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893Y1 - Glass furnace - Google Patents

Glass furna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893Y1
KR200285893Y1 KR2020020015444U KR20020015444U KR200285893Y1 KR 200285893 Y1 KR200285893 Y1 KR 200285893Y1 KR 2020020015444 U KR2020020015444 U KR 2020020015444U KR 20020015444 U KR20020015444 U KR 20020015444U KR 200285893 Y1 KR200285893 Y1 KR 2002858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lter
glass
cover block
melting furnace
molten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544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광희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초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초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전기초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154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89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8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893Y1/en

Links

Landscapes

  • Furnace Charging Or Discharg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상의 유리원료를 가열하여 액상의 용융유리로 형성하는 멜터를 갖는 유리용융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멜터의 저부면에는 상기 멜터의 양측면과 상기 저부면이 상호 접하는 모서리영역으로부터 상기 용융유리의 진행방향을 따라 상기 저부면의 중앙영역으로 상호 대향하게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멜터의 저부층에 포함된 이질유리가 후공정인 성형장치로 제공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lass melting furnace having a melter that heats a solid glass raw material to form a liquid molten glass, wherein the bottom surface of the melter is formed from a corner region where both side surfaces of the melter and the bottom surfac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surface is inclined downward to the center region of the bottom surface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Thereby, it can prevent that the heterogeneous glass contained in the bottom layer of a melter is provided to the shaping | molding apparatus which is a post process.

Description

유리용융로{GLASS FURNACE}Glass Melting Furnace {GLASS FURNACE}

본 고안은, 유리용융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멜터의 저부면의 구조를 개선한 유리용융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lass melting furna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glass melting furnac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of a bottom surface of a melter.

유리용융로는 고상의 유리원료를 용융하는 멜터와, 멜터 내의 용융유리를 청징하는 리파이너와, 용융유리를 성형장치로 공급시키기 위한 유리공급부를 갖는다.The glass melting furnace has a melter for melting a solid glass raw material, a refiner for clarifying the molten glass in the melter, and a glass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molten glass to a molding apparatus.

멜터는 버너에 의해 용융되는 용융유리를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부벽, 저부벽 및 측벽으로 이루어진 덕트형상을 갖는다. 상부벽, 저부벽 및 측벽은 각기 열전도가 우수한 내화벽돌로 형성되어 있다. 이 중, 상부벽은 멜터 내의 온도관리를 위해 아치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melter has a duct shape consisting of a top wall, a bottom wall and a side wall to form a receiving space for the molten glass melted by the burner. The upper wall, the bottom wall and the side wall are each formed of a firebrick having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Among these, the upper wall is arcuate for temperature management in the melter.

이러한 멜터는 고상의 유리원료를 가열시켜 액상의 용융유리로 형성하고 이를 유리공급부를 통해 성형장치로 제공함으로써, 성형장치에 의해 유리제품이 양산될 수 있도록 한다.Such a melter forms a molten glass of a liquid by heating a solid glass raw material and provides it to a molding apparatus through a glass supply unit, so that a glass product can be mass produced by the molding apparatus.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유리용융로에 있어서는, 멜터의 상부벽 및 측벽 구조물에서 발생하여 용융유리 속으로 함유된 이질유리가 비교적 쉽게 성형장치로 공급됨으로써 성형되는 유리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glass melting furna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heterogeneous glass generated in the upper wall and the sidewall structure of the melter and contained in the molten glass is relatively easily supplied to the molding apparatus, thereby degrading the quality of the glass product to be molded.

즉, 통상의 멜터 상부벽은 실리카 성분을 내재한 내화벽돌로 형성되는데, 멜터 내의 용융유리는 비교적 고온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멜터의 상부벽은 자연히 침식되면서 흘러내려 측벽의 내화벽돌과 침식 반응하여 이물질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이물질은 그 밀도 및 점성이 높은 관계로 용융유리의 저부층으로 가라앉아 이질유리를 형성하게 된다.That is, a typical melter upper wall is formed of a refractory brick incorporating silica. The molten glass in the melter maintains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and as time passes, the upper wall of the melter naturally erodes and flows down to the refractory brick of the side wall. Erosion reaction will generate foreign substances. Such foreign matter sinks to the bottom layer of the molten glass due to its high density and viscosity, and forms foreign glass.

그러나, 종래에는 용융유리의 저부층에 포함된 이질유리의 유동을 저지하는 별도의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이질유리가 유리공급부를 통해 성형장치로 쉽게 공급되어 성형되는 유리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re is no conventional means for preventing the flow of the heterogeneous glass contained in the bottom layer of the molten glass, so that the problem of deteriorating the quality of the glass product is that the heterogeneous glass is easily supplied to the molding apparatus through the glass supply unit. have.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멜터의 저부층에 포함된 이질유리가 후공정인 성형장치로 제공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도록 한 유리용융로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lass melting furnace that can prevent foreign glass contained in the bottom layer of a melter from being provided to a molding apparatus which is a post-process.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멜터의 저부층에 포함된 이질유리를 외부로 배출하여 후공정인 성형장치로 제공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양산되는 유리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유리용융로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lass melting furnace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the glass product produced by preventing the dissimilar glass contained in the bottom layer of the melter to be provided to the molding apparatus, which is a post-process. .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리용융로의 개략적인 평면도,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glass melting furna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멜터의 개략적인 횡단면도,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melter shown in FIG. 1;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2;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멜터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4 is a schematic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melt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2 : 리파이너 14 : 유리공급부12: refiner 14: glass supply unit

18 : 성형장치 20 : 버너18: forming apparatus 20: burner

30 : 멜터 33 : 저부벽30 melter 33 bottom wall

33a,33b : 경사면 34 : 함몰부33a, 33b: slope 34: depression

36 : 드레인홀 38 : 커버블럭36: drain hole 38: cover block

40 : 액츄에이터40: Actuator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고상의 유리원료를 가열하여 액상의 용융유리로 형성하는 멜터를 갖는 유리용융로에 있어서, 상기 멜터의 저부면에는 상기 멜터의 양측면과 상기 저부면이 상호 접하는 모서리영역으로부터 상기 용융유리의 진행방향을 따라 상기 저부면의 중앙영역으로 상호 대향하게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용융로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glass melting furnace having a melter for heating the solid glass raw material to form a liquid molten glass, the bottom surface of the melter in the corner region where both sides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melter contact each other It is achieved by the glass melting furna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surface inclined downward from each other to the central region of the bottom surface from the direction of the molten glass from.

여기서, 상기 경사면이 상호 맞닿는 상기 저부면의 중앙영역에는 적어도 일부구간에 걸쳐 상기 저부면으로부터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이질유리의 유동을 저지하는데 보다 바람직하다.Here, it is more preferable for the recessed portion recessed from the bottom surface to be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central region of the bottom surface where the inclined surfaces abut each other to prevent the flow of heterogeneous glass.

상기 멜터의 저부벽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드레인홀을 더 마련하여 함몰부와 연통시킨다면 이질유리를 외부로 배출하는 또 따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f further through the bottom wall of the melter to provide a drain hole exposed to the outside to communicate with the depression can provide an additional effect of discharging the foreign glass to the outside.

이 때, 상기 드레인홀의 개구를 개폐하는 커버블럭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커버블럭을 구동하는 커버블럭구동부와 소정의 조건에 의해 상기 커버블럭구동부를 작동 및 작동해제시키는 제어부를 더 마련할 수도 있다.The cover block may further include a cover block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of the drain hole, and a cover block driver for driving the cover block and a control unit for activating and deactivating the cover block driver by a predetermined condition may be further provided. .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각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며 동일구성에 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nfiguration.

예를 들어, 음극선관과 같은 유리제품을 성형하는 유리용융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상의 유리원료를 공급받아 가열함으로써 액상의 용융유리로 형성시키는 멜터(30)와, 용융유리 속의 불순물을 청징하거나 제거시켜 양질의 용융유리를 만드는 리파이너(12)와, 멜터(30)와 리파이너(12) 사이에 개재되어 멜터(30) 내의 용융유리를 소정의 온도로 냉각시킴으로써 용융유리를 균질화시키는 병목연결부(10)와, 리파이너(12)와 상호 연통되게 배치되어 성형작업조건에 적합한 유리상태가 되도록 용융유리를 가열, 냉각 및 교반하여 유리제품 성형장치(18)로 제공하는 유리공급부(14)를 갖는다.For example, a glass melting furnace for molding a glass product, such as a cathode ray tube, as shown in Figure 1, a melter 30 to form a liquid molten glass by receiving and heating a solid glass raw material, and impurities in the molten glass Bottleneck for homogenizing the molten glass by interfacing between the refiner 12 and the melter 30 and the refiner 12 to clarify or remove the molten glass by cooling the molten glass in the melter 30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 glass supply unit 14 which is disposed in communication with the connecting portion 10 and the refiner 12 to heat, cool, and stir the molten glass to a glass state suitable for molding operation conditions is provided to the glass product forming apparatus 18. Have

유리공급부(14)는 리파이너(12)와 결합되어 청징된 용융유리의 유로를 형성하는 피더(16)와, 피더(16)의 단부에 결합되어 일정량의 용융유리(유리 고브(Gob)라 함)를 성형장치(18)로 제공하는 보울(17)을 갖는다.The glass supply unit 14 is combined with the refiner 12 to form a flow path of the clarified molten glass, and a certain amount of molten glass (referred to as a glass gob) coupled to an end of the feeder 16. It has a bowl 17 for providing to the molding apparatus 18.

멜터(30)의 양측에는 멜터(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간격을 두고 복수의 가열포트(19)가 형성되어 있다. 각 가열포트(19)에는 원료공급부(15)를 통해 멜터(30) 내로 유입된 고상의 유리원료를 가열시키기 위한 버너(20)가 마련되어 있다. 멜터(30)의 양측에는 버너(20)가 점화되었을 경우, 버너(20)로 연소공기를 공급하거나 멜터(30) 내에서 발생된 폐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한 쌍의 축열실(22)이 마련되어 있다.A plurality of heating ports 19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melter 30 at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elter 30. Each heating port 19 is provided with a burner 20 for heating the solid glass raw material introduced into the melter 30 through the raw material supply unit 15. When the burner 20 is ignited at both sides of the melter 30, a pair of heat storage chambers 22 are provided to supply combustion air to the burner 20 or to discharge waste gas generated in the melter 30 to the outside. It is prepared.

멜터(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너(20)에 의해 용융되는 용융유리를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부벽(31), 저부벽(33) 및 측벽(32)으로 이루어진 덕트형상을 갖는다. 상부벽(31), 저부벽(33) 및 측벽(32)은 각기 열전도가 우수한 내화벽돌로 이루어져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melter 30 includes an upper wall 31, a bottom wall 33, and a side wall 32 to form a receiving space for the molten glass melted by the burner 20. It has a duct shape. The upper wall 31, the bottom wall 33 and the side wall 32 are each made of a firebrick having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상부벽(31)은 멜터(30) 내의 온도관리를 위해 거의 아치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멜터(30)의 상부 양측에서 멜터(30)의 중앙영역으로 분사하는 버너(20)의 화염이 중앙으로 집중될 수 있도록 멜터(30)의 상부벽(31)은 아치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upper wall 31 is made almost arcuate for temperature management in the melter 30. That is, the upper wall 31 of the melter 30 has an arcuate shape so that the flames of the burner 20 spraying from the upper both sides of the melter 30 to the center region of the melter 30 can be concentrated in the center.

측벽(32)은 상부벽(31)의 양측에 수직되게 배치되어 있으며, 측벽(32)의 하부에는 거의 평탄하게 형성되어 멜터(30)의 바닥인 저부면을 형성하는 저부벽(33)이 마련되어 있다. 저부벽(33)은 용융유리가 직접 접촉되는 부분이므로 상부벽(31) 및 측벽(32)에 비해 그 두께가 두껍게 제조된다.The side wall 32 is disposed perpendicular to both sides of the upper wall 31, and the bottom wall 33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ide wall 32 to form a substantially flat surface to form a bottom surface of the melter 30. have. Since the bottom wall 33 is a portion where the molten glass is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the bottom wall 33 is made thicker than the top wall 31 and the side wall 32.

멜터(30)의 저부면에는 소정의 경사면(33a,33b)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33a,33b)은 멜터(30)의 양측면과 저부면이 상호 접하는 양 모서리영역으로부터 저부면의 중앙영역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경사면(33a,33b)은 용융유리의 진행방향을 따라 중앙영역에서 상호 대향된 한 쌍으로 형성된다.Predetermined inclined surfaces 33a and 33b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elter 30. The inclined surfaces 33a and 33b ar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both corner regions where both side surfaces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melter 3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us, the inclined surfaces 33a and 33b are formed in pairs opposed to each other in the central region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molten glass.

저부면의 중앙영역, 즉, 한 쌍의 경사면(33a,33b)이 상호 맞닿는 부분에는 용융유리의 진행방향에 대해 적어도 일부구간에 걸쳐 하향 함몰된 함몰부(34)가 형성되어 있다. 함몰부(34)는 멜터(30)의 저부벽(33)에 드릴가공이나 방전가공 등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In the center region of the bottom surface, that is, the portion where the pair of inclined surfaces 33a and 33b abut each other, a depression 34 is formed which is recessed downward over at least a portion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molten glass. The depression 34 may be formed on the bottom wall 33 of the melter 30 by drilling or discharging.

이에, 실리카 성분을 내재한 멜터(30)의 상부벽(31)이 자연 침식되어 측벽(32)의 내화벽돌과 침식 반응하여 이물질을 발생시키게 되면, 이물질은 측벽(32)을 따라 흘러내려 멜터(30)의 저부면으로 향한다. 이 때, 멜터(30)의 저부면에는 경사면(33a,33b)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물질은 경사면(33a,33b)에 의해 안내되면서 저부면의 중앙영역, 즉, 한 쌍의 경사면(33a,33b)이 상호 맞닿는 부분으로 향한 후, 함몰부(34) 내에 개재된다(도 3의 화살표 "A" 및 "B" 참조).Thus, when the upper wall 31 of the melter 30 containing the silica component is naturally eroded and eroded with the refractory brick of the side wall 32 to generate a foreign matter, the foreign matter flows along the side wall 32 to melt the melter ( 30) to the bottom surface. At this time, since the inclined surfaces 33a and 33b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elter 30, the foreign matter is guided by the inclined surfaces 33a and 33b, and the center region of the bottom surface, that is, the pair of inclined surfaces 33a and 33b. After heading to the mutually abutting portion, it is interposed in the depression 34 (see arrows "A" and "B" in FIG. 3).

이처럼 함몰부(34)에 개재된 이물질은 그 밀도 및 점성으로 인해 함몰부(34) 내에 가라앉은 후, 쉽게 유동하지 않게 됨으로써 후공정인 성형장치(18)로 제공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양산되는 유리제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such, the foreign matter interposed in the depression 34 sinks in the depression 34 due to its density and viscosity, and thus is not easily flown, so that it is suppressed from being provided to the molding apparatus 18 which is a post-process. Therefore, the quality of the glass product mass-produced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이 때, 멜터(30)의 저부면에 형성된 함몰부(34) 내에 이물질이 많이 쌓이게 되면 이를 절절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멜터(30)의 저부벽(33)을 관통하는 드레인홀(36)을 마련하고 이 드레인홀(36)을 함몰부(34)에 연통시키고 있다.At this time, when a large amount of foreign matter accumulated in the depression 34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elter 30, it is necessary to discharge it to the outside. Thus, a drain hole 36 penetrating the bottom wall 33 of the melter 30 is provided, and the drain hole 36 is communicated with the depression 34.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 4에서와 같이, 드레인홀(36)에 커버블럭(38)을 마련한 후, 선택적으로 드레인홀(36)의 개구를 개폐할 수도 있다. 이 때, 커버블럭(38)에 의한 드레인홀(36)의 개폐는 커버블럭(38)을 구동하는 커버블럭구동부와, 소정의 조건에 의해 커버블럭구동부를 작동 및 작동해제시키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소정의 조건은 멜터(30) 내의 압력 변화에 기초하여 드레인홀(36)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조건이나 혹은 일정 시간을 주기로하여 드레인홀(36)을 연속적으로 개방하는 조건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4, which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cover block 38 is provided in the drain hole 36, the opening of the drain hole 36 may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At this tim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rain hole 36 by the cover block 38 includes a cover block driver for driving the cover block 38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activating and deactivating the cover block driver under predetermined conditions. Can be made by. The predetermined condition may include both a condition of selectively opening the drain hole 36 based on the pressure change in the melter 30, or a condition of continuously opening the drain hole 36 at a predetermined time period. .

커버블럭구동부로는 멜터(30)의 저부벽(33) 하부에 마련된 지지프레임(60)에 고정설치된 고정부재(41)에 결합되는 실린더본체(40a)와, 실린더본체(40a)의 단부영역으로 길이 연장 및 축소되며 일단이 커버블럭(38)에 결합된 실린더로드(40b)를 갖는 액츄에이터(40)로 채용되고 있다. 이에, 소정의 조건에 따라 제어부가 액츄에이터(40)를 작동시키면 커버블럭(38)은 드레인홀(36)의 개구를 개폐할 수 있다. 여기서, 커버블럭(38)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커버블럭(38)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미도시)를 더 마련할 수도 있는 것이다.The cover block driving part includes a cylinder body 40a coupled to a fixing member 41 fixed to a support frame 60 provided below the bottom wall 33 of the melter 30, and an end region of the cylinder body 40a. The actuator 40 is adopted as an actuator 40 having a cylinder rod 40b that is extended and shortened in length and has one end coupled to the cover block 38. Thus, when the controller operates the actuator 40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dition, the cover block 38 may open and close the opening of the drain hole 36. Here, a guide part (not shown)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cover block 38 may be further provided for the smooth movement of the cover block 38.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멜터(30)의 저부면에 경사면(33a,33b)을 형성하고 경사면(33a,33b)의 중앙영역에 함몰부(34)를 마련함으로써, 멜터(30)의 저부층에 포함된 이질유리가 후공정인 성형장치(18)로 제공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ined surfaces 33a and 33b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elter 30 and the depressions 34 are provid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inclined surfaces 33a and 33b, thereby providing the bottom layer of the melter 3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tained heterogeneous glass from being provided to the forming apparatus 18 which is a post process.

또한, 선택적으로 함몰부(34) 내에 쌓인 이질유리를 드레인홀(36)을 통해 멜터(30)의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후공정인 성형장치(18)에서 양산되는 유리제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selectively discharging the heterogeneous glass accumulated in the depression 34 to the outside of the melter 30 through the drain hole 36 to prevent deterioration of the quality of the glass product produced in the molding apparatus 18, which is a post-process. can do.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멜터의 저부층에 포함된 이질유리가 후공정인 성형장치로 제공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도록 한 유리용융로가 제공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glass melting furnace which can prevent the foreign glass contained in the bottom layer of the melter from being provided to the molding apparatus which is a post-process.

또한, 멜터의 저부층에 포함된 이질유리를 외부로 배출하여 후공정인 성형장치로 제공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양산되는 유리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한 유리용융로가 제공된다.In addition, there is provided a glass melting furnace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glass product produced by preventing the dissimilar glass contained in the bottom layer of the melter to the outside to be provided to the molding apparatus is a post-process.

Claims (5)

고상의 유리원료를 가열하여 액상의 용융유리로 형성하는 멜터를 갖는 유리용융로에 있어서,A glass melting furnace having a melter that heats a solid glass raw material to form a liquid molten glass, 상기 멜터의 저부면에는 상기 멜터의 양측면과 상기 저부면이 상호 접하는 모서리영역으로부터 상기 용융유리의 진행방향을 따라 상기 저부면의 중앙영역으로 상호 대향하게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용융로.The bottom surface of the melt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surface is inclined downwardly opposite to the center region of the bottom surface in the direction of the molten glass from the corner region where both sides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melter contact each other Glass melting furna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경사면이 상호 맞닿는 상기 저부면의 중앙영역에는 적어도 일부구간에 걸쳐 상기 저부면으로부터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용융로.And a depression recessed from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in a central region of the bottom surface where the inclined surfaces abut each other.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함몰부는 상기 멜터의 저부벽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드레인홀과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용융로.And the depression is in communication with a drain hole passing through the bottom wall of the melter and exposed to the outside.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드레인홀의 개구를 개폐하는 커버블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용융로.And a cover block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of the drain hole.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커버블럭을 구동하는 커버블럭구동부와A cover block driver for driving the cover block; 소정의 조건에 의해 상기 커버블럭구동부를 작동 및 작동해제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용융로.And a control unit for activating and deactivating the cover block driving unit under a predetermined condition.
KR2020020015444U 2002-05-21 2002-05-21 Glass furnace KR20028589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444U KR200285893Y1 (en) 2002-05-21 2002-05-21 Glass furn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444U KR200285893Y1 (en) 2002-05-21 2002-05-21 Glass furna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893Y1 true KR200285893Y1 (en) 2002-08-16

Family

ID=73123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5444U KR200285893Y1 (en) 2002-05-21 2002-05-21 Glass furna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893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4212B1 (en) Device for melting vitrifiable materials
JP2583101B2 (en) Glass melting furnace and glass manufacturing method
EP0115863B1 (en) Process for melting glass
JPS6325226A (en) Foam control for vacuum clarification of glass material
ATE180756T1 (en) CHANNEL FOR TRANSPORTING AND CONDITIONING MELTED GLASS
JP2010126433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glass and method thereof
KR200285893Y1 (en) Glass furnace
US2068925A (en) Glass mak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510196B1 (en) Continuous type fusion furnace system for frit production
KR200285894Y1 (en) Glass furnace
KR200285888Y1 (en) Glass furnace
KR100355536B1 (en) Glass Melting Furnace Feeder
KR200174268Y1 (en) Glass furnace
KR200228950Y1 (en) Feeder for glass furnace
KR200285890Y1 (en) Glass furnace
KR100438413B1 (en) Glass furnace
KR200285889Y1 (en) Melter for glass furnace
KR200285895Y1 (en) Melter for glass furnace
KR200285891Y1 (en) Glass furnace
KR20010010923A (en) Melter for glass furnace
KR100414175B1 (en) Glass furnace
JPH072585Y2 (en) Glass furnace
KR100400689B1 (en) Cooling apparatus for feeder of glass
KR100400688B1 (en) Cooling apparatus for feeder of glass
JPH0417538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