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828Y1 - 과일 보호구 - Google Patents

과일 보호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828Y1
KR200285828Y1 KR2020020015110U KR20020015110U KR200285828Y1 KR 200285828 Y1 KR200285828 Y1 KR 200285828Y1 KR 2020020015110 U KR2020020015110 U KR 2020020015110U KR 20020015110 U KR20020015110 U KR 20020015110U KR 200285828 Y1 KR200285828 Y1 KR 2002858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main body
support
vertical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51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보호
김영배
Original Assignee
김영배
이보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배, 이보호 filed Critical 김영배
Priority to KR20200200151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8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8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828Y1/ko

Links

Landscapes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까치와 같은 조류의 공격으로부터 과일을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과일 보호구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과일 보호구는 본체에 조류의 부리가 삽입되지 않는 지름의 통기공이 복수개 설치되어 있어 과일이 성장초기에 과일 보호구의 본체에 삽입되었을 때 까치와 같은 조류로부터 비롯되는 피해를 해소할 수 있으며, 낙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는 한편, 재활용이 가능하여 조류퇴치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효과는 햇빛으로부터 과일을 보호할 수 있어 껍질이 두꺼워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양질의 과일을 수확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과일 보호구{APPARATUS FOR PROTECTING FRUIT}
본 고안은 과일의 성장초기에 과일을 커버하여 양질의 과일을 수확하도록 하는 과일 보호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까치와 같은 조류의 공격으로부터 과일을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과일 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배, 사과 등의 과일은 성장기간동안 까치등의 조류에 의해 많은 손상을 입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그물망을 치거나 공포탄 등의 총포류를 사용하여 조류의 접근을 방지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수일이 경과되면 조류가 총포류의 소리에 적응하여 재차 접근하므로 실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태풍 등의 자연재해로 인한 낙과시 과일의 외부가 손상되어 상품가치가 하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과일이 햇빛에 과다하게 노출되면 껍질이 두꺼워져 상품가치가 저하되는바, 이를 방지하지 위해서, 과일의 성장기에 종이 봉지를 씌우는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나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비, 바람으로 손상되거나 조류의 부리 공격으로 인해 종이 봉지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과일을 커버하여 조류로부터의 손상을 방지하며, 낙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매년 소요되는 조류퇴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과일 보호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햇빛의 노출로 인한 껍질의 두꺼워짐을 방지하는 과일 보호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과일 보호구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우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과일 보호구에 과일이 삽입된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과일 보호구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좌측면도,
도 6은 도 4의 우측면도,
도 7은 도 4의 A-A'선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 10' : 과일 보호구 본체 20 : 주름부
30 : 지지부 40 : 통기공
50 : 과일 꼭지 배출부 60, 60' : 중앙 배수부
70, 70' : 좌측 배수부 80, 80' : 우측 배수부
90 : 수평 절개부 100 : 제 1 수직 절개부
100': 제 2 수직 절개부 110 : 이음부
120 : 록킹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과일 보호구는 통기공이 복수개 설치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구형상의 합성수지를 재질로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 양측에 돌출형성되며 나뭇 가지에 지지되도록 지지 관통공이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본체의 상부 중심부에 과일의 꼭지가 배출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와 연통되는 꼭지 배출공이 돌출형성되는 과일 꼭지 배출부와; 상기 본체에 침투되는 수분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본체의 하부 중심부와 그 중심부의 좌, 우측에 상기 본체의 내부와 연통되는 제 2, 제 1 및 제 3 배수공이 각각 형성된 중앙, 좌, 우측 배수부와; 상기 본체로부터 과일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과일 배출 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지지부 및 과일 꼭지 배출부는 동일 선상에 배치되며 좌, 우로 양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과일 보호구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우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과일 보호구에 과일이 삽입된 상태도로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인다.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과일 보호구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상이며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된 본체(10)를 구비하며, 상기본체(10)의 상부에는 두개의 지지부(30) 및 과일 꼭지 배출부(50)가 동일 선상에 배설되며, 상기 본체(10)의 하부에는 중앙, 좌, 우측 배수구(60, 70, 80)가 동일 선상에 배설된다. 상기 본체(10)의 중앙 외주에는 주름부(20)가 형성된다. 상기 두개의 지지부(30) 및 과일 꼭지 배출부(50)는 도 2에 도시된 제 1 수직 절개부(100)에 의하여 양분된다.
상기 본체(10)에는 공기가 통하는 통기공(40)이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통기공(40)의 지름은 조류의 부리가 통과할 수 없도록 2mm이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주름부(20) 상부에 대해 수직방향인 동시에 상기 지지부(30) 및 과일 꼭지 배출부(50)의 중심부분과 동일 선상에서 반원형상으로 절개된 제 1 수직절개부(100)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수직절개부(100)와 수직으로 교차하는 소정길이의 수평절개부(90)가 양측에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상부 양측에 돌출형성되어 나뭇 가지(B)에 지지되도록 지지 관통공(33)이 형성된다.
상기 과일 꼭지 배출부(50)는 상기 본체(10)의 상부 중심부에 배설되며, 과일의 꼭지(P)가 배출되도록 상기 본체(10)의 내부와 연통되는 꼭지 배출공(53)이 돌출형성된다.
상기 중앙, 좌, 우측 배수구(60, 70, 80)는 상기 본체(10)에 침투되는 수분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본체(10)의 하부 중심부와 그 중심부의 좌, 우측에 상기 본체(10)의 내부와 연통되는 제 2, 제 1 및 제 3 배수공(63, 73, 83)이 형성된다.
상기 주름부(20)는 상기 본체(10)의 중앙 외주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10)의 제 1 수직 절개부(100) 및 수평 절개부(90)가 용이하게 벌어져 과일이 본체(10)로부터 순조롭게 배출되도록 한다. 한편, 과일과 본체(10)의 내측간에 마찰이 발생된 경우에도 과일의 껍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주름부(10)는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과일 보호구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 1 수직 절개부(100)를 벌린 후 성장초기에 있는 과일(F)을 본체(10)에 삽입함과 아울러 과일 꼭지(P)를 과일 꼭지 배출부(50)를 통해 배출시킨 후 손을 떼면 벌어진 본체(10)는 주름부(20)의 복원력에 의해 닫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30)의 지지 관통공(33)에 철사나 노끈과 같은 연결부재를 관통시켜 가지(B)에 지지하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후, 상기 본체(10)에 삽입된 과일이 원하는 크기로 성장되면 상기 지지관통공(33)으로부터 연결부재를 빼낸후 제 1 수직 절개부(100)와 수평절개부(90)를 벌린 후 과일을 배출하고, 상기 과일 보호구는 보관하여 재활용하게 된다.
(제 2 실시예)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과일 보호구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우측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좌측면도이며, 도 7은 도 4의 A-A'선 횡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과일 보호구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상이며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된 본체(10')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10')의 상부에는 두개의 지지부(30) 및 과일 꼭지 배출부(50)가 동일 선상에 배설되며, 상기 본체(10')의 하부에는 중앙, 좌, 우측 배수부(60', 70', 80')가 동일 선상에 배설된다. 상기 두개의 지지부(30), 과일 꼭지 배출부(50), 중앙, 좌, 우측 배수부(60', 70', 80')는 동일 선상에 배설되며, 제 2 수직 절개부(100')에 의하여 양분되어, 이음부(110)에 의하여 접철가능토록 결합되며, 상기 이음부(110)의 반대편에 위치된 록킹부(120)에 의하여 개폐된다.
상기 본체(10')에는 공기가 통하는 통기공(40)이 복수개 설치되며, 이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수직선을 따라 원형상으로 제 2 수직 절개부(100')가 형성된다.
상기 이음부(110)는 상기 제 2 수직 절개부(100') 선상의 중앙부 일측에 배설되어 상기 제 2 수직 절개부(100')에 의해 양분된 본체(10')를 결합시킨다.
상기 록킹부(1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수직 절개부(100') 선상의, 상기 이음부(100) 반대편에 배설되어 양분된 본체(10')를 개/폐시키도록 분할된 본체(10')로부터 각각 돌출된 부분이 서로 맞물린 형태이다.
상기 지지부(30), 과일 꼭지 배출부(50)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중앙, 좌, 우측 배수부(60', 70', 80')는 상기 본체(10')에 침투되는 수분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본체(10')의 하부 중심부와 그 중심부의 좌, 우측에 상기 본체(10')의 내부와 연통되는 제 2, 제 1 및 제 3 배수공(63', 73', 83')이 각각 돌출형성되며,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직선에 대해서 양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과일 보호구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록킹부(120)를 개방하여 제 2 수직 절개부(100')를 벌린 후 성장초기에 있는 과일을 본체(10')에 삽입함과 아울러 과일 꼭지를 과일 꼭지 배출부(50)를 통해 배출시킨 후 상기 록킹부(120)를 잠근다. 이후, 지지부(30)의 지지 관통공(33)에 철사나 노끈과 같은 연결부재를 관통시켜 과일이 매달린 가지에 지지하게 된다. 과일이 원하는 크기로 성장하면 상기 록킹부(120)를 개방하여 상기 제 2 수직 절개부(100')를 벌려서 과일을 배출한 후, 상기 과일 보호구는 보관하여 재활용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과일 보호구는 본체에 조류의 부리가 삽입되지 않는 지름의 통기공이 복수개 설치되어 있어 과일이 성장초기에 과일 보호구의 본체에 삽입되었을 때 까치와 같은 조류로부터 비롯되는 피해를 해소할 수 있으며, 낙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는 한편, 재활용이 가능하여 조류퇴치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효과는 햇빛으로부터 과일을 보호할 수 있어 껍질이 두꺼워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양질의 과일을 수확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Claims (4)

  1. 통기공이 복수개 설치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구형상의 합성수지를 재질로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 양측에 돌출형성되며 나뭇 가지에 지지되도록 지지 관통공이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본체의 상부 중심부에 과일의 꼭지가 배출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와 연통되는 꼭지 배출공이 돌출형성되는 과일 꼭지 배출부와;
    상기 본체에 침투되는 수분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본체의 하부 중심부와 그 중심부의 좌, 우측에 상기 본체의 내부와 연통되는 제 2, 제 1 및 제 3 배수공이 각각 형성된 중앙, 좌, 우측 배수부와;
    상기 본체로부터 과일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과일 배출 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지지부 및 과일 꼭지 배출부는 동일 선상에 배치되며 좌, 우로 양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보호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일 배출 수단은 상기 본체 중앙 외주에 형성되는 주름부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에는 상기 주름부에 대해 수직방향인 동시에 상기 지지부 및 과일 꼭지 배출부의 중심부분과 동일 선상에 있는 반원형상의 제 1 수직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수직절개부와 수직으로 교차하는 소정길이의 수평절개부가 양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보호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과일 꼭지 배출부, 중앙, 좌, 우측 배수부는 동일 선상에 배치되며, 하나의 수직선에 대해서 각각 양분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수직선을 따라 원형상으로 제 2 수직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과일 배출 수단은 상기 제 2 수직 절개부 선상의 일측에 배설되어 상기 제 2 수직 절개부에 의해 양분된 본체를 절첩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이음부와;
    상기 제 2 수직 절개부 선상의, 상기 이음부 반대편에 배설되어 양분된 본체를 개/폐시키는 록킹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보호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통기공 및 좌, 우, 중앙 배수구의 지름은 2mm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보호구.
KR2020020015110U 2002-05-17 2002-05-17 과일 보호구 KR2002858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110U KR200285828Y1 (ko) 2002-05-17 2002-05-17 과일 보호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110U KR200285828Y1 (ko) 2002-05-17 2002-05-17 과일 보호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828Y1 true KR200285828Y1 (ko) 2002-08-14

Family

ID=73123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5110U KR200285828Y1 (ko) 2002-05-17 2002-05-17 과일 보호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82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3779A (ko) * 2002-10-16 2004-04-28 권태봉 과수를 보호하기위한 과수보호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3779A (ko) * 2002-10-16 2004-04-28 권태봉 과수를 보호하기위한 과수보호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85828Y1 (ko) 과일 보호구
US11730092B2 (en) Plant cover with insect resistant bag for enclosing a plant
KR20090006366A (ko) 과일 보호구
KR200406246Y1 (ko) 과일 보호구
KR200406251Y1 (ko) 과일보호 및 낙과 방지용 과일 보호캡
KR100283978B1 (ko) 과일 싸개
ES2278529B1 (es) Sistema de envasado individual de melocoton, otras frutas y verduras que por su configuracion lo permitan.
KR200175548Y1 (ko) 과실(果實)피해방지 팩
KR19980087888A (ko) 과실보호커버
KR200406252Y1 (ko) 투피스 타입의 낙과 방지용 과일 보호캡
KR200206865Y1 (ko) 과일 보호구
KR102301711B1 (ko) 채광조절이 가능한 숨쉬는 생육용 과수봉지
KR200251517Y1 (ko) 과수용 과일봉지
KR200221032Y1 (ko) 과실 보호망
KR200166863Y1 (ko) 과일보호구
KR200166772Y1 (ko) 과수용과일봉지
KR200314516Y1 (ko) 과실보호용 커버
KR20090011689A (ko) 과일보호 및 낙과 방지용 과일 보호 캡
KR200268458Y1 (ko) 과실수의 과실 보호장치
KR100315375B1 (ko) 과일 보호 케이스
KR200258585Y1 (ko) 과실용 보호 커버
KR200255421Y1 (ko) 과실 보호 커버
KR200225538Y1 (ko) 과일을 육성하기 용이한 보호 팩
JPS6332623Y2 (ko)
KR19990014474U (ko) 과수용 과일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