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451Y1 - 무테안경의 구멍가공장치 - Google Patents

무테안경의 구멍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451Y1
KR200285451Y1 KR2020020011162U KR20020011162U KR200285451Y1 KR 200285451 Y1 KR200285451 Y1 KR 200285451Y1 KR 2020020011162 U KR2020020011162 U KR 2020020011162U KR 20020011162 U KR20020011162 U KR 20020011162U KR 200285451 Y1 KR200285451 Y1 KR 2002854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hole
lens
positioning
support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11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명철
Original Assignee
신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명철 filed Critical 신명철
Priority to KR20200200111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4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4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451Y1/ko

Links

Landscapes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테안경의 렌즈에 브릿지용구멍과 안경다리용구멍을 천공하는 무테안경의 구멍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쌍의 렌즈를 지지하며, 내측에는 좌우방향으로 가이드공이 형성된 지지수단과; 상기 지지수단에 지지된 상기 렌즈가 전후방향으로 유동됨이 없도록 상기 지지수단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서 상기 렌즈를 고정시키는 전후고정수단과; 상기 전후고정수단에 설치된 상기 지지수단에 지지된 한쌍의 상기 렌즈가 상기 지지수단의 기준점을 기준으로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위치결정시키는 위치결정수단과; 상기 위치결정수단의 제1위치결정부재와 제2위치결정부재가 연동하여서 이격되도록 상기 위치결정수단과 조립된 위치가변수단과; 상기 위치가변수단에 의해 위치결정된 상기 렌즈가 좌우방향으로 유동됨이 없도록 상기 렌즈를 고정시키는 좌우고정수단과; 상기 좌우고정수단과 상기 위치결정수단이 슬라이딩되도록 공간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상기 위치가변수단이 수납되도록 공간을 형성시키는 보조지지수단과; 상기 보조지지수단과 상기 지지수단이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좌우이송수단으로 이루어진 무테안경의 구멍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테안경의 구멍가공장치{HOLE WORKING DEVICE FOR GLASSES}
본 고안은 무테안경의 렌즈에 브릿지용구멍과 안경다리용구멍을 천공하는 무테안경의 구멍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콤팩트한 구조에 의해 한쌍 렌즈가 정확하게 대칭되도록 위치시킨 후 렌즈의 정위치에 구멍을 용이하게 천공시켜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소비자의 만족도를 배가시키며 고품질의 무테안경을 제공할 수 있는 무테안경의 구멍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시력이 저하된 사람 혹은 눈을 보호하기 위기 위한 사람, 미적인 감각을 증대시키기 위한 사람들이 착용하게 되고, 이와 같은 안경은 여러 가지 형태로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외관이 심플하고 무게가 가벼운 무테안경이 유행되고 있으며, 상기 무테안경은 2개의 렌즈(L)와, 상기 2개의 렌즈(L)를 연결하는 브릿지(B)와, 상기 브릿지(B)에 의해 연결된 상기 렌즈(L)에 연결된 안경다리(A)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무테안경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상기 렌즈(L)에 상기 브릿지(B)를 연결시키기 위한 브릿지용구멍(BH)과, 상기 안경다리(A)를 연결시키기 위한 안경다리용구멍(AH)을 천공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 렌즈(A)는 소정의 곡률이 구비되고, 곡률이 구비된 상기 렌즈(A)에 브릿지용구멍(BH)과, 안경다리용구멍(AH)을 정확한 위치에 천공하는 것은 난이하다.
또, 상기 렌즈(A)에 구멍을 정확한 위치에 천공시키지 못할 경우, 안경의 렌즈가 비대칭으로 되어서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것은 물론이고, 코와 귀등에 통증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기구가 제안되어 있으며, 그 일예로서는 대한민국에서 2001년 9월 28일자로 실용신안등록된 실용신안등록 20-250236호가 제안되어 있다.
실용신안등록 20-250236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의 상부에는 렌즈거치대(2') 및 그 렌즈거치대(2')의 단부에서 슬라이딩되는 렌즈고정대(3')를 각각 형성하고, 렌즈거치대(2')의 하부에는 양방향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스크류(4')를 장착하며; 렌즈고정대(3')의 후면에는 이동블럭(5')을 결합형성하여, 몸체(1')에 결합된 회전노브(6')에 의해 전,후 이동되게 하며; 전기한 렌즈거치대(2')의 사이에는 단부에 고정집게(7')가 형성된 각봉상의 고정대(8')를 위치시키되, 고정대(8')는 전후,좌우 이동 및 회전되게 힌지 결합하며; 전기한 렌즈거치대(2')의 사이에는 단부에 고정집게(7')가 형성된 각봉상의 고정대(8')를 위치시키되, 고정대(8')는 전후,좌우 이동 및 회전되게 힌지결합하며; 렌즈거치대(2')가 위치하는 몸체(1')의 양측부에는 스프링에 의해 상하 및 전후 이동되는 다리집게(10')를 장착하되, 전기한 다리집게(10')는 수평관과 수직관을 중첩되게 결합하되, 각각의 내부에 스프링을 내장하여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이동되게 하고, 수평관의 단부에는 더브테일을 형성하고 그 반대측 몸체(1')에는 더블테일홈을 형성하여 이에 의해 다리집게(10')가 슬라이딩 이동되게 구성하고; 몸체(1')의 배면에는 별도의 지지대(11') 및 그 지지대(11')의 상부에 형성된 회전축(12')에 의해 회전되는 브라켓(13')을 결합하되, 브라켓(13')의 하부에는 별도의 지지아암(14')에 의해 구동모터(15')가 장착된 파지봉(16')이 상,하 유동되게 하며, 브라켓(13')의 선단 및 지지아암(14')의 단부에는 스프링(17')을 연결하여 탄력 결합하고; 일측 파지봉(16)의 단부에 결합된 구동모터(15')에는 가이드공을 가공키 위한 드릴날과, 그 드릴날의 주면에서 상하승강하는 가이드관 및 그 가이드관과 구동모터(15')를 탄설하는 스프링을 장착하며; 타측 파지봉(16')의 단부에 결합된 구동모터(15')에는 브릿지 및 안경다리에 형성된 결합공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드릴날을 장착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무테안경용 렌즈의 조립공 가공장치는, 렌즈를 렌즈고정대(3')의 이동에 의해 고정시키나, 렌즈의 상하면만을 고정시키게 되어 렌즈가 좌우방향으로 유동될 우려가 있다.
또, 렌즈에 구멍을 천공할 경우 브릿지와 안경다리를 렌즈에 위치시킨 후 1차가공하고 1차가공된 구멍을 재천공하는 방식으로 구멍을 천공한다.
즉, 종래의 무테안경용 렌즈의 가공장치는,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시 제조코스트가 상승되는 것은 물론이고, 렌즈를 고정시킬 경우 렌즈가 좌우방향으로 유동되어 고품질의 안경을 제공하지 못하고, 렌즈에 구멍을 천공할 경우 브릿지 및 안경다리를 렌즈에 위치시킨 후 2차에 걸쳐 구멍을 천공해야 하므로서 구멍천공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어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무테안경용 렌즈의 가공장치는, 구멍가공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므로 안경을 구입할 경우 안경점에 2회에 걸쳐 방문하므로서 소비자에게 만족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콤팩트한 구조에 의해 렌즈를 견고하게 고정시킨후 정확하고도 신속하게 브릿지용구멍과 안경다리용구멍을 천공할 수 있도록 하여 고품질의 무테안경을 제공함과 동시에 구멍천공시간을 대폭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소비자에게 만족도를 배가시킬 수 있는 무테안경의 구멍가공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예에 적용되는 무테안경용 구멍가공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무테안경을 일부분해하여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무테안경의 구멍가공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무테안경의 구멍가공장치의 주요부품을 분해하여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무테안경의 구멍가공장치의 지지수단에 렌즈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무테안경의 구멍가공장치의 지지수단이 좌우방향으로 이송되는 상태를 도시한 내부구조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되는 무테안경의 구멍가공장치의 주요부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되는 무테안경의 구멍가공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지지수단 11...가이드공
12...기준점 20...전후고정수단
21...전부고정부재 22...후부고정부재
30...위치결정수단 31...제1위치결정부재
32...제2위치결정부재 40...위치가변수단
41...회전부재 42...지지부재
43...조절부재 50...좌우고정수단
51...좌고정부재 52...우고정부재
60...보조지지수단 61...작동공간부
62...고정요홈 63...고정홈
63...관통공 65...기준표시점
70...좌우이송수단 71...좌우이송부재
72...가이드부재 80...위치고정수단
81...홀 82...탄성부재
83...볼 84...볼수용홈
91...베이스부재 92...드릴수단
93...드릴지지부재 94...드릴이동가이드부재
95...드릴수단이송손잡이 96...측정눈금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무테안경의 구멍가공장치는, 한쌍의 렌즈와 브릿지와 안경다리로 이루어진 무테안경과; 상기 무테안경의 렌즈에 브릿지용구멍과 안경다리용구멍을 천공하는 드릴수단과; 상기 드릴수단을 지지하는 드릴지지부재와; 상기 드릴지지부재를 가이드하는 드릴이동가이드부재와; 상기 드릴이동가이드부재에 가이드되어서 상기 드릴수단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드릴이송손잡이로 이루어진 무테안경의 구멍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렌즈를 지지하며, 내측에는 좌우방향으로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의 상부에는 상기 렌즈의 천공될 구멍의 위치를 셋팅시키기 위한 기준점이 마킹된 지지수단과; 상기 지지수단에 지지된 상기 렌즈가 전후방향으로 유동됨이 없도록 상기 지지수단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서 상기 렌즈를 고정시키며, 전부고정부재와 후부고정부재로 이루어진 전후고정수단과; 상기 전후고정수단에 설치된 상기 지지수단에 지지된 한쌍의 상기 렌즈가 상기 지지수단의 기준점을 기준으로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위치결정시키며, 제1위치결정부재와 제2위치결정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수단의 가이드공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배설된 위치결정수단과; 상기 위치결정수단의 제1위치결정부재와 제2위치결정부재가 연동하여서 이격되도록 상기 위치결정수단과 조립되며, 상기 제1위치결정부재와 상기 제2위치결정부재와 나사결합되고 양방향나사가 형성된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부재의 양단에 설치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지지된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제1위치결정부재와 상기 제2위치결정부재를 연동하여 이격시키도록 상기 회전부재와 연결된 조절부재로 이루어진 위치가변수단과; 상기 위치가변수단에 의해 위치결정된 상기 렌즈가 좌우방향으로 유동됨이 없도록 상기 렌즈를 고정시키며, 상기 가이드공에 가이드되어서 좌우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딩되고 좌고정부재와 우고정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공에 배설된 좌우고정수단과; 상기 좌우고정수단과 상기 위치결정수단이 슬라이딩되도록 공간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상기 위치가변수단이 수납되도록 공간을 형성시키는 작동공간부와, 상기 작동공간부에서 상기 위치가변수단의 지지부재가 유동됨이 없도록 상기 지지부재가 수납되며 상기 작동공간부의 양단에 형성된 고정요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수단과 고정볼트에 의해 조립된 보조지지수단과; 상기 보조지지수단과 상기 지지수단이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도록하며, 상기 보조지지수단과 볼트에 의해 조립된 좌우이송부재와, 상기 좌우이송부재가 사용자의 힘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이송될 경우 전후방향으로 유동됨이 없이 좌우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좌우이송부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로 이루어진 좌우이송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무테안경의 구멍가공장치에 의하면, 한쌍의 렌즈중 어느 한 렌즈에 브릿지용구멍과 안경다리용구멍을 마킹한 후 지지수단에 한쌍의 렌즈를 위치시키고 고정수단에 의해 렌즈를 좌우 및 상하이동됨이 없이 견고하게 고정시켜 구멍을 천공할 수 있으므로, 무테안경의 브릿지용구멍과 안경다리용구멍을 정확하고도 신속하게 천공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소비자의 만족도를 배가시키며 고품질의 무테안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적용되는 무테안경의 구멍가공장치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일반적인 무테안경을 일부 분해하여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무테안경의 구멍가공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무테안경의 구멍가공장치의 주요부품을 분해하여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무테안경의 구멍가공장치의 지지수단에 렌즈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무테안경의 구멍가공장치의 지지수단이 좌우방향으로 이송되는 상태를 도시한 내부구조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되는 무테안경의 구멍가공장치의 주요부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되는 무테안경의 구멍가공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8에 있어서, 부호 S는 무테안경으로서, 한쌍의 렌즈(L)와, 상기 렌즈(L)를 연결시키는 한개의 브릿지(B)와, 상기 브릿지(B)에 의해 연결된 상기 렌즈(L)의 양측에 접속된 한쌍의 안경다리(A)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렌즈(L)에는 상기 브릿지(B)와 상기 안경다리(A)를 결합시키기 위한 브릿지용구멍(BH)과 안경다리용구멍(AH)이 천공되게 된다.
또한, 부호 100은 상기 렌즈(L)에 브릿지용구멍(BH)과 안경다리용구멍(AH)을 정확한 위치에 신속하게 천공시키기 위한 구멍가공장치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멍가공장치(10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부호 10은, 상기 렌즈(L)를 지지하도록 사각형형상의 지지수단으로서, 전후방향의 폭은 L1으로 이루어지고 좌우방향의 폭은 W1으로 이루어지며, 내측에는 좌우방향으로 가이드공(11)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11)의 상부에는 상기 렌즈(L)의 천공될 구멍의 위치를 셋팅시키기 위한 기준점(12)이 마킹되어 있다.
또, 상기 지지수단(10)에는 후술하는 보조지지수단과 볼트(B)에 의해 조립되도록 구멍(H)이 천공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수단(10)에는, 상기 지지수단(10)에 지지된 상기 렌즈(L)가 전후방향으로 유동됨이 없도록 상기 지지수단(10)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서 상기 렌즈(L)를 고정시키는 전부고정부재(21)와 후부고정부재(22)로 이루어진 전후고정수단(20)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전후고정수단(20)의 전부고정부재(21)와 상기 후부고정부재(22)에는, 상기 렌즈(L)가 상기 지지수단(10)의 상부에서 위치결정된 후 상기 전부고정부재(21)와 상기 후부고정부재(22)가 상기 지지수단(10)에서 슬라이딩됨이 없이 위치고정되도록 고정홀(FH)이 형성되고, 이 고정홀(FH)에는 고정볼트(FB)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후고정수단(20)은 도면에서 상기 지지수단(10)의 양측을 에워싸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지지수단(10)에 홈을 형성시키고 상기 전후고정수단(20)에 돌기를 형성시켜 상기 전후 고정수단(20)이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방식도 본 고안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 상기 지지수단(10)의 가이드공(11)에는, 상기 지지수단(10)에 지지된 한쌍의 상기 렌즈(L)가 상기 지지수단(10)의 기준점(12)을 기준으로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위치결정시키며 제1위치결정부재(31)와 제2위치결정부재(32)로 이루어진 위치결정수단(30)이 슬라이딩가능하게 배설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위치결정수단(30)에는, 상기 제1위치결정부재(31)와 상기 제2위치결정부재(32)가 연동하여서 이격되도록, 상기 제1위치결정부재(31)와 상기 제2위치결정부재(32)와 나사결합되며 양방향나사가 형성된 회전부재(41)와, 상기 회전부재(41)가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부재(41)의 양단에 설치된 지지부재(42)와, 상기 지지부재(42)에 지지된 상기 회전부재(41)를 회전시켜 상기 제1위치결정부재(31)와 상기 제2위치결정부재(32)를 연동하여 이격시키도록 상기 회전부재(41)와 연결된 조절부재(43)로 이루어진 위치가변수단(40)이 조립되어 있다.
즉, 상기 조절부재(43)를 사용자가 도 6에 도시한 화살표 Ⅰ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제1위치결정부재(31)와 상기 제2위치결정부재(32)는 화살표 Ⅲ 및 화살표 Ⅳ방향으로 연동하여 이동되고, 상기 조절부재(43)를 화살표 Ⅱ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제1위치결정부재(31)와 상기 제2결정부재(32)는 화살표 Ⅴ 및 화살표 Ⅵ방향으로 연동하여 이동되게 되어서, 한쌍의 상기 렌즈(L)를 정확하게 대칭되게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위치가변수단(40)의 조절부재(43)와 회전부재(41)는 도 4에서는 워엄기어와 워엄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절부재(43)와 회전부재(41)가 직접 연결되어 있는 구성도 본 고안에 적용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0)의 가이드공(11)에는, 상기 위치결정수단(30)에 의해서 구멍이 천공될 위치가 셋팅된 상기 렌즈(L)가 좌우방향으로 유동됨이 없도록 상기 렌즈(L)를 고정시키며, 상기 가이드공(11)에 가이드되어서 좌우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딩되고 좌고정부재(51)와 우고정부재(52)로 이루어진 좌우고정수단(50)이 배설되어 있다.
또, 상기 좌우고정수단(50)의 좌고정부재(51)와 우고정부재(52)에는, 상기 렌즈(L)가 상기 지지수단(10)의 상부에서 위치결정된 후 상기 좌고정부재(51)와 상기 우고정부재(52)가 상기 지지수단(10)에서 슬라이딩됨이 없이 위치고정되도록 고정홀(FH)이 형성되고, 이 고정홀(FH)에는 고정볼트(FB)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좌고정부재(51)와 상기 우고정부재(52)의 하부양측에는, 도 4 및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좌고정부재(51)와 상기 우고정부재(52)가 상기 고정볼트(FB)에 의해 상기 지지수단(10)에 위치고정될 경우 상기 좌고정부재(51)와 상기 우고정부재(52)가 상기 지지부재(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볼트등과 같은 이탈방지부재(511)(521)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4 및 도 6에 있어서 상기 좌고정부재(51)와 상기 우고정부재(52)가상기 지지부재(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이탈방지부재(511)(521)가 설치되어 있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좌고정부재(51)와 상기 우고정부재(52)에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좌고정부재(51)와 상기 우고정부재(52)가 상기 위치가변수단(40)의 회전부재(41)에 삽입되어 상기 좌고정부재(51)와 상기 우고정부재(52)가 상기 지지부재(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 것도 적용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0)의 하부에는, 상기 위치가변수단(40)이 작동되도록 작동공간부(61)가 형성된 보조지지수단(60)이 상기 볼트(B)에 의해 조립되어 있다.
즉, 상기 보조지지수단(60)은, 상기 좌우고정수단(50)과 상기 위치결정수단(30)이 슬라이딩되도록 공간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상기 위치가변수단(40)이 수납되도록 공간을 형성시키는 작동공간부(61)와, 상기 작동공간부(61)에서 상기 위치가변수단(40)의 지지부재(42)가 유동됨이 없도록 상기 지지부재(42)가 수납되며 상기 작동공간부(61)의 양단에 형성된 고정요홈(62)으로 이루어져, 후술하는 좌우이송수단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또, 상기 보조지지수단(60)에는, 상기 지지수단(10)과 연동하여 이송되도록상기 볼트(B)가 나사결합되는 고정홈(63)과, 후술하는 좌우이송수단과 연동하여 이송되도록 볼트(B)가 체결되는 관통공(6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조지지수단(60)의 전면에는, 상기 보조지지수단(60)의 이송거리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기준표시점(65)이 마킹되어 있다.
또, 상기 보조지지수단(60)의 하부에는, 상기 보조지지수단(60)을 사용자가 좌우방향으로 이송시킬 경우 상기 보조지지수단(60)을 이송시키는 좌우이송수단(70)이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좌우이송수단(70)은, 상기 지지수단(10)에 지지된 한쌍의 상기 렌즈(L)의 대칭위치에 정확한 구멍을 천공시키도록 사용자의 힘의 가함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이송되며 상기 보조지지수단(60)과 볼트(B)에 의해 조립된 좌우이송부재(71)와, 상기 좌우이송부재(71)가 사용자의 힘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이송될 경우 전후방향으로 유동됨이 없이 좌우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좌우이송부재(71)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72)로 이루어져 있다.
또, 상기 좌우이송수단(70)에는 상기 좌우이송수단(70)이 좌우방향으로 이송될 경우 사용자가 이송거리를 감각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일정거리 이송된 후에는 상기 좌우이송수단(70)이 힘을 가하지 않을 경우 유동됨이 없이 고정되도록 위치고정수단(80)이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위치고정수단(80)은, 상기 좌우이송수단(70)의 저면에 형성된 홀(81)과, 상기 홀(81)에 수납된 탄성부재(82)와, 상기 탄성부재(82)의 탄성력에 의해 부세되는 볼(83)과, 상기 볼(83)을 수납하여서 상기 좌우이송수단(70)이 이송완료될 경우 상기 좌우이송수단(70)이 유동됨이 없도록 후술하는 베이스부재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 볼수용홈(84)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그림에서 부호 91은 베이스부재이고, 92는 상기 렌즈(L)에 구멍을 천공하는 드릴수단이며, 93은 상기 드릴수단(92)을 지지하는 드릴지지부재이고, 94는 상기 드릴수단(92)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드릴지지부재(93)를 가이드하는 드릴이동가이드부재이며, 95는 상기 드릴이동가이드부재(94)에 가이드되어서 상기 드릴수단(92)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드릴이송손잡이이다.
또 한편, 상기 베이스부재(91)의 평면에는 상기 좌우이송수단(70)이 좌우방향으로 이송된 거리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측정눈금(96)이 마킹되어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무테안경의 구멍가공장치의 구멍가공순서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우선, 상기 렌즈(L)에 상기 브릿지(B)와 상기 안경다리(A)를 가조립시켜서 한쌍의 상기 렌즈(L)중 어느 한개의 렌즈(L)에 브릿지용구멍(BH)과 안경다리용구멍(AH)을 마킹한다.
또, 어느 한개의 렌즈(L)의 브릿지용구멍(BH)과 다른 한개의 브릿지용구멍(BH)의 간격(M)을 측정한다.
또한, 상기 브릿지용구멍(BH)의 간격(M)을 측정한 후에는, 상기 위치가변수단(40)의 조절부재(43)를 조작하여서 한쌍의 상기 렌즈(L)를 상기 지지수단(10)의 상부에 놓을 경우 한쌍의 상기 렌즈(L)의 브릿지용구멍(BH)의 간격이 M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위치결정수단(30)의 제1위치결정부재(31)와 제2위치결정부재(32)의 간격을 조정한다.
또, 상기 위치결정수단(30)의 간격을 조정한 후에는 한쌍의 상기 렌즈(L)를 상기 위치결정수단(30)에 접하도록 하고 상기 렌즈(L)의 마킹부위가 상기 기준점(12)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렌즈(L)가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렌즈(L)를 정위치에 위치시킨 후에는 상기 전후고정수단(20)과 상기 좌우고정수단(40)을 위치이동시켜 상기 렌즈(L)가 상기 지지수단(10)에서 유동됨이 없도록 고정시킨다.
또, 상기 렌즈(L)를 유동됨이 없이 고정시킨 후에는, 상기 지지수단(10)에 힘을 가하여 1/2M거리만큼 상기 지지수단(10)을 이송시킨다.
이때, 상기 지지수단(10)의 이송거리(1/2M)는 상기 보조지지수단(60)의 기준표시점(65)과 상기 베이스부재(91)에 마킹된 측정눈금(96)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 상기 지지수단(10)을 이송시킨 후에는 상기 드릴이송손잡이(95)를 조작하여 상기 렌즈(L)에 브릿지용구멍(BH)을 천공시킨다.
또한, 상기 렌즈(L)의 어느 한개에 브릿지용구멍(BH)을 천공시킨 후에는 상기 렌즈(L)의 다른 한개에 브릿지용구멍(BH)을 천공시키기 위하여 상기 지지수단(10)을 상기의 반대방향으로 M거리만큼 이동시킨 후, 상기 드릴손잡이(95)를 조작하여 상기 렌즈(L)에 브릿지용구멍(BH)을 천공한다.
즉, 상기 렌즈(L)가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수단(10)을 이송시켜 상기 브릿지용구멍(BH)을 천공하므로서 한쌍의 상기 렌즈(L)에는 정확하게 대칭된 상기 브릿지용구멍(BH)이 천공되게 되어 상기 브릿지(B)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렌즈(L)에 브릿지용구멍(BH)을 천공시킨 후에는, 상기 렌즈(L)의 고정상태를 해제시킨 후 상술한 방법과 동일하게 상기 렌즈(L)에 안경다리용구멍(AH)을 천공한다.
즉, 상기 렌즈(L)를 견고하게 고정시킨 후 상기 지지수단(10)을 이동시켜 상기 렌즈(L)의 정확한 위치에 브릿지용구멍(BH)과 안경다리용구멍(AH)을 천공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렌즈(L)의 브릿지용구멍(BH)과 안경다리용구멍(AH)을 정위치에 신속하게 천공시키므로서 생산성이 향상되고, 상기 렌즈(L)에 브릿지(B)와 안경다리(A)를 대칭되게 조립하므로서 고품질의 무테안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무테안경의 구멍가공장치에 의하면, 한쌍의 렌즈중 어느 한 렌즈에 브릿지용구멍과 안경다리용구멍을 마킹한 후 지지수단에 한쌍의 렌즈를 위치시키고 고정수단에 의해 렌즈를 좌우 및 상하이동됨이 없이 견고하게 고정시켜 구멍을 천공할 수 있으므로, 무테안경의 브릿지용구멍과 안경다리용구멍을 정확하고도 신속하게 천공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소비만족을 배가시키며 고품질의 무테안경을 제공할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게 되는것이다.

Claims (3)

  1. 한쌍의 렌즈(L)와 브릿지(B)와 안경다리(A)로 이루어진 무테안경(S)과; 상기 무테안경(S)의 렌즈(L)에 브릿지용구멍(BH)과 안경다리용구멍(AH)을 천공하는 드릴수단(92)과; 상기 드릴수단(92)을 지지하는 드릴지지부재(93)와; 상기 드릴지지부재(93)를 가이드하는 드릴이동가이드부재(94)와; 상기 드릴이동가이드부재(94)에 가이드되어서 상기 드릴수단(92)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드릴이송손잡이(95)로 이루어진 무테안경의 구멍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렌즈(L)를 지지하며, 내측에는 좌우방향으로 가이드공(11)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11)의 상부에는 상기 렌즈(L)의 천공될 구멍의 위치를 셋팅시키기 위한 기준점(12)이 마킹된 지지수단(10)과;
    상기 지지수단(10)에 지지된 상기 렌즈(L)가 전후방향으로 유동됨이 없도록 상기 지지수단(10)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서 상기 렌즈(L)를 고정시키며, 전부고정부재(21)와 후부고정부재(22)로 이루어진 전후고정수단(20)과;
    상기 전후고정수단(20)에 설치된 상기 지지수단(10)에 지지된 한쌍의 상기 렌즈(L)가 상기 지지수단(10)의 기준점(12)을 기준으로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위치결정시키며, 제1위치결정부재(31)와 제2위치결정부재(32)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수단(10)의 가이드공(11)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배설된 위치결정수단(30)과;
    상기 위치결정수단(30)의 제1위치결정부재(31)와 제2위치결정부재(32)가 연동하여서 이격되도록 상기 위치결정수단(30)과 조립되며, 상기제1위치결정부재(31)와 상기 제2위치결정부재(32)와 나사결합되고 양방향나사가 형성된 회전부재(41)와, 상기 회전부재(41)가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부재(41)의 양단에 설치된 지지부재(42)와, 상기 지지부재(42)에 지지된 상기 회전부재(41)를 회전시켜 상기 제1위치결정부재(31)와 상기 제2위치결정부재(32)를 연동하여 이격시키도록 상기 회전부재(41)와 연결된 조절부재(43)로 이루어진 위치가변수단(40)과;
    상기 위치가변수단(40)에 의해 위치결정된 상기 렌즈(L)가 좌우방향으로 유동됨이 없도록 상기 렌즈(L)를 고정시키며, 상기 가이드공(11)에 가이드되어서 좌우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딩되고 좌고정부재(51)와 우고정부재(52)로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공(11)에 배설된 좌우고정수단(50)과;
    상기 좌우고정수단(50)과 상기 위치결정수단(30)이 슬라이딩되도록 공간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상기 위치가변수단(40)이 수납되도록 공간을 형성시키는 작동공간부(61)와, 상기 작동공간부(61)에서 상기 위치가변수단(40)의 지지부재(42)가 유동됨이 없도록 상기 지지부재(42)가 수납되며 상기 작동공간부(61)의 양단에 형성된 고정요홈(6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수단(10)과 고정볼트(FB)에 의해 조립된 보조지지수단(60)과;
    상기 보조지지수단(60)과 상기 지지수단(10)이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보조지지수단(60)과 볼트(B)에 의해 조립된 좌우이송부재(71)와, 상기 좌우이송부재(71)가 사용자의 힘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이송될 경우 전후방향으로 유동됨이 없이 좌우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좌우이송부재(71)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72)로 이루어진 좌우이송수단(7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테안경의 구멍가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고정수단(20)의 전부고정부재(21)와 후부고정부재(22)에는,
    상기 렌즈(L)가 상기 지지수단(10)의 상부에서 위치결정된 후 상기 전부고정부재(21)와 상기 후부고정부재(22)가 상기 지지수단(10)에서 슬라이딩됨이 없이 위치고정되도록 고정홀(FH)이 형성되고, 이 고정홀(FH)에는 고정볼트(FB)가 나사결합되고,
    상기 좌우고정수단(50)의 좌고정부재(51)와 우고정부재(52)에는,
    상기 렌즈(L)가 상기 지지수단(10)의 상부에서 위치결정된 후 상기 좌고정부재(51)와 상기 우고정부재(52)가 상기 지지수단(10)에서 슬라이딩됨이 없이 위치고정되도록 고정홀(FH)이 형성되고, 이 고정홀(FH)에는 고정볼트(FB)가 나사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테안경의 구멍가공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송수단(70)에는, 상기 좌우이송수단(70)이 좌우방향으로 이송될 경우 사용자가 이송거리를 감각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일정거리 이송된 후에는 상기 좌우이송수단(70)이 힘을 가하지 않을 경우 유동됨이 없이 고정되도록 위치고정수단(80)이 구비되고,
    상기 위치고정수단(80)은, 상기 좌우이송수단(70)의 저면에 형성된 홀(81)과, 상기 홀(81)에 수납된 탄성부재(82)와, 상기 탄성부재(82)의 탄성력에 의해 부세되는 볼(83)과, 상기 볼(83)을 수납하여서 상기 좌우이송수단(70)이 이송완료될 경우 상기 좌우이송수단(70)이 유동됨이 없도록 베이스부재(91)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 볼수용홈(8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테안경의 구멍가공장치.
KR2020020011162U 2002-04-13 2002-04-13 무테안경의 구멍가공장치 KR2002854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162U KR200285451Y1 (ko) 2002-04-13 2002-04-13 무테안경의 구멍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162U KR200285451Y1 (ko) 2002-04-13 2002-04-13 무테안경의 구멍가공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0198A Division KR20030081796A (ko) 2002-04-13 2002-04-13 무테안경의 구멍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451Y1 true KR200285451Y1 (ko) 2002-08-13

Family

ID=73121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1162U KR200285451Y1 (ko) 2002-04-13 2002-04-13 무테안경의 구멍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45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1796A (ko) * 2002-04-13 2003-10-22 신명철 무테안경의 구멍가공장치
KR101100583B1 (ko) 2003-03-07 2011-12-29 린드버그 에이/에스 안경렌즈를 가공하기 위한 장치, 고정구, 패킹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1796A (ko) * 2002-04-13 2003-10-22 신명철 무테안경의 구멍가공장치
KR101100583B1 (ko) 2003-03-07 2011-12-29 린드버그 에이/에스 안경렌즈를 가공하기 위한 장치, 고정구, 패킹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10055093A1 (en) Adjustable eyeglass frame
US7600870B2 (en) Attachable magnetic eyeglasses and method of making same
HK1089126A1 (en) An apparatus, fixture, packing, a method for machining of spectacle lenses
JP2008504571A5 (ko)
CA2845802A1 (en) An eyeglass frame, an eyeglass hinge, and a method of assembling a hinge for an eyeglass frame
JPH08155945A (ja) リムレスレンズ用穴開け装置とこれを用いた玉摺機とこの玉摺機に使用されるメガネ用形状測定装置
JPH0259444B2 (ko)
KR200285451Y1 (ko) 무테안경의 구멍가공장치
KR100724151B1 (ko) 다리의 길이 조정이 가능한 안경
JP2007047283A (ja) 眼鏡用テンプル
KR20030081796A (ko) 무테안경의 구멍가공장치
JP2016151761A (ja) 眼鏡
US6623114B2 (en) Glasses capable of accommodating automatically
JPH0133045Y2 (ko)
JPH0337166B2 (ko)
FR2447046A1 (fr) Charnieres souples pour montures de paires de lunettes
US6290356B1 (en) Temple adjusting device for eyeglasses
CN108938185B (zh) 滴眼液电子计数装置
CN220271688U (zh) 一种可拆卸眼镜腿的眼镜
JP3333067B2 (ja) 検眼用補助具
CN204631371U (zh) 夹鼻式眼镜
KR200250236Y1 (ko) 무테안경용 렌즈의 조립공 가공장치
ES2283128T3 (es) Procedimiento de fabricacion de gafas y gafas obtenidas con dicho procedimiento.
JPH028254Y2 (ko)
TWI826314B (zh) 眼鏡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