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2718Y1 - Lever of washing valve - Google Patents

Lever of washing valv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2718Y1
KR200262718Y1 KR2020010028906U KR20010028906U KR200262718Y1 KR 200262718 Y1 KR200262718 Y1 KR 200262718Y1 KR 2020010028906 U KR2020010028906 U KR 2020010028906U KR 20010028906 U KR20010028906 U KR 20010028906U KR 200262718 Y1 KR200262718 Y1 KR 2002627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ver
pressing plate
plunger
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890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복래
Original Assignee
김복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복래 filed Critical 김복래
Priority to KR20200100289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271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27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2718Y1/en

Links

Landscapes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좌변기의 일측에 설치되어 용변에 따라 세척수를 대량 또는 소량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절수식 세척밸브의 레버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입구 및 유출구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의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에 개재되며 그 중앙에 배출공이 형성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배출공에 삽입되어 그 상단에 머리부를 갖는 봉 형상의 스템과, 상기 스템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봉 형상의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의 후단에 밀착되는 누름판이 일체로 형성된 레버와, 상기 몸체의 측면에 연결되어 플런저의 후단과 레버의 누름판이 내장되도록 한 조작실로, 구성된 통상의 세척밸브에 있어서; 상기 조작실 내에서 레버의 누름판 선단에 설치되어 누름판이 일측에서만 제어되도록 하는 수량조절부와, 상기 수량조절부의 선단에 한개 또는 다수개 설치되어 수량을 미세하게 조절하도록 하는 미세조절부로 구성되어 대변일 경우에는 레버를 상향시켜 많은 물이 배출되도록 하고, 소변일 경우에는 레버를 하향시켜 적은 물을 배출되도록 하여 소변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양의 물이 배출되어 낭비되는 일이 없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ver device of a water-saving washing valv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toilet bowl to discharge the washing water in a large quantity or a small amount according to the toilet, interposed between the body consisting of the inlet and the outlet, and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of the body. A piston having a discharge hole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a rod-shaped stem inserted into the discharge hole of the piston and having a head portion at an upper end thereof, a rod-shaped plunger installed perpendicularly to the lower part of the stem, and in close contact with a rear end of the plunger. In the conventional washing valve consisting of a lever formed integrally with the pressing plate, and an operating room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body so that the rear end of the plunger and the pressing plate of the lever are built-in; The water control unit is installed at the tip of the pressing plate of the lever in the operating room so that the pressing plate is controlled only on one side, and one or more installed at the tip of the water adjusting unit is finely adjusted to finely control the amount of water In this case, the lever is raised upward so that a large amount of water is discharged, and in the case of urine, the lever is lowered so that a small amount of water is discharged so that a large amount of water is discharged even though it is urine.

Description

절수식 세척밸브의 레버장치{Lever of washing valve}Lever device for water-saving washing valve

본 고안은 좌변기나 양변기에 설치되는 절수식 세척밸브의 레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 목적에 따라 세척수를 대량 또는 소량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절수식 세척밸브의 레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ver device of the water-saving washing valve installed in the toilet bowl or toil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lever device of the water-saving washing valve to discharge the wash water in a large or small amoun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일반적으로, 세척밸브는 좌변기의 일측에 설치되어 좌변기에 세척수가 공급 및 차단되도록 하는 것으로 레버가 일측으로 위치되면 일정량의 세척수가 좌변기 내에 공급됨과 동시에 사용자의 용변이 씻겨 내려가도록 한 것이다.In general, the washing valve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toilet seat so that the wash water is supplied to and shut off on the toilet seat, when the lever is positioned to one side, a certain amount of washing water is supplied to the toilet seat and the user's toilet is washed down.

이러한 종래의 세척밸브는 유입구 및 유출구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의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에 개재되며 그 중앙에 배출공이 형성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배출공에 삽입되어 그 상단에 머리부를 갖는 봉 형상의 스템과, 상기 스템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봉 형상의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의 후단에 밀착되는 누름판이 일체로 형성된 레버와, 상기 몸체의 측면에 연결되어 플런저의 후단과 레버의 누름판이 내장되도록 한 조작실로 이루어져 있다.The conventional washing valve has a rod-shaped body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a piston interposed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of the body and having a discharge hole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inserted into the discharge hole of the piston. A stem formed integrally with a stem, a rod-shaped plunger installed perpendicularly to the lower part of the stem, and a pressing pl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end of the plunger, and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body so that the rear end of the plunger and the pressing plate of the lever are embedded. It consists of an operating room.

상기 피스톤의 일측에는 유입공이 형성되고, 유입공의 선단에는 세척수와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들을 걸러내는 여과망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템의 머리부 상단에는 압축스프링이 탄지되어 피스톤의 배출공으로 스템의 머리부가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물의 공급이 차단되도록 한다.One side of the piston is formed with an inlet hole, the front end of the inlet hole is provided with a filtering network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with the washing water. And, the upper end of the head of the stem is pressed by the compression spring so that the head of the stem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discharge hole of the piston, so that the water supply is blocked.

한편, 몸체의 유입구 타단에는 관형상의 조작실이 연결되고, 조작실의 내부에는 스템과 수직으로 설치되는 플런저가 구비되어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이런한 플런저의 후단은 확장된 너비를 갖는 확장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확장부의 선단에 압축스프링이 설치되어 플런저가 레버측으로 밀착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other end of the inlet of the body is connected to the tubular operation chamber, the inside of the operating chamber is provided with a plunger installed vertically with the stem is slid in the axial direction. The rear end of such a plunger is formed integrally with an extension having an extended width, and a compression spring is installed at the tip of the extension to make the plunger close to the lever side.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세척밸브는 사용자에 의해 레버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면 레버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된 누름판이 기울어 지면서 밀착된 플런저를 전진 시킨다. 그러면, 전진하는 플런저는 스템의 하단부를 밀게 됨과 동시에 스템이 기울어 지면서 피스톤의 배출공를 차단한 스템의 머리부와 배출공의 상면에 틈새가 생기게 되고, 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로 부터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고 있던 세척수가 유입됨과 동시에 배출공를 지나 유출구로 배출되어 좌변기의 용변을 씻어 내리게 된다.The conventional washing valv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dvances the plunger in close contact with the pressing plate which is integrally formed at the tip of the lever when the lever is inclined to one side by the user. Then, the forward plunger pushes the lower end of the stem and at the same time, the stem is inclined, and a gap is formed in the head of the stem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discharge hole, which blocks the discharge hole of the piston, and maintains a constant pressure from the inlet formed at one side of the body. At the same time as the washing water is introduced, it passes through the discharge hole and is discharged to the outlet to wash down the toilet of the toilet.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세척밸브는 레버의 작동에 의하여 기울어지는 스템의 각도가 항상 동일하기 때문에 배출되는 세척수의 양이 항상 동일하게 되며, 이때 배출되는 양은 대변을 충분히 씻어 내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washing valv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angle of the stem inclined by the operation of the lever is always the same, so that the amount of washing water discharged is always the same, and the amount of discharge is sufficient to wash down the feces. have.

따라서, 사용자가 소변을 보게 되더라도 많은 양의 물이 배출되면서 소변을 씻어 내리기 때문에 물을 낭비하게 되고, 일반적으로 대변 보다는 소변의 이용량이 많으므로 이러게 낭비된 물의 양은 매우 많음을 알 수 있다.Therefore, even when the user urinates, a large amount of water is discharged, so that the urine is washed off, and thus wastes water, and in general, the amount of waste water is very large because the amount of urine used is greater than that of feces.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레버를 상부로 올리면 물의 양이 많이 나오도록 하고, 하부로 내리면 물의 양이 적게 나오도록 하여 소변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양의 물이 배출되어 낭비되는 것을 최소화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amount of water is raised when the lever is raised to the top, and the amount of water is lowered when lowered to the lower portion, despite the large amount of urine Its purpose is to minimize the waste water discharg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절수식 세척밸브의 레버장치는유입구 및 유출구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의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에 개재되며 그 중앙에 배출공이 형성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배출공에 삽입되어 그 상단에 머리부를 갖는 봉 형상의 스템과, 상기 스템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봉 형상의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의 후단에 밀착되는 누름판이 일체로 형성된 레버와, 상기 몸체의 측면에 연결되어 플런저의 후단과 레버의 누름판이 내장되도록 한 조작실로, 구성된 통상의 세척밸브에 있어서;The lever device of the water-saving was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body consisting of an inlet and an outlet, interposed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of the body and having a discharge hole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discharge of the piston A rod-shaped stem inserted into the ball and having a head at its upper end, a rod-shaped plunger vertically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tem, a lever formed with a pressing pl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end of the plunger, and a side of the body An operating chamber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 rear end of a plunger and a pressing plate of a lever, the conventional washing valve comprising:

상기 조작실 내에서 레버의 누름판 선단에 설치되어 누름판이 일측에서만 제어되도록 하는 수량조절부와 상기 수량조절부의 선단에 한개 또는 다수개 설치되어 수량을 미세하게 조절하도록 하는 미세조절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in the operating room is installed at the tip of the pressing plate of the lever so that the pressing plate is controlled only from one side and one or more at the front end of the quantity adjusting unit is finely adjusted to finely control the quantity .

또, 상기 수량조절부는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조작실 내의 공간보다 작은 길이를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quantity control unit is made in a semi-circular shap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length smaller than the space in the operating room.

또한, 상기 미세조절부는 링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icro-adjustment portion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ring-shaped plate body.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절수식 세척밸브의 레버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ever device of a water-saving was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절수식 세척밸브의 레버장치를 도시한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ever device of the water-saving was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3b는 본 고안에 따른 절수식 세척밸브의 레버장치를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Figure 3a, 3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use of the lever device of the water-saving was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몸체 11 : 유입구10: body 11: inlet

12 : 유출구 20 : 피스톤12: outlet 20: piston

21 : 배출공 30 : 스템21: discharge hole 30: stem

31 : 머리부 40 : 플런저31: head 40: plunger

50 : 레버 51 : 누름판50: lever 51: pressing plate

60 : 조작실 70 : 수량조절부60: operating room 70: quantity control unit

80 : 미세조절부80: fine control unit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절수식 세척밸브의 레버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절수식 세척밸브의 레버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a, 3b는 본 고안에 따른 절수식 세척밸브의 레버장치를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ever device of the water-saving was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ever device of the water-saving was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a, 3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ctional drawing of the use state showing the lever device of the water-saving washing valve.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절수식 세척밸브의 레버장치는 유입구(11) 및 유출구(12)로 이루어진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유입구(11)와 유출구(12) 사이에 개재되며 그 중앙에 배출공(21)이 형성된 피스톤(20)과; 상기 피스톤(20)의 배출공(21)에 삽입되어 그 상단에 머리부(31)를 갖는 봉 형상의 스템(30)과; 상기 스템(30)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봉 형상의 플런저(40)와; 상기 플런저(40)의 후단에 밀착되는 누름판(51)이 일체로 형성된 레버(50)와; 상기 몸체(10)의 측면에 연결되어 플런저(40)의 후단과 레버(50)의 누름판(51)이 내장되도록 한 조작실(60)로; 구성된 통상의 세척밸브에 있어서,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lever device of the water-saving was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0) consisting of an inlet (11) and an outlet (12); A piston 20 interposed between the inlet 11 and the outlet 12 of the body 10 and having a discharge hole 21 in the center thereof; A rod-shaped stem 30 inserted into the discharge hole 21 of the piston 20 and having a head 31 at an upper end thereof; A rod-shaped plunger 40 vertically installed below the stem 30; A lever 50 integrally formed with a pressing plate 51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end of the plunger 40; It is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body (10) to the operating room 60 to the rear end of the plunger 40 and the pressing plate 51 of the lever 50 is embedded; In a conventional cleaning valve configured,

상기 조작실(60) 내에서 레버(50)의 누름판(51) 선단에 설치되어 누름판(51)이 일측에서만 제어되도록 하는 수량조절부(70)가 설치된다.A water quantity adjusting unit 70 is installed at the tip of the pressing plate 51 of the lever 50 in the operation room 60 so that the pressing plate 51 is controlled at only one side.

상기 수량조절부(70)는 플런저(40)의 확장부 둘레에 헐겁게 끼워지고, 자중에 의해서 항상 하부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 조절편(70)은 레버(50)가 상부로 올려질 때에는 레버(50)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된 누름판(51)의 작동에 방해되지 않아 플런저(40)를 충분히 전진 시키게 되며, 반대로 레버(50)가 하부로 내려질 때에는 레버(50)의 누름판(51)이 조절편(70)에 걸리도록 하여 레버(50)의 누름판(51)이 기울어지는 각도가 한정된다.The water quantity adjusting unit 70 is loosely fitted around the expansion part of the plunger 40 and is always positioned downward by its own weight. The adjustment piece 7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operation of the pressing plate 51 integrally formed at the tip of the lever 50 when the lever 50 is raised upward, thereby sufficiently advancing the plunger 40, and on the contrary, the lever ( When 50 is lowered, the pressing plate 51 of the lever 50 is caught by the adjusting piece 70 so that the angle at which the pressing plate 51 of the lever 50 is inclined is limited.

따라서, 레버(50)가 내려질 때에는 플런저(40)의 전진하는 길이가 짧아짐으로 인하여 스템(30)의 기울기도 작아져 물의 배출량이 작아지게 된다. 그러므로, 조절편(70)을 제작할 때에 이점을 고려하여 수량조절부(70)의 길이를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when the lever 50 is lowered, the forward length of the plunger 40 is shortened, so that the inclination of the stem 30 is also reduced, and the discharge of water is reduc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determine the length of the water quantity adjusting unit 70 in consideration of the advantages when manufacturing the adjusting piece 70.

한편, 상기 수량조절부(70)의 선단에 한개 또는 다수개 설치되어 수량을 미세하게 조절하도록 하는 미세조절부(80)가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one or more are installed at the tip of the water quantity control unit 70 is provided with a fine control unit 80 to finely control the quantity.

미세조절부(80)는 레버(50)가 하향 할 때에 누름판(51)이 수량조절부(70)에 걸려 기울어지는 각도가 현저하게 작게 되는데, 이 기울기는 수량조절부(70)의 길이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링 형상의 미세조절부(80)를 수량조절부(70)의 선단에 삽입 및 제거 함으로써, 소변시 배출되는 세척수의 수량을 미세하게 조절하는 것이다.When the lever 50 is lowered, the fine adjustment unit 80 has an inclination angle of the pressing plate 51 caught by the water quantity control unit 70 significantly smaller, and the inclination is in accordance with the length of the water quantity control unit 70. Different. Therefore, by inserting and removing the ring-shaped fine control unit 80 at the tip of the water quantity control unit 70, it is to finely control the amount of wash water discharged when urine.

따라서, 시공시 장소에 따라 수압의 차이가 나더라도 조절링(80)을 추가 또는 제거하여 배출되는 양을 조절하면 매우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Therefore, even if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water pressure depending on the construction site, it can be installed very easily by adjusting the amount discharged by adding or removing the adjustment ring (80).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절수식 세척밸브의 레버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lever device of the water-saving washing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사용자가 대변을 본 경우에는 많은 양의 물을 배출키기기 위하여 레버(50)를 상부로 들어 올린다. 그러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50)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된 누름판(51)이 기울어 짐과 동시에 누름판(51)과 밀착된 플런저(40)가 전진하게 되고, 플런저(40)의 선단은 스템(30)의 하부를 밀게 된다.First, when the user sees the stool lifts the lever 50 to the top in order to discharge a large amount of water. Then, as shown in FIG. 3A, the pressing plate 51 integrally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lever 50 is inclined, and at the same time, the plunger 40 in close contact with the pressing plate 51 is advanced, and the tip of the plunger 40 is moved. Pushes the bottom of the stem 30.

이때, 피스톤(20)의 배출공(21)의 상단과 스템(30)의 머리부(31) 사이에 틈새가 생기면서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고 있던 세척수가 유입구(11)로부터 유입되고, 이 세척수는 배출공(21)을 통하여 유출구(12)로 배출되며, 배출되는 세척수는 좌변기 내의 대변을 씻어내린다.At this time, the gap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hole 21 of the piston 20 and the head 31 of the stem 30, the washing water maintained a constant pressure is introduced from the inlet 11, this washing water is introduced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21 to the outlet 12, the discharged washing water washes down the feces in the toilet.

그리고, 사용자가 소변을 보았을 경우에는 적은 양의 물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레버(50)를 하부로 내린다. 그러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50)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된 누름판(51)이 기울어 짐과 동시에 누름판(51)과 밀착된플런저(40)가 전진하게 된다.When the user urinates, the lever 50 is lowered to discharge a small amount of water. Then, as shown in FIG. 3B, the pressure plate 51 integrally formed at the tip of the lever 50 is inclined, and the plunger 40 in close contact with the pressure plate 51 is advanced.

이때, 누름판(51)의 하단부가 앞으로 나오면서 기울어지게 되고, 그 선단에 있던 조절편(70)에 의해서 진행에 방해를 받게 된다.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pressing plate 51 is inclined while coming forward, and the progression is hindered by the adjusting piece 70 at its tip.

즉, 조절편(70)과 누름판(51) 사이의 틈새에 해당하는 기울기로 레버(50)가 기울어지기 때문에 플런저(40)가 전진하는 길이가 짧아지게 되며, 이에 따라 밀리는 스템(30)도 그 기울기가 작아지면서 피스톤(20)의 배출공(21) 상면과 스템(30)의 머리부(31) 사이의 틈새도 작아지게 된다.That is, since the lever 50 is inclined at an inclination corresponding to the gap between the adjusting piece 70 and the pressing plate 51, the length of the plunger 40 moving forward is shortened. As the slope becomes smaller, the gap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charge hole 21 of the piston 20 and the head 31 of the stem 30 also becomes smaller.

따라서,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고 있던 세척수가 유입구(11)로부터 유입되고, 이 세척수는 배출공(21)을 통하여 유출구(12)로 배출되며, 배출되는 세척수의 양은 적지만 좌변기 내의 소변을 충분히 씻어내린다.Therefore, the washing water maintained at a constant pressure is introduced from the inlet 11, and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let 12 through the discharge hole 21, and the amount of washing water discharged is small, but the urine in the toilet is sufficiently washed out. .

이와 같이 용변에 따라 선택적으로 레버(50)를 올리고 내려 물을 배출시킴으로써, 물의 낭비를 최소화 하게 된다.As such, by selectively raising and lowering the lever 50 according to the toilet, the water is discharged, thereby minimizing waste of wate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절수식 세척밸브의 레버장치는 대변일 경우에는 레버를 상향시켜 많은 물을 배출시키고, 소변일 경우에는 레버를 하향시켜 적은 물을 배출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용변에 따라 적당한 물을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물의 낭비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ever device of the water-saving was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charges a large amount of water by raising the lever in the case of feces, and discharges a small amount of water by lowering the lever in the case of urine, according to the user's toilet. Since it is possible to discharge the appropriate water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waste of water.

Claims (3)

유입구(11) 및 유출구(12)로 이루어진 몸체(10)와;A body 10 composed of an inlet port 11 and an outlet port 12; 상기 몸체(10)의 유입구(11)와 유출구(12) 사이에 개재되며 그 중앙에 배출공(21)이 형성된 피스톤(20)과;A piston 20 interposed between the inlet 11 and the outlet 12 of the body 10 and having a discharge hole 21 in the center thereof; 상기 피스톤(20)의 배출공(21)에 삽입되어 그 상단에 머리부(31)를 갖는 봉 형상의 스템(30)과;A rod-shaped stem 30 inserted into the discharge hole 21 of the piston 20 and having a head 31 at an upper end thereof; 상기 스템(30)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봉 형상의 플런저(40)와;A rod-shaped plunger 40 vertically installed below the stem 30; 상기 플런저(40)의 후단에 밀착되는 누름판(51)이 일체로 형성된 레버(50)와;A lever 50 integrally formed with a pressing plate 51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end of the plunger 40; 상기 몸체(10)의 측면에 연결되어 플런저(40)의 후단과 레버(50)의 누름판(51)이 내장되도록 한 조작실(60)로; 구성된 통상의 세척밸브에 있어서,It is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body (10) to the operating room 60 to the rear end of the plunger 40 and the pressing plate 51 of the lever 50 is embedded; In a conventional cleaning valve configured, 상기 조작실(60) 내에서 레버(50)의 누름판(51) 선단에 설치되어 누름판(51)이 일측에서만 제어되도록 하는 수량조절부(70)와;A water quantity adjusting unit (70) installed at the tip of the pressing plate (51) of the lever (50) in the operating room (60) so that the pressing plate (51) is controlled at only one side; 상기 수량조절부(70)의 선단에 한개 또는 다수개 설치되어 수량을 미세하게 조절하도록 하는 미세조절부(8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식 세척밸브의 레버장치.One or more installed at the tip of the water quantity control unit 70 to fine control unit 80 to finely control the quantity; Lever device of a water-saving washing valv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량조절부(70)는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조작실(60) 내의 공간보다 작은 길이를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식 세척밸브의 레버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ter amount control unit 70 is made of a semi-circular shape and the lever device of the water-saving washing valve, characterized in that to have a length smaller than the space in the operation room (6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조절부(80)는 링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식 세척밸브의 레버장치.The lever device of a water-saving washing valv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ne adjustment unit (80) is formed of a ring-shaped plate body.
KR2020010028906U 2001-09-19 2001-09-19 Lever of washing valve KR20026271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906U KR200262718Y1 (en) 2001-09-19 2001-09-19 Lever of washing val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906U KR200262718Y1 (en) 2001-09-19 2001-09-19 Lever of washing valv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2718Y1 true KR200262718Y1 (en) 2002-03-18

Family

ID=73082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8906U KR200262718Y1 (en) 2001-09-19 2001-09-19 Lever of washing valv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2718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1186B1 (en) A toilet stool having a check valve for preventing backflowing between bowl and water tank
KR100876951B1 (en) A valve for cleaning a toilet stool
KR200262718Y1 (en) Lever of washing valve
KR200286178Y1 (en) A Fresh Valve For Adjusting The Quantity Of Fresh Water
JP5094873B2 (en) Water-saving Western-style toilet
KR100442447B1 (en) saving water device for toilet bowl
KR100253416B1 (en) A flush valve for water saving
KR20040100181A (en) Water Saving Flush Valve
KR200180468Y1 (en) The difference wash valve for the fecal matter and urine a tool
KR200192272Y1 (en) Device for supplying stool with washing water for vrine
KR200294075Y1 (en) Flush valve
KR200213178Y1 (en) Apparatus for controling volumeof water supply via valves in discriminative water supply between feces and urine in a toilet stool
KR101582074B1 (en) a toilet bowl for saving water
KR200243435Y1 (en) Device for supplying stool with washing water
KR100452052B1 (en) Flush valve for chamber-pot
KR200145150Y1 (en) Manual / automatic urinal flushing flash valve
KR200281618Y1 (en) A fresh valve for adjusting the quantity of fresh water
KR19990007836U (en) Flush Fresh Valve
KR100276050B1 (en) Closet flush valve for water saving
KR200432084Y1 (en) water supply device for cleansing of toilet stool
CN212001445U (en) Toilet bowl from high-efficient mediation function in area
KR20030097196A (en) A Fresh Valve For Adjusting The Quantity Of Fresh Water
CN211359243U (en) Top shower with blowdown function
KR200351205Y1 (en) Urinal cleaning device using step open / close valve
KR200232537Y1 (en) A seat of chamber pot having the urine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