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8134B1 - 지하 통신케이블 박스에서의 배수트랩 - Google Patents

지하 통신케이블 박스에서의 배수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8134B1
KR101528134B1 KR1020140134825A KR20140134825A KR101528134B1 KR 101528134 B1 KR101528134 B1 KR 101528134B1 KR 1020140134825 A KR1020140134825 A KR 1020140134825A KR 20140134825 A KR20140134825 A KR 20140134825A KR 101528134 B1 KR101528134 B1 KR 101528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hole
bead
communication cable
cabl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4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영
Original Assignee
경남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남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경남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40134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81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8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8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2Arrangements of means against overflow of water, backing-up from the drai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H02G9/065Longitudinally split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 중앙에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측면으로 빗물유입공이 형성되고 하부에 격판이 형성된 악취방지판이 고정되어 있는 빗물 수용부와; 상기 빗물 수용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부에는 상기 통공의 상부로 돌출된 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된 고깔 형상의 역류방지캡과; 상기 역류방지캡 하부에 위치하며 측면과 하부는 매쉬망으로 구성되며 내부에 상기 상판의 관통공을 막을 수 있는 구슬이 들어있는 구슬수용부와; 상기 구슬수용부 하부에 위치하며 빗물을 땅속으로 흘러내리게 하는 유도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통신케이블 박스에서의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하케이블에서의 파이프의 연결부위 또는 통신케이블 박스와 파이프의 연결부위로 유입되는 빗물을 지하로 흘러 내려가게 하며 물 뿐만 아니라 악취나 가스가 역류되지 않게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지하 통신케이블 박스에서의 배수트랩{the drainage trap of underground communication cable box}
본 발명은 지하 통신케이블 박스에서의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맨홀 아래에 설치되는 통신케이블 박스에 빗물 등에 의해 통신모듈 내지 통신케이블의 고장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수가 원활하며 물 뿐만 아니라 악취나 가스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지하 통신케이블 박스에서의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를 연결한 파이프의 내부로 통신케이블선이 설치되며 파이프의 연결부위 또는 통신케이블 박스와 파이프의 연결부위로 빗물이 유입되어 통신케이블 박스의 내부에 있는 통신모듈이나 통신케이블선의 훼손이 발생한다.
또한, 집중 폭우의 경우 지역에 따라 배수가 원활히 되지 않는 곳은 통신케이블 박스로 물이 유입되어 통신케이블 박스의 내부에 있는 통신모듈이나 통신케이블선의 훼손이 발생한다.
이러한 통신케이블 박스의 배수 및 환기를 목적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35909인 통신모듈이 수납된 케이싱의 배수트랩장치는 케이싱과 연통되며 동시에 케이싱 하부에 배치되고, 하단에 다수의 배수구멍 형성된 원통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내부를 관통하여 선단부가 케이싱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 케이싱에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결합축에 순차적으로 삽입된 한쌍의 나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모듈이 수납된 케이싱의 배수트랩장치을 제안하고 있다.
상기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35909인 통신모듈이 수납된 케이싱의 배수트랩장치는 배수와 환기 면에서 어느 정도의 효과는 있으나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역류방지의 기능이 미약하다고 할 것이다.
역류방지를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98705 역류 방지 기능을 구비한 배수 트랩은 악취 등의 역류 방지 구조를 이중으로 형성하여 역류 방지 기능에 있어서 충분히 만족스러운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새로운 역류 방지 기능을 구비한 배수 트랩을 제안하고 있다.
상기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98705는 일반 가정이나 식당 등의 배수관에 설치되며 역류 및 악취 제거의 기능은 뛰어나나 본 발명인 통신케이블 박스에 설치하기에는 구조적으로 맞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파이프의 연결부위 또는 통신케이블 박스와 파이프의 연결부위로 유입되는 빗물을 지하로 흘러 내려가게 하며 물 뿐만 아니라 악취나 가스가 역류되지 않는 지하 통신케이블 박스에서의 배수트랩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 중앙에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측면으로 빗물유입공이 형성되고 하부에 격판이 형성된 악취방지판이 고정되어 있는 빗물 수용부와; 상기 빗물 수용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부에는 상기 통공의 상부로 돌출된 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된 고깔 형상의 역류방지캡과; 상기 역류방지캡 하부에 위치하며 측면과 하부는 매쉬망으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관통공을 막을 수 있는 다수개의 구슬이 들어있는 구슬수용부와; 상기 구슬수용부 하부에 위치하며 빗물을 땅속으로 흘러내리게 하는 유도관으로 구성되되, 상기 역류방지캡 상부에 형성된 관통공의 하측으로 반구의 형상인 구형부가 형성되며, 상기 구형부의 반경은 상기 구슬 수용부 내부의 구슬 반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지하케이블에서의 파이프의 연결부위 또는 통신케이블 박스와 파이프의 연결부위로 유입되는 빗물을 지하로 흘러 내려가게 하며 물 뿐만 아니라 악취나 가스가 역류되지 않게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지하 통신케이블 박스에서의 개략적인 설치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 통신케이블 박스에서의 배수트랩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 통신케이블 박스에서의 배수트랩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 통신케이블 박스에서의 배수트랩의 작동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인 지하 통신케이블 박스에서의 배수트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에서의 설치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지하 통신케이블 박스에서의 배수트랩(100)은 맨홀 뚜껑(10)의 하부에 설치되는 통신케이블의 박스(20)의 하단부에 설치되게 되며 하부에는 배수를 위하여 자갈 또는 모래가 깔리게 되며 상부에는 통신모튤을 보관하는 보관함(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인 지하 통신케이블 박스에서의 배수트랩의 사시도와 단면도인 도 2,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신케이블의 박스 하부로 흘러들어온 빗물은 빗물수용부를 거쳐 흘러내려가게 된다.
상기 빗물 수용부(40)의 내부에는 악취방지판(42)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악취방치판(42)은 측면에 빗물이 흘러내리게 빗물유입공(44)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빗물유입공(44)으로 빗물이 하측으로 흘러내려간다.
상기 악취방치판(42)의 하부에는 격판(4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격판(46)의 길이는 하기에 서술할 역류방지캡(50) 상부에 형성된 관통공(52)의 수평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빗물 수용부(4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 형상으로 제작하였으며 필요에 따라 사각형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격판(46)도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제작된다.
상기 빗물 수용부(40)는 걸림턱(49)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통신케이블의 박스 하부 일측에 상기 걸림턱(49)이 걸쳐 고정되어 상기 빗물 수용부(40) 외측으로 빗물이나 악취 및 가스가 유입되지 못한다.
상기 빗물 수용부(40)의 하부에는 역류방지캡(50)이 위치하게 되며 통공의 상부로 상기 역류방지캡(50)의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54)가 돌출되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역류방지캡(50)의 돌출부(54)의 상부 최상단으로 관통공(5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역류방지캡(50)의 형상은 전체적으로 고깔 형상으로 상기 통공 아래로 상부에서 하부로 직경이 넓어지는 형상을 띈다.
상기 역류방지캡(50)의 하부는 하부프렌지(56)가 형성되어 하기에 서술할 구슬수용부(60)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프렌지(66)에 안착된다.
상기 역류방지캡(50)의 하부에는 구슬수용부(60)가 위치하며, 상기 구슬수용부(60)의 내부에는 구슬(64)이 수용되며 상기 구슬이 상기 구슬수용부(60)에서 빠져나가지 않으며 상기 구슬 사이로 빗물이 빠져나가게 상기 구슬수용부(60)의 하부와 측면은 매쉬망(62)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슬수용부(60)의 상부는 상부프렌지(6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프렌지(66)의 상부에 상기 역류방지캡(50)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프렌지(56)가 안착된다.
상기 구슬수용부(60)의 하부에는 빗물이 땅속으로 흘러내리게 하는 유도관(70)이 위치하며 상기 역류방지캡(50)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프렌지(56)와 상기 구슬수용부(60)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프렌지(66)를 수용하는 프렌지(76)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프렌지(76), 하부프렌지(66), 상부프렌지(56)는 볼트 등에 의해 결합시키거나 용접 등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인 지하 통신케이블 박스에서의 배수트랩의 분리사시도 및 단면도인 도 4,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빗물 수용부(40)의 하부는 통공(48)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공(48)으로 상기 역류방지캡(50)의 상부인 돌출부(54)가 돌출되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역류방지캡(50)의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의 최상단에는 둘 이상의 관통공(52)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52)을 중심으로 하측으로 반구 형상의 구형부(5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슬수용부(60)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구슬(64)이 들어 있으며 상기 구슬(64)은 부력에 의해 뜰 수 있는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상기 구형부(58)의 직경은 상기 구슬수용부(60)의 내부에 들어있는 상기 구슬(64)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부력에 의한 상기 구슬(64)의 상승 시 상기 구형부(58)의 상부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52)을 막는다.
물이 유입되지 않는 동안은 도 6 (a)의 일부확대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빗물 수용부의 하부와 돌출부 사이에 물이 고여 있어 상기 아래에서부터 관통공으로 나올 수 있는 악취나 가스가 통신케이블 박스 내부인 보관함(30)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된다.
맨홀 아래의 통신케이블 박스의 내부인 보관함(30)으로 빗물이 유입되게 되면 도 6의 (a)에서 화살표와 같이 상기 빗물 수용부(40)의 내부에 형성된 악취방지판의 빗물유입공과 상기 역류방지캡(50)에 형성된 관통공(52), 상기 구슬수용부(60)의 매쉬망(62), 상기 유도관(70)을 통하여 빗물은 지하로 흘러가게 된다.
자하로부터 물이 차오르는 경우에는 도 6의 (b)에서처럼 물이 화살표와 같이 상기 유도관(70)과 상기 구슬수용부(60)의 매쉬망(62)에 차오르게 되면 상기 구슬수용부(60) 내부에 들어있는 구슬(64)은 부력에 의해 고깔 형성의 구슬수용부(60)에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의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이동된 구슬(64)은 상기 반구 형상의 구형부(58)를 막게 되며 따라서 상기 구형부(58)의 상부 중앙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52)이 막히게 되어 아래로부터 차오르는 물은 통신케이블의 박스 내부인 보관함(30)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된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 지하 통신케이블 박스에서의 배수트랩
10 : 맨홀 뚜껑 20: 통신케이블 박스
30 : 보관함 40 : 빗물 수용부
42 : 악취방지판 44 : 빗물유입공
46: 격판 48 : 통공
49 : 걸림턱 50: 역류방지캡
52 : 관통공 54 : 돌출부
56 : 하부 프렌지 58 : 구형부
60 : 구슬수용부 62 : 매쉬망
64 : 구슬 66 : 상부 프렌지
70 : 유도관 76 : 프렌지

Claims (3)

  1. 하부 중앙에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측면으로 빗물유입공이 형성되고 하부에 격판이 형성된 악취방지판이 고정되어 있는 빗물 수용부와;
    상기 빗물 수용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부에는 상기 통공의 상부로 돌출된 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된 고깔 형상의 역류방지캡과;
    상기 역류방지캡 하부에 위치하며 측면과 하부는 매쉬망으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관통공을 막을 수 있는 다수개의 구슬이 들어있는 구슬수용부와;
    상기 구슬수용부 하부에 위치하며 빗물을 땅속으로 흘러내리게 하는 유도관으로 구성되되,
    상기 역류방지캡 상부에 형성된 관통공의 하측으로 반구의 형상인 구형부가 형성되며, 상기 구형부의 반경은 상기 구슬 수용부 내부의 구슬 반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통신케이블 박스에서의 배수트랩.
  2. 삭제
  3. 삭제
KR1020140134825A 2014-10-07 2014-10-07 지하 통신케이블 박스에서의 배수트랩 KR101528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825A KR101528134B1 (ko) 2014-10-07 2014-10-07 지하 통신케이블 박스에서의 배수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825A KR101528134B1 (ko) 2014-10-07 2014-10-07 지하 통신케이블 박스에서의 배수트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8134B1 true KR101528134B1 (ko) 2015-06-11

Family

ID=53503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4825A KR101528134B1 (ko) 2014-10-07 2014-10-07 지하 통신케이블 박스에서의 배수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813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232Y1 (ko) * 2002-05-04 2002-08-13 우재승 역류방지용 배수장치
KR100645885B1 (ko) * 2006-08-22 2006-11-15 주식회사 화신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역류방지가 용이한 공동주택용 하수구 배수전
KR20080018689A (ko) * 2006-08-25 2008-02-28 한기언 악취 차단 및 항균 탈취용 배수 트랩
KR101293048B1 (ko) * 2011-05-02 2013-08-05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하수의 악취 방지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232Y1 (ko) * 2002-05-04 2002-08-13 우재승 역류방지용 배수장치
KR100645885B1 (ko) * 2006-08-22 2006-11-15 주식회사 화신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역류방지가 용이한 공동주택용 하수구 배수전
KR20080018689A (ko) * 2006-08-25 2008-02-28 한기언 악취 차단 및 항균 탈취용 배수 트랩
KR101293048B1 (ko) * 2011-05-02 2013-08-05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하수의 악취 방지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58292B (zh) 磁吸式下水管道防臭装置
US7854852B1 (en) In-drain device for the collection, extraction and diversion of gray water for reuse
US9605403B1 (en) Vented precipitation guarding manhole cover assemblies
KR20140002387A (ko) 도로형 비점오염원저감장치
KR101102576B1 (ko) 맨홀용 협잡물 수거장치
KR101611507B1 (ko) 해상 처분장에 설치되는 집수관 및 집수관 설치방법
KR101528134B1 (ko) 지하 통신케이블 박스에서의 배수트랩
CN106284610A (zh) 一种具有污水过滤功能的地沟盖板
KR101803937B1 (ko) 맨홀 장치
KR20120007934U (ko) 우수받이
KR101596785B1 (ko) 우수 저류용 역류방지 맨홀 덮개
KR20170064301A (ko) 홍수시 덮개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맨홀의 구조
KR101702646B1 (ko) 우·하수 맨홀의 낙수충격 완충 장치
KR20060073544A (ko) 다중구조를 갖는 맨홀
KR100895422B1 (ko) 하수구의 이물진입방지 및 악취 배출방지용 맨홀덮개
KR100715445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통합형 우수 겸용 오수받이
JP5404488B2 (ja) フィルタ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施設
JP5213413B2 (ja) ます内に配置されるフィルター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フィルターます
KR20160146247A (ko) 조립식 교량집수장치
KR100575134B1 (ko) 하수도관 맨홀 개량구조
JP5619200B2 (ja) ます
KR20010078950A (ko) 악취차단 및 하수의 역류방지장치
JP2014119111A (ja) 排水用低位通気弁
KR102329699B1 (ko) 지하구조물용 지연배수장치
KR102100831B1 (ko) 우오수받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