be the index.

상기 조작부(12)는 상기 밸브몸체(4)의 일측에 형성한 조작부연결부(6)에 연결되며, 조작부몸체(15)와, 상기 조작부몸체(15)에 결합되어 있는 버튼(8) 및 레버(10)와, 상기 조작부몸체(15)와 상기 밸브몸체(4)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버튼(8)이나 레버(10)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피스톤밸브(22)의 로드를 밀어주기 위한 밀대조립체(25)와, 상기 조작부몸체(15)의 일측 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밀대조립체(25)의 위치를 고정시키며 중앙에 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판(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operation unit 12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unit connecting portion 6 formed on one side of the valve body 4, the operation unit body 15, the button 8 and the lever coupled to the operation unit body 15 ( 10) and a pusher assembly positioned between the operation unit body 15 and the valve body 4 and linked to the movement of the button 8 or the lever 10 to push the rod of the piston valve 22 ( 25) and a support plate 30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operation unit body 15 to fix the position of the rod assembly 25 and having a long hole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상기 밀대조립체(25)는 피스톤밸브(22)의 로드 일측과 적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조작부몸체(15)의 일측 단부에 지지판(30)에 의해서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버튼(8)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피스톤밸브(22)의 로드를 작동시키기 위한 상부밀대(26)와, 레버(10)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피스톤밸브(22)의 로드를 작동시키기 위한 하부밀대(27)와, 상기 상부밀대(26)와 하부밀대(27)를 지지하면서 안내하며 상기 밸브몸체(4)와 상기 지지판(30) 사이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밀대가이드(29)와, 상기 상부밀대(26)와 하부밀대(27)가 피스톤밸브(22)의 로드 일측과 적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ush rod assembly 25 is fixed to one end of the operation unit body 15 by the support plate 30 so as to maintain a proper distance from one side of the rod of the piston valve 22, and is linked to the movement of the button 8 Upper push rod 26 for operating the rod of the piston valve 22, lower push rod 27 for operating the rod of the piston valve 22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lever 10, and the upper push rod 26 Guide and supporting the lower bar (27) and fixedly installed between the valve body (4) and the support plate (30), the upper bar (26) and the lower bar (27)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pring for imparting an elastic force to maintain a proper distance from one side of the rod of the piston valve (22).

상기 상부밀대(26)는 그 일단부가 피스톤밸브(22)의 로드 일측과 적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스프링에 의해서 탄력설치되어 있으며, 그 타단부는 지지판(30)의 장공속으로 연장 형성되어 버튼(8)을 누르면 상기 버튼(8)의 하단부가 상부밀대(26)의 단부와 접하면서 눌려지게 되어 상부밀대(26)가 전진하게 되므로 피스톤밸브(22)의 로드를 작동시키게 된다.The upper rod 26 is elastically installed by a spring so that one end thereof is maintained at a proper distance from one side of the rod of the piston valve 22, the other end is formed to extend at the long hole of the support plate 30 is button (8) When pressing the lower end of the button 8 is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upper push rod 26, the upper push rod 26 is advanced to operate the rod of the piston valve 22.

상기 하부밀대(27)는 상기 상부밀대(26)의 하부에 평행을 이루면서 그 일단부가 피스톤밸브(22)의 로드 일측과 적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스프링에 의해서 탄력설치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레버(10)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상기 하부밀대(27)가 전진하여 피스톤밸브(22)의 로드를 작동시키게 된다.The lower rod 27 is parallel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rod 26, one end thereof is elastically installed by a spring so as to maintain a proper distance from one side of the rod of the piston valve 22, the lever 10 to be described later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lower rod 27 is advanced to operate the rod of the piston valve 22.

상기 버튼(8)은 조작부몸체(15)의 상부 중앙에 스프링에 의하여 탄력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버튼(8)을 누르면 상기 버튼(8)의 하단부가 상부밀대(26)의 단부와 접하면서 상부밀대(26)가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기고 전진하게 되므로 피스톤(24)의 피스톤밸브(22)를 기울여주게 한다.The button 8 is elastically install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operation unit body 15 by a spring, and when the button 8 is pressed, the lower end of the button 8 contacts the end of the upper pusher 26 and the upper pusher (26) to advance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to tilt the piston valve 22 of the piston (24).

상기 레버(10)는 상기 하부밀대(27)의 일단부에 인접설치되며 스프링에 의해서 탄력설치되어 있는 가압대(44)와 인접하여 캡(45)에 의해서 고정 설치되며, 상기 레버(10)를 수직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상기 가압대(44)가 전진하여 그 전진 거리만큼 상기 하부밀대(27)가 전진하도록 되어 있다.The lever 10 is installed adjacent to one end of the lower rod 27 and is fixedly installed by the cap 45 adjacent to the pressure bar 44 that is elastically installed by a spring, the lever 10 When the force is appli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pressure bar 44 is advanced so that the lower bar 27 is advanced by the advance distance thereof.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절수식 대변기 세척밸브의 동작에 대하여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An operation of the water-saving toilet flus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도 4는 버튼(8)을 이용하여 세척수를 배출하는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4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using the button 8.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버튼(8)을 누르면 상기 버튼(8)의 하단부가 상부밀대(26)의 일단부와 접하면서 스프링에 의하여 탄력설치되어 있는 상부밀대(26)의 일단부를 누르게 되고 그에 따라 상부밀대(26)가 전진하게 되어 피스톤밸브(22)의 로드를 기울이게 되면, 압력실(18) 상부에 채워져 있던 세척수가 배출됨과 동시에 압력실(18) 내부의 압력이 강하함에 따라 피스톤(24)이 부상을 시작하게 되고 그에 따라 유입관(14)측의 물이 배출관(16)측으로 배출되게 되며, 그와 함께 피스톤(24)의 유입구(20)를 통하여 압력실(18)에 물이 다시 채워지게 되면 피스톤(24)이 다시 하강하게 되어 지수가 되게 된다.As shown in FIG. 4, when the button 8 is pressed, the lower end of the button 8 contacts one end of the upper push rod 26 and presses one end of the upper push rod 26 that is elastically installed by the spring. When the upper rod 26 is moved forward and the rod of the piston valve 22 is inclined, the washing water fill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pressure chamber 18 is discharged and at the same time the pressure in the pressure chamber 18 drops, so that the piston 24 This injury is started so that the water on the inlet pipe 14 side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ipe 16 side, and with the water refilled in the pressure chamber 18 through the inlet 20 of the piston 24 The piston 24 is lowered again to become an index.

그런데, 위의 경우에 있어서 상부밀대(26)는 피스톤밸브(22)의 로드의 상측부분을 기울이게 되므로 상기 피스톤밸브(22)의 로드가 상부밀대(26)의 일단부를 벗어나는 동안에 압력실(18)에 채워져 있던 물이 모두 배출되어 버리기 때문에 피스톤(24)의 유입구(20)를 통하여 압력실(18)에 물이 다시 채워져서 피스톤(24)이 다시 하강하여 세척수 공급이 중단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게 되므로 그 동안에 유입관측으로부터 배출관측으로 대변시에 필요한 많은 양의 세척수가 배출되도록 할 수가 있다.However, in the above case, the upper rod 26 is incli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od of the piston valve 22, so that the pressure chamber 18 while the rod of the piston valve 22 escapes one end of the upper rod 26. Since all the water filled in is discharged, it takes a considerable time for water to be refilled in the pressure chamber 18 through the inlet 20 of the piston 24 so that the piston 24 descends again and the washing water supply is stopped. During this time, it is possible to discharge a large amount of washing water necessary for feces from the inflow side to the discharge side.

도 5는 레버(10)를 이용하여 세척수를 배출하는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using the lever 10.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레버(10)를 아래쪽으로 누르면 레버(10)에 인접하여 위치되어 있는 가압대(44)를 밀게 되어 상기 가압대(44)가 전진한 거리만큼 스프링에 의하여 탄력설치되어 있는 하부밀대(27)를 전진시켜 피스톤밸브(22)의 로드를 기울이게 되면, 압력실(18) 상부에 채워져 있던 세척수가 배출됨과 동시에 압력실(18) 내부의 압력이 강하함에 따라 피스톤(24)이 부상을 시작하게 되고 그에 따라 유입관(14)측의 물이 배출관(16)측으로 배출되게 되며, 그와 함께 피스톤(24)의 유입구(20)를 통하여 압력실(18)에 물이 다시 채워지게 되면 피스톤(24)이 다시 하강하게 되어 지수가 되게 된다.As shown in FIG. 5, when the lever 10 is pushed downward, the pressing stand 44 which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lever 10 is pushed so that the pressing stand 44 is elastically installed by the spring by the advance distance. When the lower rod 27 is advanced and the rod of the piston valve 22 is tilted, the washing water fill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pressure chamber 18 is discharged and at the same time the pressure in the pressure chamber 18 drops, so that the piston 24 Injury starts to occur so that water on the inlet pipe 14 side is discharged to the outlet pipe 16 side, and the water is refilled in the pressure chamber 18 through the inlet 20 of the piston 24. When the piston 24 is lowered again to be an index.

그런데, 위의 경우에 있어서 하부밀대(27)는 피스톤밸브(22)의 로드의 하측부분을 기울이게 되므로 하부밀대(27)가 상기 피스톤밸브(22)의 로드를 기울이자 마자 바로 압력실(18)의 압력이 강하하면서 피스톤(24)이 부상을 하게 되고, 그와 동시에 상기 피스톤밸브(22)의 로드가 바로 하부밀대(27)의 일단부를 벗어나기 때문에 압력실(18)에 채워져 있던 물은 극히 소량만 배출된 상태에서 다시 지수가 되게 된다.However, in the above case, the lower rod 27 is inclined to the lower part of the rod of the piston valve 22, so as soon as the lower rod 27 tilts the rod of the piston valve 22, As the pressure drops, the piston 24 rises, and at the same time, the rod of the piston valve 22 immediately exits one end of the lower rod 27, so that the water filled in the pressure chamber 18 is only a small amount. It will be exponential again in the discharged state.

위와 같은 상태에서는 압력실(18)에는 극히 소량의 세척수만 배출되었기 때문에 다시 피스톤(24)의 유입구(20)를 통하여 압력실(18)에 물을 채우는 데에는 비교적 짧은 시간내에 이루어지게 되고, 압력실(18)에 다시 물이 채워지게 되면 피스톤(24)이 다시 하강하여 세척수 공급이 중단되므로 이러한 상태에서는 유입관(14)측으로부터 배출관(16)측으로 소변시에 필요한 정도의 세척수만 배출되도록 할 수가 있다.In the above state, since only a small amount of washing water is discharged into the pressure chamber 18, it is made within a relatively short time to fill the pressure chamber 18 with water through the inlet 20 of the piston 24. When the water is again filled in the piston (18), the piston 24 is lowered again to stop the supply of the washing water. In such a state, only the necessary amount of washing water can be discharged from the inlet pipe 14 to the discharge pipe 16 when urine is discharged. have.

위에서 본 바와 같이 버튼(8)이나 레버(10)의 조작에 의해서 피스톤밸브(22)의 로드를 기울여 그에 따라 피스톤(24)을 부상시켜 세척수의 배출량을 조절토록 하는 대변기 세척밸브에 있어서, 세척수의 배출량은 피스톤밸브(22)의 로드의 기울임각이나 기울임 상태의 지속시간 뿐만 아니라 피스톤밸브(22)의 로드를 기울이는 위치를 적절히 조절하면 배출관(16)으로 배출되는 세척수의 양을 사용자가 원하는 최적의 상태로 조절할 수가 있다.In the toilet cleaning valve which tilts the rod of the piston valve 22 by the operation of the button 8 or the lever 10 and raises the piston 24 accordingly, and controls the discharge of the washing water, as seen from above, The discharge amount is appropriately adjusted to the amount of washing wate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ipe 16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tilt angle of the rod of the piston valve 22 and the duration of the tilted state as well as the position of tilting the rod of the piston valve 22. Can be adjusted to the stat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절수식 대변기 세척밸브는 대, 소변을 구별하여 배출되는 세척수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종래의 절수식 대변기 세척밸브와는 달리 그 구조가 지극히 간단하여 생산원가를 대폭 줄이면서도 안정적으로 배출관(16)으로 배출되는 세척수의 양을 사용자가 원하는 최적의 상태로 조절할 수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ater-saving toilet flushing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simple in structure, unlike the conventional water-saving toilet flushing valve to control the amount of washing water discharged by distinguishing large and urine. While reducing and stably, the amount of washing wate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ipe 16 can be adjusted to the optimum state desired by the user.

Claims (2)

레버(10) 또는 버튼(8)의 조작에 의하여 연동되는 밀대조립체(25)가 움직임에 따라 내부의 피스톤밸브(22)가 개방되며, 이 피스톤밸브(22)의 개방에 의하여 밸브몸체(4)의 상부공간에 형성한 압력실(18)에 채워진 물이 하부로 배출되므로서 피스톤(24)이 밸브몸체(4) 상부로 상승되면서 유입관(14)측의 물이 일정량 배수되도록 된 절수식 대변기 세척밸브에 있어서, 상기 밀대조립체(25)는 피스톤밸브(22)의 로드 일측과 적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조작부몸체(15)의 일측 단부에 지지판(30)에 의해서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버튼(8)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피스톤밸브(22)의 로드의 상측부분을 작동시키기 위한 상부밀대(26)와, 레버(10)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피스톤밸브(22)의 로드의 하측부분을 작동시키기 위한 하부밀대(2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식 대변기 세척밸브.As the push rod assembly 25 interlocked by the operation of the lever 10 or the button 8 moves, the internal piston valve 22 is opened, and the valve body 4 is opened by opening the piston valve 22. Water-filled toilet in which the water filled in the pressure chamber 18 formed in the upper space of the outlet is discharged to the lower portion, and the piston 24 is rai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valve body 4 so that the water on the inlet pipe 14 side is drained by a certain amount. In the washing valve, the push rod assembly 25 is fixed to one end of the operation unit body 15 by a support plate 30 so as to maintain a proper distance from one side of the rod of the piston valve 22, the button (8) Upper rod 26 for opera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rod of the piston valve 22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and lower portion for opera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rod of the piston valve 22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lever 10 Water saving,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ing a push rod 27 Toilet flush val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대조립체(25)는 상기 밸브몸체(4)와 상기 지지판(30) 사이에 고정설치되며 서로 평행을 이루는 상부밀대(26)와 하부밀대(27)를 지지하면서 안내하기 위한 밀대가이드(29)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식 대변기 세척밸브.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ush rod assembly 25 is fixed between the valve body 4 and the support plate 30 and guides while supporting the upper push rod 26 and the lower push rod 27 parallel to each other Water-saving toilet bowl cleaning valv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traw guide (29) for.
KR2020020010765U 2002-04-10 2002-04-10 A Fresh Valve For Adjusting The Quantity Of Fresh Water KR20028617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765U KR200286178Y1 (en) 2002-04-10 2002-04-10 A Fresh Valve For Adjusting The Quantity Of Fresh W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765U KR200286178Y1 (en) 2002-04-10 2002-04-10 A Fresh Valve For Adjusting The Quantity Of Fresh Wa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6178Y1 true KR200286178Y1 (en) 2002-08-22

Family

ID=73074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0765U KR200286178Y1 (en) 2002-04-10 2002-04-10 A Fresh Valve For Adjusting The Quantity Of Fresh Wa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6178Y1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340B1 (en) 2009-03-13 2011-07-22 이현수 Operating device for flash valve selectable by type of toilet
KR200460427Y1 (en) 2009-10-08 2012-05-25 주식회사 성흥 The flush valve which the distinction uses the urine with excrements
KR101209156B1 (en) 2010-07-30 2012-12-06 이현수 Water savable flash valve
KR101314153B1 (en) * 2011-04-07 2013-10-04 태성정밀(주) Piston of washing valve
KR200472448Y1 (en) 2013-11-05 2014-04-29 최정규 Closet cleaning valve for water saving
KR101478792B1 (en) * 2013-12-26 2015-01-02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toilet flush valve of saving water
KR200482727Y1 (en) * 2015-10-27 2017-02-27 홍기 Spindle of valve for toilet stool
KR200490573Y1 (en) 2018-06-19 2019-12-03 태성정밀(주) A flow controlable pivot rod and a toilet flush valve for water saving having the same
KR20220128712A (en) 2021-03-15 2022-09-22 광 승 김 Water-saving autistic toilet valve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340B1 (en) 2009-03-13 2011-07-22 이현수 Operating device for flash valve selectable by type of toilet
KR200460427Y1 (en) 2009-10-08 2012-05-25 주식회사 성흥 The flush valve which the distinction uses the urine with excrements
KR101209156B1 (en) 2010-07-30 2012-12-06 이현수 Water savable flash valve
KR101314153B1 (en) * 2011-04-07 2013-10-04 태성정밀(주) Piston of washing valve
KR200472448Y1 (en) 2013-11-05 2014-04-29 최정규 Closet cleaning valve for water saving
KR101478792B1 (en) * 2013-12-26 2015-01-02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toilet flush valve of saving water
KR200482727Y1 (en) * 2015-10-27 2017-02-27 홍기 Spindle of valve for toilet stool
KR200490573Y1 (en) 2018-06-19 2019-12-03 태성정밀(주) A flow controlable pivot rod and a toilet flush valve for water saving having the same
KR20220128712A (en) 2021-03-15 2022-09-22 광 승 김 Water-saving autistic toilet val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86178Y1 (en) A Fresh Valve For Adjusting The Quantity Of Fresh Water
US20120284910A1 (en) Flush toilet
KR100876951B1 (en) A valve for cleaning a toilet stool
JP2770254B2 (en) Cleaning water discharge device to urinal
MXPA03000666A (en) Dual discharge valve.
KR100425419B1 (en) Toilet bowl having variablenes type syphon pipe
CN216195223U (en) Closestool drainage device capable of improving flushing performance
JP7350232B2 (en) Wash water tank device and flush toilet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KR200281618Y1 (en) A fresh valve for adjusting the quantity of fresh water
CN111827425A (en) Starting mechanism of drain valve
KR200221521Y1 (en) Water saving valve for toilet stool
KR100253416B1 (en) A flush valve for water saving
KR20030097196A (en) A Fresh Valve For Adjusting The Quantity Of Fresh Water
CN219100243U (en) Toilet flushing device
KR200294075Y1 (en) Flush valve
CN218091131U (en) Pre-flushing system and toilet
CN212772656U (en) Starting mechanism of drain valve
JP7341399B2 (en) Wash water tank device and flush toilet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CN113574229B (en) Flush tank device and flush toilet device provided with same
KR200196614Y1 (en) Toilet flush valve
KR20040100181A (en) Water Saving Flush Valve
KR200262718Y1 (en) Lever of washing valve
CN210767070U (en) Control structure of toilet brush ring ejector
KR200213178Y1 (en) Apparatus for controling volumeof water supply via valves in discriminative water supply between feces and urine in a toilet stool
KR101272162B1 (en) Water savable flash-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