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4320Y1 - 난간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난간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4320Y1
KR200284320Y1 KR2019990007659U KR19990007659U KR200284320Y1 KR 200284320 Y1 KR200284320 Y1 KR 200284320Y1 KR 2019990007659 U KR2019990007659 U KR 2019990007659U KR 19990007659 U KR19990007659 U KR 19990007659U KR 200284320 Y1 KR200284320 Y1 KR 2002843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rail
horizontal
bolt
bearin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76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0484U (ko
Inventor
영 만 권
Original Assignee
영 만 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 만 권 filed Critical 영 만 권
Priority to KR20199900076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4320Y1/ko
Publication of KR200000204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04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43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4320Y1/ko

Links

Landscapes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평난간의 상부에 송곳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프레싱하여 버어링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 버어링부에 탭을 형성시켜 볼트가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볼트의 체결길이가 증가되고 연결구를 수평난간의 상부에 견고하게 체결할수 있게되는 난간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하측의 수평난간 사이에 수직난간이 구비되고 상기 수직난간이 연결구를 통하여 상기 수평난간의 사이에 체결되도록 구성된 난간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난간의 표면에 송곳으로 프레싱하여 버어링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연결구가 볼트를 통하여 상기 버어링의 내주면에 체결되도록 상기 버어링의 내주면에 나사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난간 체결장치{Fixing apparatus of fence}
본 고안은 난간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평난간과 수직난간을 연결하는 연결구를 수평난간에 체결하기 위해 수평난간에 버어링을 형성하여 이에 나사부를 탭으로 형성함으로써, 볼트의 체결길이를 길게하여 연결구가수평난간에 견고하게 체결되도록한 난간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간은 아파트의 베란다 등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는 수평난간과 수직난간의 결합으로 구성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난간의 사시도 로서, 상하측에 구비된 수평난간(1)과 이들 수평난간의 사이에 설치되어 이들을 연결하는 수직난간(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수평난간(1)의 사이에는 아치형의 보조난간(2a)이 다수개 설치되어 안전망의 역할을 하게된다.
이처럼 구성된 난간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난간(2)과 수평난간(1)이 연결구(3)에 의해 체결 고정된다. 연결구(3)는 수직난간(2)을 수평난간(1)에 체결시키는 것으로 수평난간(1)에는 볼트구멍(4)이 형성되고 볼트구멍(4)의 양측에는 가이드핀구멍(6)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구(3)에는 각 가이드핀구멍(6)에 끼워지는 가이드핀(5)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앙에는 볼트구멍(4)에 끼워지는 볼트(7)가 구비된다.
이처럼 구성된 종래의 난간은 연결구(3)를 수평난간(1)의 상부에 올려 놓고 이의 가이드핀(5)이 가이드핀구멍(6)에 끼워지도록 하여 연결구(3)가 수평난간(1)의 정위치에 놓이도록 한다. 그리고 볼트(7)를 볼트구멍(4)에 체결하여 연결구(3)가 수평난간(1)에 체결되도록한 뒤 연결구(3)의 상부에 수직난간(2)을 끼워 수평난간과 수직난간을 서로 연결시킨다.
그러나 수평난간(1)에 형성된 볼트구멍(4)의 구멍 깊이가 작기 때문에 볼트(7)가 체결되는 폭이 작아져 볼트의 체결력이 약화되는 단점이 있다. 수평난간(1)에 형성된 볼트구멍(4)은 수평난간(1)에 드릴 등으로 구멍을 형성하고이 구멍의 내주면에 볼트가 체결될수 있는 나사부를 형성한 것이기 때문에 볼트의 체결길이가 수평난간의 두께 이상 되지 못한다. 따라서 볼트의 체결력이 약화되어 외력이 가해질 경우 연결구가 수평난간으로부터 이탈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수평난간의 상부에 송곳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프레싱하여 버어링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 버어링부에 탭을 형성시켜 볼트가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볼트의 체결길이가 증가되고 연결구를 수평난간의 상부에 견고하게 체결할수 있게되는 난간 체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난간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난간의 체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난간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난간의 버어링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난간의 탭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난간의 체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수평난간 11 : 수직난간
12 : 연결구 13 : 버어링
14 : 나사부 17 : 볼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하측의 수평난간 사이에 수직난간이 구비되고 상기 수직난간이 연결구를 통하여 상기 수평난간의 사이에 체결되도록 구성된 난간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난간의 표면에 송곳으로 프레싱하여 버어링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연결구가 볼트를 통하여 상기 버어링의 내주면에 체결되도록 상기 버어링의 내주면에 나사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 난간의 분리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고안 난간의 버어링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이며, 도 5는 본 고안 난간의 탭을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이다. 본 고안의 난간은 수평난간(10)과 수직난간(11) 및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구(12)로 구성된다. 연결구(12)에는 수직난간(11)의 내주면이 끼워지도록 상부에 끼움부(12a)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중앙에는 볼트구멍(15)이 형성되고 이 볼트구멍(15)의 양측에는 가이드핀(16)이 각각 돌출 형성된다.
또한 수평난간(10)에는 볼트구멍(15) 및 각 가이드핀(16)과 대응되는 위치에 버어링(13)이 형성된다. 버어링(13)은 송곳(13a)으로 수평난간(10)의 상부를 프레싱하는 과정에서 형성된다. 이때 버어링(13)은 송곳(13a)의 직경에 따라 볼트(17)가 체결될 부분과 가이드핀(16)이 끼워질 부분의 직경이 달라진다. 볼트가 체결될 부분의 버어링(13)에는 내주면에 탭가공을 하여 나사부(14)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처럼 구성된 본 고안은 도 6에서와 같이 조립된다. 수평난간(10)의 상부에 송곳(13a)으로 프레싱하여 버어링(13)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 버어링(13)중 직경이 큰 버어링의 내주면을 탭가공하면 볼트(17)가 체결될 나사부(14)가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구(12)를 수평난간(10)의 상부에 올려놓고 이의 가이드핀(16)을 해당 버어링(13)에 끼운다. 그리고 중앙에 형성된 나사부(14)에 볼트(17)를 체결하면 연결구(12)가 수평난간(10)의 상부에 체결된다. 볼트(17)가 나사부(14)에 체결되면 버어링(13)의 깊이만큼 볼트(17)가 체결되어 볼트의 체결길이가 늘어난다. 따라서 볼트의 체결력이 강화되어 연결구(12)가 수평난간(10)의 상부에 견고하게 체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수평난간의 상부에 송곳으로 프레싱하여 버어링이 형성되도록한 뒤 이 버어링에 탭을 가공하여 나사부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처럼 하면 볼트의 체결길이가 버어링의 깊이 만큼 증가하기 때문에 볼트의 체결력이 강화되어 연결구를 수평난간에 견고하게 체결할수 있다. 또한 송곳을 프레싱하면 버어링이 형성되고 이 버어링부에 탭을 가공하면 됨으로 가공성이 향상되어 제품을 다량으로 생산할 때 편리한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상하측의 수평난간 사이에 수직난간이 구비되고 상기 수직난간이 연결구를 통하여 상기 수평난간의 사이에 체결되도록 구성된 난간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난간의 표면에 송곳으로 프레싱하여 버어링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연결구가 볼트를 통하여 상기 버어링의 내주면에 체결되도록 상기 버어링의 내주면에 나사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난간 체결장치.
KR2019990007659U 1999-05-07 1999-05-07 난간 체결장치 KR2002843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7659U KR200284320Y1 (ko) 1999-05-07 1999-05-07 난간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7659U KR200284320Y1 (ko) 1999-05-07 1999-05-07 난간 체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484U KR20000020484U (ko) 2000-12-05
KR200284320Y1 true KR200284320Y1 (ko) 2002-08-10

Family

ID=54762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7659U KR200284320Y1 (ko) 1999-05-07 1999-05-07 난간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432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5320A (ko) * 2002-10-22 2004-04-29 주식회사 우림랜드 프로폴리스와 토코페롤을 함유하는 나노스피어 조성물
KR100508455B1 (ko) * 2002-10-22 2005-08-17 주식회사 탑스코 고강도 구조를 갖는 교량유지 점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5320A (ko) * 2002-10-22 2004-04-29 주식회사 우림랜드 프로폴리스와 토코페롤을 함유하는 나노스피어 조성물
KR100508455B1 (ko) * 2002-10-22 2005-08-17 주식회사 탑스코 고강도 구조를 갖는 교량유지 점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484U (ko) 2000-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Z511447A (en) Breakaway steel guardrail post
WO2002095244A3 (en) Self-locking fastener with threaded swageable collar
DK0984176T3 (da) Skrue ned afrivningshoved
CA2322401A1 (en) Fastening arrangement for a split casing
ATE205920T1 (de) Blindmutter mit gewinde
SE469237B (sv) Anordning foer justerbar infaestning av doerrkarmar, foensterkarmar och liknande element mot ett baerande element
KR200284320Y1 (ko) 난간 체결장치
US4778319A (en) Self-tapping screw
KR970074622A (ko) 에스컬레이터 및 트래블레이터용 발판요소
KR960038153A (ko) 체결 구조체
AU637056B2 (en) Anchor bolt
JP5257869B2 (ja) 乗客コンベアのパネル固定構造
US8567743B2 (en) System for attaching column to a structural support
KR200203559Y1 (ko) 배수파이프 고정용밴드
US20020172551A1 (en) Tube connector
KR970045779A (ko) 헤밍기의 분리형 죠인트 핀 구조
KR101993611B1 (ko) 건축용 난간 연결장치
KR200451612Y1 (ko) 케이블 연결 커넥터
KR200271410Y1 (ko) 볼트
KR960005770Y1 (ko) 난간 체결구
KR0136889Y1 (ko) 버스용 스텝 몰딩의 설치 구조
KR200341307Y1 (ko) 철재문틀 조립 장치
JPH1046776A (ja) 手摺り
KR940007054Y1 (ko) 나사 조립식 건축용 핸드레일 포스트
KR200259035Y1 (ko) 계단 난간기둥과 가이드레일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