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4691Y1 -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4691Y1
KR200284691Y1 KR2020020015850U KR20020015850U KR200284691Y1 KR 200284691 Y1 KR200284691 Y1 KR 200284691Y1 KR 2020020015850 U KR2020020015850 U KR 2020020015850U KR 20020015850 U KR20020015850 U KR 20020015850U KR 200284691 Y1 KR200284691 Y1 KR 2002846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ignals
relay
optical
reve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58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돈신
Original Assignee
(주)하이게인안테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게인안테나 filed Critical (주)하이게인안테나
Priority to KR20200200158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46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46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4691Y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통신사들이 서비스하는 신호들을 중계섹터별로 통합하여 광대역 중계가 가능한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받은 서로 다른 이동통신사의 순방향 신호를 통합하여 중계섹터별로 주파수 변환한 후 광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외부로부터 전송받은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한 후 중계섹터별로 재생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링크용 모국 중계기와, 링크용 모국 중계기로부터 전송받은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한 후 중계섹터별로 재생하여 가입자 단말기에 서비스하고, 서로 다른 이동통신사의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역방향 신호를 중계섹터별로 주파수 변환하고 합성한 후 광신호로 변환하여 링크용 모국 중계기에 전송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비스용 자국 중계기를 포함하는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다수의 이동통신 서비스업체들이 각각 서비스하던 여러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중계섹터별로 통합하여 광대역 중계를 할 수 있고, 이전보다 제조비용을 1/3 이하로 줄일 수 있다.
그리고, 광케이블이 설치되지 않는 지역에도 무선으로 중계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UNIFIED REPEATER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본 고안은 이동통신사들이 서비스하는 신호들을 중계섹터별로 통합하여 광대역 중계가 가능한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는 할당받은 주파수 범위 내에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많은 수의 기지국을 운용하고 있으며, 기지국의 서비스 범위를 벗어난 지역에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별도의 중계기를 설치하여 운영한다.
본 출원인은 다수의 이동통신 서비스 업체들에 의해서 각각 서비스되는 여러 주파수 대역의 가입자신호를 공용 중계기를 이용하여 한 개의 안테나를 통해 통합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한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실용신안 출원번호 : 20-2002-0001871)을 출원한 바 있다.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은 이동통신 서비스 업체들이 서비스하는 여러 주파수 대역의 가입자 신호를 공용 중계기의 이용 및 안테나의 공유를 통하여, 동일한 서비스 영역 내에서 중복 투자되는 시설비용, 임대료 등을 대폭 절감하고전파의 상호간섭에 의한 통신두절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었다.
본 출원인은 이전의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과 동일한 중계기능을 발휘하면서도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광대역의 주파수 중계가 가능하도록 개량한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이동통신사들이 서비스하는 신호들을 중계섹터별로 통합하여 광대역 중계가 가능한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공간 다이버시티를 사용하여 통신 신뢰도를 향상시킨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중계섹터별로 중계하기 위해 통합된 광대역의 신호를 광케이블이 설치되지 않는 지역에도 무선으로 중계할 수 있도록 한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직렬과 병렬뿐만 아니라 직병렬로 이동통신망을 확장하기 위한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링크용 모국 중계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서비스용 자국 중계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의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링크용 모국 중계기 110 : 링크 중계부
112 : 순방향 링크 중계부 114 : 제 1 역방향 링크 중계부
116 : 제 2 역방향 링크 중계부 120 : 제 1 변환부
130 : 제 1 광다이플렉서 140 : 제 2 변환부
200-1, 200-2,...,200-n : 서비스용 자국 중계기
210 : 제 2 광다이플렉서 220 : 제 3 변환부
230 : 서비스 중계부 232 : 순방향 서비스 중계부
234 : 제 1 역방향 서비스 중계부 236 : 제 2 역방향 서비스 중계부
240 : 다이플렉서 250 : 제 4 변환부
300 : 섹터 안테나 310 : 다이버시티용 섹터 안테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받은 서로 다른 이동통신사의 순방향 신호를 통합하여 중계섹터별로 주파수 변환한 후 광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외부로부터 전송받은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한 후 중계섹터별로 재생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링크용 모국 중계기; 및 상기 링크용 모국 중계기로부터 전송받은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한 후 중계섹터별로 재생하여 가입자 단말기에 서비스하고, 서로 다른 이동통신사의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역방향 신호를 중계섹터별로 주파수 변환하고 합성한 후 광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링크용 모국 중계기에 전송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비스용 자국 중계기를 포함하는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 본 고안은, 상기 링크용 모국 중계기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받은 순방향 신호를 통합하여 중계섹터마다 서로 다른 주파수로 변환하고, 전기신호로 변환된 역방향 신호를 중계섹터별로 재생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링크 중계부; 상기 링크 중계부에서 출력된 순방향 신호를 합성하여 광신호로 변환하는 제 1 변환부; 상기 제 1 변환부에서 광신호로 변환된 순방향 신호를 상기 서비스용 자국 중계기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용 자국 중계기로부터 광신호를 전송받는 제 1 광다이플렉서; 및 상기 제 1 광다이플렉서로부터 광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신호로 변환 및 분배하여 상기 링크 중계부에 출력하는 제 2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으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본 고안은, 상기 링크 중계부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입력받은 순방향 신호를 통합하여 중계섹터마다 서로 다른 주파수로 변환하는 순방향 링크 중계부; 및 상기 제 2 변환부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중계섹터별로 재생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제 1 역방향 링크 중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으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본 고안은, 상기 순방향 링크 중계부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입력받은 순방향 신호를 합성하는 제 1 합성수단; 상기 제 1 합성수단에서 합성된 신호를 중계섹터마다 미리 지정된 주파수로 변환하는 제 1 주파수 변환수단; 상기 제 1 주파수 변환수단에서 주파수 변환된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 1 필터수단; 상기 제 1 필터수단에서 필터링된 신호를 증폭하는 제 1 증폭수단을 중계섹터별로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으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본 고안은, 상기 제 1 역방향 링크 중계부는 상기 제 2 변환부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원래 신호로 재생하는 제 1 재생수단; 상기 제 1 재생수단에서 재생된 역방향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 2 필터수단; 및 상기 제 2 필터수단에서 필터링된 신호를 증폭하는 제 2 증폭수단을 중계섹터별로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으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본 고안은, 상기 제 1 변환부는 상기 순방향 링크 중계부로부터 입력받은 순방향 신호 중 미리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합성하는 필터합성부; 상기 필터합성부에서 합성된 신호에 모뎀감시 제어신호 및 기준신호를 합성하는 제 2 합성수단; 및 상기 제 2 합성수단에서 합성된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는 제 1 광변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으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본 고안은, 상기 제 2 변환부는 상기 제 1 광다이플렉서로부터 입력받은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제 1 광전 변환수단; 상기 제 1 광전 변환수단에서 변환된 전기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모뎀감시 제어신호 및 다이버시티 수신신호를 분리하고 상기 전기신호를 분배하는 제 1 분배수단; 상기 제 1 분배수단에서 분배된전기신호를 저잡음 증폭하는 제 1 저잡음 증폭수단; 및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수단에서 저잡음 증폭된 신호를 상기 제 1 역방향 링크 중계부에 분배하는 제 2 분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으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본 고안은, 상기 링크용 모국 중계기는 상기 제 1 분배수단에서 분배된 역방향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기 위한 제 2 저잡음 증폭수단; 상기 제 2 저잡음 증폭수단에서 저잡음 증폭된 신호를 분배하는 제 3 분배수단; 및 상기 제 3 분배수단으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중계섹터별로 재생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제 2 역방향 링크 중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으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본 고안은, 상기 제 2 역방향 링크 중계부는 상기 제 3 분배수단으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재생하는 제 2 재생수단; 상기 제 2 재생수단에서 재생된 역방향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 3 필터수단; 및 상기 제 3 필터수단에서 필터링된 신호를 증폭하는 제 3 증폭수단을 중계섹터별로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으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본 고안은, 상기 링크용 모국 중계기는 상기 제 2 합성수단에서 합성된 신호를 분배하기 위한 제 4 분배수단; 및 상기 제 4 분배수단에서 분배된 신호를 상기 서비스용 자국 중계기에 송출하기 위한 제 1 마이크로 웨이브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으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본 고안은, 상기 서비스용 자국 중계기는 상기 링크용 모국 중계기로부터 광신호를 전송받아 일부 신호를 다른 서비스용 자국 중계기에 분배하고, 광신호로 변환된 역방향 신호를 상기 링크용 모국 중계기로 전송하는 제 2 광다이플렉서; 상기 제 2 광다이플렉서로부터 광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신호로 변환 및 분배하는 제 3 변환부; 상기 제 3 변환부로부터 분배받은 전기신호를 중계섹터별로 재생하고, 상기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역방향 신호를 중계섹터마다 서로 다른 주파수로 변환하는 서비스 중계부; 상기 서비스 중계부에서 재생된 순방향 신호를 해당 섹터 안테나를 통해 상기 가입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섹터 안테나를 통해 상기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역방향 신호를 상기 서비스 중계부로 출력하는 다이플렉서; 및 상기 서비스 중계부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로 변환된 역방향 신호를 합성하고 광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 2 광다이플렉서에 출력하는 제 4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으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본 고안은, 상기 서비스 중계부는 상기 제 3 변환부로부터 분배받은 전기신호를 중계섹터별로 재생하여 상기 다이플렉서로 출력하는 순방향 서비스 중계부; 및 상기 다이플렉서로부터 입력받은 역방향 신호를 중계섹터마다 서로 다른 주파수로 변환하여 상기 제 4 변환부에 출력하는 제 1 역방향 서비스 중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으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본 고안은, 상기 제 3 변환부는 상기 제 2 광다이플렉서로부터 입력받은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제 2 광전 변환수단; 및 상기 제 2 광전 변환수단에서 전기신호로 변환된 신호를 상기 순방향 서비스 중계기에 분배하는 제 5 분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으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본 고안은, 상기 순방향 서비스 중계부는 상기 제 3 변환부로부터 분배받은 전기신호에서 각 이동통신사의 신호를 추출하는 제 4 필터수단; 상기 제 4 필터수단에서 추출된 신호를 각각 재생하는 제 3 재생수단; 상기 제 3 재생수단에서 재생된 순방향 신호를 각각 고출력 증폭하는 고출력 증폭수단; 및 상기 고출력 증폭수단에서 고출력 증폭된 신호를 합성하는 제 3 합성수단을 중계섹터별로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으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본 고안은, 상기 제 1 역방향 서비스 중계부는 상기 다이플렉서로부터 입력받은 역방향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는 제 3 저잡음 증폭수단; 상기 제 3 저잡음 증폭수단에서 저잡음 증폭된 역방향 신호를 중계섹터마다 미리 지정된 주파수로 변환하는 제 2 주파수 변환수단; 상기 제 2 주파수 변환수단에서 주파수 변환된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 5 필터수단을 중계섹터별로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으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본 고안은, 상기 다이플렉서는 중계섹터별로 순방향 신호와 역방향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으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본 고안은, 상기 제 4 변환부는 상기 제 1 역방향 서비스 중계부로부터 입력받은 신호 중 미리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합성하는 제 4 합성수단; 상기 제 4 합성수단으로부터 입력받은 합성신호에 모뎀감시 제어신호 및 다이버시티 수신신호를 합성하는 제 5 합성수단; 및 상기 제 5 합성수단에서 합성된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 2 광다이플렉서로 출력하는 제 2 광변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으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본 고안은, 상기 서비스용 자국 중계기는 다이버시티용 섹터 안테나를 통하여 입력받은 역방향 신호를 중계섹터마다 서로 다른 주파수로 변환하는 제 2 역방향 서비스 중계부; 및 상기 제 2 역방향 서비스 중계부에서 주파수 변환된 신호 중 미리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제 5 합성수단에 출력하는 제 6 합성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으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본 고안은, 상기 제 2 역방향 서비스 중계부는 상기 다이버시티용 섹터 안테나를 통하여 입력받은 역방향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는 제 4 저잡음 증폭수단; 상기 제 4 저잡음 증폭수단에서 저잡음 증폭된 역방향 신호를 중계섹터마다 미리 지정된 주파수로 변환하는 제 3 주파수 변환수단; 상기 제 3 주파수 변환수단에서 주파수 변환된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 6 필터수단을 중계섹터별로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으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본 고안은, 상기 서비스용 자국 중계기는 상기 링크용 모국 중계기가 송출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 2 마이크로 웨이브 수단; 및 상기 제 2 마이크로 웨이브 수단에서 수신한 신호와 상기 제 2 광전 변환수단에서 변환된 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제 5 분배수단에 출력하는 제 6 합성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으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본 고안은, 상기 서비스용 자국 중계기는 직렬 결합방식으로 확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으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본 고안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서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이동통신 업체들이 서비스하는 신호들을 중계섹터별로 통합하여 광대역 중계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시스템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링크용 모국 중계기(100)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비스용 자국 중계기(200-1,200-2,...,200-n)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서비스용 자국 중계기(200-1,200-2,...,200-n)는 직렬 결합방식으로 확장 가능하다.
링크용 모국 중계기(100)는 기지국(미도시)으로부터 전송받은 서로 다른 이동통신사의 순방향 신호를 통합하여 중계섹터별로 주파수 변환한 후 광신호로 변환하여 서비스용 자국 중계기(200-1,200-2,...,200-n)로 전송하고, 서비스용 자국 중계기(200-1,200-2,...,200-n)로부터 전송받은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한 후 중계섹터별로 재생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서비스용 자국 중계기(200-1,200-2,...,200-n)는 링크용 모국 중계기(100)로부터 전송받은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한 후 중계섹터별로 재생하여 가입자 단말기에 서비스하고, 서로 다른 이동통신사의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역방향 신호를 중계섹터별로 주파수 변환하고 합성한 후 광신호로 변환하여 링크용 모국 중계기(100)에 전송한다.
도 2a는 도 1에 도시한 링크용 모국 중계기의 일실시예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링크용 모국 중계기(100)는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받은 순방향 신호를 통합하여 중계섹터마다 서로 다른 주파수로 변환하고, 전기신호로 변환된 역방향 신호를 중계섹터별로 재생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링크 중계부(110)와, 링크 중계부(110)에서 출력된 순방향 신호를 합성하여 광신호로 변환하는 제 1 변환부(120)와, 제 1 변환부(120)에서 광신호로 변환된 순방향 신호를 제 1 서비스용 자국 중계기(200-1)로 전송하고 제 1 서비스용 자국 중계기(200-1)로부터 광신호를 전송받는 제 1 광다이플렉서(130)와, 제 1 광다이플렉서(130)로부터 입력받은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 및 분배하여 링크 중계부(110)에 출력하는 제 2 변환부(140)를 포함한다.
링크 중계부(110)는 기지국으로부터 입력받은 순방향 신호를 통합하여 중계섹터마다 서로 다른 주파수로 변환하는 순방향 링크 중계부(112)와, 제 2 변환부(140)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중계섹터별로 재생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제 1 역방향 링크 중계부(114)를 포함한다.
제 1 변환부(120)는 순방향 링크 중계부(112)로부터 입력받은 순방향 신호 중 미리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합성하는 필터합성부(122)와, 필터합성부(122)에서 합성된 신호에 모뎀감시 제어신호 및 기준신호를 합성하는 제 2 합성수단(124)과, 제 2 합성수단(124)에서 합성된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는 제 1 광변환 수단(126)을 포함한다.
제 2 변환부(140)는 제 1 광다이플렉서(130)로부터 입력받은 광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제 1 광전 변환수단(142)과, 제 1 광전 변환수단(142)에서 변환된 전기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모뎀감시 제어신호 및 다이버시티 수신신호를 분리하고 전기신호를 분배하는 제 1 분배수단(144)과, 제 1 분배수단(144)에서 분배된 전기신호를 저잡음 증폭하는 제 1 저잡음 증폭수단(146)과, 제 1 저잡음 증폭수단(146)에서 저잡음 증폭된 신호를 제 1 역방향 링크 중계부(114)에 분배하는 제 2 분배수단(148)을 포함한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한 순방향 링크 중계부의 일실시예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순방향 링크 중계부(112)는 기지국으로부터 입력받은 순방향 신호를 합성하는 제 1 합성수단(112-1)과, 제 1 합성수단(112-1)에서 합성된 신호를 중계섹터마다 미리 지정된 주파수로 변환하는 제 1 주파수 변환수단(112-2)과, 제 1 주파수 변환수단(112-2)에서 주파수 변환된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 1 필터수단(112-3)과, 제 1 필터수단(112-3)에서 필터링된 신호를 증폭하는 제 1 증폭수단(112-4)을 중계섹터(α,β,r,..., n)별로 각각 포함한다.
도 2c는 도 2a에 도시한 제 1 역방향 링크 중계부의 일실시예이다.
도 2c를 참조하면, 제 1 역방향 링크 중계부(114)는 제 2 분배수단(148)으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원래 신호로 재생하는 제 1 재생수단(114-1)과, 제 1 재생수단(114-1)에서 재생된 역방향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 2 필터수단(114-2)과, 제 2 필터수단(114-2)에서 필터링된 신호를 증폭하는 제 2 증폭수단(114-3)을 중계섹터(α,β,r,..., n)별로 각각 포함한다.
한편, 도 1에 도시한 각각의 서비스용 자국 중계기(200-1,200-2,...,200-n)는 모두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 1 서비스용 자국 중계기(200-1)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는 도 1에 도시한 제 1 서비스용 자국 중계기의 일실시예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제 1 서비스용 자국 중계기(200-1)는 링크용 모국 중계기(100)로부터 광신호를 전송받아 일부 신호를 제 2 서비스용 자국 중계기(200-2)에 분배하고, 광신호로 변환된 역방향 신호를 링크용 모국 중계기(100)로 전송하는 제 2 광다이플렉서(210)와, 제 2 광다이플렉서(210)로부터 광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신호로 변환 및 분배하는 제 3 변환부(220)와, 제 3 변환부(220)로부터 분배받은 전기신호를 중계섹터별로 재생하고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역방향 신호를 중계섹터마다 서로 다른 주파수로 변환하는 서비스 중계부(230)와, 서비스 중계부(230)에서 재생된 순방향 신호를 해당 섹터 안테나(300)를 통해 가입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해당 섹터 안테나(300)를 통해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역방향 신호를 서비스 중계부(230)로 출력하는 다이플렉서(240)와, 서비스 중계부(230)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로 변환된 역방향 신호를합성하고 광신호로 변환하여 제 2 광다이플렉서(210)에 출력하는 제 4 변환부(250)를 포함한다.
제 3 변환부(220)는 제 2 광다이플렉서(210)로부터 입력받은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제 2 광전 변환수단(222)과, 제 2 광전 변환수단(222)에서 변환된 전기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모뎀감시 제어신호 및 기준신호를 분리하고 전기신호를 순방향 서비스 중계부(232)에 분배하는 제 5 분배수단(224)을 포함한다.
여기서, 다이플렉서(240)는 중계섹터(α,β,r,..., n)별로 순방향 신호와 역방향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서비스 중계부(230)는 제 3 변환부(220)로부터 분배받은 전기신호를 중계섹터별로 재생하여 해당 중계섹터의 다이플렉서(240)로 출력하는 순방향 서비스 중계부(232)와, 해당 중계섹터의 다이플렉서(240)로부터 입력받은 역방향 신호를 중계섹터마다 서로 다른 주파수로 변환하여 제 4 변환부(250)에 출력하는 제 1 역방향 서비스 중계부(234)를 포함한다.
제 4 변환부(250)는 제 1 역방향 서비스 중계부(234)로부터 입력받은 신호 중 미리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합성하는 제 4 합성수단(252)과, 제 4 합성수단(252)으로부터 입력받은 합성신호에 모뎀감시 제어신호 및 다이버시티 수신신호를 합성하는 제 5 합성수단(254)과, 제 5 합성수단(254)에서 합성된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제 2 광다이플렉서(210)로 출력하는 제 2 광변환 수단(256)을 포함한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한 순방향 서비스 중계부와 제 1 역방향 서비스 중계부와 다이플렉서 및 섹터 안테나의 일실시예이고, 도 3c는 순방향 서비스 중계부와 제 1 역방향 서비스 중계부의 중계섹터별 블록 구성도이다.
도 3b와 도 3c를 참조하면, 순방향 서비스 중계부(232)는 제 5 분배수단(224)으로부터 분배받은 전기신호에서 각 이동통신사의 신호를 추출하는 제 4 필터수단(A1,B1,C1)과, 제 4 필터수단(A1,B1,C1)에서 추출된 신호를 각각 재생하는 제 3 재생수단(A2,B2,C2)과, 제 3 재생수단(A2,B2,C2)에서 재생된 순방향 신호를 각각 고출력 증폭하는 고출력 증폭수단(A3,B3,C3)과, 고출력 증폭수단(A3,B3,C3)에서 고출력 증폭된 신호를 합성하여 해당 중계섹터의 다이플렉서(240)에 출력하는 제 3 합성수단(232-1)을 중계섹터별로 각각 포함한다.
제 1 역방향 서비스 중계부(234)는 해당 다이플렉서(240)로부터 입력받은 역방향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는 제 3 저잡음 증폭수단(234-2)과, 제 3 저잡음 증폭수단(234-2)에서 저잡음 증폭된 역방향 신호를 중계섹터마다 미리 지정된 주파수로 변환하는 제 2 주파수 변환수단(234-4)과, 제 2 주파수 변환수단(234-4)에서 주파수 변환된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 5 필터수단(234-6)을 중계섹터별로 각각 포함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의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4a는 링크용 모국 중계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 구성도로서, 도 2a의 링크용 모국 중계기(100)에 제 1 분배수단(144)에서 분배된 역방향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기 위한 제 2 저잡음 증폭수단(147)과, 제 2 저잡음 증폭수단(147)에서저잡음 증폭된 신호를 분배하는 제 3 분배수단(149)과, 제 3 분배수단(149)으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중계섹터별로 재생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제 2 역방향 링크 중계부(116)를 더 추가한 것이다.
그리고, 광케이블이 연결되지 않는 지역에 중계할 수 있도록, 제 2 합성수단(124)에서 합성된 신호를 분배하기 위한 제 4 분배수단(125)과, 제 4 분배수단(125)에서 분배된 신호를 제 1 서비스용 자국 중계기(200-1)에 송출하기 위한 제 1 마이크로 웨이브 수단(127)을 더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한 제 2 역방향 링크 중계부(116)의 블록 구성도로서, 도 2c에 도시한 제 1 역방향 링크 중계부(114)처럼 구성된다. 제 2 역방향 링크 중계부(116)는 제 3 분배수단(149)으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재생하는 제 2 재생수단(116-1)과, 제 2 재생수단(116-1)에서 재생된 역방향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 3 필터수단(116-2)과, 제 3 필터수단(116-2)에서 필터링된 신호를 증폭하는 제 3 증폭수단(116-3)을 중계섹터별로 각각 포함한다.
도 4c는 서비스용 자국 중계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 구성도로서, 도 3a의 제 1 서비스용 자국 중계기(200-1)에 다이버시티용 섹터 안테나(310)를 통하여 입력받은 역방향 신호를 중계섹터마다 서로 다른 주파수로 변환하는 제 2 역방향 서비스 중계부(236)와, 제 2 역방향 서비스 중계부(236)에서 주파수 변환된 신호 중 미리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합성하여 제 5 합성수단(254)에 출력하는 제 6 합성수단(253)을 더 추가한 것이다.
그리고, 제 1 서비스용 자국 중계기(200-1)에 링크용 모국 중계기(100)가 송출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 2 마이크로 웨이브 수단(225)과, 제 2 마이크로 웨이브 수단(225)에서 수신한 신호와 제 2 광전 변환수단(222)에서 변환된 신호를 합성하여 제 5 분배수단(224)에 출력하는 제 7 합성수단(223)을 더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4d는 제 2 역방향 서비스 중계부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4e는 제 2 역방향 서비스 중계부의 중계섹터별 블록 구성도이다. 제 2 역방향 서비스 중계부는 도 3c에 도시한 제 1 역방향 서비스 중계부처럼 구성된다.
제 2 역방향 서비스 중계부(236)는 다이버시티용 섹터 안테나(310)를 통하여 입력받은 역방향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는 제 4 저잡음 증폭수단(236-2)과, 제 4 저잡음 증폭수단(236-2)에서 저잡음 증폭된 역방향 신호를 중계섹터마다 미리 지정된 주파수로 변환하는 제 3 주파수 변환수단(236-4)과, 제 3 주파수 변환수단(236-4)에서 주파수 변환된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 6 필터수단(236-6)을 중계섹터별로 각각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서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이 이동통신사의 순방향과 역방향 신호를 중계섹터별로 주파수 변환하여 중계하는 과정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지국(미도시)에서 가입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순방향의 중계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기지국에서 링크용 모국 중계기(100)로 입력되는 서로 다른 이동통신사의 순방향 신호는 순방향 링크 중계부(112)에서 각각의 중계섹터별로 통합되어 서로 다른 주파수로 변환된다.
즉, 기지국으로부터 입력받은 서로 다른 이동통신사의 순방향 신호는 순방향 링크 중계부(112)의 제 1 합성수단(112-1)에서 하나의 신호로 합성된 후, 제 1 주파수 변환수단(112-2)에서 중계섹터마다 미리 지정된 주파수로 변환된다. 이 때, 각 중계섹터의 중심 주파수를 서로 다르게 하여 동시에 전송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이동통신사(A,B,C)를 예로 들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 1 주파수 변환수단(112-2)에서 미리 지정된 주파수로 변환된 신호는 제 1 필터수단(112-3)에서 필터링된 후, 제 1 증폭수단(112-4)에서 증폭되어 필터합성부(122)로 출력된다.
필터합성부(122)는 순방향 링크 중계부(112)에서 주파수 변환된 신호 중에서 미리 지정된 주파수 대역내의 신호들(예를 들면,α,β,r,..., n 중계섹터 대역내의 신호들)만 합성한다.
필터합성부(122)에서 합성된 신호는 제 2 합성수단(124)에서 모뎀감시 제어신호 및 기준신호와 합성되며, 제 1 광변환 수단(126)에서 광신호로 변환되어 제 1 광다이플렉서(130)로 출력된다.
제 1 광다이플렉서(130)는 제 1 변환부(120)에서 광신호로 변환된 신호를 광케이블을 통하여 제 1 서비스용 자국 중계기(200-1)로 전송한다.
링크용 모국 중계기(100)로부터 광신호를 전송받은 제 1 서비스용 자국 중계기(200-1)의 제 2 광다이플렉서(210)는 일부 신호를 제 2 서비스용 자국중계기(200-2)로 분배하고, 나머지 신호는 제 2 광전 변환수단(222)에 출력한다.
제 2 광전 변환수단(222)에 출력된 광신호는 전기신호로 변환된 후, 제 5 분배수단(224)에서 순방향 서비스 중계부(232)로 분배된다. 이 때, 제 5 분배수단(224)은 링크용 모국 중계기(100)에서 함께 전송했던 모뎀감시 제어신호 및 기준신호를 분리해 낸다.
제 5 분배수단(224)에서 분배된 전기신호는 순방향 서비스 중계부(232)에서 중계섹터별로 재생된다. 즉, 제 4 필터수단(A1,B1,C1)에서 각 이동통신사별 신호가 추출된 다음, 제 3 재생수단(A2,B2,C2)에서 각각 재생된다. 그리고, 고출력 증폭수단(A3,B3,C3)에서 각각 고출력 증폭되어, 제 3 합성수단(232-1)에서 하나의 신호로 합성된 후 해당 다이플렉서(240)로 출력된다.
다이플렉서(240)로 입력된 신호는 해당 섹터 안테나(300)를 통해 가입자 단말기로 전송된다. 섹터 안테나(300)의 개수는 중계기의 구성과 사업자 수에 따라서 달리 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가입자 단말기에서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역방향 중계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섹터 안테나(300)를 통해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역방향 신호는 해당 다이플렉서(240)를 통하여 제 1 역방향 서비스 중계부(234)로 출력된다. 이 때,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역방향 신호에는 3개 이동통신사의 A,B,C 신호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α섹터 안테나를 통해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역방향신호(A,B,C)는α다이플렉서(240α)를 통하여 제 1 역방향 서비스 중계부(234α)로 출력된다.
제 1 역방향 서비스 중계부(234)는 다이플렉서(240)로부터 입력받은 역방향 신호를 중계섹터마다 서로 다른 주파수 변환하여 제 4 변환부(250)에 출력한다. 즉, 다이플렉서(240)에서 출력된 역방향 신호는 제 3 저잡음 증폭수단(234-2)에서 저잡음 증폭되고, 제 2 주파수 변환수단(234-4)에서 미리 지정된 주파수로 변환된 후 제 5 필터수단(234-6)에서 필터링된다.
그리고, 제 1 역방향 서비스 중계부(234)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로 변환된 역방향 신호는 제 4 합성수단(252)에서 미리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예를 들면,α,β,r,..., n 중계섹터 대역내의 신호들)만 합성되며, 제 5 합성수단(254)에서 모뎀감시 제어신호 및 다이버시티 수신신호와 합성된다.
제 5 합성수단(254)에서 합성된 신호는 제 2 광변환 수단(256)에서 광신호로 변환된 후 제 2 광다이플렉서(210)로 출력된다.
제 2 광다이플렉서(210)는 제 2 광변환 수단(256)으로부터 입력받은 광신호를 광케이블을 통해 링크용 모국 중계기(100)로 전송한다.
제 1 서비스용 자국 중계기(200-1)로부터 전송된 광신호는 제 1 광다이플렉서(130)를 통하여 제 1 광전 변환수단(142)에 출력된다. 제 1 광전 변환수단(142)은 제 1 광다이플렉서(130)로부터 입력받은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며, 제 1 광전 변환수단(142)에서 변환된 전기신호는 제 1 분배수단(144)으로 출력된다.
제 1 분배수단(144)은 제 1 광전 변환수단(142)에서 변환된 전기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모뎀감시 제어신호 및 다이버시티 수신신호를 분리해 낸다.
제 1 분배수단(144)에서 출력된 신호는 제 1 저잡음 증폭수단(146)에서 저잡음 증폭된 후, 제 2 분배수단(148)에서 제 1 역방향 링크 중계부(114)로 분배된다.
제 1 역방향 링크 중계부(114)는 제 2 분배수단(148)으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중계섹터별로 재생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즉, 제 2 변환부(140)에서 출력된 신호는 제 1 재생수단(114-1)에서 원래 신호로 재생된 다음 제 2 필터수단(114-2)에서 필터링된다. 그리고, 제 2 증폭수단(114-3)에서 증폭되어 기지국으로 전송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계섹터별로 순방향 및 역방향 신호를 중계하여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통신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공간 다이버시티를 사용할 경우,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의 시스템을 도 4와 같이 구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새로 추가한 제 2 역방향 서비스 중계부(236)는 제 1 역방향 서비스 중계부(234)처럼 다이버시티용 섹터 안테나(310)를 통해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역방향 신호를 중계섹터마다 서로 다른 주파수로 변환한다. 그리고, 제 2 역방향 링크 중계부(116)는 제 1 역방향 링크 중계부(114)처럼 중계섹터별로 신호를 재생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다이버시티용 섹터 안테나(310)는 섹터 안테나(310)와 수십 파장 정도 이격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제 2 광다이플렉서(210)를 이용하여 링크용 중계기(100)로부터 전송받은 광신호를 다음 단의 서비스용 자국 중계기에 분배하고, 이전 단의 서비스용 자국 중계기로부터 전송받은 광신호를 합성하여 링크용 모국 중계기(100)에 전송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직렬 결합방식을 이용하여 광케이블 설치비용 및 사용료를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은 직렬 결합방식으로의 확장뿐만 아니라, 병렬 및 직병렬 결합방식으로도 확장이 가능하다.
또, 본 고안은 광케이블을 대신하여 제 1 마이크로 웨이브 수단(127)을 통해 무선으로 순방향 신호를 전송하고, 제 2 마이크로 웨이브 수단(225)이 순방향 신호를 수신하여 중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의 본 고안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고안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다수의 이동통신 서비스업체들이 각각 서비스하던 여러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중계섹터별로 통합하여 광대역 중계를 할 수 있다.
즉, 중계기에서 PCS 3개사, IMT-2000 3∼4개사, 셀룰러 2개사 등의 이동통신 사업자가 서비스하는 신호를 통합하여 중계섹터별로 광대역 중계를 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이전보다 제조비용을 1/3 이하로 줄일 수 있다.
그리고, 공간 다이버시티를 사용하여 통신 신뢰도를 향상되었으며, 광케이블이 설치되지 않는 지역에도 무선으로 중계할 수 있다.
또 직렬과 병렬뿐만 아니라 직병렬로 이동통신망을 확장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Claims (21)

  1.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받은 서로 다른 이동통신사의 순방향 신호를 통합하여 중계섹터별로 주파수 변환한 후 광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외부로부터 전송받은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한 후 중계섹터별로 재생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링크용 모국 중계기; 및
    상기 링크용 모국 중계기로부터 전송받은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한 후 중계섹터별로 재생하여 가입자 단말기에 서비스하고, 서로 다른 이동통신사의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역방향 신호를 중계섹터별로 주파수 변환하고 합성한 후 광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링크용 모국 중계기에 전송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비스용 자국 중계기를 포함하는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용 모국 중계기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받은 순방향 신호를 통합하여 중계섹터마다 서로 다른 주파수로 변환하고, 전기신호로 변환된 역방향 신호를 중계섹터별로 재생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링크 중계부;
    상기 링크 중계부에서 출력된 순방향 신호를 합성하여 광신호로 변환하는 제 1 변환부;
    상기 제 1 변환부에서 광신호로 변환된 순방향 신호를 상기 서비스용 자국 중계기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용 자국 중계기로부터 광신호를 전송받는 제 1 광다이플렉서; 및
    상기 제 1 광다이플렉서로부터 광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신호로 변환 및 분배하여 상기 링크 중계부에 출력하는 제 2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중계부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입력받은 순방향 신호를 통합하여 중계섹터마다 서로 다른 주파수로 변환하는 순방향 링크 중계부; 및
    상기 제 2 변환부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중계섹터별로 재생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제 1 역방향 링크 중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순방향 링크 중계부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입력받은 순방향 신호를 합성하는 제 1 합성수단;
    상기 제 1 합성수단에서 합성된 신호를 중계섹터마다 미리 지정된 주파수로 변환하는 제 1 주파수 변환수단;
    상기 제 1 주파수 변환수단에서 주파수 변환된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 1 필터수단;
    상기 제 1 필터수단에서 필터링된 신호를 증폭하는 제 1 증폭수단을 중계섹터별로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역방향 링크 중계부는
    상기 제 2 변환부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원래 신호로 재생하는 제 1 재생수단;
    상기 제 1 재생수단에서 재생된 역방향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 2 필터수단; 및
    상기 제 2 필터수단에서 필터링된 신호를 증폭하는 제 2 증폭수단을 중계섹터별로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변환부는
    상기 순방향 링크 중계부로부터 입력받은 순방향 신호 중 미리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합성하는 필터합성부;
    상기 필터합성부에서 합성된 신호에 모뎀감시 제어신호 및 기준신호를 합성하는 제 2 합성수단; 및
    상기 제 2 합성수단에서 합성된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는 제 1 광변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변환부는
    상기 제 1 광다이플렉서로부터 입력받은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제 1 광전 변환수단;
    상기 제 1 광전 변환수단에서 변환된 전기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모뎀감시 제어신호 및 다이버시티 수신신호를 분리하고 상기 전기신호를 분배하는 제 1 분배수단;
    상기 제 1 분배수단에서 분배된 전기신호를 저잡음 증폭하는 제 1 저잡음 증폭수단; 및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수단에서 저잡음 증폭된 신호를 상기 제 1 역방향 링크 중계부에 분배하는 제 2 분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용 모국 중계기는
    상기 제 1 분배수단에서 분배된 역방향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기 위한 제 2 저잡음 증폭수단;
    상기 제 2 저잡음 증폭수단에서 저잡음 증폭된 신호를 분배하는 제 3 분배수단; 및
    상기 제 3 분배수단으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중계섹터별로 재생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제 2 역방향 링크 중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역방향 링크 중계부는
    상기 제 3 분배수단으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재생하는 제 2 재생수단;
    상기 제 2 재생수단에서 재생된 역방향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 3 필터수단; 및
    상기 제 3 필터수단에서 필터링된 신호를 증폭하는 제 3 증폭수단을 중계섹터별로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용 모국 중계기는
    상기 제 2 합성수단에서 합성된 신호를 분배하기 위한 제 4 분배수단; 및
    상기 제 4 분배수단에서 분배된 신호를 상기 서비스용 자국 중계기에 송출하기 위한 제 1 마이크로 웨이브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용 자국 중계기는
    상기 링크용 모국 중계기로부터 광신호를 전송받아 일부 신호를 다른 서비스용 자국 중계기에 분배하고, 광신호로 변환된 역방향 신호를 상기 링크용 모국 중계기로 전송하는 제 2 광다이플렉서;
    상기 제 2 광다이플렉서로부터 광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신호로 변환 및 분배하는 제 3 변환부;
    상기 제 3 변환부로부터 분배받은 전기신호를 중계섹터별로 재생하고, 상기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역방향 신호를 중계섹터마다 서로 다른 주파수로 변환하는 서비스 중계부;
    상기 서비스 중계부에서 재생된 순방향 신호를 해당 섹터 안테나를 통해 상기 가입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섹터 안테나를 통해 상기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역방향 신호를 상기 서비스 중계부로 출력하는 다이플렉서; 및
    상기 서비스 중계부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로 변환된 역방향 신호를 합성하고 광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 2 광다이플렉서에 출력하는 제 4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중계부는
    상기 제 3 변환부로부터 분배받은 전기신호를 중계섹터별로 재생하여 상기 다이플렉서로 출력하는 순방향 서비스 중계부; 및
    상기 다이플렉서로부터 입력받은 역방향 신호를 중계섹터마다 서로 다른 주파수로 변환하여 상기 제 4 변환부에 출력하는 제 1 역방향 서비스 중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변환부는
    상기 제 2 광다이플렉서로부터 입력받은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제 2 광전 변환수단; 및
    상기 제 2 광전 변환수단에서 전기신호로 변환된 신호를 상기 순방향 서비스 중계기에 분배하는 제 5 분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순방향 서비스 중계부는
    상기 제 3 변환부로부터 분배받은 전기신호에서 각 이동통신사의 신호를 추출하는 제 4 필터수단;
    상기 제 4 필터수단에서 추출된 신호를 각각 재생하는 제 3 재생수단;
    상기 제 3 재생수단에서 재생된 순방향 신호를 각각 고출력 증폭하는 고출력 증폭수단; 및
    상기 고출력 증폭수단에서 고출력 증폭된 신호를 합성하는 제 3 합성수단을 중계섹터별로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역방향 서비스 중계부는
    상기 다이플렉서로부터 입력받은 역방향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는 제 3 저잡음 증폭수단;
    상기 제 3 저잡음 증폭수단에서 저잡음 증폭된 역방향 신호를 중계섹터마다 미리 지정된 주파수로 변환하는 제 2 주파수 변환수단;
    상기 제 2 주파수 변환수단에서 주파수 변환된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 5 필터수단을 중계섹터별로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플렉서는 중계섹터별로 순방향 신호와 역방향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변환부는
    상기 제 1 역방향 서비스 중계부로부터 입력받은 신호 중 미리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합성하는 제 4 합성수단;
    상기 제 4 합성수단으로부터 입력받은 합성신호에 모뎀감시 제어신호 및 다이버시티 수신신호를 합성하는 제 5 합성수단; 및
    상기 제 5 합성수단에서 합성된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 2 광다이플렉서로 출력하는 제 2 광변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용 자국 중계기는
    다이버시티용 섹터 안테나를 통하여 입력받은 역방향 신호를 중계섹터마다 서로 다른 주파수로 변환하는 제 2 역방향 서비스 중계부; 및
    상기 제 2 역방향 서비스 중계부에서 주파수 변환된 신호 중 미리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제 5 합성수단에 출력하는 제 6 합성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역방향 서비스 중계부는
    상기 다이버시티용 섹터 안테나를 통하여 입력받은 역방향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는 제 4 저잡음 증폭수단;
    상기 제 4 저잡음 증폭수단에서 저잡음 증폭된 역방향 신호를 중계섹터마다 미리 지정된 주파수로 변환하는 제 3 주파수 변환수단; 및
    상기 제 3 주파수 변환수단에서 주파수 변환된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 6 필터수단을 중계섹터별로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
  20.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용 자국 중계기는
    상기 링크용 모국 중계기가 송출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 2 마이크로 웨이브 수단; 및
    상기 제 2 마이크로 웨이브 수단에서 수신한 신호와 상기 제 2 광전 변환수단에서 변환된 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제 5 분배수단에 출력하는 제 6 합성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
  21.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용 자국 중계기는
    직렬 결합방식으로 확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
KR2020020015850U 2002-05-23 2002-05-23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 KR2002846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850U KR200284691Y1 (ko) 2002-05-23 2002-05-23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850U KR200284691Y1 (ko) 2002-05-23 2002-05-23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8755A Division KR20030090450A (ko) 2002-05-23 2002-05-23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4691Y1 true KR200284691Y1 (ko) 2002-08-07

Family

ID=73123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5850U KR200284691Y1 (ko) 2002-05-23 2002-05-23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469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085B1 (ko) * 2012-02-08 2014-02-24 주식회사 소스텔 터널용 무선중계장치의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085B1 (ko) * 2012-02-08 2014-02-24 주식회사 소스텔 터널용 무선중계장치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12787B2 (ja) 光変換中継増幅システム
KR100257184B1 (ko) 서비스범위 확장을 위한 광중계 시스템
US6374124B1 (en) Dynamic reallocation of transceivers used to interconnect wireless telephones to a broadband network
US20090307739A1 (en) Remote distributed antenna
JP2004527965A (ja) Catvネットワークを介するマルチバンドセルラーサービス
CN211830769U (zh) 一种5g变频光分布系统
CN111343642A (zh) 一种5g信号射频变频分布系统
AU9352898A (en) Method of adjusting frequency of cellular radio repeater
KR20040102947A (ko) 분리형 기지국에서 에프에이 증설이 가능한 원격 유니트
KR200284691Y1 (ko)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
JP2001095042A (ja) 逆方向性能向上のための無線通信システム
KR100375836B1 (ko)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시스템
KR200208281Y1 (ko)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시스템
KR20030090450A (ko)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
US20040166833A1 (en) Mobile radio service over catv network
KR200251636Y1 (ko)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시스템
KR100627800B1 (ko) 디지털 유선 중계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100470443B1 (ko)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
KR200168944Y1 (ko) 직렬형 주파수 변환 중계 시스템
KR100331786B1 (ko) 직렬형 주파수 변환 중계 시스템
KR20130032778A (ko) 분산형 중계 시스템 및 분산형 중계 방법
KR101052175B1 (ko) 씨피엔 예비회선을 이용한 이동통신 신호 중계 장치 및 방법
KR100701899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 처리방법 및 장치
KR101771535B1 (ko) 혼합형 전송방식의 분산안테나시스템
KR200268530Y1 (ko)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