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6076Y1 - 발광액정화면을 갖는 전자기기의 청소기능 악세사리 - Google Patents

발광액정화면을 갖는 전자기기의 청소기능 악세사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6076Y1
KR200286076Y1 KR2020020015655U KR20020015655U KR200286076Y1 KR 200286076 Y1 KR200286076 Y1 KR 200286076Y1 KR 2020020015655 U KR2020020015655 U KR 2020020015655U KR 20020015655 U KR20020015655 U KR 20020015655U KR 200286076 Y1 KR200286076 Y1 KR 2002860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cleaning
body portion
ring
screen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56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석
Original Assignee
이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중석 filed Critical 이중석
Priority to KR20200200156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60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60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6076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광액정화면을 갖는 전자기기의 청소기능 악세사리에 관한 것으로, 일면에 장식미가 표출되고 배면에 청소용 직물이 구비되어 휴대폰(30)이나 PDA(40)의 화면창(31)을 간편하고 깔끔하게 닦아 청소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전자기기(30)에 형성된 화면창(31)을 청소할 수 있는 일면의 청소부(11)와, 광고나 장식이 표현된 장식문양(14)이 새겨진 타면의 문양부(12)와, 이들 사이에 들어가는 내입부(13)를 포함하여 몸체부(10)를 구성하고, 상기 몸체부(10) 일측에 연결공(15)을 관통형성시켜 연결고리(21)을 통해 화면창(31)을 갖는 전자기기(30)에 직접연결되거나 고리부(40)와 함께 상기 전자기기(30)에 연결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광액정화면을 갖는 전자기기의 청소기능 악세사리 {A Accessary For Cleaning A LCD Screen}
본 고안은 청소 기능성이 구비된 발광액정화면을 갖는 전자기기의 청소기능 악세사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면에 장식미가 표출되고 배면에 청소용 직물이 구비되어 휴대폰이나 PDA과 같은 전자기기의 화면창을 간편하고 깔끔하게 닦아 청소할 수 있는 발광액정화면을 갖는 전자기기의 청소기능 악세사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소(Wiper)용 직물은 마이크로 화이버(Micro Fiber)를 소재로 제작된 직물이며, 마이크로 화이버는 폴리아미드와 폴리에스터를 원료로 하는 분할형 복합사(N/P 복합사)와, 폴리에스터와 변형 폴이에스터를 원료로 하는 분할형 복합사(PCP 복합사), 그리고 섬(island) 성분으로 폴리에스터나 폴리아미드를 사용하며 바다(sea) 성분으로는 이용성(易溶性) 폴리머를 활용한 복합사(SIF)와, 0.3 dpf(Denier Per Filament) 이하의 모노 필라멘트(Mono Filament)를 직접방사한 마이크로 화이버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마이크로 화이버로 제작된 청소용 천은 유리, 금속, 합성수지 등의 표면에 존재하는 먼지 등의 이물질에 대한 제거능력이 매우 우수하여 안경, 가전제품, 보석, 휴대전화 등의 청소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통상 청소용 천은 손수건과 같은 크기와 형태로 사용되므로 이에 대한 보관이 매우 불편하며 예컨대, 안경 청소용 직물은 보관시 접어서 안경집에 보관하여야 하며, 텔레비젼 등과 같은 가전제품 청소용 직물 역시 이와 유사한 크기와 형태로 사용이 끝난 후 접어서 임의장소에 보관을 하여야 한다.
즉, 청소용 직물이 안경집에 보관된 경우 안경집은 그 크기가 커서 휴대가 불편하므로 대부분의 사용자가 휴대를 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필요한 때에 청소용 직물을 사용할 수 없다는 불편이 있었다.
특히, 휴대전화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개인용 단말기가 널리 보급되어 상기 단말기의 화면창이 먼지나 지문에 의해 더럽혀짐으로써 청소가 필요하게 되었으나, 기존의 안경닦는 천이나 일반 천을 휴대하여 사용하기에는 번거로우며 일반적 굳이 천을 가져다가 청소를 하지는 않는 경향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불편한 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의 휴대전화나 PDA 등의 개인용 단말기 및 전자계산기와 같은 전자기기에 장식성을 더욱 향상시키면서 청소용 직물의 휴대기능을 부여하여 화면창을 청소하고자 할 때 간편하고 손쉽게 청소할 수 있으면서 광고효과 및 장식효과도 배가시킬 수 있는 발광액정화면을 갖는 전자기기의 청소기능 악세사리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발광액정화면을 갖는 전자기기의 청소기능 악세사리의 분리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발광액정화면을 갖는 전자기기의 청소기능 악세사리의 결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청소기능 악세사리를 고리부에 의해 휴대전화에 체결시킨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청소기능 악세사리를 PDA에 직접 체결시킨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몸체부 11 : 청소부
12 : 문양부 13 : 내입부
14 : 장식문양 15,32 : 연결공
20 : 고리부 21 : 연결고리
22 : 연결끈 23 : 손잡이끈
30 : 전자기기 31 : 화면창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발광액정화면을 갖는 전자기기의 청소기능 악세사리는, 전자기기에 형성된 화면창을 청소할 수 있는 일면의 청소부와, 광고나 장식이 표현된 장식문양이 새겨진 타면의 문양부와, 이들 사이에 들어가는 내입부를 포함하여 몸체부를 구성하고, 상기 몸체부 일측에 연결공을 관통형성시켜 연결고리을 통해 화면창을 갖는 전자기기에 직접연결되거나 고리부와 함께 상기 전자기기에 연결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발광액정화면을 갖는 전자기기의 청소기능 악세사리는 전자기기의 화면창(31)을 청소할 수 있는 일면의 청소부(11)와, 광고나 다종의 장식이 표현된 장식문양(14)이 새겨진 타면의 문양부(12) 및 이들 사이에 들어가는 내입부(13)로 이루어지는 몸체부(10)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0)와 전자기기(30)를 연결시키는 연결끈(22)이 연결형성된 고리부(20)가 연결형성된다.
아울러 청소부(11)는 휴대전화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개인용 단말기 및 전자계산기와 같이 화면창(31)이 구성된 전자기기(30)에 있어서, 공기중의 먼지나 손가락의 지문 등에 의해 더럽혀진 화면창(31)을 닦아 투명하게 깨끗이 청소할 수 있도록 일반 유리나 플라스틱 유리가 잘 닦일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재질로 구성된다.
또한 문양부(12)는 회사나 단체의 광고나 그림 또는 시화 그리고 각종 문양 등의 악세사리 자체로서의 기능을 표현할 수 있는 장식문양(14)을 새겨서 디자인되어지며, PVC(Polyvinyl Chloride)나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재질로 구성되어진다.
그리고 내입부(13)는 청소부(11)와 문양부(12) 사이에 내재되는데, 상기 청소부(11)와는 실에 의한 봉제접합으로 결합되고 상기 문양부(12)와는 고주파가열용접에 의한 용접접합으로 결합형성되어 몸체부(10)를 이루게 된다.
또한 내입부(13)는 청소부(11)의 면을 이용하여 전자기기(30)의 화면창(31)을 닦아 청소할 때 손으로 잡아 닦기 편하게 수축이완되어 부드럽게 청소할 수 있도록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을 재질로 한다.
한편, 고리부(20)는 몸체부(10) 일측에 관통형성된 연결공(15)을 통해 연결되도록 연결고리(21)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고리(21)는 상기 연결공(15)에 연결시킬 수 있도록 풀고 연결되기가 쉬운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고리부(20) 일측에는 전자기기(30)와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끈(22)이 연결형성되며, 상기 연결끈(22)은 하나의 끈의 양단이 그 일측에 연결되는 구조로 상기 전자기기(30)의 연결공(32)에 삽입된 후, 삽입되어 타측으로 나온 상기 연결끈(22)에 고리부(20)와 몸체부(10) 일체가 관통되어 당겨짐으로서 연결된다.
그리고 전자기기(30)와 연결시 손으로 잡기 쉽도록 하는 악세사리 기능구로서의 손잡이끈(23)이 고리부(20) 타측에 연결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끈(23)은 손에 관통되어 잡히기 편하도록 일정한 폭을 갖으면서 그 양단이 상기 고리부(20)에 연결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발광액정화면을 갖는 전자기기의 청소기능 악세사리는 연결고리(21)를 연결공(15)에 관통시켜 체결함으로서 상기 연결고리(21)에 연결되는 고리부(20)와 상기 연결공(15)이 관통형성된 몸체부(10)를 연결시킨다.
또한 고리부(20)의 연결끈(22)을 전자기기(30)의 연결공(32)에 삽입시킨 후 삽입되어, 타측으로 나온 상기 연결끈(22)에 고리부(20)와 몸체부(10) 일체를 관통시켜 당겨짐으로서 상기 몸체부(10)와 상기 전자기기(30)를 연결시킨다.
그리고 평상시 전자기기(30)에 체결되어 악세사리로서의 장식성이 표현되다가 화면창(31)이 공기중의 먼지나 손가락의 지문 등으로 더러워졌을 때에는 몸체부(10)의 청소부(11) 면을 상기 화면창(31)에 맞대고 밀면서 닦게 되면 청소가 말끔히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청소기능 악세사리는 화면창(31)을 청소할 수 있는 청소부(11)와 장식문양(14)이 새겨진 문양부(12)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몸체부(10)를 기본 구성으로 하여 고리부(20)의 사용없이 연결고리(21)를 통해 직접 전자기기(30)에 연결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발광액정화면을 갖는 전자기기의 청소기능 악세사리는, 악세사리 고유의 장식미를 더욱 향상시킴과 동시에 청소용 직물의 휴대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이에 따라 청소용 직물의 보관이나 다시 사용시 찾는 데에 따르는 불편함이 완전히 해소될 수 있는 것은 물론, 다양한 장식문양 및 광고를인쇄 제공함으로써 차별화된 장식기능도 부여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된다.

Claims (1)

  1. 전자기기(30)에 형성된 화면창(31)을 청소할 수 있는 일면의 청소부(11)와, 광고나 장식이 표현된 장식문양(14)이 새겨진 타면의 문양부(12)와, 이들 사이에 들어가는 내입부(13)를 포함하여 몸체부(10)를 구성하고, 상기 몸체부(10) 일측에 연결공(15)을 관통형성시켜 연결고리(21)을 통해 화면창(31)을 갖는 전자기기(30)에 직접연결되거나 고리부(40)와 함께 상기 전자기기(30)에 연결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액정화면을 갖는 전자기기의 청소기능 악세사리.
KR2020020015655U 2002-05-22 2002-05-22 발광액정화면을 갖는 전자기기의 청소기능 악세사리 KR2002860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655U KR200286076Y1 (ko) 2002-05-22 2002-05-22 발광액정화면을 갖는 전자기기의 청소기능 악세사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655U KR200286076Y1 (ko) 2002-05-22 2002-05-22 발광액정화면을 갖는 전자기기의 청소기능 악세사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6076Y1 true KR200286076Y1 (ko) 2002-08-21

Family

ID=73076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5655U KR200286076Y1 (ko) 2002-05-22 2002-05-22 발광액정화면을 갖는 전자기기의 청소기능 악세사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607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053B1 (ko) * 2023-03-06 2023-10-19 (주)와이앤엘 회전에 의한 투시창 자동청소 기능이 구비된 빔 프로젝터 하우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053B1 (ko) * 2023-03-06 2023-10-19 (주)와이앤엘 회전에 의한 투시창 자동청소 기능이 구비된 빔 프로젝터 하우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57921A1 (en) Cleaner case
KR200286076Y1 (ko) 발광액정화면을 갖는 전자기기의 청소기능 악세사리
KR20090051720A (ko) 휴대용 안경닦이
JP3146997U (ja) 携帯ストラップ
KR20100004967U (ko) 클리너가 구비된 휴대용 장신구
KR100702539B1 (ko) 휴대용 악세사리
JP3179218U (ja) クリーナー機能付きイヤホン収納袋
KR200326363Y1 (ko) 이동통신기기 장신구 겸용 청소용구
KR200409083Y1 (ko) 야광식 휴대폰 액정클렌져
KR200289633Y1 (ko) 휴대폰의 화면 크리너
US10362840B1 (en) Deployable flag bracelet
KR200326805Y1 (ko) 이동통신 기기용 악세사리 겸용 화면 클리너
KR20030082520A (ko) 이동통신 기기용 악세사리 겸용 화면 클리너
CN215773212U (zh) 一种具有清洁功能的手机挂绳
KR200259081Y1 (ko) 닦이수건이 겸비된 다용도 주머니
KR200425723Y1 (ko) 핸드스트랩
JP2003046623A (ja) 携帯電話用カバー
KR200437890Y1 (ko) 크리너가 구비된 악세사리용 장신구
KR200279979Y1 (ko) 핸드폰용 악세사리
CN211596174U (zh) 一种具有防雾效果的纱线及其应用的衣领
JP3125188U (ja) 指サック様袋型めがね拭き(クリーナー)の連結
KR200330411Y1 (ko) 핸드폰 클리너
JP3087308U (ja) 携帯用ストラップ
CN2172964Y (zh) 一种具有标示牌的服装
CN216670512U (zh) 一种多功能手表玻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