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441Y1 - Led신호등의 led모듈 전원연결구조 - Google Patents

Led신호등의 led모듈 전원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441Y1
KR200285441Y1 KR2020020010335U KR20020010335U KR200285441Y1 KR 200285441 Y1 KR200285441 Y1 KR 200285441Y1 KR 2020020010335 U KR2020020010335 U KR 2020020010335U KR 20020010335 U KR20020010335 U KR 20020010335U KR 200285441 Y1 KR200285441 Y1 KR 2002854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ed module
conductive connector
led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03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호
이종규
Original Assignee
(주)아텔스
(주)케이엘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텔스, (주)케이엘테크 filed Critical (주)아텔스
Priority to KR20200200103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4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4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441Y1/ko

Links

Landscapes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LED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ED신호등에 있어서의 LED모듈의 전원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전체로 형성되며 볼트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도전연결구가 LED모듈과 전원변환기를 볼트결합을 통하여 통전가능토록 간편하게 연결하는 LED신호등의 LED모듈 전원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LED신호등의 LED모듈 전원연결구조{An electrical connecting system of LED-module for a LED signal lamp}
본 고안은 LED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ED신호등에 있어서의 LED모듈의 전원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전체로 형성되며 볼트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도전연결구가 LED모듈과 전원변환기를 볼트결합을 통하여 통전가능토록 간편하게 연결하는 LED신호등의 LED모듈 전원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LED신호등은 광원을 LED 소자를 사용하여 기존의 백열전구 이용시 보다 전력소모가 약 80% 이상 절약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세계 여러 국가에서는 오래 전부터 전기절약 차원에서 LED 신호등으로 교체하고 있으며, 우리 나라도 시행할 예정에 있다.
LED신호등의 전체 구성은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교통신호등 제어 전원인 교류전원 AC220V를 입력받아 DC 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전원변환기(200)와, 기판에 다수의 LED소자가 장착된 LED모듈(100)과, 외부케이스(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LED신호등의 경우, 전원변환기와 LED모듈간의 전원연결을 하여야 하며, 이러한 기존의 LED모듈 전원연결구조는 도2에서와 같은 소켓접속구조가 있다.
상기의 구조는 전원변환기와 LED모듈의 전원연결을 위하여 소켓을 사용하는 구조이다.
즉, 전원변환기기판과 LED모듈기판에 암단자 또는 수단자를 설치하고, 상기 단자에 삽입하여 접속하기 위한 접속용 플러그(310,311)가 그 양단에 형성된 접속코드(300)를 사용하여 전원변환기와 LED모듈간의 전원연결을 하는 구조인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조는 접속코드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며, 상기와 같은 접속코드의 전선이 기판위에 걸쳐지므로 전체적으로 정돈되지 않아 복잡해 보이며, 그 연결작업도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조는 전원변환기를 LED모듈에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고정프레임이 또한 필요하다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다.
이 밖에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LED모듈 전원열결구조로는 가장 일반적인 구조인 도3에서와 같은 납땜접속구조가 있다.
상기의 구조는 전원변환기기판과 LED모듈기판을 전선의 양단을 서로 납땜하여 연결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는 별도의 번거로운 납땜공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원변환기와 LED모듈을 서로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고정프레임이 필요함은 전례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조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조립공정시간을 단축하여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는 LED신호등의 LED모듈 전원연결구조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은 도전체로 형성되며 볼트결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도전연결구를 사용하여 LED모듈과 전원변환기를 통전가능토록 연결하는 본 고안의 구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LED 신호등의 기본적인 전체 구성의 개념도
도2는 종래의 LED모듈 전원연결구조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3은 종래의 다른 LED모듈 전원연결구조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
도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요부 종단면도
도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요부 종단면도
도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의 요부 종단면도
도8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의 요부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LED 모듈 2: 전원변환기
10: LED 모듈기판 20: 전원변환기기판
30: 도전연결구 40: 나사
50: LED
본 고안은 외부케이스와,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전원변환기와, 상기 전원변환기로 부터 직류전원을 인가받아 작동하며 다수의 LED가 장착된 LED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LED신호등의 LED모듈 전원연결구조에 있어서;
도전체로 형성되며 볼트결합구조를 갖는 도전연결구가 상기 LED모듈과 전원변환기를 통전가능토록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이하에 기술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 이하 첨부된 도면 중 동일한 이름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기재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나사는 볼트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하며 그 구별을 한정하지 않기로 한다.)
도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개략적인 전체구성도이며 도5는 그 요부의 종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는 외부케이스와,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전원변환기(2)와, 상기 전원변환기로 부터 직류전원을 인가받아 작동하며 다수의 LED(50)가 장착된 LED모듈(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LED신호등의 LED모듈 전원연결구조에 있어서, 도전체로 형성되며 볼트결합구조를 갖는 도전연결구(30)가 상기 LED모듈과 전원변환기를 통전가능토록 연결하되,
상기 도전연결구는 그 형상을 중공의 파이프로 하고 그 내주면에 나사홈(31)이 형성됨으로써 볼트결합구조를 이루어, 상기 도전연결구의 LED모듈과 전원변환기의 기판(10,20)에 각각의 전원회로와 연결되도록 설치된 나사홀더(25)에 관통 체결되는 나사(40)의 선단부가 상기 도전연결구의 양쪽 구멍으로 삽입되어 체결됨으로써 상기 LED모듈과 전원변환기가 서로 전원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즉, 도전연결구(30)를 통하여 나사만으로 간단하게 전원연결이 가능한 구조인 것이다. 물론 상기 나사 역시 도전체로 형성하여야 할 것임은 당연하다.
상기 LED모듈기판에 설치되는 나사홀더(15)와 전원변환기기판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나사홀더(25)는 각각의 기판에 형성된 전원회로와 통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전류가 잘 흐를 수 있는 도전체로 형성하여야 할 것이며, 그 내주면에는 체결되는 나사와의 결합을 위하여 나사홈을 형성할 수 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사용원리를 도4 및 도5를 통하여 설명하면다음과 같다.
먼저 LED모듈기판(10)의 나사홀더(15)에 나사(40)를 체결한 후 상기 나사홀더를 관통하여 타면으로 돌출되는 나사(40)의 선단부에 도전연결구(30)를 체결한다.
이와 같이 하여 LED모듈기판에 고정된 도전연결구(30)의 개방된 타측 선단에는 전원변환기기판(20)의 나사홀더(25)가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나사홀더(25)에 나사를 체결하여 이 나사가 도전연결구(30)에 삽입체결되도록 하면 간편하게 조립이 완성되게 된다.
물론 상기 도전연결구를 전원변환기기판에 먼저 고정시킨 후 LED모듈기판에 고정시킬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조립이 완성되게 되면, 상기 전원변화기와 LED모듈은 서로 전원이 연결됨은 물론이고, 상기 도전연결구가 고정용 프레임의 역할까지 수행하게 되어 전체적인 구성을 더욱 간단하게 한다.
도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로서, 본 실시예는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기본적인 구조는 동일하되, 상기 도전연결구(30)는 그 일단부는 전원변환기기판(20) 또는 LED모듈기판(10) 중의 어느 일측의 기판의 전원회로와 연결되도록 어느 일측의 기판에 고정 설치되고, 그 타단부는 중공의 파이프형태를 갖되 그 내부에 나사홈(31)이 형성됨으로써 볼트체결구조를 이루도록 하여, 상기 도전연결구의 볼트체결구조를 갖는 단부에 상기 전원변환기기판 또는 LED모듈기판 중의 어느 일측의 기판의 전원회로와 연결되도록 그 기판에 설치된 나사홀더(15)에 관통 체결되는 나사(40)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체결됨으로써, 상기 LED모듈과 전원변환기가 서로 전원연결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도전연결구를 처음부터 전원변환기기판(또는 LED모듈기판)에 고정된 형태로 구성하여 조립공정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나사체결은 LED모듈기판(또는 전원변환기기판)쪽에만 행하게 된다.
상기 도전연결구는 전원변환기기판이나 LED모듈기판 중의 어느 쪽이던지 임의의 쪽에 고정시키는 구성을 취할 수 도 있으며, 이 또한 동일한 구성원리인 것이다.
도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준다.
본 실시예는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기본적인 구성원리는 상기의실시예들과 동일하되, 상기 도전연결구(30)의 볼트체결구조는 상기 도전연결구의 일단부는 내주면에 나사홈(31)이 형성되며 그 선단이 개구된 중공의 파이프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도전연결구의 타단부는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부(32)로 형성함으로써 이루져서, 상기 도전연결구(30)의 파이프쪽에는 전원회로기판(20) 또는 LED모듈기판(10) 중 어느 일측의 기판(본 도면에서는 LED모듈기판으로 도시)을 그 기판의 전원회로와 통전되도록 접촉하며 관통 체결되는 나사(40)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체결되고, 상기 도전연결구의 상기 볼트부(32)는 상기 타측의 기판을 그 기판의 전원회로와 통전가능토록 접촉하며 관통하여 너트(35)에 의해서 고정되는 구성이다.
즉, 본 실시예의 도전연결구는 일측단에는 나사를 타측단에는 너트를 체결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8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의 구성을 보여준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그 기본구성은 역시 상기의 실시예들과 동일하되, 상기 도전연결구(30)의 볼트체결구조는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부(32,32`)가 상기 도전연결구의 양단에 형성됨으로써 이루져서, 상기 일측의 볼트부(32)는 전원변환기기판 또는 LED모듈기판 중 어느 일측의 기판을 그 기판의 전원회로와 통전되도록 접촉하며 관통하여 그 선단에 너트(35)가 체결되어 고정되고, 타측의 볼트부(32`)는 상기 타측의 기판을 그 기판의 전원회로와 통전되도록 접촉하며 관통하여 그 선단에 너트(35`)가 체결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LED모듈과 전원변환기가 서로 전원연결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는 도전연결구의 양쪽 단부를 모두 너트를 이용하여 기판들과 체결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상의 모든 실시예들에서는 공히 도전연결구를 전원변환기기판과 LED모듈기판의 사이에 설치하여 통전 및 고정프레임의 역할을 겸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도전연결구를 통하여 전원변환기와 LED모듈을 통전가능토록 연결하게 되므로 구성이 간단하고 조립공정이 단축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도전연결구가 전원변환기와 LED모듈을 서로 고정하는 고정프레임의 역할까지 겸하게 되어 전체적인 구조를 더욱 단순하게 할 수 있게된다.

Claims (5)

  1. 외부케이스와,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전원변환기와, 상기 전원변환기로 부터 직류전원을 인가받아 작동하며 다수의 LED가 장착된 LED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LED신호등의 LED모듈 전원연결구조에 있어서;
    도전체로 형성되며 볼트결합구조를 갖는 도전연결구가 상기 LED모듈과 전원변환기를 통전가능토록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신호등의 LED모듈 전원연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연결구는 그 형상을 중공의 파이프로 하고 그 내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됨으로써 볼트결합구조를 이루어, 상기 도전연결구의 LED모듈과 전원변환기의 기판에 각각의 전원회로와 연결되도록 설치된 나사홀더에 관통 체결되는 나사의 선단부가 상기 도전연결구의 양쪽 구멍으로 삽입되어 체결됨으로써 상기 LED모듈과 전원변환기가 서로 전원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신호등의 LED모듈 전원연결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연결구는 그 일단부는 전원변환기기판 또는 LED모듈기판 중의 어느 일측의 기판의 전원회로와 연결되도록 어느 일측의 기판에 고정 설치되고, 그 타단부는 중공의 파이프형태를 갖되 그 내부에 나사홈이 형성됨으로써 볼트체결구조를 이루도록 하여, 상기 도전연결구의 볼트체결구조를 갖는 단부에 상기 전원변환기기판 또는 LED모듈기판 중의 어느 일측의 기판의 전원회로와 연결되도록 그 기판에 설치된 나사홀더에 관통 체결되는 나사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체결됨으로써, 상기 LED모듈과 전원변환기가 서로 전원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신호등의 LED모듈 전원연결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연결구의 볼트체결구조는 상기 도전연결구의 일단부는 내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되며 그 선단이 개구된 중공의 파이프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도전연결구의 타단부는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부로 형성함으로써 이루져서, 상기 도전연결구의 파이프쪽에는 전원회로기판 또는 LED모듈기판 중 어느 일측의 기판을 상기 그 기판의 전원회로와 통전되도록 접촉하며 관통 체결되는 나사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체결되고, 상기 도전연결구의 상기 볼트부는 상기 타측의 기판을 그 기판의 전원회로와 통전가능토록 접촉하며 관통하여 너트에 의해서 고정됨으로써, 상기 LED모듈과 전원변환기가 서로 전원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신호등의 LED모듈 전원연결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연결구의 볼트체결구조는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부가상기 도전연결구의 양단에 형성됨으로써 이루져서, 상기 일측의 볼트부는 전원변환기기판 또는 LED모듈기판 중 어느 일측의 기판을 그 기판의 전원회로와 통전되도록 접촉하며 관통하여 그 선단에 너트가 체결되어 고정되고, 타측의 볼트부는 상기 타측의 기판을 그 기판의 전원회로와 통전되도록 접촉하며 관통하여 그 선단에 너트가 체결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LED모듈과 전원변환기가 서로 전원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신호등의 LED모듈 전원연결구조.
KR2020020010335U 2002-04-06 2002-04-06 Led신호등의 led모듈 전원연결구조 KR2002854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335U KR200285441Y1 (ko) 2002-04-06 2002-04-06 Led신호등의 led모듈 전원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335U KR200285441Y1 (ko) 2002-04-06 2002-04-06 Led신호등의 led모듈 전원연결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8790A Division KR20030079614A (ko) 2002-04-06 2002-04-06 Led신호등의 led모듈 전원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441Y1 true KR200285441Y1 (ko) 2002-08-13

Family

ID=73083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0335U KR200285441Y1 (ko) 2002-04-06 2002-04-06 Led신호등의 led모듈 전원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44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941Y1 (ko) 2010-12-06 2013-05-15 김상원 조명식 교통안전표지판의 설치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941Y1 (ko) 2010-12-06 2013-05-15 김상원 조명식 교통안전표지판의 설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1192B2 (en) LED illumination apparatus
CA23105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tro-fitting a traffic signal light with a light emitting diode lamp module
EP3211302B1 (en) Dimming device and drive dimming device
KR20110053157A (ko) Led조명장치
CN101956905B (zh) 灯具及其发光二极管灯管
CN110831297A (zh) 高度集成式板上驱动洗墙灯
KR200285441Y1 (ko) Led신호등의 led모듈 전원연결구조
CN210424583U (zh) 一种具有补电结构的灯带
KR20030079614A (ko) Led신호등의 led모듈 전원연결구조
KR100914750B1 (ko) 신호등의 전원 연결 구조
KR20070096629A (ko) 조명등과 등기구가 일체로 형성되는 조명유닛
US20150009651A1 (en) LED Lamp
KR100317222B1 (ko) 항공장애등용 램프
KR200240958Y1 (ko) 입체구조를갖는고밀도반도체전구
CN206846461U (zh) 一种串接使用的led橱柜灯
CN110864231B (zh) Led支架灯
CN217684482U (zh) 一种高亮防眩节能型led条形灯
CN217875488U (zh) 一种led灯具
CN210928074U (zh) 高度集成式板上驱动洗墙灯
KR20150008983A (ko) Led 조명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커넥터 구조
CN210398712U (zh) 一种太阳能led楼宇亮化装置
CN210891500U (zh) 灯体连接件及照明灯具
CN216896905U (zh) 一种带公母底座针对插装配的灯具
CN208764791U (zh) 一种灯头与灯臂的连接结构及应用其的灯具
JPH032852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