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4229Y1 - Restart prevention device - Google Patents

Restart preven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4229Y1
KR200284229Y1 KR2019980003062U KR19980003062U KR200284229Y1 KR 200284229 Y1 KR200284229 Y1 KR 200284229Y1 KR 2019980003062 U KR2019980003062 U KR 2019980003062U KR 19980003062 U KR19980003062 U KR 19980003062U KR 200284229 Y1 KR200284229 Y1 KR 2002842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switch unit
switch
power
rest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3062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90037381U (en
Inventor
이규원
Original Assignee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800030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4229Y1/en
Publication of KR199900373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381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42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4229Y1/en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재시동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연속적인 작업을 위해 락(LOCK)기능을 지닌 전동공구를 사용하는 경우 소비자의 안전보장을 위해 양방향 3극 교류 스위치(Triode AC Switch, 이하 "트라이액"이라 함)와 콘트롤 보드를 사용하여 재시동을 방지함으로써, 구동부의 용량이 커짐에 따라 트라이액의 가격이 상승하여 제조원가가 상승하고, 모터의 구속시 과전류에 의해 트라이액이 쉽게 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릴레이를 이용하여 구동부의 재시동을 방지함으로써, 모터 구속시 발생되는 과전류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고, 또한, 구동부의 용량이 커지게 되더라도 상기 릴레이를 이용함에 따라 제조원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tart prevention device, and in the prior art, when using a power tool having a lock function for continuous operation, the bidirectional tripolar AC switch (Triode AC Switch) By using the control board and the control board to prevent restart, the price of the triac increases as the capacity of the drive unit increases, increas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the triac is easily burned out by overcurrent when the motor is locked. There was a problem.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By preventing the restart of the driving unit using a relay, the reliability of the overcurrent generated when the motor is restrained is secured, and the capacity of the driving unit is large. Even if lost,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by using the relay.

Description

재시동 방지 장치Restart prevention device

본 고안은 재시동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락(LOCK)기능을 지닌 전동공구를 사용하는 경우 소비자의 안전보장을 위해 스위치가 온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원인가시 릴레이를 이용하여 갑작스런 재시동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tart prevention devic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using a power tool having a lock (LOCK) function to prevent sudden restart by using a relay when the power is applied when the switch is turned on for the security of consumers. It is about.

일반적인 전동공구는 가정에서는 단시간 작업에 많이 사용하지만, 산업현장에서는 장시간 연속작업이 요구되는 곳이 많다. 따라서, 이러한 연속작업 환경에서는 락기능이 부착된 스위치를 적용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스위치가 락된 상태에서 전동공구에 전원공급이 중단된 후, 다시 전원이 공급될 때 불시에 시동이 걸려 사용자가 불의의 피해를 입을 수 있다. 따라서, 락기능이 있는 제품은 사용자의 안전보장을 위해 재시동 방지 장치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General power tools are often used for short time work at home, but many industrial sites require long hours of continuous work. Therefore, in such a continuous working environment, a switch with a lock function is used. However, when the power tool is stopped while the switch is locked, when the power is supplied again, an unexpected start occurs and the user unintentionally It can be damaged. Therefore, a product with a lock function requires a restart prevention device to ensure user safety.

따라서, 종래 재시동 방지 장치는 전원플러그로 공급되는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2접점 스위치로 구성된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부의 전원을 입력받아 로터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전원인가를 제어하는 양방향 3극 교류 스위치(Triode AC Switch, 이하 "트라이액"이라 함)와; 상기 트라이액을 제어하는 콘트롤 보드로 구성된다.Therefore, the conventional restart prevention device includes a switch unit consisting of a two-contact switch for controlling the on and off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power plug; A driving unit which receives the power of the switch unit and drives the rotor; A bidirectional tripolar AC switch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riac")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to the driving unit; It consists of a control board for controlling the triac.

이하, 종래의 동작과정 및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conventional operation process and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종래 재시동 방지 장치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플러그(10)의 삼선중 일선은 접지에 연결되고, 나머지 두선은 스위치부(20)의 제1,2 스위치 입력 접점(a, a')을 통해 콘트롤 보드(60)의 제1,2 단자(1,2)에 접속되고, 상기 스위치부(20)의 제1,2 스위치 출력 접점(b, b')사이에 제1 필드 코일(30), 제1 카본 브러시(50), 로터(40), 제2 카본 브러시(51), 제2 필드 코일(31)로 된 구동부(200)와 트라이액(70)이 직렬로 접속되고, 상기 제1,2 스위치 출력 접점(b,b') 양단은 각각 콘트롤 보드(60)의 제3,4 단자(3,4)에 접속되고, 상기 콘트롤 보드(60)의 출력단자(5)는 트라이액(70)의 게이트에 접속되어 구성되며,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동작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1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restart prevention device. As shown in FIG. 1, one of three wires of the power plug 10 is connected to ground, and the other two wires are first and second switch input contacts of the switch unit 20. (a, a ')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1, 2) of the control board 60, an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witch output contacts (b, b') of the switch unit 20 The driving unit 200 formed of the first field coil 30, the first carbon brush 50, the rotor 40, the second carbon brush 51, and the second field coil 31 and the triac 70 are in series.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witch output contacts b and b ', respectively, and are connected to third and fourth terminals 3 and 4 of the control board 60, respectively. (5) is connected to the gate of the triac 70,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ventional operation proces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스위치부(20)가 오프된 상태에서 전원이 인가되었을 경우, 콘트롤 보드(60)는 스위치부(20) 양단의 전압차를 비교하고, 상기 스위치부(20)의 양단의 전압차에 의해서 출력단자(5)를 통해 트라이액(70)의 게이트로 고전위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When power is applied while the switch unit 20 is turned off, the control board 60 compares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both ends of the switch unit 20, and outputs the output terminal by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both ends of the switch unit 20. The high potential signal is output to the gate of the triac 70 through (5).

따라서, 상기 콘트롤 보드(60)의 고전위 신호를 입력받은 상기 트라이액(70)은 양방향으로 도통된 상태가 되며, 그 후, 사용자가 스위치부(20)를 온시키면, 구동부(200)는 구동을 시작하게 된다.Therefore, the triac 70, which has received the high potential signal of the control board 60, becomes in a conductive state in both directions. Then, when the user turns on the switch unit 20, the driving unit 200 is driven. Will start.

반면, 초기 전원 인가시 락스위치에 의해 스위치부(20)가 온된 상태에서 전원이 인가되었을 경우, 상기 콘트롤 보드(60)는 스위치부(20) 양단의 전압차가 없다고 판단하여 상기 트라이액(70)에 게이트로 저전위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이에 상기 트라이액(70)은 개방된 상태가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power is applied while the switch unit 20 is turned on by the lock switch when the initial power is applied, the control board 60 determines that there is no voltage difference across both ends of the switch unit 20. The low potential signal is output to the gate, and the triac 70 is in an open state.

그리고, 상기 스위치부(20)가 온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원이 인가되더라도 상기 개방된 트라이액(70)에 의해 구동부(200)는 구동하지 않는다.In addition, even when power is applied while the switch unit 20 is turned on, the driving unit 200 is not driven by the opened triac 70.

따라서, 상기 스위치부(20)가 온된 상태에서 전원이 인가되더라도 구동부(200)의 로터(40)가 구동하지 않아 사용자가 불시에 당할 수 있는 불의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Therefore, even when power is applied while the switch unit 20 is turned on, the rotor 40 of the driving unit 200 does not drive, thereby preventing accidents that may be unexpectedly caused by the user.

상기와 같이 종래의 재시동 방지 장치는 연속적인 작업을 위해 락기능을 지닌 전동공구를 사용하는 경우 소비자의 안전보장을 위해 트라이액과 콘트롤 보드를 사용하여 재시동을 방지함으로써, 구동부의 용량이 커짐에 따라 트라이액의 가격이 상승하여 제조원가가 상승하고, 모터의 구속시 과전류에 의해 트라이액이 쉽게 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restart prevention device prevents restart by using a triac and a control board to ensure the safety of consumers when using a power tool having a lock function for continuous operation, thereby increasing the capacity of the driving unit. As the price of the triac is increased,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and the triac is easily burned out by the overcurrent when the motor is locked.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릴레이를 사용하여 재시동을 방지함으로써 제조비용을 최소화하고 아울러 과전류에 대한 신뢰성을 보장하는 재시동 방지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start prevention device that minimizes manufacturing costs and ensures reliability against overcurrent by preventing restart using a relay. .

도 1은 종래의 재시동 방지 장치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1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restart prevention device.

도 2는 본 고안 재시동 방지 장치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Figure 2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ubject innovation restart prevention devic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80 : 스위치부 90 : 릴레이 코일80: switch unit 90: relay coil

100 : 릴레이 스위치부 Ra1, Ra2 : 제1,제2 릴레이 접점100: relay switch Ra1, Ra2: first, second relay contact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재시동 방지 장치의 구성은 전원플러그로부터 들어오는 전원을 오프고정단자 또는 온고정단자로 공급하는 3접점 스위치로 된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부의 오프상태에서 상기 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구동상태를 유지하고 이 구동상태에서 상기 스위치부의 온에 의해 상기 전원을 구동부에 공급하여 그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릴레이 스위치부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Restart prot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witch unit consisting of a three-contact switch for supplying power from the power plug to the off fixed terminal or on fixed terminal; And a relay switch unit which is driven by the power supply in the off state of the switch unit to maintain a driving state, and supplies the power to the drive unit by turning on the switch unit in this driving state to drive the drive unit.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 재시동 방지 장치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플러그(10)를 통해 들어오는 전원을 공통단자(c)를 통해 인가받아 오프고정단자(b) 또는 온고정단자(a)로 공급하는 스위치부(80)와, 상기 스위치부(80)의 오프상태에서 구동되어 구동상태를 유지하고 그 구동상태에서 상기 스위치부(80)가 온상태로 될 때, 상기 전원을 구동부(200)에 공급하여 그 구동부(200)를 구동시키는 릴레이 스위치부(100)로 구성한다.FIG. 2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restart preven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an off-fixed terminal (b) or an on-fixed terminal may be applied by receiving power supplied through a power plug 10 through a common terminal (c). a switch unit 80 for supplying a) and a driving unit in the off state of the switch unit 80 to maintain the driving state, and when the switch unit 80 is turned on in the driving state, the power supply unit It is composed of a relay switch unit 100 which is supplied to the (200) to drive the drive unit 200.

그리고, 상기 릴레이 스위치부(100)는 상기 스위치부(80)의 오프고정단자(b)에 릴레이 코일(90)을 접속하고, 상기 스위치부(80)의 공통단자(c) 및 오프고정단자(b)사이에 병렬로 제1 릴레이 접점(Ra1)을 접속하고, 상기 스위치부(80)의 온고정단자(a) 및 상기 구동부(200)사이에 제2 릴레이 접점(Ra2)을 접속하여 구성하며, 이와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동작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The relay switch unit 100 connects the relay coil 90 to the off fixed terminal b of the switch unit 80, and the common terminal c and the off fixed terminal of the switch unit 80. b) connecting the first relay contact (Ra1) in parallel between, and the second relay contact (Ra2) between the on-fixed terminal (a) of the switch unit 80 and the drive unit 200 is configured to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in this way.

우선, 전원플러그(10)를 통하여 전원을 인가시 스위치부(80)가 오프되었을 경우, 상기 스위치부(80)의 공통단자(c)가 오프고정단자(b)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이면, 상기 전원플러그(10)를 통한 전원이 상기 스위치부(80)의 공통단자(c) 및 오프고정단자(b)를 통해 릴레이 코일(90)에 인가되어, 그 릴레이 코일(90)이 구동되므로, 그의 제1,제2 릴레이 접점(Ra1),(Ra2)은 단락상태가 된다.First, when the switch unit 80 is turned off when the power is applied through the power plug 10, if the common terminal c of the switch unit 80 is connected to the off fixed terminal b, Since power through the power plug 10 is applied to the relay coil 90 through the common terminal c and the off fixed terminal b of the switch unit 80, the relay coil 90 is driven, The first and second relay contacts Ra1 and Ra2 are in a short circuit state.

이와같은 상태에서 스위치부(80)를 온시켜 그의 공통단자(c)가 온고정단자(a)에 접속하면, 상기 스위치부(80)의 공통단자(c) 및 오프고정단자(b)를 통해서는 상기 릴레이 코일(9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지만, 이때 상기 단락된 제1 릴레이 접점(Ra1)을 통해 그 릴레이 코일(90)에 전원이 계속 공급되어 구동상태를 유지하므로, 그의 제1,제2 릴레이 접점(Ra1),(Ra2)은 계속 단락상태를 유지한다.In this state, when the switch unit 80 is turned on and its common terminal c is connected to the on fixed terminal a, the common terminal c and the off fixed terminal b of the switch unit 80 are connected. Although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relay coil 90, powe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relay coil 90 through the shorted first relay contact Ra1 to maintain a driving state. 2 Relay contacts Ra1 and Ra2 remain short-circuited.

따라서, 상기 전원은 스위치부(80)의 공통단자(c) 및 온고정단자(a)를 통한 후 상기 단락된 제2 릴레이 접점(Ra2)을 통해 구동부(200)에 공급되어 로터(40)를 구동시킨다.Therefore,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driving unit 200 through the shorted second relay contact Ra2 through the common terminal c and the on-fix terminal a of the switch unit 80 to supply the rotor 40. Drive it.

한편, 상기 스위치부(80)가 온된 상태 즉, 공통단자(c)가 온고정단자(a)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원플러그(10)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면, 상기 릴레이 코일(9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아 구동되지 않으므로, 그의 제1,제2 릴레이 접점 (Ra1),(Ra2)이 개방된 상태로 있고, 이에따라 상기 개방된 제2 릴레이 접점(Ra2)에의해 구동부(20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로터(40)는 작동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when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power plug 10 while the switch unit 80 is turned on, that is, the common terminal c is connected to the on-fixed terminal a, the relay coil 90 is supplied to the relay coil 90. Since the first and second relay contacts Ra1 and Ra2 remain open because no power is applied, power is supplied to the driving unit 200 by the open second relay contacts Ra2. The rotor 40 is not operated because it is not supplied.

결국, 상기 스위치부(80)를 오프상태로 한 후, 그 스위치부(80)를 다시 온상태로 하여야만, 상기와 같이 구동부(200)에 전원이 공급되어 그 구동부(200)를 구동시킨다.As a result, only after the switch unit 80 is turned off and the switch unit 80 is turned on again, power is supplied to the driving unit 200 as described above to drive the driving unit 200.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재시동 방지 장치는 릴레이를 이용하여 구동부의 재시동을 방지함으로써, 모터 구속시 발생되는 과전류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고, 또한, 구동부의 용량이 커지게 되더라도 상기 릴레이를 이용함에 따라 제조원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inventive restart prevention device uses a relay to prevent restart of the driving unit, thereby securing reliability for overcurrent generated when the motor is restrained, and using the relay even when the capacity of the driving unit is increased. As a result,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Claims (1)

전원플러그를 통해 들어오는 전원을 온/오프상태에 따라 오프고정단자 또는 온고정단자로 공급하는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부의 오프고정단자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하는 릴레이 코일, 이 릴레이 코일의 구동에 의해 단락되어 그 릴레이 코일의 구동상태를 유지시키는 제1 릴레이 접점 및 상기 릴레이 코일의 구동에 의해 단락되어 상기 스위치부의 온고정단자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구동부에 공급하는 제2 릴레이 접점으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릴레이 스위치부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시동 방지 장치.A switch unit for supplying power input through a power plug to an off fixed terminal or an on fixed terminal according to an on / off state; A relay coil driven by a power supplied through an off fixed terminal of the switch portion, a first relay contact shorted by driving of the relay coil to maintain a driving state of the relay coil, and shorted by driving of the relay coil And a second relay contact for supplying power supplied through the on-fixed terminal of the switch unit to the driving unit, and configured as a relay switch unit for driving the driving unit.
KR2019980003062U 1998-03-04 1998-03-04 Restart prevention device KR20028422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3062U KR200284229Y1 (en) 1998-03-04 1998-03-04 Restart preven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3062U KR200284229Y1 (en) 1998-03-04 1998-03-04 Restart preven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381U KR19990037381U (en) 1999-10-05
KR200284229Y1 true KR200284229Y1 (en) 2002-10-30

Family

ID=69713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3062U KR200284229Y1 (en) 1998-03-04 1998-03-04 Restart preven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4229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381U (en) 199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31875B2 (en) Industrial robot safety devices
CN112134340A (en) Bus module, cascade module and bus module control method
KR200284229Y1 (en) Restart prevention device
JP3011831B2 (en) DC power supply reverse connection protection circuit
CA2150425A1 (en) Power Supply Protection Circuit Capable of Preventing a Failure in a Mobile Satellite Communication Apparatus Resulting from Erroneous Connection
KR200195037Y1 (en) Device for prventing and blocking the standby/leakage current from consumption in industrial products including electric and electronic appliauces
JP3490044B2 (en) Power semiconductor circuit
KR100313376B1 (en) Electric Shock Protecting Circuit
JP2005348480A (en) Motor unit and motor device
KR940006353Y1 (en) Arrangement for starting electric motor
KR200202498Y1 (en) Safty device for grinder
KR200142399Y1 (en) Overload checking device as a battery switch of a bus
KR0121708Y1 (en) Electric shock preventing device of a washing machine
JPS6380718A (en) Electric source
KR100549283B1 (en) Power switch for electric appliance
SU1322462A1 (en) Majority element
JPH05219649A (en) Power supply switching circuit
KR0172806B1 (en) Remote control circuit using DC motor
KR200231107Y1 (en) Power Motor Protection Device
KR920004639Y1 (en) The circuit for driving solenoid valve
KR0171856B1 (en) Power control method at outdoor
SU1547013A1 (en) Remote control device
KR200200675Y1 (en) Toggle relay
KR100392114B1 (en) Driving device of electric forklift
SU1598016A1 (en) Device for protecting consumers against polarity mixu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