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3150Y1 - 자동우산 - Google Patents

자동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3150Y1
KR200283150Y1 KR2020020012509U KR20020012509U KR200283150Y1 KR 200283150 Y1 KR200283150 Y1 KR 200283150Y1 KR 2020020012509 U KR2020020012509 U KR 2020020012509U KR 20020012509 U KR20020012509 U KR 20020012509U KR 200283150 Y1 KR200283150 Y1 KR 2002831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umbrella stand
assembly
slider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25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우
Original Assignee
이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우 filed Critical 이은우
Priority to KR20200200125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31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31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3150Y1/ko

Link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우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우산을 펼쳐 사용할 때에는 수동으로 펼치고, 우산을 접을 때에는 버튼조작만으로 자동으로 접히는 동시에 우산대도 줄어들어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며, 접혀진 상태로 손잡이만을 잡고 이동하더라도 출렁임이 발생되지 않으면서도 제작단가가 저렴할 뿐만 아니라 조립생산성도 현저히 향상될 수 있는 자동우산을 제공하는 것이며, 그 구성은 다수개의 걸림슬롯과 작동공을 갖는 다수개의 조립관이 상호 미끄럼작동가능하게 조립되어 형성되는 우산대와; 우산대의 일단부는 우산대의 상측 조립관의 선단부재의 하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하측 조립관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하측 조립관을 상방으로 탄성지지하는 제 1스프링부재와; 상기 우산대의 외주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조립되어 지지살을 지지하는 슬라이더와; 우산대 내측 소정위치에 내장되어 우산대의 조립관 및 슬라이더를 걸림 또는 걸림해제하는 스프링보우와; 상기 선단부재와 슬라이더 사이의 우산대 외주면에 조립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하방으로 탄성지지하는 제 2스프링부재와; 상기 우산대의 하단부측에 설치되어 우산을 접기 위한 작동버튼과; 상기 우산대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손잡이부로 구성되는 자동우산에 있어서, 상기 작동버튼은 우산내에 상하작동되게 설치되고, 소정길이를 갖는 막대형상으로써 소정위치에 길이방향으로 소정폭과 길이를 갖는 관통형성되고, 상기 스프링보우의 탄성부에 조립되는 간섭방지공과 하단부측에 상기 작동버튼의 작동편과 조립되는 조립공을 갖고 상기 우산의 내측에 상하작동가능하게 내장되어 상방작동시 상단부가 상기 스프링보우의 걸림부의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걸림상태해제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우산{AUTO UMBRELLA}
본 고안은 자동우산(양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산 또는 양산(이하, "우산"이라 칭함)을 펼쳐 사용할 때에는 수동으로 펼치고, 우산을 접을 때에는 버튼조작만으로 자동으로 접히는 동시에 우산대도 줄어들어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고, 접혀진 상태로 손잡이만을 잡고 이동하더라도 출렁임이 발생되지 않으면서도 제작단가가 저렴할 뿐만 아니라 조립생산성도 현저히 향상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한 자동우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우산은 자동으로 펼쳐지는 형태와 자동으로 접혀지는 형태와 자동으로 펼쳐지고 접혀지는 형태의 3가지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자동우산 형태중 자동으로 접혀지는 자동우산에 관한 것임을 양지하기 바란다.
종래의 접혀지는 자동우산은 우산을 접었을 때 우산대가 단축되지 않아 보관 및 휴대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우산대가 단축된다 할지라도 우산대 내부의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우산대내에 내장된 부품들의 간섭에 의해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할 뿐만 아니라 고장시 수리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였으며, 그 결과로써, 2001년 8월 10일자에 대한민국 특허청에 실용신안등록출원하여 출원번호 제 2001-24278 호를 부여 받고, 2001년 11월 5일자에 실용신안등록 제254313 호로 실용신안등록 허여된 "자동우산"(이하, "선등록"이라 칭함)을 개발하였으며, 이러한 선등록은 개략적으로 상부 소정위치에 관통형성되는 제 1걸림슬롯과 하단부측 소정위치에 관통형성되는 제 2걸림슬롯과 상기 제 1걸림슬롯의 하단부부터 하단부까지 길이방향을 따라 요부지게 절곡형성되는 안내홈을 구비한 소정직경과 길이를 갖는 원통관으로써 상단부에 우산살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선단부재가 장착되는 외측관, 중간부측 소정위치에 관통형성되는 제 1걸림슬롯과 하단부측 소정위치에 관통형성되는 제 2걸림슬롯과 상기 외측관의 안내홈과 접하는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요부지게 형성되는 안내홈을 구비하고, 상기 외측관의 내측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끼움조립되는 중간관과, 상부측에 소정위치에 관통형성되는 제 1작동공과 상기 제 1작동공과 하방으로 소정간격져서 관통형성되는 제 2작동공과 상기 제 1 및 제 2작동공과 대향되는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제 3작동공과 하단부측 소정위치에 관통형성되는 걸림슬롯과 상기 걸림슬롯과 하방으로 소정간격져서 관통형성되는 레버작동공과 상기 중간관의 안내홈과 접하는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요부지게 형성되는 안내홈을 구비하고, 상기 중간관의 내측에 슬라이딩작동가능하게 끼움조립되고, 상기 중간관의 제 2걸림슬롯 및 상기 걸림슬롯에 착탈가능하게 일축으로 조립되도록 하단부 내측에 회동가능하게 내장되는 작동레버를 구비하는 내측관으로 구성되는 우산대와; 일단부는 상기 외측관의 선단부재 하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내측관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내측관을 상방으로 탄성지지하는 제 1스프링부재와; 걸림부는 상기 외측관의 제 2걸림슬롯 및 중간관의 제 1걸림슬롯에 착탈가능하게 일축으로 조립되도록 상기 내측관의 제 1작동공에 배치되어 탄성부는 상기 내측관의 제 2 및 제 3작동공에 배치되어 상기 내측관의 작동과 연동하여 걸림부가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는 제 1스프링보우와; 상기 외측관의 외주면에 슬라이딩작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착탈가능하게 상기 외측관의 제 1걸림슬롯에 걸림고정되어 지지살을 지지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선단부재와 슬라이더 사이의 외측관 외주면에 조립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하방으로 탄성지지하는 제 2탄성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선등록은 우산대가 3개의 조립관으로 구성되어 있어 각각의 조립관에 작동타이밍이 맞도록 다수개의 걸림슬롯과 작동공을 관통형성시켜 조립하기가 매우 어렵고, 제작단가도 높을 뿐만 아니라 완성품의 작동상태도 불안정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선등록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그 목적은 우산을 펼쳐 사용할 때에는 수동으로 펼치고, 우산을 접을 때에는 버튼조작만으로 자동으로 접히는 동시에 우산대도 줄어들어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며, 접혀진 상태로 손잡이만을 잡고 이동하더라도 출렁임이 발생되지 않으면서도 제작단가가 저렴할 뿐만 아니라 조립생산성도 현저히 향상될 수 있는 자동우산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다수개의 걸림슬롯과 작동공을 갖는 다수개의 조립관이 상호 미끄럼작동가능하게 조립되어 형성되는 우산대와; 우산대의 일단부는 우산대의 상측 조립관의 선단부재의 하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하측 조립관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하측 조립관을 상방으로 탄성지지하는 제 1스프링부재와; 상기 우산대의 외주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조립되어 지지살을 지지하는 슬라이더와; 우산대 내측 소정위치에 내장되어 우산대의 조립관 및 슬라이더를 걸림 또는 걸림해제하는 스프링보우와; 상기 선단부재와 슬라이더 사이의 우산대 외주면에 조립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하방으로 탄성지지하는 제 2스프링부재와; 상기 우산대의 하단부측에 설치되어 우산을 접기 위한 작동버튼과; 상기 우산대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손잡이부로 구성되는 자동우산에 있어서, 상기 작동버튼은 우산내에 상하작동되게 설치되고, 소정길이를 갖는 막대형상으로써 소정위치에 길이방향으로 소정폭과 길이를 갖는 관통형성되고, 상기 스프링보우의 탄성부에 조립되는 간섭방지공과 하단부측에 상기 작동버튼의 작동편과 조립되는 조립공을 갖고 상기 우산의 내측에 상하작동가능하게 내장되어 상방작동시 상단부가 상기 스프링보우의 걸림부의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걸림상태해제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우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우산이 펴져 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우산이 접혀졌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우산(양산) 11: 우산대
12: 제 1조립관 13: 제 2조립관
14: 제 1스프링부재 15: 제 1스프링보우
16: 슬라이더 17: 제 2스프링부재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우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우산이 펴져 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우산이 접혀졌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우산(10)은 차단천이 덮혀진우산살(20)과, 지지살(19)과, 손잡이부(21)와 작동버튼(22)과, 우산대(11)와, 슬라이더(16)와, 제 1 및 제 2스프링부재(14)(17)와, 제 1스프링보우(15)를 포함한다.
상기 우산대(11)는 우산을 접었을 때 단축되고, 펼쳤을 때 신장되도록 하기 위하여 2개의 제 1 및 제 2조립관(12)(13)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2조립관(13)은 소정직경과 길이를 갖는 원통관으로써, 걸림슬롯(13a)과 안내홈(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하며, 상단부에는 상기 다수개의 우산살(20)이 방사상으로 회동가능하게 일단부가 축으로 설치되는 선단부재(18)가 장착된다.
상기 걸림슬롯(13a)은 상기 제 2조립관(13)의 상부 소정위치에 관통형성되고, 상기 안내홈은 상기 제 1걸림슬롯(13a)의 하단부부터 제 2조립관(13)의 하단부까지 길이방향을 따라 요부지게 절곡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조립관(13)의 상단부에는 상기 우산살(20)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선단부재(18)가 장착된다.
상기 제 1조립관(12)은 상기 제 2조립관(13)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통관으로써 걸림슬롯(12a)과 레버작동공(12b)와 안내홈(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하고, 상기 제 2조립관(13)의 내측에 슬라이딩작동가능하게 끼움조립된다.
상기 걸림슬롯(12a)은 상기 제 1조립관(12)의 상부측 소정위치에 관통형성되고, 상기 레버작동공(12b)은 상기 작동레버(22)가 조립되어 작동가능하도록 상기 제 2조립관의 하부 소정위치에 길이방향으로 소정폭과 길이를 갖고 관통형성되며, 상기 안내홈은 상기 제 2조립관(13)의 안내홈과 접하는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요부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 1스프링부재(15)는 인장스프링으로써 일단부는 상기 제 2조립관(13)의 선단부재(21)의 하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 1조립관(12)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제 1조립관(12)을 상방으로 탄성지지한다.
상기 제 1스프링보우(16)는 통상의 스프링보우로서 걸림부는 우산대(11)가 신장될 때 외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 2조립관(13)의 하단부를 걸어 제 2조립관(13)이 하방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고 우산을 접을 때 내향으로 들어가 제 2조립관(13)의 하단부의 걸림상태를 해제하도록 상기 제 1조립관(12)의 걸림슬롯(12a)에 조립되고, 탄성부는 상기 제 1조립관(12)의 내주면에 배치되어 상기 작동레버(22)의 작동과 연동하여 걸림부가 걸림 또는 걸림해제된다.
상기 슬라이더(16)는 상기 제 2조립관(13)의 외주면에 슬라이딩작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착탈가능하게 상기 제 2조립관(13)의 제 1걸림슬롯(13a)에 걸림고정되어 지지살(19)을 지지하기 위한 소정직경과 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으로써 상단부측 외주면을 따라 지지살(19)을 회동가능하게 축설하도록 다수개의 설치홈을 갖고 돌출형성되는 지지살장착부(16a)와, 내주면 소정위치에 외향으로 요부지게 형성되는 스프링보우장착부(17b)와, 상기 스프링보우장착부에 장착되어 슬라이더(17)가 상기 제 2조립관(13)의 제 1걸림슬롯(13a)에 위치할 때 걸림부가 상기 제 1걸림슬롯(13a)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슬라이더(17)를 고정시키는 제 2스프링보우(16c)와 하단부 외주면을 따라 돌출형성되는 스냅돌부(16d)를 구비한다.
상기 제 2스프링부재(17)는 압축스프링으로써 상기 선단부재(18)와슬라이더(16) 사이의 제 2조립관(13)의 외주면에 조립되어 상기 슬라이더(16)를 하방으로 탄성지지한다.
상기 작동버튼(22)은 상기 제 1조립관(12)의 레버작동공(12b)에 상하작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끝단에는 걸림해제봉(23)이 조립된다.
상기 걸림해제봉(23)은 소정길이를 갖는 막대형상으로써 소정위치에 길이방향으로 소정폭과 길이를 갖는 관통형성되고, 상기 스프링보우(15)의 탄성부에 조립되는 간섭방지공(23a)과 하단부측에 상기 작동버튼(22)의 작동편과 조립되는 조립공(23b)을 갖고 상기 우산대(11)의 내측에 상하작동가능하게 내장되어 상방작동시 상단부가 상기 스프링보우(15)의 걸림부의 걸림상태를 해제한다.
상기 손잡이부(21)는 상기 우산대(11)의 하단부에 장착되는데 상단부 내주면을 따라 내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스냅돌부(21a)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우산(10)은 펼칠 때에는 상기 슬라이더(16)를 우산대(11)의 상단부쪽으로 밀면 슬라이더(16)가 우산대(11)의 상단으로 올라감에 따라 슬라이더(16)에 지지되어 있는 지지살(19)이 우산살(20)을 상방으로 회동시키게되어 우산(10)이 펼쳐지고, 상기 슬라이더(16)가 제 2조립관(13)의 걸림슬롯(13a)에 도달하게되면 슬라이더(16)의 내측면에 장착되어 있는 제 2스프링보우(16c)의 걸림부가 걸림슬롯(13a)에 조립되어 슬라이더(16)의 위치가 고정됨으로 우산살(20)은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제 2스프링부재(17)가 상기 슬라이더(16)에 의해 압축되어 슬라이더(16)를 하방으로 탄성지지하는 동시에 우산대(11)의 제 1 및 제 2조립관(12)(13)이 신장되면서 상기제 1스프링보우(15)의 걸림부가 상기 제 1조립관(12)의 걸림슬롯(12a)으로부터 돌출되면서 상기 제 2조립관(13)의 하단부를 걸어 제 2조립관(13)이 하방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우산(10)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펼쳐진 상태에서 우산(10)을 접기 위해 상기 작동레버(22)를 상방으로 작동시키면 상기 작동레버(22)와 연동하여 상기 걸림해제봉(23)이 우산대(11)의 내측에서 상방으로 작동되며 상기 제 1스프링보우(15)의 걸림해제부를 치고, 이에 따라 제 1스프링보우(15)의 걸림부는 걸림해제봉(23)이 미는 힘에 의해 걸림부가 걸림슬롯(12a)에 조립된 상태로 내향으로 들어가게된다.
상기와 같이 제 1스프링보우(15)의 걸림부가 내향으로 들어가게 되면 상기 걸림부에 의해 고정되어 있던 제 2조립관(13)의 걸림상태가 해제됨으로 제 2조립관(13)은 제 1스프링부재(14)의 탄성력에 의해 제 1조립관(12)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되게 제 2조립관(13)이 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 2조립관(13)과 조립된 제 1조립관(12)의 상단부는 상기 슬라이더(16)의 스프링보우장착부(17b)에 내자되어 걸림부가 제 2조립관(13)의 걸림슬롯(13a)에 조립되어 있는 제 1스프링보우(16c)의 걸림해제부를 쳐서 걸림상태를 해제시킴으로 상기 슬라이더(16)는 상기 제 2스프링부재(17)의 탄성력에 의해 우산대(11)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손잡이부(21)의 상단부와 상기 스냅돌부(16d)(21a)에 의해 스냅결합됨으로써 완전히 접혀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우산을 펼쳐 사용할 때에는 수동으로 펼치고, 우산을 접을 때에는 버튼조작만으로 자동으로 접히는 동시에 우산대도 줄어들어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며, 접혀진 상태로 손잡이만을 잡고 이동하더라도 출렁임이 발생되지 않으면서도 제작단가가 저렴할 뿐만 아니라 조립생산성도 현저히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다수개의 걸림슬롯과 작동공을 갖는 다수개의 조립관이 상호 미끄럼작동가능하게 조립되어 형성되는 우산대와; 우산대의 일단부는 우산대의 상측 조립관의 선단부재의 하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하측 조립관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하측 조립관을 상방으로 탄성지지하는 제 1스프링부재와; 상기 우산대의 외주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조립되어 지지살을 지지하는 슬라이더와; 우산대 내측 소정위치에 내장되어 우산대의 조립관 및 슬라이더를 걸림 또는 걸림해제하는 스프링보우와; 상기 선단부재와 슬라이더 사이의 우산대 외주면에 조립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하방으로 탄성지지하는 제 2스프링부재와; 상기 우산대의 하단부측에 설치되어 우산을 접기 위한 작동버튼과; 상기 우산대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손잡이부로 구성되는 자동우산에 있어서, 상기 작동버튼은 제 1조립관(12)의 레버작동공(12b)에 상하작동되게 설치되고, 소정길이를 갖는 막대형상으로써 소정위치에 길이방향으로 소정폭과 길이를 갖는 관통형성되고, 상기 스프링보우(15)의 탄성부에 조립되는 간섭방지공(23a)과 하단부측에 상기 작동버튼의 작동편과 조립되는 조립공(23b)을 갖고 상기 우산대(11)의 내측에 상하작동가능하게 내장되어 상방작동시 상단부가 상기 스프링보우(15)의 걸림부의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걸림해제봉(2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우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우산(10)은 상기 슬라이더(16)의 하단부측 외주면을 따라 돌출형성되는 스냅돌부(16d)와 상기 손잡이부(21)의 상단부측 내주면을 따라 돌출형성되는 스냅돌부(21a)를 구비하고, 상기 스냅돌부(16d)(21a)는 우산(10)이 접힐 때 상호 스냅결합되어 슬라이더(16)를 손잡이부(21)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우산.
KR2020020012509U 2002-04-24 2002-04-24 자동우산 KR2002831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509U KR200283150Y1 (ko) 2002-04-24 2002-04-24 자동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509U KR200283150Y1 (ko) 2002-04-24 2002-04-24 자동우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3150Y1 true KR200283150Y1 (ko) 2002-07-26

Family

ID=73121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2509U KR200283150Y1 (ko) 2002-04-24 2002-04-24 자동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31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25446A (zh) * 2018-08-25 2018-12-18 李沛 一种共享单车座椅防晒防雨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25446A (zh) * 2018-08-25 2018-12-18 李沛 一种共享单车座椅防晒防雨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9872B2 (en) Automatic control device of foldable tent
US20070051399A1 (en) One-touch type foldable tent
JP3152857U (ja) 伸縮式突っ張りポール具
JP2007222591A (ja) 折畳式傘
US20030192580A1 (en) Canopy support frame for a sunshade
US10822829B1 (en) Folding canopy with central locking mechanism
US20120160283A1 (en) Umbrella rib assembly and foldable umbrella
US4941494A (en) Lightly-operating automatic umbrella for preventing false operation
KR200372631Y1 (ko) 텐트 프레임
KR20050035848A (ko) 자동 우산식 프레임 구조를 갖는 캐노피 텐트
JP2007511320A (ja)
US20060231129A1 (en) Folding structure with improved locking system
JP2012143532A (ja) 傘用ランナー固定装置
KR200432614Y1 (ko) 옷걸이용 홀더
US5398709A (en) Sunshade
KR200283150Y1 (ko) 자동우산
KR200254313Y1 (ko) 자동우산
KR101251105B1 (ko) 자동적으로 후퇴 가능한 중심 샤프트를 갖는 반자동 우산
KR200437933Y1 (ko) 자동 우산
US20040221884A1 (en) Auto-collapsible umbrella
WO2003013322A1 (en) Garment hanger
KR101384760B1 (ko) 중심 위치 조절이 가능한 우산
KR101084368B1 (ko) 파라솔
KR200281038Y1 (ko) 자동우산의 로킹장치
KR100755358B1 (ko) 자동 접이식 우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12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