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044Y1 - 건설용 폴대 - Google Patents

건설용 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044Y1
KR200285044Y1 KR2020020013641U KR20020013641U KR200285044Y1 KR 200285044 Y1 KR200285044 Y1 KR 200285044Y1 KR 2020020013641 U KR2020020013641 U KR 2020020013641U KR 20020013641 U KR20020013641 U KR 20020013641U KR 200285044 Y1 KR200285044 Y1 KR 2002850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expansion pipe
pole
construction
telescoping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36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학
엄윤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20200200136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0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0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044Y1/ko

Links

Landscapes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공사장에 안내표시판이나 안전표지판 등의 건축시설물을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건설용 폴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의 내부에 점진적으로 지금이 작아지면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신축관을 구비하여 사용시 간편용이하게 폴대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보관 및 이동시포대의 부피를 적게 차지하도록 한 건설용 폴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본체의 저면에 지면에 삽입되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테이퍼진 진입대가 형성되고 이의 상부에 소정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연결대가 탈착가능하게 나사결합된 건설용 폴대에 있어서, 본체의 내부에 점진적으로 지름이 작아지는 제3신축관, 제2신축관, 제1신축관이 차례로 삽입되고, 본체와 제2신축관, 제3신축관의 상단에는 내측에 평활면을 갖는 저지턱이 형성되고, 제1신축관, 제2신축관, 제3신축관의 하단 내측에 평활면을 갖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각각의 평활면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고, 제1신축관의 상단에 완충구가 결합되며, 본체의 상부에 덮개가 탈착이 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설용 폴대{omitted}
본 고안은 건축공사장에 안내표시판이나 안전표지판 등의 건축시설물을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건설용 폴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의 내부에 점진적으로 지름이 작아지면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신축관을 구비하여 사용시 간편하게 폴대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보관 및 이동시 본체의 부피를 적게 차지하도록 한 건설용 폴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공사현장에서는 안내표시판이나 안전표지판 및 안전난간 등의 시설물을 임시로 설치하여 공사를 보조하는 한편,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전시장이나 등산로 등에 설치되어 안내판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종래에는 안내판이나 표지판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버팀목을 사용하거나 또는 철구조물을 형성하여 사람이 다니는 길목에 설치하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이러한 버팀목이나 철구조물의 경우 내용이 변경되거나 설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새로 다시 제작해야 되는 번거러움이 있었다.
그리고 공사현장의 경우 공사가 끝나게 되면 버팀목이나 철구조물을 철거하여 다시 사용하여야 되는데, 이러한 작업이 번거로운 불편함이 있었다.
근래에는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폴장치를 구비하여 사용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것을보면 폴을 나사식으로 연결하여 연장시킴으로써 시설물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고안(실용신안등록 제0250576호)이 선등록되어 있는데, 등록된 고안은 건설용 다용도 폴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삽입되는 진입대(11)가 구비되고 상기 진입대(11)의 일단에 복수개의 연결대(12)가 탈착가능하게 나사결합되며 상기 일측 연결대(12)의 일단에 헤더(14)가 탈착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폴(10)과,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힌지홀(21)이 형성되고 지면에 연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인출기 지지체(20) 및, 상기 인출기 지지체(20)의 일측 힌지홀(21)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지면에 삽입된 상기 폴(10)을 지면위로 뽑아 올리는 진입대 인출기(30)로 이루어져, 설치하고자 하는 시설물을 연장가능한 폴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폴을 지면에서 간편하게 인출시켜 재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등록고안의 경우 진입대(11)의 일단에 복수개의 연결대(12)가 탈착이 가능하도록 나사식으로 체결하여 길이를 조절하는 것에 있어서는 작업자가 원하는 길이만큼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에 있어서는 편리하나 각각의 연결대가 분리됨으로 인하여 이동중이거나 또는 철거하여 보관할 때 자주 분실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다수개로 이루어지는 연결대(12)를 일일이 나사식으로 연결하여야 함으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여러개의 폴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다량의 연결대(12)를 가지고 다니면서 설치해야 되는 번거로운 결함도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폴대 본체 내부에 다수개의 신축관이 다단식으로 신축되도록 하여 한번의 작업으로 폴대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건설용 폴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여러개의 폴대를 설치해야 될 경우 본체만을 가지고 이동하여 설치함으로써 작업시간과 작업인력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건설용 폴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폴대 본체 내부에 형성된 각각의 신축관의 평활면에 눈금을 형성하여 현재 설치된 폴대의 전체높이를 작업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안전표시판의 높이에 맞는 폴대를 선택하여 작업할 수 있도록 한 건설용 폴대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본체의 저면에 지면에 삽입되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테이퍼진 진입대가 형성되고 이의 상부에 소정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연결대가 탈착가능하게 나사결합된 건설용 폴대에 있어서, 본체의 내부에 점진적으로 지름이 작아지는 제3신축관, 제2신축관, 제1신축관이 차례로 삽입되고, 본체와 제2신축관, 제3신축관의 상단에는 내측에 평활면을 갖는 저지턱이 형성되고, 제1신축관, 제2신축관, 제3신축관의 하단 내측에 평활면을 갖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각각의 평활면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고, 제1신축관의 상단에 완충구가 결합되며, 본체의 상부에 덮개가 탈착이 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신축관을 펼친 상태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부구조를 보여주는 분리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본체와 신축관의 사용전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본체에서 분리되는 신축관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진입대
12 : 덮개 P1 : 제1신축관
P2 : 제2신축관 P3 : 제3신축관
20 : 저지턱 21 : 걸림턱
22a,22b : 평활면 23 : 구멍
24: 요입홈 25 : 탄력지지링
26 : 통공 27 : 완충구
30 : 눈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을 분리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 정면도로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면 먼저 본 고안은 본체(10)와, 본체(10)에 결합되어 지면에 삽입되는 진입대(11)와, 본체(10) 내부에 삽입되어 다단식으로 신축되는 제1신축관(P1)과, 제2신축관(P2)과, 제3신축관(P3)과 본체(10)의 상부에 탈착되는 덮개(12)로 구성된다.
본체(10)는 진입대(11)와 덮개(12)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본체(10)는 내부가 중공된 관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저면에 진입대(11)가 나사 결합된다. 이때 진입대(11)의 저면은 지면에 쉽게 삽입되도록 저면이 하측으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되고, 본체(10)의 상부에는 덮개(12)가 탈착이 가능하도록 끼워져서 본체(10)를 지면에 망치를 사용하며 삽입할 때 본체(10)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본체(10)가 지면에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체(10)의 내부에는 점진적으로 지름이 작아지는 제3신축관(P3), 제2신축관(P2), 제1신축관(P1)이 차례로 삽입된다.
여기서 본체(10)와 제2신축관(P2), 제3신축관(P3)의 상단에는 내측에 평활면(22b)을 갖는 저지턱(20)이 형성되어 저지턱(20) 하방에 형성되는 요입홈(24)에 스프링(25a)을 갖는 탄력지지링(25)이 탄력 삽입되고, 제1신축관(P1), 제2신축관(P2), 제3신축관(P3)의 하단에는 통공(26)을 갖는 걸림턱(21)이 형성된다.
제1신축관(P1)과 제2신축관(P2), 제3신축관(P2)의 외측에 형성되는 평활면(222)에는 다수의 구멍(23)이 형성되고 이의 일측에는 눈금(30)이 표시된다.그리고, 제1신축과(P1)의 상단에는 완충구(27)가 결합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본체(10)와 각 신축관(P1,P2,P3)을 형성함에 있어 알루미늄이나 P.P 등의 합성수지 재질을 소재로 하여도 무방하며, 고탄성 이면서도 무게가 가볍고 내식성과 내열성이 뛰어나며 열팽창 계수가 작은 탄소섬유 강화플라스틱을 소재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탄력지지링(25)은 일단이 절단된 형태로 하여 외방으로의 탄력을 갖도록 함으로써 요입홈(24)에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4단식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목적 및 용도에 따라 단수를 늘이거나 줄여서 형성할 수 있으며, 본체(10)와 각 신축관(P1)(P2)(P3)의 단위 길이를 50Cm - 1m 범위 내에서 눈금(30)의 판독을 용이하도록 형성할 수 있는바, 본 고안을 휴대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신축관(P1)(P2)(P3)을 본체(10)측으로 밀어주게 되면 각 신축관(P1)(P2)(P3)은 본체(10)의 내부로 모두 접철되어 외관상으로는 본체(10)의 길이만을 유지하게 되고, 본체(1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덮개(12)를 개방한 상태에서 제1신축관(P1)을 상부로 잡아당기면 제2신축과(P2)과 제3신축관(P3)이 신축되면서 일정길이를 유지하게된다.
이때 각각의 신축관(P1)(P2)(P3)은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프링(25a)에 의해 외경이 탄력지지되어 자중에 의한 하강이 불가능한 동시에 어느정도의 무게에도 하강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10)와 각각의 신축관(P1)(P2)(P3)은 걸림턱(21)이 스프링(25a)을 밀면서 신장되어 걸림턱(21)이 저지턱(20)에 걸림과동시에 스프링(25a)이 통공(26) 내부로 복원되면서 각 신축관(P1)(P2)(P3)의 유동이 방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각 신축관(P1)(P2)(P3)의 일측에 형성된 눈금(30)을 이용하여 폴대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으며 작업목적에 따라서 측정높이를 달리하여 폴대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각 신축관(P1)(P2)(P3)은 평활면(22a(22b)에 의해 축 방향으로의 회전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설치가 완료되면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신축관(P1)(P2)(P3)에 형성된 구멍(23)을 이용하여 안전표시판(40) 또는 각종문구가 형성된 표지판(41)을 고정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본체의 내부에 다단식으로 신축되는 신축관을 설치하여 한번의 동작으로 설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설치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동시에 작업인력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고안인 것이다.
본 고안은 전체구조를 간편하게 제작하여 설치 및 이동 중에 부피를 적게 차지하도록 하고 용도에 따라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고안이다.
본 고안은 안내표시판이나 각종문구가 표시된 표지판의 설치높이에 따라서 폴대의 높이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신축관에 형성된 눈금을 작업자가 눈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폴대의 전체 높이를 간편하게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고안이다.

Claims (3)

  1. 본체의 저면에 지면에 삽입되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테이퍼진 진입대가 형성되고 이의 상부에 소정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연결대가 탈착가능하게 나사결합된 건설용 폴대에 있어서,
    본체의 내부에 점진적으로 지름이 작아지는 제3신축관, 제2신축관, 제1신축관이 차례로 삽입되고, 본체와 제2신축관, 제3신축관의 상단에는 내측에 평활면을 갖는 저지턱이 형성되고, 제1신축관, 제2신축관, 제3신축관의 하단 내측에 평활면을 갖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각각의 평활면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고, 제1신축관의 상단에 완충구가 결합되며, 본체의 상부에 덮개가 탈착이 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폴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의 일측에는 통공이 형성되고, 저지턱의 하방에는 요입홈이 형성되어 스프링을 갖는 탄력지지링이 탄력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폴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신축관, 제2신축관, 제3신축관의 펑활면 일측에 눈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폴대.
KR2020020013641U 2002-05-03 2002-05-03 건설용 폴대 KR2002850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641U KR200285044Y1 (ko) 2002-05-03 2002-05-03 건설용 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641U KR200285044Y1 (ko) 2002-05-03 2002-05-03 건설용 폴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044Y1 true KR200285044Y1 (ko) 2002-08-13

Family

ID=73075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3641U KR200285044Y1 (ko) 2002-05-03 2002-05-03 건설용 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04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2229B1 (ko) * 2010-01-14 2012-07-09 김두선 기둥을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기둥 고정용 지지구
KR20150000887U (ko) * 2013-08-20 2015-03-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경사시험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2229B1 (ko) * 2010-01-14 2012-07-09 김두선 기둥을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기둥 고정용 지지구
KR20150000887U (ko) * 2013-08-20 2015-03-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경사시험 장치
KR200486663Y1 (ko) * 2013-08-20 2018-06-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경사시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14706A1 (en) Canopy tent
US20110308174A1 (en) Erectable and retractable rod device
US5363607A (en) Flagpole and cap
US6988695B2 (en) Adjustable and collapsible display stand
KR200285044Y1 (ko) 건설용 폴대
JP2010222847A (ja) 折畳み式作業台
CN207925011U (zh) 一种新型旅游酒店用指示牌调节架
CN201511745U (zh) 组合画架与卷曲画板
KR200343694Y1 (ko) 파라솔 고정용 지지대
CN209734928U (zh) 一种篮球训练用计分装置
US6938870B1 (en) Book support apparatus
CN211373592U (zh) 一种用于古建筑垂直度的测量设备
CN106193788B (zh) 一种带滑动快扣的拉布篷
AU2011204883A1 (en) Portable ventilation curtain frame
KR100511663B1 (ko) 건설용 다용도 폴장치
CN215212751U (zh) 一种基于市政道路工程的基坑安全防护装置
KR102643623B1 (ko) 깃발형 측량표시기구
CN206618421U (zh) 一种测绘支撑装置
CN215271554U (zh) 一种可调节建筑工程管理用设计平台
KR200250576Y1 (ko) 건설용 다용도 폴장치
CN212715817U (zh) 一种方便移动安装的错层外阳台用脚手架
CN212105371U (zh) 一种便携式户外帐篷
CN204960489U (zh) 可折叠塔形帐篷
CN219033952U (zh) 一种可调节脚手架
CN212201560U (zh) 一种园林建筑用篱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