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214Y1 - Traversing supporting apparatus for fixing vertical supporting pillars - Google Patents

Traversing supporting apparatus for fixing vertical supporting pilla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214Y1
KR200285214Y1 KR2020020013413U KR20020013413U KR200285214Y1 KR 200285214 Y1 KR200285214 Y1 KR 200285214Y1 KR 2020020013413 U KR2020020013413 U KR 2020020013413U KR 20020013413 U KR20020013413 U KR 20020013413U KR 200285214 Y1 KR200285214 Y1 KR 2002852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pillar
locking
transverse
members
connec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341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재동
Original Assignee
(주)신성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성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신성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200134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21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2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214Y1/en

Links

Landscapes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수직 기둥부재 고정용 횡방향 지지장치는, 거푸집의 하부에서 상부의 하중을 지지하는 수직 기둥부재들 사이에 횡방향으로 위치되어 수직 기둥부재들을 고정 및 지지하는 것으로, 서로 직경이 다른 두 개의 파이프 부재로 구성되어 소직경의 파이프 부재가 대직경의 파이프 부재 내외부로 출몰함으로써 전체 길이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된 횡방향 지지부재; 상기 수직 기둥부재들의 소정 부위에 설치되며, 그 몸체에는 상기 횡방향 지지부재를 수직 기둥부재에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슬릿홀이 형성되어 있는 횡방향 연결판; 및 상기 횡방향 지지부재의 양단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횡방향 연결판에 형성되어 있는 슬릿홀에 록킹 부재를 삽입 혹은 삽입된 록킹 부재를 슬릿홀로부터 이탈시킴에 따라 횡방향 지지부재를 상기 수직 기둥부재에 밀착 또는 밀착 상태로부터 해제시키는 록킹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horizontal support device for vertical pillar member fix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osition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between the vertical pillar members for supporting the load of the upper part from the bottom of the form to fix and support the vertical pillar members, the diameter of each other A transverse support member composed of two pipe members such that the small-diameter pipe member emerges into and out of the large-diameter pipe member so that the entire length can be freely adjusted; A transverse connecting plate disposed at predetermined portions of the vertical pillar members, the body having a plurality of slit holes for connecting the transverse supporting member to the vertical pillar member; And lateral support member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lateral support members, respectively, by inserting or inserting the locking member into the slit hole formed in the lateral connecting plate from the slit hole. And locking means for releasing from being in close or close contact with the member.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외부의 진동에도 록킹 상태가 계속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그에 따라 수직 기둥부재의 고정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어 콘크리트 슬래브를 치는 도중에 붕괴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locked state is kept stable even in the external vibration, and thus the fixed state of the vertical pillar member is firmly maintained, thereby preventing the collapse accident from occurring while striking the concrete slab.

Description

수직 기둥부재 고정용 횡방향 지지장치{Traversing supporting apparatus for fixing vertical supporting pillars}Traversing supporting apparatus for fixing vertical supporting pillars}

본 고안은 토목ㆍ건축공사 등에서 흔히 사용되는 수직 기둥부재에 대하여 횡방향(수평 방향)으로 지지해주는 횡방향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직 기둥부재와 횡방향 지지부재의 각각의 몸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의 연결 메커니즘을 개선함으로써 슬래브 타설시 진동으로 인한 연결부의 느슨해짐을 방지하여 횡방향 지지부재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수직 기둥부재의 변형이나 수명단축을 방지할 수 있는 수직 기둥부재 고정용 횡방향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verse support device that supports the transverse direction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column member commonly used in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etc., in particular, the connection connecting each body of the vertical column member and the transverse support member Improves the connection mechanism of the members to prevent loosening of the joints due to vibrations during slab casting, thereby fulfilling the role of the transverse support member, thereby preventing the vertical pillar members from being deformed or shortened in life. It relates to a support device.

일반적으로, 토목ㆍ건축공사 등에 있어서 슬래브 타설시의 수직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거푸집의 하면에는 다수의 수직 기둥부재(주로 원형 철관의 기둥으로서, 흔히 동바리로 지칭됨)를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수직 기둥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해 수직 기둥부재들 사이에는 횡방향(수평 방향)으로 별도의 지지부재를 설치한다. 이때, 이 횡방향 지지부재를 수직 기둥부재에 고정시키는 방식은 도 1에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기둥부재(101)의 몸체에 설치되어 있는 횡방향 연결판 (103)의 핀삽입홀 위에 횡방향 지지부재(102)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연결부(104)의 핀삽입홀을 맞추어 대고, 그 두 개의 적층 핀삽입홀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쐐기형의 수직 고정핀(105)을 삽입한 후, 횡방향 연결판(102)의 하부로 관통되어 나온 수직 고정핀(105)에 형성되어 있는 핀삽입홀(105h)에 수평 고정핀(106)을 타격하여 삽입함으로써 횡방향 지지부재(103)를 수직 기둥부재(101)에 고정하였다.Generally, in order to support the vertical load during slab casting in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work, a plurality of vertical pillar members (mainly referred to as copper bars, usually referred to as copper bars) are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ormwork. Then, in order to fix the vertical pillar member, a separate support member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vertical pillar members. At this time, the method of fixing the lateral support member to the vertical pillar member, as shown in Figure 1, the transverse direction on the pin insertion hole of the transverse connecting plate 103 provided in the body of the vertical pillar member 101 Align the pin insertion hole of the connecting portion 104 provided at the end of the support member 102, and insert the wedge-shaped vertical fixing pin 105 as shown in Fig. 2 into the two laminated pin insertion holes. The horizontal supporting pins 103 by hitting the horizontal fixing pins 106 into the pin insertion holes 105h formed in the vertical fixing pins 105 penetrating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rizontal connecting plate 102. It was fixed to the vertical pillar member 101.

이상과 같이 거푸집의 하면에 수직 기둥부재(101) 및 횡방향 지지부재(102)가 설치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할 시, 바이브레이터가 작동하면 콘크리트가 가라앉고 충전되어 수밀성이 좋아진다. 그러나, 바이브레이터의 진동으로 인해 거푸집 내에 조립된 철근 및 거푸집 자체도 진동하게 되며, 그에 따라 상기 수직 기둥부재(101)도 함께 진동하여 횡방향 지지부재(102)를 고정하고 있는 수평 고정핀 (106) 및 수직 고정핀(105)의 결속 상태가 느슨해지거나 각각의 핀삽입홀에서 이탈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placing concrete in the state where the vertical pillar member 101 and the transverse support member 102 are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ormwork, when the vibrator operates, the concrete sinks and is filled with watertightness. However, due to the vibration of the vibrator, the reinforcing bars and the formwork itself assembled in the formwork also vibrate, and thus the vertical pillar member 101 also vibrates together to fix the horizontal supporting member 102. And the binding state of the vertical fixing pin 105 is loosened or separated from each pin insertion hole.

한편, 콘크리트 타설은 한 번에 두께가 대략 40㎝∼50㎝ 정도씩 수행하고, 다음층의 두께로 콘크리트 타설을 수행하는데, 어느 일측으로 콘크리트 하중이 치우치면 콘크리트를 타설하지 않은 거푸집의 부위가 위로 솟고, 이로 인해 수직 기둥부재(101)가 편압을 받아서 상기 수평 고정핀(106) 및 수직 고정핀(105)이 각각의 핀삽입홀에서 빠지는 현상이 발생한다.On the other hand, concrete pouring is performed at a time of about 40cm ~ 50cm thick and concrete pouring to the thickness of the next layer, if the concrete load is biased on either side, the site of the formwork without pouring concrete rises upwards As a result, the vertical pillar member 101 is biased to cause the horizontal fixing pin 106 and the vertical fixing pin 105 to fall out of the respective pin insertion holes.

이상에서와 같이 고정핀들(105)(106)이 각각의 핀삽입홀에서 빠지게 되면, 수직 기둥부재(101)를 고정하고 있던 횡방향 지지부재(102)의 결속 상태가 해제되어 횡방향 지지부재(102)의 본래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수직 기둥부재(101)가 유동하여 쓰러지거나, 수직 기둥부재(101)에 좌굴(buckling) 현상이나 트위스트 현상이 발생되어 콘크리트 슬래브를 치는 도중에 붕괴 사고를 초래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xing pins 105 and 106 are removed from the respective pin insertion holes, the binding state of the horizontal supporting member 102 that fixes the vertical pillar member 101 is released to thereby remove the horizontal supporting member ( The original function of 102) is not performed. Therefore, the vertical pillar member 101 flows and falls, or a buckling phenomenon or a twist phenomenon occurs in the vertical pillar member 101, resulting in a collapse accident during the hitting of the concrete slab.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종래 횡방향 보조 지지부재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직 기둥부재와 횡방향 지지부재의 각각의 몸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의 연결 메커니즘을 개선함으로써 슬래브 타설시 진동으로 인한 연결부의 느슨해짐을 방지할 수 있는 수직 기둥부재 고정용 횡방향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in the conventional transverse auxiliary support member, and the vibration at the time of slab casting by improving the connection mechanism of the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respective body portions of the vertical pillar member and the transverse support memb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ateral support device for fixing the vertical pillar member that can prevent the loosening of the connection portion.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횡방향 지지부재의 몸체부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수직 기둥부재들 상호 간의 간격에 관계없이 적용이 가능한 수직 기둥부재 고정용 횡방향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rizontal support for fixing a vertical column member that can be applied irrespective of the distance between the vertical pillar members by configuring a structure that can freely adjust the length of the body portion of the transverse support member. will be.

도 1은 종래 수직 기둥부재의 횡방향 고정방식을 보여주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a transverse direction of the conventional vertical pillar member.

도 2는 종래 수직 기둥부재의 횡방향 고정방식에 채용되는 고정핀 타격방식을 보여주는 도면.Figure 2 is a view showing a fixed pin hitting method employed in the horizontal fixing method of the conventional vertical column member.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직 기둥부재 고정용 횡방향 지지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horizontal supporter for fixing the vertical pillar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직 기둥부재 고정용 횡방향 지지장치의 횡방향 연결판 및 록킹 수단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transverse connecting plate and the locking means of the transverse support device for fixing the vertical column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 대한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4.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1,301...수직 기둥부재 102,302...횡방향 지지부재101,301 ... vertical pillar member 102,302 ... lateral support member

103,303...횡방향 연결판 104...연결부103,303 ... lateral connection plate 104 ... connection

105...수직 고정핀 105h...핀삽입홀105 ... Vertical Locking Pins 105h ... Pin Hole

106...수평 고정핀 302a...대직경 파이프 부재106 ... Horizontal lock pin 302a ... Large diameter pipe member

302b...소직경 파이프 부재 302h...핀홀302b ... small diameter pipe member 302h ... pinhole

303h...슬릿홀 304...록킹 수단303h ... slit hole 304 ... locking means

305...록킹 플레이트 305h...절개홈305 ... locking plate 305h ...

306...록킹 레버 306a...록킹부306 ... locking lever 306a ... locking part

306b...레버부 307...고정축306b ... Lever section 307 ... Fixed shaft

308...스프링 302p...고정핀308 ... spring 302p ... retaining pi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수직 기둥부재 고정용 횡방향 지지장치는, 슬래브 구축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부로부터의 하중을 지지하는 수직 기둥부재들 사이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수직 기둥부재들을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vertical pillar member fixing horizontal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formwork when placing concrete for slab construction, and transverse direction between the vertical pillar members supporting the load from the top. In the installation, the device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vertical pillar members,

상기 수직 기둥부재들 사이에 횡방향으로 위치되어 수직 기둥부재들을 고정 및 지지하는 것으로, 서로 직경이 다른 두 개의 파이프 부재로 구성되어 소직경의 파이프 부재가 대직경의 파이프 부재 내외부로 출몰함으로써 전체 길이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된 횡방향 지지부재;Position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between the vertical pillar members to fix and support the vertical pillar members, consisting of two pipe members of different diameters so that the small diameter pipe member emerges into and out of the large diameter pipe member Transverse support member that can be adjusted freely;

상기 수직 기둥부재들의 소정 부위에 설치되며, 그 몸체에는 상기 횡방향 지지부재를 수직 기둥부재에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슬릿홀이 형성되어 있는 횡방향 연결판; 및A transverse connecting plate disposed at predetermined portions of the vertical pillar members, the body having a plurality of slit holes for connecting the transverse supporting member to the vertical pillar member; And

상기 횡방향 지지부재의 양단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횡방향 연결판에 형성되어 있는 슬릿홀에 록킹 부재를 삽입 혹은 삽입된 록킹 부재를 슬릿홀로부터 이탈시킴에 따라 횡방향 지지부재를 상기 수직 기둥부재에 밀착 또는 밀착 상태로부터 해제시키는 록킹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The vertical pillar member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lateral support member, and the lateral support member is disposed in the slit hole formed in the lateral connecting plate, or the lateral support member is detached from the slit ho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cking means for releasing from or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tac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직 기둥부재 고정용 횡방향 지지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3은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횡방향 연결판 및 록킹 수단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대한 단면도이다.3 to 5 show a vertical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horizontal pos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device, 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transverse connecting plate and the locking means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4.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수직 기둥부재 고정용 횡방향 지지장치는 슬래브 구축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부로부터의 하중을 지지하는 수직 기둥부재들(301) 사이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수직 기둥부재들(301)을 고정 및 지지하는 장치로서 횡방향 지지부재(302), 횡방향 연결판(303) 및 록킹 수단(304)으로 크게 구성된다.3 to 5, the vertical pillar member fixing horizontal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lower part of the formwork when placing concrete for slab construction vertical pillar members 301 to support the load from the top It is instal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between, as a device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vertical pillar members 301 is largely composed of a transverse support member 302, the transverse connecting plate 303 and the locking means 304.

상기 횡방향 지지부재(302)는 상기 수직 기둥부재들(301) 사이에 횡방향으로 위치되어 수직 기둥부재들(301)을 고정 및 지지하는 것으로, 서로 직경이 다른 두 개의 파이프 부재(302a)(302b)로 구성되어 소직경의 파이프 부재(302b))가 대직경의 파이프 부재(302a) 내외부로 출몰함으로써 전체 길이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두 개의 파이프 부재(302a)(302b)에는 횡방향 지지부재 (302)의 전체 길이를 조정하기 위한 다수의 핀홀(302h)이 소정 간격으로 각각 형성되고, 그 핀홀(302h)에는 고정핀(302p)이 삽입됨으로써, 횡방향 지지부재(302)의 전체 길이를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The lateral support member 302 is positioned horizontally between the vertical pillar members 301 to fix and support the vertical pillar members 301, and two pipe members 302a having different diameters from each other ( 302b), and the small diameter pipe member 302b is projected to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large diameter pipe member 302a so that the overall length can be freely adjusted. Therefore, the two pipe members 302a and 302b are each formed with a plurality of pinholes 302h for adjusting the overall length of the lateral support member 302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pinholes 302h have fixing pins ( By inserting 302p, the overall length of the lateral support member 302 can be variously adjusted.

상기 횡방향 연결판(303)은 상기 수직 기둥부재들(301)의 소정 부위에 설치되며, 그 몸체에는 상기 횡방향 지지부재(302)를 수직 기둥부재(301)에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슬릿홀(303h)이 형성된다.The lateral connecting plate 303 is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vertical pillar members 301, the body has a plurality of slit holes for connecting the lateral support member 302 to the vertical pillar member 301. 303h is formed.

상기 록킹 수단(304)은 상기 횡방향 지지부재(302)의 양단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횡방향 연결판(303)에 형성되어 있는 슬릿홀(303h)에 록킹 부재를 삽입 혹은 삽입된 록킹 부재를 슬릿홀(303h)로부터 이탈시킴에 따라 횡방향 지지부재(302)를 상기 수직 기둥부재(301)에 밀착 또는 밀착 상태로부터 해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록킹 수단(304)은 횡방향 지지부재(302)의 양단에 각각 연장되어 마련되는 것으로, 성냥갑의 외부케이스 형태를 가지며 상기 횡방향 연결판(303)과 접하는 부위에는 "ㄷ"자형의 절개홈(305h)이 소정 폭과 깊이로 형성되어 있는 록킹 플레이트(305)와, 그 록킹 플레이트(305) 내의 공간에 고정축(30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설치되는 록킹 레버(306)로 구성된다. 여기서, 이 록킹 레버(306)는 전체적으로 대략 원형을 이루는 록킹부(306a)와, 그 록킹부(306a)의 일측에서 록킹부(306a)와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레버부(306b)로 구성되는데, 록킹 레버(306)의 회전운동에 의해 이 록킹부(306a)가 상기 횡방향 연결판(303)에 형성되어 있는 슬릿홀(303h)에 삽입되거나, 삽입된 상태에서 다시 이탈될 수 있도록, 록킹부(306a)는 원의 중심부가 아니라, 중심에서 편심되어 고정축(307)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상기 레버부 (306b)에는 상기 록킹부(306a)가 횡방향 연결판(303)의 슬릿홀(303h)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콘크리트 타설시 바이브레이터의 진동으로 인해 록킹 레버(306)가 횡방향 연결판(303)의 슬릿홀(303h)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스프링(308)이 더 설치된다.The locking means 304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lateral support member 302, respectively, and the locking member inserted or inserted into the slit hole 303h formed in the lateral connecting plate 303. As it moves away from the slit hole 303h, the lateral supporting member 302 serves to release from close or close contact with the vertical pillar member 301. The locking means 304 is provided to extend at both ends of the transverse support member 302, respectively, having a form of an outer case of the matchbox and having a "c" shaped incision in contact with the transverse connecting plate 303. It consists of the locking plate 305 in which the groove 305h is formed in predetermined width and depth, and the locking lever 306 rotatably installed in the space in the locking plate 305 by the fixed shaft 307. As shown in FIG. Here, the locking lever 306 is composed of a locking portion 306a which is generally circular, and a lever portion 306b which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locking portion 306a on one side of the locking portion 306a. The locking part 306a is inserted into the slit hole 303h formed in the transverse connecting plate 303 b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locking lever 306, or locked so that the locking part 306a can be detached from the inserted state again. The portion 306a is eccentric at the center, not the center of the circle, and is fixed by the fixed shaft 307. In addition, the locking portion 306a maintains a stable state in which the locking portion 306a is inserted into the slit hole 303h of the transverse connecting plate 303, and the locking lever due to the vibration of the vibrator during concrete placement. In order to prevent the 306 from escaping from the slit hole 303h of the transverse connecting plate 303, a spring 308 is preferably further provided.

한편,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직 기둥부재 고정용 횡방향 지지장치가 콘크리트 슬라브 구축을 위해 거푸집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다수의 수직 기둥부재(동바리)들(301)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콘크리트 타설시 수밀성을 좋게 하기 위해 바이브레이터를 작동시킬 때, 그 진동이 거푸집을 거쳐 수직 기둥부재(301), 횡방향 연결판(303) 및 횡방향 지지부재(302)에도 전달되게 된다. 그러나, 횡방향 지지부재(302)를 횡방향 연결판(303)에 연결 및 고정하는 메커니즘이 종래와 같은 고정핀 타격방식이 아니라, 회전운동이 가능한 록킹 레버(306)에 의한 록킹 방식이고, 또한 록킹 레버(306)가 록킹된 상태, 즉 록킹 레버(306)의 록킹부 (306a)가 횡방향 연결판(303)의 슬릿홀(303h)에 삽입된 상태에서 그 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록킹 레버(306)의 레버부(306b)를 스프링(308)이 탄력적으로 잡아주고 있으므로, 상기에서와 같은 진동이 전달된다 해도 록킹 레버(306)가 횡방향 연결판(303)의 슬릿홀(303h)로부터 이탈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횡방향 연결판(303)과 록킹 수단(304)과의 결속 상태는 계속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그에 의해 횡방향 지지부재(302)가 수직 기둥부재(301)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주게 되며,그 결과 수직 기둥부재(301)가 안정적으로 고정 상태를 유지하여 종래와 같이 수직 기둥부재(301)가 유동하여 쓰러지거나, 수직 기둥부재(301)에 좌굴(buckling) 현상이나 트위스트 현상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state in which the vertical support for fixing the vertical pillar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between a plurality of vertical pillar members (circles) 301 for vertically supporting the formwork for concrete slab construction When the vibrator is operated to improve the watertightness when placing concrete, the vibration is transmitted to the vertical pillar member 301, the horizontal connecting plate 303, and the horizontal supporting member 302 through the formwork. However, the mechanism for connecting and fixing the transverse support member 302 to the transverse connecting plate 303 is not the conventional fixed pin striking method, but the locking method by the locking lever 306 capable of rotational movement. In order to keep the state more stable while the locking lever 306 is locked, that is, the locking portion 306a of the locking lever 306 is inserted into the slit hole 303h of the transverse connecting plate 303. Since the spring 308 elastically holds the lever portion 306b of the locking lever 306, even if the vibration as described above is transmitted, the locking lever 306 is the slit hole 303h of the transverse connecting plate 303. Does not deviate from). Therefore, the state of engagement between the transverse connecting plate 303 and the locking means 304 is kept stable, whereby the transverse support member 302 stably supports the vertical column member 301, As a result, the vertical pillar member 301 is stably maintained so that the vertical pillar member 301 flows and collapses as in the prior art, or a buckling phenomenon or a twist phenomenon occurs in the vertical pillar member 301. Will be prevented.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직 기둥부재 고정용 횡방향 지지장치는 횡방향 지지부재의 고정방식이 종래와 같은 고정핀 타격방식이 아니라, 회전운동이 가능한 록킹 레버에 의한 록킹 방식인 한편 록킹 레버를 또한 스프링이 잡아주고 있으므로, 콘크리트 타설시의 바이브레이터의 사용으로 인한 진동에도 록킹 상태가 계속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그에 의해 횡방향 지지부재가 수직 기둥부재를 지속적으로 안정되게 지지해주어 수직 기둥부재가 유동하여 쓰러지거나, 수직 기둥부재에 좌굴 현상이나 트위스트 현상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콘크리트 슬래브를 치는 도중에 붕괴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vertical column member fixing lateral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locking method by a locking lever capable of rotational movement, rather than a fixed pin hitting method of the horizontal support member is conventional Since the spring also holds the locking lever, the locking state remains stable even after vibration caused by the use of the vibrator during concrete placement, whereby the transverse support member steadily supports the vertical column member so that the vertical column member This prevents the flow from falling and buckling or twisting in the vertical column memb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llapse accident from occurring during the hitting of the concrete slab.

Claims (4)

슬래브 구축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부로부터의 하중을 지지하는 수직 기둥부재들 사이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수직 기둥부재들을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In the device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vertical pillar members, instal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between the vertical pillar members installed on the lower part of the formwork for supporting the load from the upper when placing concrete for slab construction, 상기 수직 기둥부재들 사이에 횡방향으로 위치되어 수직 기둥부재들을 고정 및 지지하는 것으로, 서로 직경이 다른 두 개의 파이프 부재로 구성되어 소직경의 파이프 부재가 대직경의 파이프 부재 내외부로 출몰함으로써 전체 길이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된 횡방향 지지부재;Position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between the vertical pillar members to fix and support the vertical pillar members, consisting of two pipe members of different diameters so that the small diameter pipe member emerges into and out of the large diameter pipe member Transverse support member that can be adjusted freely; 상기 수직 기둥부재들의 소정 부위에 설치되며, 그 몸체에는 상기 횡방향 지지부재를 수직 기둥부재에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슬릿홀이 형성되어 있는 횡방향 연결판; 및A transverse connecting plate disposed at predetermined portions of the vertical pillar members, the body having a plurality of slit holes for connecting the transverse supporting member to the vertical pillar member; And 상기 횡방향 지지부재의 양단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횡방향 연결판에 형성되어 있는 슬릿홀에 록킹 부재를 삽입 혹은 삽입된 록킹 부재를 슬릿홀로부터 이탈시킴에 따라 횡방향 지지부재를 상기 수직 기둥부재에 밀착 또는 밀착 상태로부터 해제시키는 록킹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기둥부재 고정용 횡방향 지지장치.The vertical pillar member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lateral support member, and the lateral support member is disposed in the slit hole formed in the lateral connecting plate, or the lateral support member is detached from the slit hole. And a locking means for releasing from being in close or in close contact with the vertical pillar memb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록킹 수단은 상기 횡방향 지지부재의 양단에 각각 연장되어 마련되는 것으로, 성냥갑의 외부케이스 형태를 가지며 상기 횡방향 연결판과 접하는 부위에는 "ㄷ"자형의 절개홈이 소정 폭과 깊이로 형성되어 있는 록킹 플레이트와, 그 록킹 플레이트 내의 공간에 고정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록킹 레버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기둥부재 고정용 횡방향 지지장치.The locking means is provided to extend at both ends of the lateral support member, each having a form of an outer case of the match box and the contact portion of the lateral connecting plate is formed with a "c" shaped cut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depth And a locking plate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by a fixed shaft in a space within the locking plate.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록킹 레버는 대략 원형을 이루는 록킹부와, 그 록킹부의 일측에서 록킹부와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레버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기둥부재 고정용 횡방향 지지장치.The locking lever is a horizontal circular locking device for supporting the vertical pillar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locking portion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integrally extending from the locking portion on one side of the locking portion.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레버부에는 상기 록킹부가 횡방향 연결판의 슬릿홀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외부의 진동으로 인해 록킹 레버가 횡방향 연결판의 슬릿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프링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기둥부재 고정용 횡방향 지지장치.The lever part may further include a spring for stably maintaining the state in which the locking part is inserted into the slit hole of the transverse connecting plate and preventing the locking lev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lit hole of the transverse connecting plate due to external vibration. Horizontal support device for fixing the vertical pillar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KR2020020013413U 2002-05-02 2002-05-02 Traversing supporting apparatus for fixing vertical supporting pillars KR20028521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413U KR200285214Y1 (en) 2002-05-02 2002-05-02 Traversing supporting apparatus for fixing vertical supporting pilla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413U KR200285214Y1 (en) 2002-05-02 2002-05-02 Traversing supporting apparatus for fixing vertical supporting pillar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9212A Division KR100497805B1 (en) 2002-08-20 2002-08-20 Traversing supporting apparatus for fixing vertical supporting pilla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214Y1 true KR200285214Y1 (en) 2002-08-13

Family

ID=73075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3413U KR200285214Y1 (en) 2002-05-02 2002-05-02 Traversing supporting apparatus for fixing vertical supporting pilla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214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322215A (en) Foundation for facility
KR100497805B1 (en) Traversing supporting apparatus for fixing vertical supporting pillars
KR200285214Y1 (en) Traversing supporting apparatus for fixing vertical supporting pillars
JP2016194227A (en) Anchor frame, founda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2008081980A (en) Positioning tool for anchor bolt
JP2004285583A (en) Construction method of cast-in-place hollow concreting slab
JP2005232866A (en) Cast-in-place hollow core concrete slab structure, cast-in-place hollow core concrete slab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0779772B1 (en) Guide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for pre-cast member using it
JP3143573U (en) Rebar support insert
KR100416216B1 (en) Spacer
KR960007962A (en) Rebar Support
JP3764232B2 (en) Anchor bolt posture holder
JPH04128424A (en) Method for constructing anchor supporting beam
JP7398152B1 (en) Block and bottom parts
KR102572989B1 (en) Bearing for bridge with height adjus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height adjusting using the same
JP2649205B2 (en) Anchor bolt burying method
JP2009275475A (en) Post erection method by anchor bolt, and anchor bolt bender
KR100763406B1 (en) A post for fence
JP2891107B2 (en) SRC column base anchoring structure
WO2022168138A1 (en) Anchor support member
JP4113215B2 (en) Pole basic structure and pole installation method
JP2951900B2 (en) Floor support structure
JPH0626150A (en) Reinforcement interval retaining tool
JPH094225A (en) Distance holder of concrete form
JP6762749B2 (en) Building member support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