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4808Y1 - 상다리 접철구조 - Google Patents

상다리 접철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4808Y1
KR200284808Y1 KR2020020015703U KR20020015703U KR200284808Y1 KR 200284808 Y1 KR200284808 Y1 KR 200284808Y1 KR 2020020015703 U KR2020020015703 U KR 2020020015703U KR 20020015703 U KR20020015703 U KR 20020015703U KR 200284808 Y1 KR200284808 Y1 KR 2002848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leg
fixing
support
panel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57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혜숙
Original Assignee
정혜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혜숙 filed Critical 정혜숙
Priority to KR20200200157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48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48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4808Y1/ko

Link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다리 접철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다리를 펼쳤을 때 탄성바이어스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하는 지지구로 상다리를 지지하도록 하여 상다리를 간편하게 접거나 펼 수 있는 상다리 접철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상다리 접철구조는, 상의 저면에 설치되는 고정패널(10); 상부가 고정패널(10)에 접철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상다리(30); 고정패널(10)의 저면에 상다리(30)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탄성바이어스되는 탄성부재(50)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상다리(30)를 펼칠 때 탄성부재(50)에 의해 회동되어 그 단부로 상다리(30)의 내측을 지지하는 지지구(40); 및 상다리(30)의 내측에 형성되어 지지구(40)의 단부가 고정되는 고정부(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다리 접철구조{FOLDING STRUCTURE OF TABLE LEGS}
본 고안은 상다리 접철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다리를 상의 저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다리를 펼쳤을 때 탄성바이어스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하는 지지구로 상다리를 지지하는 상다리 접철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다리는 상의 저면에 장착되어 상을 지지하는 것으로 용도에 따라 고정식과 접철식으로 구분된다. 상기 고정식은 서재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상과 상다리를 일체로 형성하여 무거운 물건 등을 올려놓아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상기 접철식은 음식 등을 차려 놓는 식사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 상의 저면에 상다리를 접철되게 장착하여 사용 후 보관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가정에서는 접철식 상다리가 주로 이용된다.
종래에 주로 이용되는 접철식 상다리의 접철구조를 살펴보면, 상다리와 상다리 사이에 편축으로 회동하는 횡대를 설치하고 상다리를 입설한 상태에서 횡대를 회동시켜 횡대의 양단이 상다리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상다리를 고정하는 구조와, 상의 저면에 장착되는 철제 케이스에 두 개의 가이드홈과 걸림홈을 형성하고 철제 상다리를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접철시키는 구조 등이 있다.
그러나, 전자의 접철구조를 갖는 접철식 상다리의 경우에는, 사용하기 전후에 상다리의 일측을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소정의 힘을 가해 접거나 세워 설치하므로 어린이나 가사일을 많이 하는 가정주부들의 경우 음식을 차릴 때마다 상다리를 펴고 접는 과정이 힘들뿐만 아니라 반복사용에 따른 밀착부위의 마모로 인해 다리의 고정상태가 불량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횡대의 조작시 마찰음이발생하게 되고, 상다리를 접은 상태에서 특별한 고정수단이 없으므로 상을 이동할 때 상다리가 유동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후자의 접철구조를 갖는 접철식 상다리의 경우에는, 철제로 된 상다리를 파지한 채 오므리면 탄성에 의해 상다리의 폭이 좁아지면서 걸림홈에서 이탈되며,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상다리를 파지한 상태로 회동시켜 접을 수 있게 구성되므로, 상다리를 파지하여 오므리는데 많은 힘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상다리의 절첩동작에서 케이스의 외면으로 입출동작이 반복되는 상다리의 단부와 케이스의 틈새에 종종 사용자의 손이 끼이거나 기타 신체부위가 걸리게 되어 상해를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종래의 상다리 접철구조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상다리를 상의 저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다리를 펼쳤을 때 탄성바이어스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하는 지지구로 상다리를 지지하도록 하여 상다리를 간편하게 접거나 펼 수 있는 상다리 접철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다리 접철구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다리 접철구조의 상다리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다리 접철구조의 상다리가 접히거나 펼쳐지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다리 접철구조의 상다리가 완전히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0 : 고정패널 11 : 결합부
12, 33 : 고정편 20 : 힌지
30 : 상다리 31, 31´: 피결합부
32 : 고정부 32a, 32a´: 이탈방지돌기
40 : 지지구 50 : 탄성부재
본 고안에 따른 상다리 접철구조는, 상의 저면에 설치되는 고정패널; 상부가 고정패널에 접철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상다리; 고정패널의 저면에 상다리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탄성바이어스되는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상다리를 펼칠 때 탄성부재에 의해 회동되어 그 단부로 상다리의 내측을지지하는 지지구; 및 상다리의 내측에 형성되어 지지구의 단부가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른 상다리 접철구조는, 상기 고정패널과 상다리의 내측에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어 상다리가 접힐 때 고정패널에 상다리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한 쌍의 고정편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상다리 접철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들의 특징과 그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다리 접철구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저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다리 접철구조의 상다리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다리 접철구조의 상다리가 접히거나 펼쳐지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다리 접철구조의 상다리가 완전히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다리 접철구조는, 상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패널(10)과, 고정패널(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을 받쳐주는 상다리(30)와, 고정패널(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다리(30)를 지지하는 지지구(40)와, 고정패널(10)과 상다리(30)에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편(12)(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패널(10)은 상의 저면 가장자리에 못이나 나사 등을 이용해 다수개가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상의 바깥쪽을 향해 위치되는 일측에는 힌지(20)가 관통되는 결합부(11)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상다리(30)는 고정패널(10)에 접철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내측 상부에 결합부(11)의 양쪽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피결합부(31)(31´)가 이격되게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상다리(30)의 내측 소정위치에는 지지구 (40)의 단부가 걸려 고정되는 고정부(32)가 형성되는데, 고정부(32)는 서로 이격되게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이탈방지돌기(32a)(32a´)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상다리(30)는 펴질 때 그 상단면이 상의 저면에 밀착되므로 고정패널(10)로부터 90°를 초과하여 벌어지지 않는다.
상기 지지구(40)는 고정패널(10)의 저면에 상다리(30)의 회동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탄성바이어스되는 토션스프링(Torsion Spring)등의 탄성부재(50)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상다리(30)가 펴질 때 탄성부재 (50)의 탄성력에 의해 상다리(30)의 내측으로 회동한 후 그 단부가 고정부(32)의 각 이탈방지돌기(32a)(32a´) 사이에 고정되어 상다리(30)를 접히지 않게 지지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지지구(40)는 예각(銳角)의 범위 내에서만 회동한다. 즉, 상다리(30)가 고정패널(10)에 접힐 때는 상다리(30)와 더불어 고정패널(10)에 접히고 상다리(30)가 펴질 때는 상다리(30)와 더불어 90°회동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50)의 탄성력은 지지구(40)만을 회동시킬 정도로 작기 때문에 지지구(40)의 회동시 지지구(40)에 신체가 접촉하더라도 부상의 염려가 없다.
한편, 상기 한 쌍의 고정편(12)(33)은 고정패널(10)과 상다리(30)의 내측에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어 상다리(30)가 접힐 때 상다리(30)를 고정패널(1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으로, 각 고정편(12)(33)의 단부는 서로 맞물리도록 절곡 형성되며, 상다리(30)의 고정편(33)은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다리 접철구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다리 접철구조의 상다리(30)를 펴기 위해서는, 우선 상다리(30)를 펼쳐 상과 직교되게 한다. 상다리(30)를 펼치면 지지구(40)가 탄성바이어스되는 탄성부재(50)의 탄성력에 의해 90°회동하면서 상다리(30)의 고정부(32)에 걸림에 따라 상다리(30)를 지지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상다리(30)를 접기 위해서는, 우선 상다리(30)를 상의 바깥쪽으로 미세하게 잡아당긴다. 상다리(30)를 잡아당기면 상다리(30)의 고정부(32)로부터 지지구(40)의 단부가 이탈되며, 지지구(40)의 단부가 이탈되면 지지구(40)를 강제 회동시켜 고정패널(10)에 접철되게 한 후 상다리(30)를 접어 고정패널(10)에 접철시킨다. 이 때, 상기 탄성부재(50)의 탄성력은 지지구(40)만을 회동시킬 정도로 약하기 때문에 접철시 탄성부재(50)의 탄성력에 의해 상다리(30)가 유동되지는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다리 접철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명세서에 상세히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 상다리 접철구조에 따르면, 상다리를 상의 저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다리를 펼쳤을 때 탄성바이어스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하는 지지구로 상다리를 지지하도록 하여 상다리를 간편하게 접거나 펼 수 있다.
또한, 고정패널과 상다리에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는 고정편으로 인해 고정패널에 상다리가 접힐 때 상다리를 고정패널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여 상다리가 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상의 저면에 설치되는 고정패널;
    상부가 상기 고정패널에 접철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상다리;
    상기 고정패널의 저면에 상기 상다리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탄성바이어스되는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상기 상다리를 펼칠 때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회동되어 그 단부로 상기 상다리의 내측을 지지하는 지지구; 및
    상기 상다리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구의 단부가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다리 접철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패널과 상기 상다리의 내측에 서로 대응되게 각각 설치되어 상기 상다리가 접힐 때 상기 고정패널에 상기 상다리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한 쌍의 고정편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다리 접철구조.
KR2020020015703U 2002-05-22 2002-05-22 상다리 접철구조 KR2002848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703U KR200284808Y1 (ko) 2002-05-22 2002-05-22 상다리 접철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703U KR200284808Y1 (ko) 2002-05-22 2002-05-22 상다리 접철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4808Y1 true KR200284808Y1 (ko) 2002-08-07

Family

ID=73123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5703U KR200284808Y1 (ko) 2002-05-22 2002-05-22 상다리 접철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480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28997A (en) Folding table leg mechanism
US5490467A (en) Folding table mechanism
KR100802663B1 (ko) 접철식 높이조절장치
GB2608513A (en) Folding mechanism and stroller thereof
KR200284808Y1 (ko) 상다리 접철구조
KR200446894Y1 (ko) 상판 각도 조절식 테이블
KR950002726Y1 (ko) 상다리
KR200245111Y1 (ko) 어린이용 책상의 다리 접기장치
KR200404579Y1 (ko) 상다리의 접철구조
KR200235236Y1 (ko) 다리미판의 높낮이 조절장치
US401848A (en) Folding trestle
KR200361296Y1 (ko) 절첩식 상다리
KR200180152Y1 (ko) 상다리 절첩장치
KR950008804Y1 (ko) 밥상 다리의 절첩 장치
KR950002725Y1 (ko) 상다리
KR950002728Y1 (ko) 상다리
KR200296015Y1 (ko) 접이식 테이블
CN220937173U (zh) 一种折叠桌
KR200184707Y1 (ko) 상다리
KR200404422Y1 (ko) 절첩형 수강판이 구비된 의자
US11547206B2 (en) Foldable supporting frame having independently rotatable legs
CN208524315U (zh) 一种用于折叠提篮的折叠关节
KR200145634Y1 (ko) 상다리 절첩구
KR200231088Y1 (ko) 접철식 상다리
KR200232276Y1 (ko) 상다리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