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232Y1 - 역류방지용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역류방지용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232Y1
KR200285232Y1 KR2020020013690U KR20020013690U KR200285232Y1 KR 200285232 Y1 KR200285232 Y1 KR 200285232Y1 KR 2020020013690 U KR2020020013690 U KR 2020020013690U KR 20020013690 U KR20020013690 U KR 20020013690U KR 200285232 Y1 KR200285232 Y1 KR 2002852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flow prevention
drainage
cylinder
drai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36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재승
Original Assignee
우재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재승 filed Critical 우재승
Priority to KR20200200136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2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2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232Y1/ko

Links

Landscapes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수구에 설치되는 역류방지용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여과망이 구비되어 관통공을 갖는 차단부가 형성된 배수통체와; 배수의 역류시 상기 배수통체의 관통공을 차단하는 역류방지구와; 상기 역류방지구가 수납되며, 상기 배수통체의 하단에 결합되어 하부에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역류방지구 수납통체로 구성되어 호우시에 역류되어 배수통체로 유입되는 오폐수의 수압을 이용하여 역류방지구가 배수통체의 관통공을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오폐수의 역류로 인한 막대한 재산상의 손실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역류방지용 배수장치{Draining apparatus for preventing an upstream current}
본 고안은 가정이나 건물의 하수구에 설치되는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수관으로부터 역류되는 물을 차단하기 위한 역류방지용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건물등에는 각종 오폐수가 배출되는 하수구가 형성되어 있는데 평상시에는 하수구를 통해 원활한 배수작용을 실시하게 되지만, 호우 또는 장마시에는 하수가 역류됨으로써 가정이나 공장 건물의 실내로 오폐수가 유입되어 막대한 재산피해를 입히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의 목적은 하수구를 통해 역류되는 오폐수를 차단하여 호우 또는 장마시에 하수의 역류로 인해 발생되는 재산상의 피해를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함과 아울러 설치가 간편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역류방지용 배수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의한 역류방지용 배수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역류되는 물을 차단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역류방지용 배수장치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배수통체 12 ; 관통공
14 ; 패킹 16 ; 오물여과망
20 ; 역류방지구 30 ; 역류방지구 수납통체
32 ; 배수공 34 ; 이물질여과망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 여과망이 구비되어 관통공을 갖는 차단부가 형성된 배수통체와; 배수의 역류시 상기 배수통체의 관통공을 차단하는 역류방지구와; 상기 역류방지구가 수납되며, 상기 배수통체의 하단에 결합되어 하부에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역류방지구 수납통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수통체와 역류방지구 수납통체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역류방지구 수납통체는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하단부를 분리형성시킨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역류방지구 수납통체의 하단에는 배수공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이물질 여과망이 더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역류방지용 배수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의한 역류방지용 배수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역류되는 물을 차단하는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역류방지용 배수장치의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하수구에 배수통체(10)가 고정설치되어 있고, 배수통체(10)의 하단에는 역류방지구(20)가 수납된 역류방지구 수납통체(30)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배수통체(10)의 하단에는 원형의 관통공(12)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공(12)에는 패킹(14)이 결합되어 있으며, 배수통체(10)의 내부에는 오물여과망(16)이 결합되어 있다.
역류방지구 수납통체(30)의 하단에는 다수의 배수공(32)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 외주부에는 이물질여과망(34)이 결합되어 있다. 이때, 배수통체(10)의 하단 외주면에는 나사부(10a)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되는 역류방지구 수납통체(30)의 상단부 내주면에 나사부(30a)가 형성되어 있다.
역류방지구 수납통체(30)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역류방지구(20)는 배수통체(10)의 관통공(12)을 차단할 수 있도록 관통공(1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구(球)의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역류방지용 배수장치의 역류방지작용을설명한다.
홍수 또는 강우로 인하여 배수관을 통해 오폐수가 하수구측으로 역류되면, 역류방지구 수납통체(30)의 하단에 형성된 배수공(32)을 통해 역류방지구 수납통체(30)의 내부에 물이 차오르게 된다.
역류방지구 수납통체(30)의 내부 수위가 높아지면서 역류방지구 수납통체(30)의 내부에서 하측에 위치하고 있던 역류방지구(20)는 수압에 의해서 상측으로 이동된다.
역류되는 물의 수위가 역류방지구 수납통체(30)의 내부에서 완전히 차오르기 전 상태에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역류방지구(20)는 배수통체(10)의 관통공(12)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관통공(12)에는 패킹(14)이 구비되어 있어 역류방지구(20)와 관통공(12) 사이에 누수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역류방지구 수납통체(30)에서 수위가 상승되어 배수통체(10)로 유입되어 역류되려던 물은 더 이상 수위가 상승되지 못하고 역류방지구(20)에 의해 차단되는 것이다.
역류방지구 수납통체(30)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는 이물질여과망(34)은 역류시 배수공(32)을 통해 유입되는 오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나뭇가지 등의 각종 이물질이 역류방지구 수납통체(3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역류방지구(20)가 배수통체의 관통공(12)을 차단하여 역류를 방지하는 작용이 원활하게 실시되도록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통체(10)와 역류방지구(20)가 수납된 역류방지구 수납통체(30)를 일체로 형성한 구성을 제공한다.
배수통체(10)와 역류방지구 수납통체(30)가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통체의 중간부에 관통공(12)이 형성되고, 관통공(12)의 하측에는 역류방지구(20)를 구비한다. 그리고 통체의 하단부는 다수의 배수공(32)이 형성된 부분을 분리형성하여 나사결합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역류를 차단하는 작용은 상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역류방지용 배수장치는 호우 또는 장마시에 빈번하게 발생되는 하수의 역류를 차단함으로써 수해로 인한 재산상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역류방지용 배수장치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설치가 간편하여 소비자가 사용하기도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내부에 여과망이 구비되어 관통공을 갖는 차단부가 형성된 배수통체와;
    배수의 역류시 상기 배수통체의 관통공을 차단하는 역류방지구와;
    상기 역류방지구가 수납되며, 상기 배수통체의 하단에 결합되어 하부에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역류방지구 수납통체;를 포함하는 역류방지용 배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통체와 역류방지구 수납통체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역류방지구 수납통체는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하단부를 분리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용 배수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구 수납통체의 하단에는 배수공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이물질 여과망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용 배수장치.
KR2020020013690U 2002-05-04 2002-05-04 역류방지용 배수장치 KR2002852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690U KR200285232Y1 (ko) 2002-05-04 2002-05-04 역류방지용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690U KR200285232Y1 (ko) 2002-05-04 2002-05-04 역류방지용 배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232Y1 true KR200285232Y1 (ko) 2002-08-13

Family

ID=73075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3690U KR200285232Y1 (ko) 2002-05-04 2002-05-04 역류방지용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23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015B1 (ko) 2006-03-29 2007-05-04 영봉 강 씽크대용 배수장치
KR101528134B1 (ko) * 2014-10-07 2015-06-11 경남엔지니어링(주) 지하 통신케이블 박스에서의 배수트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015B1 (ko) 2006-03-29 2007-05-04 영봉 강 씽크대용 배수장치
KR101528134B1 (ko) * 2014-10-07 2015-06-11 경남엔지니어링(주) 지하 통신케이블 박스에서의 배수트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1707B1 (ko) 악취방지기능을 강화한 이중 배수트랩
KR200285232Y1 (ko) 역류방지용 배수장치
US20070017576A1 (en) Inflatable sewage line backflow prevention devices
KR200383882Y1 (ko) 오수받이
KR200350016Y1 (ko) 기밀을 유지하는 배수장치
KR200223970Y1 (ko) 세면기의 배수트랩
KR101283922B1 (ko) 악취 차단부가 구비된 빗물받이
KR100739365B1 (ko) 배수트랩
KR200212891Y1 (ko) 역류 방지용 배수전
KR20020096223A (ko) 하수도 맨홀용 배수구 자동개폐장치
KR100720355B1 (ko) 공동주택 하수관의 역류방지 배수전
KR100575134B1 (ko) 하수도관 맨홀 개량구조
KR200356471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맨홀
KR101130162B1 (ko) 습식 싱크대 배수전의 건식 배수장치
KR101729772B1 (ko) 공동주택용 하수구 역류방지장치
KR19990022650U (ko) 하수역류방지및악취차단장치
KR200415865Y1 (ko) 배수용 취수구
KR200439737Y1 (ko) 싱크대용 배수전
KR100952143B1 (ko) 오버플로우관 겸용 배수지 통기시스템
KR200395244Y1 (ko) 오수받이 조립체
KR102329699B1 (ko) 지하구조물용 지연배수장치
KR200276633Y1 (ko) 악취방지용 배수트랩
KR20110005094U (ko) 집수정
KR200338590Y1 (ko) 하수관 및 기타 용수관용 역지밸브
KR200164334Y1 (ko) 부동전의 오물유입 방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