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704Y1 - 발전동력용 공압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발전동력용 공압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704Y1
KR200285704Y1 KR2020020015329U KR20020015329U KR200285704Y1 KR 200285704 Y1 KR200285704 Y1 KR 200285704Y1 KR 2020020015329 U KR2020020015329 U KR 2020020015329U KR 20020015329 U KR20020015329 U KR 20020015329U KR 200285704 Y1 KR200285704 Y1 KR 2002857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cylinder
power generation
cover
exhaust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53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선
Original Assignee
이광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선 filed Critical 이광선
Priority to KR20200200153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7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7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704Y1/ko

Links

Landscapes

  • Wind Motor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자체 복원력을 가지고 있는 신축성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커버(2)와, 상기한 커버(2)의 밑에 설치되는 피스톤(3)과, 상기한 피스톤(3)이 상하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며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실린더(4)와, 상기한 실린더(4)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한 피스톤(3)이 원위치로 올라갈 수 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5)과, 상기한 피스톤(3)이 하강되는 경우에만 상기한 실린더(4)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흡기밸브(6)와, 상기한 피스톤(3)이 하강되는 경우에만 상기한 실린더(4)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밸브(7)와, 상기한 배기밸브(7)를 통해서 배출되는 공기를 한군데로 모아주기 위한 도관(8)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자동차들이 지나가면서 피스톤을 밟아주도록 하여서 발생되는 공압을 발전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설비투자로 매우 높은 전력생산을 얻을 수 있는, 발전동력용 공압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발전동력용 공압 발생장치{Machine for producing air pressure for generating power}
이 고안은 발전 분야에 이용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제와 문화가 발전할수록 전력의 소모량이 증가되는데, 이러한 전력의 생산 방법으로서, 화력 발전, 원자력 발전, 수력 발전 등이 있다.
상기한 화력 발전 및 원자력 발전은 열에 의해 발생된 증기로 발전기 내의 터빈(turbine)을 회전시켜 전기를 발생하는 것이고, 수력 발전은 댐에 저수된 물의 낙차에 의해 터빈을 회전시켜 전기를 발생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화력 발전은 석탄 또는 석유 등의 화석연료를에너지원(energy source)로 사용하는 것으로 발전소의 건설비가 상대적으로 저렴하나 화석연료 등의 매장량이 한계가 있어 점차 고갈되며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원자력 발전은 우라늄 등의 방사능 물질을 핵분열시킬 때 발생되는 막대한 양의 열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발전 용량이 크나, 방사능에 의한 환경 오염이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수력발전은 댐에 의해 저수된 물의 위치에너지를 낙차시켜 얻는 회전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것으로 발전 원가가 낮으나, 발전소가 건설되는 지역이 제한 되며 넓은 면적의 땅이 수몰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화력 발전, 원자력 발전 및 수력 발전을 대체할 태양열 발전, 지열 발전, 풍력 발전, 조력 발전 등과 같이 자연에너지를 이용하는 발전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자연에너지를 이용하는 발전방법은 기후의 영향을 많이 받을 뿐만 아니라, 설비투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력생산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경제적인 이유로 인하여 그 수요가 적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동차들이 지나가면서 피스톤을 밟아주도록 하여서 발생되는 공압을 발전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설비투자로 매우 높은 전력생산을 얻을 수 있는, 발전동력용 공압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이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전동력용 공압 발생장치의 구성도이다.
1 : 자동차 2 : 커버
3 : 피스톤 4 : 실린더
5 : 스프링 6 : 흡기밸브
7 : 배기밸브 8 : 도관
이하,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고안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이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전동력용 공압 발생장치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자체 복원력을 가지고 있는 신축성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커버(2)와, 상기한 커버(2)의 밑에 설치되는 피스톤(3)과, 상기한 피스톤(3)이 상하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며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실린더(4)와, 상기한 실린더(4)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한 피스톤(3)이 원위치로 올라갈 수 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5)과, 상기한 피스톤(3)이 하강되는 경우에만 상기한 실린더(4)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흡기밸브(6)와, 상기한 피스톤(3)이 하강되는 경우에만 상기한 실린더(4)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밸브(7)와, 상기한 배기밸브(7)를 통해서 배출되는 공기를 한군데로 모아주기 위한 도관(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전동력용 공압 발생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톨게이트앞과와 같이 자동차(1)들의 저속통행이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곳의 지하에 공압 발생장치가 다수개 설치되고 나면, 자동차(1)의 운전자에게는 커버(2)만이 요철형태로 설치되어 보이게 된다.
자동차(1)가 지나가면서 자체 복원력을 가지고 있는 신축성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커버(2)를 밟아주게 되면, 상기한 커버(2)의 밑에 설치되어 있는 피스톤(3)이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피스톤(3)이 하강하면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고 있던 실린더(4)의 내부에 있던 공기가 배기밸브(7)를 통해 도관(8)으로 배출됨과 동시에, 흡기밸브(6)를 통해서 새로운 공기가 유입된다.
자동차(1)가 지나가고나면, 상기한 실린더(4)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던 스프링(5)의 복원력에 의해서 피스톤(3)은 원위치로 올라가게 되며, 이와 같이 피스톤(3)이 상승하면 배기밸브(7)와 흡기밸브(6)가 닫히게 됨으로써 새로운 공기가 유입된다.
자동차(1)들의 저속통행이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곳의 지하에 다수개 설치되어 있는 공압 발생장치로부터 발생된 공압이 도관(8)을 통해 한 곳으로 모아지게 되면 터어빈을 돌릴 수 있는 정도의 매우 높은 압력을 갖는 공압의 형성이 가능하며, 따라서 터어빈을 돌려서 통상의 발전장치를 이용하여 발전을 할 수가 있게 된다.
이상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이 고안은, 자동차들이 지나가면서 피스톤을 밟아주도록 하여서 발생되는 공압을 발전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설비투자로 매우 높은 전력생산을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자체 복원력을 가지고 있는 신축성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커버(2)와, 상기한 커버(2)의 밑에 설치되는 피스톤(3)과, 상기한 피스톤(3)이 상하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며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실린더(4)와, 상기한 실린더(4)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한 피스톤(3)이 원위치로 올라갈 수 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5)과, 상기한 피스톤(3)이 하강되는 경우에만 상기한 실린더(4)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흡기밸브(6)와, 상기한 피스톤(3)이 하강되는 경우에만 상기한 실린더(4)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밸브(7)와, 상기한 배기밸브(7)를 통해서 배출되는 공기를 한군데로 모아주기 위한 도관(8)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동력용 공압 발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공압 발생장치는 자동차(1)의 통행이 빈번한 곳에 다수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동력용 공압 발생장치.
KR2020020015329U 2002-05-20 2002-05-20 발전동력용 공압 발생장치 KR2002857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329U KR200285704Y1 (ko) 2002-05-20 2002-05-20 발전동력용 공압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329U KR200285704Y1 (ko) 2002-05-20 2002-05-20 발전동력용 공압 발생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7470A Division KR20030089307A (ko) 2002-05-17 2002-05-17 발전동력용 공압 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704Y1 true KR200285704Y1 (ko) 2002-08-13

Family

ID=73076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5329U KR200285704Y1 (ko) 2002-05-20 2002-05-20 발전동력용 공압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70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166B1 (ko) 2007-08-13 2008-05-20 진에어모터스(주) 압축공기 펌핑 타이어 및 이를 이용한 압축공기 저장장치
KR101221993B1 (ko) 2007-08-13 2013-01-15 주식회사 포스코 래들 터렛의 록킹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166B1 (ko) 2007-08-13 2008-05-20 진에어모터스(주) 압축공기 펌핑 타이어 및 이를 이용한 압축공기 저장장치
KR101221993B1 (ko) 2007-08-13 2013-01-15 주식회사 포스코 래들 터렛의 록킹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hrouzi et al. Global renewable energy and its potential in Malaysia: A review of Hydrokinetic turbine technology
CN201810470U (zh) 一种利用波浪能和潮流能发电的组合装置
CN202441534U (zh) 一种水波动能发电设备驱动装置
CN210087532U (zh) 一种海洋能水轮机发电系统
KR200285704Y1 (ko) 발전동력용 공압 발생장치
CN202718802U (zh) 利用流体发电的装置
KR20030089307A (ko) 발전동력용 공압 발생장치
CN106522157A (zh) 一种自发电式的防波堤装置及其发电方法
CN206129484U (zh) 一种仿水车污水收集机械式发电装置
Samad et al. Marine power technology—wave energy
CN211116387U (zh) 一种水力及风力一体化发电装置
CN202611977U (zh) 一种利用流体发电的装置
Divya et al. Harnessing electrical energy in highways by smart wind mill
KR19990080155A (ko) 부력과 치차를 이용한 파력발전장치 및 방법
CN203822393U (zh) 一种空气发电机组
CN217926147U (zh) 一种半潜式风力发电设备
CN202914236U (zh) 一种可跟随波长变化的海浪发电装置
AU2021103827A4 (en) Wave Energy Converter: New Concept of Low-Cost Wave Energy Converter.
CN214887462U (zh) 一种具有导流功能的高速道路垂直轴风力发电装置
CN201310435Y (zh) 双向增压差动涡轮机
CN210958223U (zh) 一种互补型太阳能混合发电装置
Ahmad et al. Current trends in renewable energy: an overview
Khader et al. Efficiency enhancement of sea waves energy converter via lean principles using an effective mechanical mechanism
Rahman et al. On the Correlation between Electrical Power and Wave Characteristics for Wave Energy Converters
Park et al. Experimental Test of 3kW Cylindrical Wave Energy System with Horizontal Ro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