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3380Y1 - 수도관 동파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수도관 동파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3380Y1
KR200283380Y1 KR2020020013226U KR20020013226U KR200283380Y1 KR 200283380 Y1 KR200283380 Y1 KR 200283380Y1 KR 2020020013226 U KR2020020013226 U KR 2020020013226U KR 20020013226 U KR20020013226 U KR 20020013226U KR 200283380 Y1 KR200283380 Y1 KR 2002833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on device
water pipe
freeze protection
installation
water pi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32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형민
Original Assignee
리엔지니어링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엔지니어링시스템(주) filed Critical 리엔지니어링시스템(주)
Priority to KR20200200132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33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33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3380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동절기 벽으로부터 수도배관이 올라와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부터 물탱크 사이 수도배관의 동파 방지 및 수도계량기의 파손예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요 특징으로는 누전 및 과열방지, 열선(107) 및 전원선 단락에 의한 감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경보장치 설치 및 열선(107)의 전원 차단 장치 등 다중 안전장치를 적용하여 스위치(101), 퓨즈(102), 정격전류 차단장치(103), 릴레이(105,105-1,105-2), 온도 메타(104), 단자대(106), 부자(109)로 구성된 컨트롤 장치를 하나의 방수 처리된 박스에 담아 실내 및 실외에 설치가 가능하게 하여 물이나 기타 이 물질로 인한 오동작을 방지하고 이로 인한 안전성 확보를 최우선으로 한다.
설치와 동시에 계절변화에 따른 제거 및 재 설치가 필요 없도록 외부온도의 변화로부터 수도관이 동파 되지 않는 일정온도를(0℃) 유지함으로서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고 철거 및 재 설치의 번거로움을 해결한다.

Description

수도관 동파 방지장치{omitted}
본 고안은 동절기에 다세대 및 가정주택의 물탱크가 옥상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이를 미연에 동파를 방지하는 수도관 동파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수도관 동파 방지 장치는 주로 노출된 수도관의 외주면에 보온재를 시공하거나 헌옷, 천 등을 이용하는 경우 또는 플러그와 연결된 열선을 감아 사용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재래식 방법은 추운 날씨가 계속 되거나 눈, 비가 온 뒤에는 별 효력을 발생하지 못하였으며 또한 전기를 사용하는 플러그와 연결된 열선의 경우 과열 및 단선으로 인한 누전 등으로 인해 안전사고를 사전에 알려줄 수 없는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계절변화에 따른 철거 및 재 설치가 반복되어야만 했다.
열선이 정상동작 하여야 하나, 오동작시에는(단선, 단락, 누전 등의 이유) 수도관이 파열하게 되며 빠른 시간 내에 사용자가 이점을 숙지하여 대책을 간구 하여야 하나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수도관이 동파가 되며 또한 수도관 각각의 재 설치로 인한 비용상승은 물론 과다한 전력소비가 되며 열선의 단락의 경우 전기가 외부에 흘러 안전사고의 위험을 감수해야만 했다.
본 고안은 컨트롤함(10)을 방수처리 함으로서 실내외에 설치시 안전성을 확보하고 제어의 편리함을 도모하였다. 또한 안전장치를 도1과 같이 3중 설치함으로서 열선(107) 및 전원선의 단락에 의한 누전사고를 차단하고 한번 설치로 계절변화에 상관없이 제거 및 재설치의 필요가 없다.
만약 전원 및 열선(107)이 동작되지 않거나 단선에 의한 합선 및 부품고장으로 인해 재 기능을 발휘하지 못할 시 경고음을 발생하며 안전사고 예방 차원으로 열선(107)의 전원선 및 전원 공급루트를 차단하여 수도관 동파 및 안전사고를 예방함은 물론 사전점검을 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인 유지가 가능하다. 또한 하나의 컨트롤함으로 여러곳의 수도관 동파 방지를 할 수 있도록 해 비용면 에서도 장점을 갖고 있다 하겠다 .
도1은 고안의 블록도
도2는 고안의 설치도
도2-1은 설치도의 부분 상세도
컨트롤함(10)은 방수처리가 된 제품으로서 실내외에 설치할 수 있는 특징으로 한다.
스위치(101)는 컨트롤함(10)에 설치하고 온/오프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여 컨트롤함을 개방할 필요가 없는 특징으로 한다.
퓨즈(102)는 하부의 정격전류가 초과했을 시 전원을 차단 할 수 있는 안전장치로서의 특징으로 한다.
정격전류 차단기(103)는 일정이상의 전류가 넘으면 자동으로 차단함으로써 열선의 단락 및 단선에 의한 감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특징으로 한다.
온도메타(104)는 외부온도 변화에 따른 적정온도를 조절 할 수 있는 특징으로 한다.
릴레이(105,105-1,105-2)는 과전압 차단 장치로써 전기적으로 독립된 회로를 연동시킬 수 있으며 열선(107)의 단락에 의해 감전사고가 생기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열선(107)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특징으로 한다.
단자대(106)는 각종 선을 한곳에 모아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여러 개의 열선(107)을 다중으로 사용할 수 있는 특징으로 한다.
열선(107)은 수도관에 전기적인 열을 전해주는 것으로 필요한곳에 설치 할 수 있는 특징으로 한다.
온도센서(108)는 실외의 날씨변화에 따른 온도의 차이를 온도메타에 전해주는 특징으로 한다.
부자(109)는 열선(107)의 단락에 의한 감전사고를 사전 경보하고 컨트롤함(10)내의 부품들이 오작동 시 소리로서 사용자에게 인식시켜 주는 역할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내용과 도1, 도2,도2a 에 의해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코드선(100)으로부터 단자대(106)로 전원을 인입 하여 전원을 스위치(101)로 보내 스위치(101)를 온 함으로써 컨트롤함(10)내에 전원이 인가된다. 인가된 전원을 퓨즈(102)를 거쳐 정격 전류 차단 장치(103)에 전원이 공급되며 이때 전원이 단락 되어 누전이 발생될 시 정격 전류 차단 장치(103)가 전원을 오프 시킨다. 또한 퓨즈(102)도 오프 됨으로 감전사고를 차단 할 수 있으며 부자(109)가 울림과 동시에 열선(107)전원을 자동 차단시키고 부자(109)의 경보음은 청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인식시켜 수도관(110) 동파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다.
만약 위와 같은 경우가 발생하지 않을 경우에는 정격 전류 장치(103)에서 온도메타(104)로 전원이 공급되며 다시 온도메타(104)에서 세 개의 릴레이(105,105-1,105-2)로 전원이 공급되게 된다. 여기서 세 개의 릴레이(105,105-1,105-2)를 쓰는 이유는 하나(105)는 열선(107)의 단락 및 단선 시 부자(109)로 경보음을 울려 사용자에게 인식을 시키기 위함이며 하나(105-1)는 열선(107)의 전원을 인입 및 차단시켜 감전사고를 예방하며,하나(105-2)는 부품 고장시 전원 차단 하기 위함이다. 이 세 개의 릴레이는 상호 감시(인터록)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온도메타(104)는 외부온도의 변화를 인식하는 온도센서(108)에 의해 자동으로 온/오프 된다. 이 온도센서(108)는 항시 온도를 감지 할 수 있으므로 열선의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전력소비가 최소화된다.
온도센서(108)와 온도메타(104)를 거친 전원은 열선(107)에 전달되고 이때 열선(107) 내부에 전원이 흐르게되어 열선(107)은 발열이 되고 이로 인해 수도관(110)에 열을 전해주어 동파를 방지한다. 만약 온도메타(104)가 열선(107)에 동작을 지시했음에도 불구하고 열선(107)이 동작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시 한번 부자(109)가 동작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열선(107)은 벽(111)과 물탱크(109)사이의 수도 배관(110)을 감싸고 있으므로 동파를 완벽하게 막을 수 있으며 벽 내의 수도관뿐만 아니라 수도 계량기까지도 미세한 열이 전달되어 수도배관 전체에 동파 방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열선 및 전원선의 단락과 과열 및 누전에 의한 안전장치를 다중으로 갖추고 있으며 열선의 고장으로 인한 동파될 수 있는 소지를 부자(109)로써 제거함은 물론 한번 설치로써 계절변화에 따른 제거 및 재 설치의 번거로움의 문제가 해결되며 수도 배관 전체에 열을 전달함으로 동파 방지에 큰 효과가 있다. 또한 다중으로 필요한 곳에 열선을 설치 시에도 위와 같은 안전 장치에 의해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Claims (6)

  1. 일반가정용 전원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열선에 공급하여 일반적인 수도관 동파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과전압 또는 전류가 발생시 자동 차단되는 과전류 방지장치 및 과열방지용 온도메타를 적용한 동파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의 단선에 의한 감전사고 및 부품고장 시 부자(109)가 경보음을 울려 열선(107)의 전원을 차단하고 경보를 사용자에게 미리 알려 수도관(110)의 동파를 방지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사고 및 실내외 설치가 가능한 방수 처리된 컨트롤함을 포함하는 수도관 동파 방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함(10) 1대를 이용하여 단자대(106)를 통해 다수의 열선(107)을 이용하여 다수의 수도관(110)에 사용하는 동파 방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변화에 자동으로 온/오프 되는 장치를 적용 계절에 따라 제거 및 재 설치가 필요 없이 한번의 설치로 이루어지고 전력소비가 최소화되는 수도관 동파 방지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을 최우선으로 구성된 방수 처리된 컨트롤장치(10)가 부착된 수도관 동파 방지 장치
KR2020020013226U 2002-04-30 2002-04-30 수도관 동파 방지장치 KR2002833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226U KR200283380Y1 (ko) 2002-04-30 2002-04-30 수도관 동파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226U KR200283380Y1 (ko) 2002-04-30 2002-04-30 수도관 동파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3380Y1 true KR200283380Y1 (ko) 2002-07-26

Family

ID=73122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3226U KR200283380Y1 (ko) 2002-04-30 2002-04-30 수도관 동파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338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557B1 (ko) 2012-09-26 2014-03-07 김광열 히팅 케이블 제어함의 과부하 보호기의 단락을 알리는 경보 시스템
KR102300746B1 (ko) 2021-02-03 2021-09-10 경양수 보일러 연동형 수도관 동파 방지 시스템
KR20230074321A (ko) * 2021-11-19 2023-05-30 주식회사 건국방재엔지니어링 물탱크의 동파방지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557B1 (ko) 2012-09-26 2014-03-07 김광열 히팅 케이블 제어함의 과부하 보호기의 단락을 알리는 경보 시스템
KR102300746B1 (ko) 2021-02-03 2021-09-10 경양수 보일러 연동형 수도관 동파 방지 시스템
KR20230074321A (ko) * 2021-11-19 2023-05-30 주식회사 건국방재엔지니어링 물탱크의 동파방지장치
KR102608880B1 (ko) * 2021-11-19 2023-12-04 주식회사 건국방재엔지니어링 물탱크의 동파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1864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direct current to detect ground faults in a shielded heater wire
US610761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ground faults in a shielded heater wire by sensing electrical arcing
CN103633568B (zh) 一种家用多功能安全防护配电箱
US608420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direct current to detect ground faults in a shielded heater wire
US6297475B2 (en) Method for preventing ice dams on a roof
ES2205796T3 (es) Procedimiento de corte del suministro electrico en caso de peligro, y sistema de seguridad asociado.
US4419569A (en) Modular heating cable assembly
KR200283380Y1 (ko) 수도관 동파 방지장치
KR101376774B1 (ko) 센서를 통한 재해감지 및 복구 기능을 가진 수배전반 시스템 및 건물 통합제어 시스템
KR101372557B1 (ko) 히팅 케이블 제어함의 과부하 보호기의 단락을 알리는 경보 시스템
EP034712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intaining a minimum temperature for liquids in pipes
CN208154728U (zh) 空调系统及其防起火控制装置
KR20100129463A (ko) 비닐하우스의 제설장치
KR102236763B1 (ko) 화재감응형 복합제어 전류공급기
CN206557323U (zh) 一种声光报警提示家电电路中电阻过大的装置
CN207265641U (zh) 一种家电电阻过大自动断电保护装置
CN104577950A (zh) 一种用电设备保护器
CN205581586U (zh) 一种智能排水系统
FI117360B (fi) Menetelmä ja järjestelmä, jolla suojataan sarjavuodolta
KR102246639B1 (ko) 전열기기의 다목적 제어장치
KR20150070750A (ko) 안전 가로등 지주
CN218771273U (zh) 一种带ptc热敏电阻电机就近保护控制回路系统
CN107529237A (zh) 一种智能温控电伴热带
CN216595458U (zh) 一种接线装置以及接线检测电路
KR200310444Y1 (ko) 수도관 동파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