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4620Y1 - 중공부가 마련된 일체형 파이프 및 그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중공부가 마련된 일체형 파이프 및 그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4620Y1
KR200284620Y1 KR2020020013913U KR20020013913U KR200284620Y1 KR 200284620 Y1 KR200284620 Y1 KR 200284620Y1 KR 2020020013913 U KR2020020013913 U KR 2020020013913U KR 20020013913 U KR20020013913 U KR 20020013913U KR 200284620 Y1 KR200284620 Y1 KR 2002846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ollow
synthetic resin
longitudinal direction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39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삼수
Original Assignee
손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삼수 filed Critical 손삼수
Priority to KR20200200139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46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46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4620Y1/ko

Links

Landscapes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단일공정으로 파이프의 길이 방향에 따라 중공부를 나선형으로 형성한 파이프 및 그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파이프에 있어서 중공부가 모두 파이프의 직경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구조로서 파이프 전체의 강도가 약화된다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상하수도용으로 사용되며 다수의 중공부를 구비한 파이프에 있어서, 파이프는 일체로 형성되고, 다수의 중공부가 상기 파이프의 두께 부분에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다수의 중공부가 파이프에 연속적이고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또한 파이프가 PE 또는 PP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중공부가 상기 파이프의 형성과 동시에 형성되며, 중공부의 단면을 대략 사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한다.
이러한 파이프 및 그의 제조장치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종래의 파이프와 달리 어떠한 접합부를 마련하는 일없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므로, 파이프의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그 제조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중공부가 마련된 일체형 파이프 및 그의 제조장치{Pipe with hollow and without joining, the equipment of making the same}
본 고안은 상하수도용으로 사용되는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중공부가 형성된 일체형 파이프 및 그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일공정으로 파이프의 길이 방향에 따라 중공부를 나선형으로 형성한 파이프 및 그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반에 매설되는 배관재는 경제성과 작업성 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합성수지 배관재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합성수지 배관재는 경질 폴리에틸렌(이하, PE로 약칭함) 재질의 평활관이 등장하였으나, 지반에 매설되었을 경우 지압에 의한 강도를 견디지 못하므로, 1980년대 이후 그 강도를 보강한 경질PE 이중벽관으로 대체되고 있다. 이러한 경질 PE 이중벽관은 값이 저렴하고 작업성이 극히 용이하므로 합성수지 이중벽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PVC 배관재는 비록 강도가 높은 장점은 있지만, 그 작업성이 곤란하여특별한 기술을 요하지 않는 평활관으로서만 제조되고 있을 뿐이고, 이중벽관으로서 제조되고 있지 못하다. 그 이유는 기존의 합성수지(PE) 이중벽관의 제조방법에 의해서는 PVC 이중벽관을 제조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또, 열가소성의 범용 합성수지로서 폴리프로필렌(PP)수지, 연질PE수지, 폴리스티렌(PS)수지 등이 있으나, 이들은 합성수지 그 자체의 성질이 배관용 재질로서 적합하지 않으므로, 이를 배관용 파이프로 사용하지 않고 있으며, 또한 그러한 제조기술도 개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합성수지 이중벽관이나 그 제조방법 또는 합성수지 이중벽관의 제조장치는 모두 경질 PE재질의 이중벽관이나 그 제조방법 내지 경질 PE 이중벽관의 제조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합성수지(PE) 이중벽관의 종류에는 그 제조방법을 기준으로 할 때, 일단 평활관을 제조한 다음 그 평활관을 다시 이중벽관으로 제조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에 의할 경우, 이중벽관의 제조장비가 대형이어야 하고, 그 장비가 고가인 반면에, 대구경의 이중벽관을 제조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또 다른 방법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중공부(2)가 형성되어 있고, 그 밑면(1)에는 양측으로 확장된 결합부를 가진 띠 형상의 합성수지(10)를 제조하고, 이 띠 형상의 합성수지(10)를 다수의 롤러(12)에 의해 필요한 구경을 형성한 롤러집합부(11)의 외면으로 권취시키면서 그 밑면(1)의 한쪽 결합부를 다른 쪽 결합부(1′)에 서로 겹쳐서 압착함으로써 필요한 구경을 가진 이중벽관을 제조하고 있다. 이 방법은 경질 PE 수지와 같이 띠 형상의 합성수지가 가열부에서 압출된 후 상기 롤러집합부의 외면을 한바퀴 돌아서 처음 위치부근에 올 때까지 경화되지 않고 압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경우에는 매우 효율적으로 이중벽관을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PE 이중벽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다른 방법에 의해 형성된 합성수지 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합성수지 파이프는 합성수지 저장통에 있는 점액상의 합성수지를 가이드에 의해 중공의 원형단면을 갖는 소형관(31)으로 만들고, 소형관(31)을 다수의 회전 롤러집합부의 외주면으로 일정한 간격의 나선상으로 감아주면서, 합성수지 저장통에서 공급된 합성수지(32)를 간격 사이에 합성수지 주입노즐을 통해 주입시키고, 이를 다시 압착시킨 다음, 통상의 방법에 의해 소형관이 서로 접착되어지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중벽관의 내주면(33)과 외주면(34) 모두 평활한 면을 형성하고, 또한 보다 강도가 높은 이중벽관을 제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제조방법이 까다롭고 또한 그 제조장치가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 등을 해소하기 위한 방편의 일 예로서 도 4에 도시된 구조의 합성수지 파이프도 제시되었다.
도 4에 도시된 합성수지 파이프는 다수의 중공단면을 가진 소형관(110)을 경질합성수지층(120)과 연질합성수지층(130)으로 형성된다.
즉, 경질 합성수지(120)는 중공 단면을 가진 소형관의 재질로서 나선상의 구조를 이루고, 연질 합성수지(130)는 경질 합성수지의 소형관들 사이에서 접착제로서 사용됨과 동시에 나선상의 구조로써, 이중벽관 전체로서는 경질 합성수지층과연질 합성수지층이 서로 교호적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합성수지 파이프의 제조에 대해서는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공보 20-0261574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도 1 내지 도 4에 개시된 기술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조에 있어서는 먼저 중공부가 형성된 띠 형상의 합성수지(10)를 제조하고 이와 같이 제조된 합성수지(10)를 롤러(12)에 의해 권취하여 파이프를 형성함으로서, 합성수지 제조장치와 파이프 형성장치가 필요하므로 장치가 대형화하고 고가로 되고, 또한 띠 형상 합성수지의 결합부(1)를 압착하여 제조하므로 결합부(1)와 (1′) 사이의 결합에 의해서만 파이프가 형성되므로, 결합부의 강도가 낮고 결합불량에 의해 제조된 파이프 전체가 불량으로 될 염려가 있었다.
또, 도 3에 도시된 구조에 있어서는 소형관(31)을 형성하고 이 소형관을 롤러로 권취하면서 감겨진 소형관(31)과 소형관(31) 사이로 합성수지(32)를 주입하는 구조로서, 도 1과 같이 소형관(31)을 제조하는 장치, 수지(32)주입장치 및 파이프형성장치를 구비해야 하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전체의 구조가 대형으로 되어 고가로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구조에 있어서는 도 1 및 도 2의 구조와 유사하고 연질합성수지층(130)으로 보강하여 강도를 향상시키는 구조이지만, 이 역시 경질합성수지층(120)을 형성하는 장치, 연질합성수지층(130)을 형성하는 장치, 경질합성수지층(120)과 연질합성수지층(130)을 교대로 접착시키는 장치가 필요하므로, 도 4에 도시된 장치 역시 장치 자체가 대형화하고 또한 접합부의 불량이 발생할 염려가 있었다.
또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구조의 파이프에 있어서는 중공부가 모두 파이프의 직경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구조이지만,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파이프 전체의 강도가 약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단일공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며, 중공부가 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하중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중공부가 마련된 일체형 파이프 및 그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중공부가 나선형으로 구성되어 파이프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변화에 따른 변형을 최소화하고 또한 보온 및 보냉 효과를 구비한 중공부가 마련된 일체형 파이프 및 그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파이프 내부로 흐르는 물의 흐름을 원활히 하고, 물의 흐름에 따른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중공부가 마련된 일체형 파이프 및 그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합성수지 파이프의 제조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합성수지 파이프의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다른 방법에 의해 형성된 합성수지 파이프의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또 다른 방법에 의해 형성된 합성수지 파이프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라 제조된 상하수도용 파이프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라 제조된 상하수도용 파이프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상하수도용 파이프를 제조하기 위한 파이프 제조장치의 개념도,
도 8은 도 7에 있어서 다수의 중공부를 포함하는 이중파이프 성형수단의 단면도,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상하수도용 파이프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용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파이프 51 … 파이프의 내부
52 … 중공부 53 … 파이프의 내경부
54 … 파이프의 외경부 60 … 나선형부
71 … 파쇄수단 72 … 혼합수단
73 … 용융압출수단 74 … 이중파이프 성형수단
75 … 제1의 비틀림수단 76 … 제2의 비틀림수단
77 … 제1의 냉각수단 78 … 제2의 냉각수단
85 … 외경부 86 … 내경부
87 … 중공부 형성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파이프는 상하수도용으로 사용되며 다수의 중공부를 구비한 파이프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중공부는 상기 파이프의 두께 부분에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중공부는 상기 파이프에 연속적이고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파이프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PE 또는 PP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파이프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중공부는 상기 파이프의 형성과 동시에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의 단면은 대략 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파이프의 제조장치는 상하수도용으로 사용되며 다수의 중공부를 구비한 파이프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PE 또는 PP로 이루어진 재활용품을 소정의 크기로 파쇄하는 파쇄수단, 상기 파쇄된 PE 또는 PP와 재활용이 아닌 PE 또는 PP를 혼합하는 혼합수단, 상기 혼합수단에 의해 혼합된 PE 또는 PP를 용융하여 압출하는 용융압출수단, 상기 압출되는 PE 또는 PP를 파이프의 형상 및 파이프의 두께부분에서 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중공부를 갖도록 성형하는 이중파이프 성형수단, 상기 이중파이프 성형수단에 의해 성형된 파이프를 일정 온도로 냉각하는 제1의 냉각수단 및 상기 일정 온도로 냉각된 파이프를 비틀림 하는 비틀림 수단과 상기 비틀림하면서 동시에 상기 파이프를 완전히 경화시키는 제2의 냉각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비틀림 수단은 상기 이중파이프 성형수단으로부터 상기 파이프가 압출되는 방향으로 진행하며, 상기 파이프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파이프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중공부는 상기 중공부를 상기 비틀림 수단에 의해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동일부분은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그 반복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라 제조된 상하수도용 파이프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라 제조된 상하수도용 파이프의 사시도이다.
도 5에 있어서, (50)은 상술한 종래의 구조와는 달리 일체로 형성되고 다수의 중공부를 구비한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이고, (51)은 파이프의 내부로서 빈 공간부이다.
또, (52)는 파이프(50)의 두께 부분에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파이프(50)에 연속적이고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중공부이며, 도 5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중공부(52)는 사각형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53)은 파이프(50)의 내경부이고, (54)는 파이프(50)의 외경부를 나타낸다.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50)의 직경(Φ)은 50∼1,200㎜까지 형성할 수 있으며, 파이프(50)의 길이는 약 6m로 연속하여 형성된 후 절단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50)는 재활용이 가능하고, 열에 민감하며 인체에 무독성인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중공부(52)는 파이프(50)의 형성과 동시에 형성되며, 단면은 대략 사각형의 형상을 갖는다. 이 중공부(52)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50)의 길이 방향으로 나선형부(60)를 갖도록 형성된다.
다음에 도 7 내지 도 8에 따라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파이프(50)의 제조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상하수도용 파이프를 제조하기 위한 파이프 제조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8은 도 7에 있어서 다수의 중공부를 포함하는 이중파이프 성형수단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상하수도용 파이프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에 있어서, (71)은 PE 또는 PP로 이루어진 재활용품을 용융시키기 용이하도록 소정의 크기로 파쇄시키는 파쇄수단이고, (72)는 파쇄수단(71)에 의해 파쇄된 PE 또는 PP와 재활용이 아닌 사용되지 않았던 칩이나 필라멘트 등의 상태인 PE 또는 PP를 혼합하는 혼합수단이다.
(73)은 혼합수단(72)에 의해 혼합된 PE 또는 PP를 공급받아 용융하고, 그 용융된 PE 또는 PP를 파이프의 형상으로 압출하는 용융압출수단이고, (74)는 용융압출수단(73)에 의한 압출과 동시에 파이프(50)의 두께 부분에서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중공부(52)를 형성하는 중공부 형성수단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용융압출수단(73)에 의해 이중파이프 성형수단(74)으로부터 성형물이 압출되는 속도는 2.0∼2.5m/분 정도이고, 이때의 성형물의 온도는 180∼200℃ 정도이다.
이 이중파이프 성형수단(74)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의 형상을 만들어 내는 내경부(86)와 외경부(85)를 구비하고, 중공부를 형성하는 중공부 형성부재(87)를 구비한 금형으로 이루어지고, 이중파이프 성형수단(74)의 내경부(86)는 파이프(50)의 내경부(53)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고, 외경부(85)는 파이프(50)의 외경부(54)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다.
또한, 이중파이프 성형수단(74)의 내경부와 외경부 사이의 거리는 제조하고자 하는 파이프(50)의 직경에 따라 변경 가능하며, 중공부 형성부재(87)는 대략 직각 사각형상이고, 이중파이프 성형수단(74)의 내경부와 외경부 사이의 중심 부분에서 이중파이프 성형수단(74)의 내경부 및 외경부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마련된다. 즉, 중공부 형성부재(87)의 크기는 이중파이프 성형수단(74)의 내경부에서 외경부까지의 거리의 약 1/2을 차지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77)은 중공부가 형성된 파이프의 내부에서 파이프의 온도를 80∼100℃ 정도로 급속 냉각시키는 드럼장치로서 제1의 냉각수단이다. 제1의 냉각수단(77)에서 냉각된 파이프는 완전히 경화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외부에서 외력을 가하면 그 형상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상태이다.
또, 도 7에 있어서, (75)는 용융압출수단(73)과 이중파이프 성형수단(74)에 의해 형성된 파이프(50)의 배출시 완전 경화되기 전에 시계 방향으로 비틀림 하는 제1의 비틀림 수단이고, (76)은 제1의 비틀림 수단(75)에 의해 비틀어진 파이프(50)를 연속해서 비틀기 위한 제2의 비틀림 수단이며, (78)은 제1 및 제2의 비틀림수단(75)에 의해 파이프(50)를 비틀림하면서 동시에 파이프(50)를 완전히 경화시키기 위한 제2의 냉각수단이다.
이 비틀림 수단(75) 및 (76)은 용융압출수단(73)에 의해 파이프(50)가 압출되는 방향으로 진행하며, 파이프(50)의 외주를 분당 1.5∼2.0회전하도록 마련되고, 이중파이프 성형수단(74)의 중공부 형성부재(87)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중공부(52)가 비틀림 수단(75) 및 (76)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50)의 길이 방향으로 긴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파이프의 제조장치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파이프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파쇄수단(71)에 의해 재활용용으로 수집된 PE 또는 PP를 소정의 크기로 파쇄한다(스텝S1). 다음에 파쇄수단(71)에 의해 파쇄된 PE 또는 PP와 재활용이 아닌 칩이나 필라멘트 등의 상태인 PE 또는 PP를 혼합수단(72)을 통해 혼합하고(스텝S2), 혼합수단(72)에 의해 혼합된 PE 또는 PP를 용융압출수단(73)에 의해 파이프(50)의 형상으로 압출함과 동시에 이중파이프 성형수단(74)을 통해 파이프(50)의 두께 부분에서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중공부를 형성한다(스텝S3).
이와 같이 형성된 파이프(50)는 제1의 냉각수단(77)에 의해 80∼100℃의 온도로 급속 냉각되고(S4), 이렇게 냉각된 파이프(50)는 비틀림 수단(75) 및 (76)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비틀림 하여 다수의 중공부를 나선형으로 형성하면서, 동시에 압출되는 파이프(50)를 제2의 냉각수단에 의하여 완전히 경화시키는(스텝S5) 것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파이프(50)가 완성된다.
이 비틀림 공정에 의해 다수의 중공부(52)는 중공부를 형성하는 공정시 직사각 형상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름모 형상으로 변형된다.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안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즉,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다수의 중공부(52)를 사각형으로 형성된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중공부(52)를 원형이나 삼각형 등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비틀림 수단(75) 및 (76)의 회전 속도에 대해 파이프(50)의 외주를 분당 1.5∼2.0회전하도록 마련되는 구조로 설명하였지만, 파이프의 두께나 파이프가 받는 압축력에 따른 필요로 하는 압축강도에 따라 그 회전 속도를 변경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중공부가 마련된 일체형 파이프 및 그의 제조장치에 의하면, 종래의 파이프의 제조방법과 달리 어떠한 접합부를 마련하는 일없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므로, 파이프 내부로 흐르는 수압에 의한 파이프의 인장강도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파이프의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그 제조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중공부가 마련된 일체형 파이프 및 그의 제조장치에 의하면, 파이프에는 중공부가 마련되므로 파이프의 재료가 절감되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중공부가 마련된 일체형 파이프 및 그의 제조장치에 의하면, 별도의 접합부 없이 다수의 중공부가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므로, 파이프 내로 흐르는 물의 온도 변화에 따른 변형이 없게되고, 보냉 및 보온 효과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파이프내부로 흐르는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물의 흐름에 따른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중공부가 마련된 일체형 파이프 및 그의 제조장치에 의하면, 파이프의 중공부가 파이프의 길이방향의 나선형으로 형성되므로 파이프의 어느 방향에 의한 압축이던간에 파이프의 압축강도가 증가하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중공부가 마련된 일체형 파이프 및 그의 제조장치에 의하면, PE 또는 PP의 원료를 재활용으로 사용하므로, 재료비를 절감함과 동시에 자연을 보존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Claims (5)

  1. 상하수도용으로 사용되며 다수의 중공부를 구비한 파이프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중공부는 상기 파이프의 두께 부분에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중공부는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긴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PE 또는 PP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중공부는 상기 파이프의 형성과 동시에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의 단면은 대략 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4. 상하수도용으로 사용되며 다수의 중공부를 구비한 파이프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PE 또는 PP로 이루어진 재활용품을 소정의 크기로 파쇄하는 파쇄수단,
    상기 파쇄된 PE 또는 PP와 재활용이 아닌 PE 또는 PP를 혼합하는 혼합수단,
    상기 혼합수단에 의해 혼합된 PE 또는 PP를 용융하여 압출하는 용융압출수단,
    상기 압출되는 PE 또는 PP를 파이프의 형상 및 파이프의 두께부분에서 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중공부를 갖도록 성형하는 이중파이프 성형수단,
    상기 이중파이프 성형수단에 의해 성형된 파이프를 일정 온도로 냉각하는 제1의 냉각수단 및
    상기 일정 온도로 냉각된 파이프를 비틀림 하는 비틀림 수단과 상기 비틀림하면서 동시에 상기 파이프를 완전히 경화시키는 제2의 냉각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비틀림 수단은 상기 이중파이프 성형수단으로부터 상기 파이프가 압출되는 방향으로 진행하며, 상기 파이프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의 제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중공부는 상기 중공부를 상기 비틀림 수단에 의해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긴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의 제조장치.
KR2020020013913U 2002-05-07 2002-05-07 중공부가 마련된 일체형 파이프 및 그의 제조장치 KR2002846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913U KR200284620Y1 (ko) 2002-05-07 2002-05-07 중공부가 마련된 일체형 파이프 및 그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913U KR200284620Y1 (ko) 2002-05-07 2002-05-07 중공부가 마련된 일체형 파이프 및 그의 제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5018A Division KR100496550B1 (ko) 2002-05-07 2002-05-07 중공부가 마련된 일체형 파이프의 제조 방법과 그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4620Y1 true KR200284620Y1 (ko) 2002-08-05

Family

ID=73122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3913U KR200284620Y1 (ko) 2002-05-07 2002-05-07 중공부가 마련된 일체형 파이프 및 그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462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635B1 (ko) * 2002-07-11 2004-12-29 민흥규 수지 파이프 성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635B1 (ko) * 2002-07-11 2004-12-29 민흥규 수지 파이프 성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9354B2 (en) Pipe with an outer wrap
CN101907207A (zh) 内肋增强外波纹型塑料缠绕结构壁管材及其制造方法
CN104390070A (zh) 一种热塑成型连续缠绕复合材料增强结构壁管材及其制造设备、制造方法
CN104061378A (zh) 一种连续缠绕增强结构壁管材及其制造设备、制造方法
CN104279379A (zh) 连续缠绕增强波纹管材及其制造方法
CN103925427A (zh) 钢骨架聚乙烯缠绕结构壁管材及其生产方法
KR200231570Y1 (ko) 강도가 향상된 합성수지관
KR100496550B1 (ko) 중공부가 마련된 일체형 파이프의 제조 방법과 그 제조 장치
KR100398452B1 (ko) 강도가 향상된 합성수지관의 성형방법
KR101110240B1 (ko) 플랜지형 합성수지 파형관
KR100608516B1 (ko) 강성이 향상된 합성수지 다중벽관
KR200284620Y1 (ko) 중공부가 마련된 일체형 파이프 및 그의 제조장치
CN105402510A (zh) Hdpe平封口全钢带波纹排放管及生产工艺
KR101094779B1 (ko) 복합 단면 구조를 이루는 코러게이트 합성 수지관 성형장치
CN101539223A (zh) 双壁塑料管道、双壁塑料管道的制造方法及挤出模具
CN109869541B (zh) 新型钢带增强聚乙烯螺旋波纹管及其生产工艺
CN110513546A (zh) 双塑或多塑加肋螺旋缠绕管
CN210240810U (zh) 高耐磨复合增强聚乙烯结构壁缠绕管
JP4814042B2 (ja) 可撓性ホース及びその製造方法
CN104482329A (zh) 一种钢塑复合螺纹波纹管及其制造方法
KR200352642Y1 (ko) 터널형 구조 복합관
KR100632779B1 (ko) 프로파일 나선형 합성수지관 코팅 직관 파이프
KR100956390B1 (ko) 파워 넷 프로파일 하수관 제조방법
CN201715120U (zh) 聚乙烯缠绕新型结构壁管材
KR200339776Y1 (ko) 내/외압 강도를 향상시키는 합성수지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0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