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660Y1 - 진공압력을 이용한 대기중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의시료 자동 포집장치 - Google Patents

진공압력을 이용한 대기중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의시료 자동 포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660Y1
KR200285660Y1 KR2020020013301U KR20020013301U KR200285660Y1 KR 200285660 Y1 KR200285660 Y1 KR 200285660Y1 KR 2020020013301 U KR2020020013301 U KR 2020020013301U KR 20020013301 U KR20020013301 U KR 20020013301U KR 200285660 Y1 KR200285660 Y1 KR 2002856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intake
chamber
pressur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33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희남
김조천
이강웅
Original Assignee
김조천
이강웅
송희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조천, 이강웅, 송희남 filed Critical 김조천
Priority to KR20200200133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6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6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660Y1/ko

Links

Landscapes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압력을 이용한 대기중 악취 및 VOC의 시료 자동 포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챔버내의 진공압력과 챔버 내부에 구비된 시료 포집낭 내부의 대기압과의 차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시료를 포집하기 위한 진공압력을 이용한 대기중 악취 및 VOC의 시료 자동 포집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그 상면이 개방되고 양측면에 각각 흡기를 위한 흡기 연결관과 배출을 위한 배출 연결관이 각각 타설되며, 내측 모서리부 상면에 커버 결합부재가 형성되고, 그 일측면에 압력측정기가 장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 개방면에 결합되며, 그 가장자리 하면에 패킹이 부착된 커버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챔버에 안착되고, 상기 흡기 연결관과 결합되어 챔버 외부의 대기와 동일 압력화되는 시료 포집낭과; 상기 배출 연결관과 결합되어 구동됨으로써 챔버의 내부 압력을 감압시키는 진공펌프와; 상기 흡기 연결관의 전단에 구비되며, 그 개폐로 대기의 흡기를 제어하는 흡기밸브와; 상기 배출 연결관의 후단에 구비되며, 그 개폐로 대기의 배출을 제어하는 배출밸브로 구성되어 챔버내의 압력과 시료 포집낭내의 압력차에 의해 시료를 포집하도록 된 것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을 적용하면, 미리 클리닝된 연결관을 통해 시료를 포집하고, 챔버 내 외부의 기압차를 이용함으로써 매우 효과적으로 시료를 포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압력신호의 입력 및, 흡기, 배출밸브, 진공펌프의 전자적인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여 무인 상태에서 자동으로 일정량의 시료 포집량을 정밀하게 포집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진공압력을 이용한 대기중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시료 자동 포집장치{LUG SAMPLER OF ODORS AND VOCS USING A VACUUM PRESSURE}
본 고안은 진공압력을 이용한 대기중 악취 및 VOC의 시료 자동 포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챔버내의 진공압력과 챔버 내부에 구비된 시료 포집낭내부의 대기와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시료를 포집하고, 무인으로 일정량의 시료를 자동으로 포집할 수 있도록 한 진공압력을 이용한 대기중 악취 및 VOC의 시료 자동 포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고도의 산업사회로 인해 현대인들의 생활이 윤택해진 반면, 산업체에서 발생되는 각종 오염원에 의한 환경 파괴가 광범위하게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광범위하게 일어나는 환경 오염원중 인체에 각종 질환을 유발시킬 수 있는 가스상물질에 의한 대기오염이 심각한 실정이다.
상기한 대기의 오염을 예방하기 위하여 대기(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가스상물질을 포집기로 포집하여 가스상물질에 의한 대기의 오염정도를 측정하게 되고, 측정결과에 따른 대비책을 수립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공기중의 가스상물질을 샘플링(채취)하여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포집방법은 직접포집법, 용기포집법, 용매포집법, 고체포집법, 저온응축법, 포집여지에 의한 방법 등 여러가지 시료의 채취방법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용매포집법을 널리 이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는 용매를 이용한 포집기는 대기(공기)중에 혼입되어 있는 가스상물질들중 하나만을 샘플링할 수 있는 구조이어서, 대기(공기)중에 혼입되어 있는 여러가지의 가스상물질을 동일한 지점과 동일한 시간에 샘플링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포집기(일명, 트랩이라고 함)를 별도로 사용하는 데, 이러한 트랩은 그 포집된 기체 및 용매물질을 분석하는 다수의 분석기기를 이용하여 내부물질을 분석하는 바, 이러한 분석기기는 미량의 포집 대기를 분석할 수 있도록 된 장치로서, 그 부피 및 중량이 휴대할 수 없을 정도로 큰 관계로 인해 샘플 대기가 포집된 트랩을 별도의 용기에 넣은 다음, 분석기기가 설치된 원거리의 연구실로 이동시켜야만 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 과정에서, 시료의 분실 또는 시료간의 반응이 일어날 수 있으며, 시료의 포집을 위한 용기류가 펌프의 후단에 부착된 경우에는 펌프내부 유입경로상에 시료가 부착될 수 있으므로 마찬가지로 정밀한 시료의 포집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챔버내의 진공압력과 챔버 내부에 구비된 시료 포집낭 내부의 대기압과의 차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시료를 포집하기 위한 진공압력을 이용한 대기중 악취 및 VOC의 시료 자동포집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무인상태에서, 일정량의 시료를 자동으로 포집할 수 있도록 한 진공압력을 이용한 대기중 악취 및 VOC의 시료 자동 포집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을 이용한 대기중 악취 및 VOC의 시료 자동 포집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을 이용한 대기중 악취 및 VOC의 시료 자동 포집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을 이용한 대기중 악취 및 VOC의 시료 자동 포집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을 이용한 대기중 악취 및 VOC의 시료 자동 포집장치의 회로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5a, 5b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을 이용한 대기중 악취 및 VOC의 시료 자동 포집장치의 시료 포집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을 이용한 대기중 악취 및 VOC의 시료 자동 포집장치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하우징, 106:커버,
118:시료포집낭, 120:흡기연결관,
124, 124':흡기밸브, 126:압력측정기,
131,131':배출밸브, 134:진공펌프,
140:접촉센서, 152:제어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그 상면이 개방되고 양측면에 각각 흡기를 위한 흡기 연결관과 배출을 위한 배출 연결관이 각각 타설되며, 내측 모서리부 상면에 커버 결합부재가 형성되고, 그 일측면에 압력측정기가 장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 개방면에 결합되며, 그 가장자리 하면에 패킹이 부착된 커버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챔버에 안착되고, 상기 흡기 연결관과 결합되어 챔버 외부의 대기와 동일 압력화되는 시료 포집낭과; 상기 배출 연결관과 결합되어 구동됨으로써 챔버의 내부 압력을 감압시키는 진공펌프와; 상기 흡기 연결관의 전단에 구비되며, 그 개폐로 대기의 흡기를 제어하는 흡기밸브와; 상기 배출 연결관의 후단에 구비되며, 그 개폐로 대기의 배출을 제어하는 배출밸브로 구성되어 챔버내의 압력과 시료 포집낭내의 압력차에 의해 시료를 포집하도록 된 것 특징으로 하는 진공압력을 이용한 대기중 악취 및 VOC의 시료 자동 포집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는 구동 키신호를 발생시키는 키조작부와, 상기 압력측정기로부터 시간별 압력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흡기밸브 및 배출밸브, 진공펌프를 자동으로 구동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성된 컨트롤 패널이 장착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압력을 이용한 대기중 악취 및 VOC의 시료 자동 포집장치가 제공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에 각각 상기 시료 포집낭과의 접촉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접촉센서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압력을 이용한 대기중 악취 및 VOC의 시료 자동 포집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을 이용한 대기중 악취 및 VOC의 시료 자동 포집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을 이용한 대기중 악취 및 VOC의 시료 자동 포집장치(100)는 그 외형이 사각 박스 형상의 외부 하우징(102)으로 이루어지며, 그 외부 하우징(102)의 상면은 개방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단일의 챔버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외부 하우징(102)의 개방면을 선택적으로 폐쇄시키기 위한 커버(106)가 제공되는 바, 그 커버(106)는 유리재질이나 투명 테플론재질, 또는 투명 아크릴 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커버(106)의 가장자리에는 일정 강도이상의 지지부재(104)가 각각 부착되어 있으며, 그 지지부재(104)의 하면에는 패킹부재(108)가 부착된다.
한편, 상기 커버(106)의 모서리부에는 각각 단일의 관통공(110)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관통공(110)의 하부측이면서 상기 외부 하우징(102)의 내측면에는 중앙에 일정깊이 암나사공이 타설된 지지연장면(112)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관통공(110)의 상부측으로부터 지지연장면(112)의 중앙에 타설된 암나사공으로 결합되는 고정부재(11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 하우징(102)의 일측면에 타공된 관통공(도시 생략)을 통해 압력측정기(126)가 장착되는 바, 그 관통공을 통해 압력측정기(126)로부터 연장된 측정관(128)이 챔버측으로 돌출된다.
다음으로, 상기 외부 하우징(102)의 일측 소정부에 챔버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연결관(120)이 타설되며, 챔버 외부측 연결관(120)에는 수동 밸브(122)와, 자동 흡입밸브(124)가 각각 장착되고, 그 자동 흡입밸브(124)의 전단에는 시료포집 대상위치로 그 타단이 인출된 흡기관(125)의 일단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챔버 내부측 연결관(120)에는 별도의 결합부재(116)를 통해 그 연결관(120)과 일단이 연결되는 시료 포집낭(118)이 제공된다. 따라서, 이는 흡기관(125)을 통해서 유입되는 대기시료는 상기 시료 포집낭(118)의 내부로만 유입되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 외부 하우징(102)의 일측 소정부에는 챔버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연결관(130)이 타설되고, 챔버 외부측 연결관(130)에는 그 연결관(130)의 대기 유통을 제어하는 배출밸브(131)가 형성되며 그 배출밸브(131)의 타단에는 그 일단이 진공펌프(134)의 흡기구(136)와 결합되는 유출관(132)의 타단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진공펌프(134)의 소정부에는 배출관(136)의 일단이 결합되어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챔버내의 대기는 상기 진공펌프(134)를 통해 챔버의 외부로 강제배출됨으로 인해 상기 챔버내부가 진공상태로 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한 구조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을 이용한 대기중 악취 및 VOC의 시료 자동 포집장치는 상기 수동밸브(122)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상기 배출밸브(131)를 개방시키고 진공펌프(134)를 구동시키면 상기 챔버내부의 대기가 일방적으로 배출되므로 챔버내부는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 진공상태로 된다. 이는 상기 압력측정기(126)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압력측정기(126)를 통해 챔버내부의 상태가 진공임을 확인한 다음에는, 사용자가 상기 배출밸브(131)를 폐쇄시키고 상기 진공펌프(134)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수동밸브(122)를 개방시킨 다음 그 전단에 설치된 흡입밸브(124)의 내부 니들밸브(도시는 생략)를 일정치만큼 개방되게 설정하면, 상기 챔버내부의 압력과 상기 챔버외부의 압력차에 의해 상기 흡기관(125)을 통해서 일정한 유량의 대기가 시료 포집낭(118)으로 포집되게 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을 이용한 대기중 악취 및 VOC의 시료 자동 포집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을 이용한 대기중 악취 및 VOC의 시료 자동 포집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도 1과 중복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을 이용한 대기중 악취 및 VOC의 시료 자동 포집장치(100')는 사용자가 간단한 구동 키조작을 행하고 해당 위치를 떠나게 되더라도 무인상태에서 일정량의 시료를 자동으로 포집할 수 있는 장치이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진공압력을 이용한 대기중 악취 및 VOC의 시료 자동 포집장치(100')는 상기 수동밸브(122)의 전단에 솔레노이드로 구동되는 흡입밸브(124')가 구비되며, 상기 챔버 외부측 연결관(130)상에 챔버내부의 대기배출을 제어하기 위한 배출밸브(131')가 장착된다.
한편, 상기 챔버내측 4면에 각각 접촉센서(140)가 부착되고, 상기 외부 하우징(102)의 일측 소정부에 상기 흡입밸브(124) 및 배출밸브(131')를 제어하고, 상기 접촉센서(140)로부터 감지신호를 인가받으며, 상기 진공펌프(134)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패널(138)이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압력측정기(126)는 디지털 압력측정기이고 그 압력측정기(126)로부터 검출된 챔버내의 압력데이터를 컨트롤패널(138)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을 이용한 대기중 악취 및 VOC의 시료 자동 포집장치의 회로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을 이용한 대기중 악취 및 VOC의 시료 자동 포집장치(100')는 시료 포집구동 키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키조작부(142)가 상기 컨트롤 패널(138)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챔버내의 압력을 감지하고 그 감지신호를 컨트롤 패널(138)측으로 인가시키는 압력감지부(상기 압력측정기: 126')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진공펌프(134)를 구동시키는 펌프구동부(144)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밸브(131')의 개폐를 구동시키는 배출밸브 구동부(146) 및 상기 흡입밸브(124')의 개폐를 구동시키는 흡입밸브 구동부(124')가 각각 구비된다.
한편, 상기 키조작부(142)를 통해 상기 흡입밸브(124') 및 배출밸브(131')의 개방설정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저장부(150)가 제공되며, 상기 키조작부(142)로부터 구동신호를 인가받아 구동 제어를 행하며, 상기 접촉센서(140) 및 압력감지부(126')로부터 접촉 감지신호 및 챔버 내부의 압력감지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진공펌프(134) 및 흡입, 배출밸브(124', 131')를 각각 제어함으로써 무인 시료 포집을 행하도록 하는 제어부(152)가 구비된다.
도 5a, 5b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을 이용한 대기중 악취 및 VOC의 시료 자동 포집장치의 시료 포집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한 구조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을 이용한 대기중 악취 및 VOC의 시료 자동 포집장치(100')는 상기 수동밸브(122)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컨트롤 패널(138)에 형성된 키조작부(142)를 조작하여 구동 키신호를 발생시키면 자동으로 상기 흡입밸브(124')가 폐쇄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밸브(131')가 개방되고 진공펌프(134)가 구동되게 된다. 상기 진공펌프(134)의 구동으로 상기 챔버내부의 대기가 일방적으로 배출되면서 챔버내부는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 진공상태로 된다. 이때 그 챔버 내의 압력신호는 제어부(152)로 인가되게 되므로 제어부(152)는 챔버내부가 충분히 감압되었는 지를 기설정치와 비교 판단한다.
상기 압력감지부(126')를 통해 챔버내부의 상태가 진공임을 확인한 다음에는 상기 배출밸브(131')가 폐쇄되고, 상기 진공펌프(134)의 구동이 정지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밸브(124')가 개방되어 상기 챔버내부의 압력과 상기 챔버외부의 압력차로 인해 상기 흡기관(125)을 통해서 일정한 유량의 대기가 시료 포집낭(118)으로 포집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시료 포집낭(118)은 포집된 시료의 부피만큼 부풀려지게 되는 데, 그 포집 시료의 량이 일정량이상이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료 포집낭(118)이 상기 챔버의 내측면에 각각 부착된 상기 접촉센서(140)를 가압하게 된다. 그로인해, 상기 접촉센서(140)는 접촉 감지신호를 발생하고, 그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152)가 인가받아 상기 흡입밸브(124')를 폐쇄시킨다.
이를 통해, 상기 진공압력을 이용한 대기중 악취 및 VOC의 시료 자동 포집장치(100')는 무인인 상태에서도 자동으로 효과적인 시료 포집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대기시료의 포집 경우에는 장시간 동안 시료 포집을 행한 경우 그 시료가 실효가치가 높은 점을 감안할 때 본 고안은 무인인 상태로 장기간 시료 포집을 행할 수 있게 되므로 매우 효과적이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을 이용한 대기중 악취 및 VOC의 시료 자동 포집장치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을 이용한 대기중 악취 및 VOC의 시료 자동 포집장치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상기 시료 자동 포집장치(100')의 커버(106)를 개방한 다음, 챔버의 내부에 시료 포집낭(118)을 위치시키고 그 시료 포집낭(118) 전단에 형성된 결합부재(116)를 연결관(120)에 연결시킨다.
그 상태에서, 상기 수동밸브(122)를 폐쇄시키고, 사용자가 컨트롤 패널(138)에 형성된 키조작부(142)를 조작하여 구동 키신호를 발생시키면 상기 제어부(1520는 상기 흡입밸브(124')에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그 흡입밸브(124')를 폐쇄시킨다(제 1 단계: ST-1).
그리고, 상기 제어부(152)는 상기 배출밸브(131')를 개방시키고(제 2 단계: ST-2), 진공펌프(134)를 구동시킨다(제 3 단계: ST-3). 상기 진공펌프(134)의 구동으로 상기 챔버내부의 대기가 일방적으로 배출되면서 챔버내부는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 진공상태로 된다. 이때, 그 챔버 내의 압력신호는 제어부(152)로 인가되게 되므로 제어부(152)는 챔버내부가 충분히 감압되었는 지를 기설정치와 비교 판단한다(제 4 단계: ST-4).
상기 압력감지부(126')에서 발생된 압력신호가 기설정치이하일 경우에 상기 제어부(152)는 배출밸브(131')를 폐쇄시키고, 상기 진공펌프(134)의 구동을 정지시킨다(제 5 단계: ST-5).
그리고, 상기 흡입밸브(124')를 개방시켜 상기 챔버내부의 압력과 상기 챔버외부의 압력차로 인해 상기 흡기관(125)을 통해서 일정한 유량의 대기가 시료 포집낭(118)으로 포집되도록 한다(제 6 단계: ST-6).
상기 시료 포집낭(118)의 내부로 시료가 포집됨에 따라 상기 시료 포집낭(118)이 상기 챔버의 내측면에 각각 부착된 상기 접촉센서(140)를 가압하게 되는 바, 상기 제어부(152)는 그 접촉센서(140)에서의 감지신호 발생여부를 판단하여(제 7 단계: ST-7) 접촉 감지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시료 포집낭(118)의 내부에시료가 충분히 포집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흡입밸브(124')를 폐쇄시킨다(제 8 단계: ST-8).
바람직하게, 상기 접촉센서(140)는 상기 챔버내부의 4측면에 각각 부착되어 있으므로 적어도 두 개이상의 접촉 감지신호가 발생될 경우, 상기 흡입밸브(124')가 폐쇄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을 이용한 대기중 악취 및 VOC의 시료 자동 포집장치는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진공압력을 이용한 대기중 악취 및 VOC의 시료 자동 포집장치 및 그 방법은 미리 클리닝된 연결관을 통해 시료를 포집하고, 챔버 내 외부의 기압차를 이용함으로써 매우 효과적으로 시료를 포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압력신호의 입력 및, 흡기, 배출밸브, 진공펌프의 전자적인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여 무인 상태에서 자동으로 일정량의 시료 포집량을 정밀하게 포집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그 상면이 개방되고 양측면에 각각 흡기를 위한 흡기 연결관과 배출을 위한 배출 연결관이 각각 타설되며, 내측 모서리부 상면에 커버 결합부재가 형성되고, 그 일측면에 압력측정기가 장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 개방면에 결합되며, 그 가장자리 하면에 패킹이 부착된 커버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챔버에 안착되고, 상기 흡기 연결관과 결합되어 챔버 외부의 대기와 동일 압력화되는 시료 포집낭과;
    상기 배출 연결관과 결합되어 구동됨으로써 챔버의 내부 압력을 감압시키는 진공펌프와;
    상기 흡기 연결관의 전단에 구비되며, 그 개폐로 대기의 흡기를 제어하는 흡기밸브와;
    상기 배출 연결관의 후단에 구비되며, 그 개폐로 대기의 배출을 제어하는 배출밸브로 구성되어 챔버내의 압력과 시료 포집낭내의 압력차에 의해 시료를 포집하도록 된 것 특징으로 하는 진공압력을 이용한 대기중 악취 및 VOC의 시료 자동 포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는 구동 키신호를 발생시키는 키조작부와, 상기 압력측정기로부터 시간별 압력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흡기밸브및 배출밸브, 진공펌프를 자동으로 구동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성된 컨트롤 패널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압력을 이용한 대기중 악취 및 VOC의 시료 자동 포집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에 각각 상기 시료 포집낭과의 접촉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접촉센서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압력을 이용한 대기중 악취 및 VOC의 시료 자동 포집장치.
KR2020020013301U 2002-05-01 2002-05-01 진공압력을 이용한 대기중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의시료 자동 포집장치 KR2002856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301U KR200285660Y1 (ko) 2002-05-01 2002-05-01 진공압력을 이용한 대기중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의시료 자동 포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301U KR200285660Y1 (ko) 2002-05-01 2002-05-01 진공압력을 이용한 대기중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의시료 자동 포집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3893A Division KR100499726B1 (ko) 2002-05-01 2002-05-01 진공압력을 이용한 대기중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의시료 자동 포집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660Y1 true KR200285660Y1 (ko) 2002-08-13

Family

ID=73122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3301U KR200285660Y1 (ko) 2002-05-01 2002-05-01 진공압력을 이용한 대기중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의시료 자동 포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66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122B1 (ko) * 2006-04-13 2007-07-0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환경대기중 휘발성 유기화합물 시료 채취용 샘플링 장치
KR100873888B1 (ko) * 2008-05-08 2008-12-15 (주) 에이스엔 Cdma를 이용한 대기 중 악취 및 voc 시료 무인 자동 포집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122B1 (ko) * 2006-04-13 2007-07-0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환경대기중 휘발성 유기화합물 시료 채취용 샘플링 장치
KR100873888B1 (ko) * 2008-05-08 2008-12-15 (주) 에이스엔 Cdma를 이용한 대기 중 악취 및 voc 시료 무인 자동 포집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47561A (en) Device for sampling and stripping volatile chemicals within wells
CN101476997A (zh) 六氟化硫气体样品采集装置
CN101441143B (zh) 移动采集化学分析用大气样品的装置
EP1423673B1 (en) Assay device for evaluating entrainable substances
WO2006039251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lood sampling
KR101258547B1 (ko) 악취 관능 평가용 공기 희석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JP3454701B2 (ja) ガス試料捕集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KR100499726B1 (ko) 진공압력을 이용한 대기중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의시료 자동 포집장치 및 그 방법
CN201348579Y (zh) 六氟化硫样品采集设备
KR200285660Y1 (ko) 진공압력을 이용한 대기중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의시료 자동 포집장치
CA2587374C (en) Method and device for fluid sampling
US4683761A (en) Clean box
CN208432441U (zh) 一种自反馈密封腔气体取样装置
CN218629153U (zh) 一种填埋区域温室气体取样装置
CN215523672U (zh) 一种甲醛检测装置及空气净化器
CN213398095U (zh) 一种便携式气体、粉尘、烟尘采样仪检验装置
JP3545161B2 (ja) エアロゾル中化学成分の捕集抽出装置
KR20110044096A (ko) 시료 포집장치
KR101156695B1 (ko) 진공 샘플러
CN219590252U (zh) 一种带有真空检测功能的气质联用仪
JP2784694B2 (ja) 自動化学分析装置
CN219890838U (zh) 一种新型土壤气体采样设备
CN112834295A (zh) 一种带有预处理结构的环境空气采样装置
KR102274152B1 (ko) 자동 수분 제거 기능을 가지는 시료 채취장치
CN110967479B (zh) 一种创面感染测试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