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6004Y1 - 세면기로부터 버려지는 물의 집수재활용을 위한 집수통 - Google Patents

세면기로부터 버려지는 물의 집수재활용을 위한 집수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6004Y1
KR200286004Y1 KR2020020014148U KR20020014148U KR200286004Y1 KR 200286004 Y1 KR200286004 Y1 KR 200286004Y1 KR 2020020014148 U KR2020020014148 U KR 2020020014148U KR 20020014148 U KR20020014148 U KR 20020014148U KR 200286004 Y1 KR200286004 Y1 KR 2002860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mp
container
open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41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우곤
Original Assignee
전우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우곤 filed Critical 전우곤
Priority to KR20200200141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60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60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6004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세면기로부터 버려지는 물을 집수하여 변기세척수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집수통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즉, 집수통(100) 내면 일측에 직수 공급개폐용 볼탑(220)이 설치된 직수공급통(200)을 설치하므로서 집수통(100) 내에 저장부(130)가 구성되게 하고, 상기 직수공급통(200) 일측에는 제1격실(330)과 제2격실(340)로 구성된 침전통(300)을 분리 가능케 설치하고, 침전통(300) 일측 상부에는 유입관(150)과 배출관(151)을 구성하고, 상기 유입관(150)과 배출관(151) 직하방에는 받침판(120)을 설치하고, 상기 받침판(120) 윗쪽에는 선택레버(163)의 개폐되는 개폐판(160)을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세면기로부터 버려지는 물의 집수재활용을 위한 집수통{Water collecting box for reusing wastewater from washbowl}
본 고안은 주로 가정의 욕실이나 화장실에 설치된 세면기로부터 사용후 버려지는 물을 별도의 집수통에 집수 저장되게 하였다가 변기 세척수로 재활용케 한 집수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독 주택이나 아파트와 같은 가정에서는 욕실과 화장실을 겸한 세면장이 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세면장에 설치된 세면기로부터 사용되어진 물은 하수관을 통하여 버려지고 있으며, 또한 변기 사용 후 변기 세척수로 사용되는 세척수도 집수통에 저장된 양질의 상수도 물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많은설비 비용과 제조경비를 들여 생산한 양질의 수도물이 한 번 사용하고 버려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이를 개량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출원인이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2002-8398호로 선출원한 집수재활용 장치가 제공된 바 있다.
즉, 도9에서와 같이 세면기로부터 버려지는 물을 집수하여 변기 세척수로 사용하기 위한 집수재활용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변기의 본체 상에 집수통(20)을 고정 설치하되, 집수통(20) 하단에 구성된 배출관(22)이 변기의 세척수 유입구와 연결되게 하고, 상기 집수통(20) 내면에는 횡으로 설치된 격판(23)(23') 및 덮개(24)에 의해 윗쪽에는 예비 저장통(50)이 구성되게 하고, 아랫쪽에는 저장통(40)이 구성되게 하되, 상기 저장통(40) 바닥에 구성된 배출관(22) 입구에는 개폐레버에 의해 작동하는 개폐마개(41)를 구성하고, 예비 저장통(50) 일측에는 직수공급통(60)을 설치하되, 직수공급통(60) 내에는 직수공급 개폐용 볼탑(62)을 구성하여 직수공급관을 통하여 직수공급통(60)으로 유입되는 직수의 공급과 차단이 이루어지게 하고, 직수공급통(60) 일측에는 수압에 의해 개폐작동하는 마개(64)를 연결하고, 예비 저장통(50)과 저장통(40) 사이에는 재활용수가 유입될 수 있는 공급공(52)을 구성하고, 상기 예비 저장통(50) 상부 일측에는 배수관(54)과 유입관(53)이 연결 구성되게 하되, 유입관(53)은 세면기 직하방에 구성된 하수관과 연결되게 하고, 배수관(54)은 유입관(53)이 연결된 하수관 아랫쪽에 연결되게 하므로서 세면기로부터 버려지는 물이 집수통(20)에 집수되게 하였다가 변기 세척수로 재활용 가능케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의 재활용 장치는 주로 가정에 설치된 세면기로부터 버려지는 물을 집수통에 집수 저장되게 하였다가 양질의 물을 필요로 하지 않는 변기 세척수으로 재활용케 하므로서 변기 세척수로 사용되는 재활용수의 량만큼 직수를 절감할 수 있게 되므로 그 만큼 상수도 요금을 절약할 수 있어 가정경제에 도움이 되고, 또한 예상되는 물 부족현상의 해결방안 중 하나의 수단으로 활용케 하면서 자원의 낭비를 방지함과 동시에 양질의 정수된 물 생산에 따른 비용과 인력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의 재활용 장치는 사용중 재활용수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이 직수공급통(60)과 예비저장통(50)를 차단하는 마개(64) 사이에 끼이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될 우려가 있고, 이러한 경우 직수가 예비 저장통(50)으로 역류되어 재활용수의 사용을 제한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물질의 유입방지 수단이 없기 때문에 마개(42) 이외에도 세척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개폐마개(41) 부분에 이물질이 끼이게 되면 지속적인 누수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야기될 우려가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시정하고자 세면기로부터 버려지는 물의 집수재활용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구성을 간단히 하면서 집수통으로 유입되는 재활용수에 함유된 이물질이 충분히 제거된 다음 집수통 내에 구성된 저장부로 유입 저장되게 하였다가 사용케 하므로서, 이물질 유입에 따른 폐단을 방지케 하며, 또한 선택레버의 편리한 조작에 의해 재활용수의 유입과 배출이 선택될 수있게 함과 동시에 간단한 구성으로 이들 장치를 구성케 한 것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 변기로 흘러내리는 세척수의 량을 조절 가능케 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집수재활용 장치를 위한 집수통을 구성함에 있어서, 집수통 내에 집수공급통을 일체형으로 구성하고, 상기 집수공급통 일측에는 침전통을 분리 가능케 설치하므로서 집수통 내면 일측에 저장부가 구성되게 하며, 침전통 상부 일측에는 받침판을 집수통 측판으로부터 돌출되게 구성하되, 받침판 직상부에는 유입관과 유출관이 결합 구성되게 하며, 상기 유입관은 세면기의 하단과 연결되게 하고, 배출관은 하수관과 연결 구성되게 한다.
또한 침전통 일측 상부에는 개폐판을 회전 가능케 설치하되 상기 개폐판은 작동봉과 연결된 선택레버에 의해 받침판과 접하거나 분리되게 하므로서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재활용수가 침전통으로 유입되거나 배출관으로 배수되게 한다.
상기 집수통을 사용함에 있어서, 집수통으로부터 흘러내리는 세척수의 량을 조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집수통 내에 설치된 침전통을 유지시키거나 분리시키므로서 집수통으로부터 흘러내리는 세척수의 량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한 구성의 집수통을 일반 가정의 변기에 설치된 저장통을 분리시킨 후 저장통의 위치에 집수통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도 1 : 본 고안을 절단한 상태의 사시도.
도 2 : 도1의 상태에서 덮개를 분리한 상태도.
도 3 : 본 고안의 내부 평면 상태도.
도 4 : 본 고안의 단면 구성도(직수공급통 부분).
도 5 : 본 고안의 단면 구성도(침전통 부분).
도 6 : 본 고안의 일부 파절 상태 정면 구성도.
도 7 : 본 고안의 평면 구성도.
도 8 :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 9 : 종래 집수통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집수통 (110)--본체
(120)--덮개 (121)--집수조
(122)--개폐변 (126)--받침판
(130)--저장부 (140)--배출관
(141)--공기유입관 (142)--개폐마개
(143)--연결줄 (150)--유입관
(151)--배출관 (160)--개폐판
(161)--연결줄 (162)--작동봉
(163)--선택레버 (200)--직수공급통
(210)--구획판 (220)--직수공급 개폐용 볼탑
(230)--직수공급관 (240)(241)--직수공급 호스
(300)--침전통 (310)--요입부
(320)--격판 (321)--관통공
(330)--제1격실 (340)--제2격실
(350)--차단판 (351)--걸름망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집수재활용을 위한 집수통(100)의 내부구성을 알 수 있도록 절단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2는 일부 단면 사시도로서, 집수통(100)은 본체(110) 상면에 덮개(120)를 결합 구성하되, 덮개(120) 일측에는 집수조(121)를 구성하고, 상기 집수조(121) 바닥에는 개폐변(122)이 구성되어 있다.
집수통(100) 내면 일측에는 구획판(210)을 집수통(100)의 본체(110)와 일체형으로 구성되게 하므로서 직수공급통(200)이 형성되게 하고, 직수공급통(200)에는 직수공급 개폐용 볼탑(220)이 설치된 직수공급관(230)이 설치되어 있고, 일측 구획판(210)에는 직수공급호스(240)(241)가 설치되어 있고, 일측 직수공급호스(241)는 다소 길게 구성되어 있다.
직수공급통(200) 일측에는 도3에서와 같이 별도로 제작되어 분리 가능케 구성된 침전통(300)을 끼워 침전통(300)이 직수공급통(200)을 구성하는 구획판(210)과 집수통(100)의 본체(110) 사이에 위치케 한다.
상기 침전통(300)은 일측에 도5에서와 같이 요입부(310)가 형성되게 하되, 요입부(310) 직상부에는 집수통(100)의 본체(110) 내면에 일체형으로 돌출된 받침판(126)이 위치되게 한다.
침전통(300) 내에는 관통공(321)이 뚫린 격판(320)을 구성하여 좌우에 제1격실(330)과 제2격실(340)이 각각 분리 구성되게 하고, 제2격실(340) 일측에는 걸림망(341)이 형성된 차단판(350)이 결합 구성되어 있다.
집수통(100) 내면 일측에 일체형으로 구성된 직수공급통(200)과, 분리 가능케 구성된 침전통(300)이 구성되게 하므로서 집수통(100) 내에는 별도의 저장부(130)가 형성되게 한다.
상기 저장부(130) 바닥에는 배출관(140)과 공기유입관(141)을 결합 구성하되, 배출관(140) 상부에는 개폐마개(142)가 개폐 가능케 구성되어 있다.
개폐마개(142)는 연결줄(143)을 통하여 작동레버(144)와 연결되게 하므로서 작동레버(144)를 회전시키면 연결줄(143)이 당겨지면서 개폐마개(142)가 개폐되게 구성되어 있다.
집수통(100)의 본체(110) 내측으로 돌출 구성된 받침판(120) 직상부에는 유입관(150)과 배출관(151)이 결합 구성되게 하고, 받침판(120)의 윗쪽에 구성되는 직수공급통(200)의 구획판(210)과 집수통(100)의 본체(110) 사이에는 개폐판(160)을 축핀으로 결합하여 회전 가능케 설치하되 개폐판(160)의 하단부가 받침판(120) 상면과 접하게 한다.
상기 개폐판(160)은 연결줄(161)을 통하여 작동봉(162)과 연결되게 하고, 상기 작동봉(162)은 본체(110) 일측에 설치된 선택레버(163)와 연결되게 하므로서 선택레버(163)를 회전시키면 개폐판(160)이 선택적으로 개폐되게 한다.
이때 개페판(160)을 개방하고자 할 경우에는 선택레버(163)를 하향 회전시켜 개폐판(160)이 개방되게 한 다음 선택레버(163)를 별도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되게 하면 된다.
상기에서 고정수단은 선택레버(163)를 하향 회전시킨 다음 본체(110) 상에 축핀(도시 안됨) 등을 결합하여 선택레버(163)가 원복되는 것을 방지케 하면 된다.
미 설명부호 (400)은 변기, (410)은 세면기, (420)은 하수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8에서와 같이 이미 설치되어 있는 변기(400)의 배면 직상부에 설치한 다음 집수통(100)에 구성된 유입관(150)은 세면기(410) 하단부와 연결되게 하고, 배출관(151)은 하수관(420)과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는 것은 종래와 같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집수통(100)은 세면기(410)로부터 사용후 버려지는 물이 유입관(150)을 통하여 집수통(100) 내에 구성된 받침판(126)상으로 유입된다.
이때 받침판(126) 상에 위치하는 개폐판(160)은 개폐판(160)의 단부가 받침판(126)으로부터 상승하여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재활용수는 받침판(126)을 따라 흘려내리면서 침전통(300)의 제1격실(330) 내로 유입 충전된다.
재활용수가 제1격실(330)에 유입되어 충전 완료되면 격판(320)에 뚫린 관통공(321)을 통하여 제2격실(340)로 유입 충전되고, 제2격실(340)에 재활용수가 충전완료되면 제2격실(340)의 차단판(350)에 구성된 걸름망(351)을 통하여 집수통(100)의 저장부(130)로 유입 충전된다.
이때 재활용수가 침전통(300)의 제1격실(330)과 제2격실(340)을 지나면서 이물질 등은 아래로 낙하하여 침전되므로 이물질이 저장부(130) 내로 유입되어 개폐마개(142)의 작동을 방해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집수통(100)의 저장부(130)에 재활용수의 충전이 완료된 상태에서 세척수로 사용하고자 작동레버(144)를 하향 회전시키면 연결줄(143)이 당겨지면서 개폐마개(142)를 개방시키게 되므로 배출관(140)을 통하여 재활용수가 배수되면서 변기 세척수로 사용된다.
저장부(130)에 충전된 물이 배수되면서 빈 공간부에는 세면기(410)에서 사용하는 물이 다시 유입관(150) 및 침전통(300)을 경유하여 저장부(130)로 유입 충전되어 다음 사용을 대기하게 된다.
이때 저장부(130)에 충전된 재활용수의 사용후 세면기(410)로부터 재활용수가 공급되지 않으면 직수공급통(200)에 채워진 직수가 상부에 위치한 직수공급관(240)을 통하여 저장부(130)로 공급되어 충진되므로 사용에는 별 문제가 되지 않는다.
상기에서 직수공급통(200)에 채워진 물이 신속히 저장부(130)로 유입되게 하기 위하여는 집수통(100)의 본체(110) 내측면 상단 걸림편(242)에 고정되어 있는 일측 직수공급호스(241)을 벗겨 하향 위치케 하면 직수공급통(200)의 물이 신속히 저장부(130)로 충전된다.
직수공급통(200) 내의 직수공급은 직수공급 개폐용 볼탑(220)의 작동에 의해 항상 일정량의 직수가 보충된다.
상기한 상태의 집수통(100)은 집수통(100) 내에 충전되는 물의 양이 약 9ℓ의 세척수로서 부족하거나 세척수량을 늘이고자 할 경우에는 직수공급통(200) 일측에 끼워 설치된 침전통(300)을 분리시키면 침전통(300)의 부피만큼의 물량이 증가되므로 결국 보다 많은 량의 세척수를 흘러내릴 수 있게 되며, 이때 량은 약 13ℓ이다.
또한 집수통(100)의 사용 중 유입관(150)을 통하여 유입되는 재활용수를 집수통(100)의 저장부(130)로 충전 재활용하지 않고 바로 배수시키고자 할 경우에는하향 회전하여 고정된 선택레버(163)를 원복시키면 작동봉(162)이 하향 회전하고, 따라서 개폐판(160)이 도5에서와 같이 원복하면서 받침판(126)과 접하게 되고, 따라서 유입된 재활용수는 개폐판(160)에 의해 차단되므로 저장부(130)로 유입되지 못하고 배출관(151)을 통하여 하수관(420)으로 배수된다.
덮개(120) 상에 구성된 집수조(121)는 경우에 따라 재활용수를 유입관(150)을 통하여 공급되게 하지 않고, 직접 집수조(121)에 물을 버리면 집수조(121) 바닥에 구성된 개페변(122)을 통하여 아래로 낙하, 침전통(300)으로 공급되고, 침전통(300)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다음 집수통(100)의 저장부(130)부로 이송 저장되며, 이러한 경우에는 세면기(410)를 통하여 버려지는 물이 아닌, 다른 곳에서 사용후 버려지는 물을 용이하게 재활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집수통 내에 이물질 제거기능이 부가된 침전통을 집수통 내에 설치하여 집수통 내로 유입 충전되는 재활용수를 정화시킨 다음 집수통으로 유입되게 하므로서 이물질에 의한 문제를 해결케 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변기 내에 보다 많은 량의 세척수를 흘러내리고자 할 경우에는 집수통으로부터 침전통을 분리시키면 되므로 필요에 따라 편리하게 선택 사용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일측에 설치된 개페판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재활용수의 유입과 배수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집수통을 제작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제작비용이 저렴한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세면기로부터 사용후 버려지는 물을 집수 재활용하기 위한 장치에 사용되는 집수통을 구성함에 있어서, 집수통(100) 내면 일측에 직수공급 개폐용 볼탑(220)이 설치된 직수공급통(200)을 일체형으로 구성되게 하므로서 저장부(130)가 구성되게 하고, 상기 직수공급통(200)의 일측 구획판(210)에는 직수공급호스(240)(241)을 연결 설치하고, 직수공급통(200) 일측에는 제1격실(330)과 제2격실(340)로 구획 구성된 침전통(300)을 분리 가능케 설치하고, 침전통(300) 일측 상부에 위치하는 집수통(100)의 본체(110)에는 유입관(150)과 배출관(151)을 설치하되, 상기 유입관(150)을 통하여 재활용수가 집수통(100)으로 유입되게 하고, 배출관(151)을 통하여서는 재활용수가 배수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로부터 버려지는 물의 집수 재활용을 위한 집수통.
  2. 제1항에 있어서, 유입관(150)과 유출관(151)이 결합된 집수통(100)의 본체(110) 직하방에는 받침판(126)을 일체형으로 돌출 구성하고, 상기 받침판(126) 직상부에는 선택레버(163)에 의해 개폐 작동하는 개폐판(160)을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로부터 버려지는 물의 집수재활용을 위한 집수통.
KR2020020014148U 2002-05-09 2002-05-09 세면기로부터 버려지는 물의 집수재활용을 위한 집수통 KR2002860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4148U KR200286004Y1 (ko) 2002-05-09 2002-05-09 세면기로부터 버려지는 물의 집수재활용을 위한 집수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4148U KR200286004Y1 (ko) 2002-05-09 2002-05-09 세면기로부터 버려지는 물의 집수재활용을 위한 집수통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9974A Division KR20030087901A (ko) 2002-09-27 2002-09-27 세면기로부터 버려지는 물의 집수재활용을 위한 집수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6004Y1 true KR200286004Y1 (ko) 2002-08-22

Family

ID=73122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4148U KR200286004Y1 (ko) 2002-05-09 2002-05-09 세면기로부터 버려지는 물의 집수재활용을 위한 집수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60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9971A (ko) * 2017-04-26 2018-11-05 최형옥 물 재활용 세면대 배수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9971A (ko) * 2017-04-26 2018-11-05 최형옥 물 재활용 세면대 배수 장치
KR101964738B1 (ko) 2017-04-26 2019-04-03 최형옥 물 재활용 세면대 배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4984Y1 (ko) 양변기용 세면수 재활용 장치
CN201406715Y (zh) 节水洗脸盆
KR200484308Y1 (ko) 세면수(水) 재활용 변기세척밸브절수장치
KR200286004Y1 (ko) 세면기로부터 버려지는 물의 집수재활용을 위한 집수통
KR100673818B1 (ko) 세면수 정화식 절수형 양변기
KR100225965B1 (ko)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KR20030087901A (ko) 세면기로부터 버려지는 물의 집수재활용을 위한 집수통
CN201103148Y (zh) 一种废水再利用装置
KR200279950Y1 (ko) 세면기로부터 버려지는 물의 집수 재활용장치
KR101907308B1 (ko) 생활폐수를 재활용하는 수세식 변기
CN2905918Y (zh) 用于楼房的节水箱式盥洗台
CN201078023Y (zh) 厕所洗手水自动冲厕装置
KR100280662B1 (ko) 수세식변기용 재활용수 저장탱크
JP3116422U (ja) 排水供給切替装置
KR200286094Y1 (ko) 세면기로부터 버려지는 물의 집수재활용장치
KR102375529B1 (ko) 세면수 재활용 절수기
CN202865931U (zh) 卫生间废水利用装置
KR200191217Y1 (ko) 수돗물 사용수를 세척수로 이용할 수 있는 수세식변기절수장치
CN2898125Y (zh) 多功能家庭废水利用装置
CN2460576Y (zh) 卫生间地面废水集水槽
KR100730911B1 (ko) 절수식 세면대
KR100397073B1 (ko) 간이수세식 변기를 사용하는 이동화장실용 물 공급장치
KR960002952Y1 (ko) 절수형 변기 저수조
KR200246240Y1 (ko) 싱크대용 이중수도장치
CN2832934Y (zh) 生活废水再利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1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