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2589Y1 - Kick Board with Propulsion Force - Google Patents

Kick Board with Propulsion For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2589Y1
KR200282589Y1 KR2020020000991U KR20020000991U KR200282589Y1 KR 200282589 Y1 KR200282589 Y1 KR 200282589Y1 KR 2020020000991 U KR2020020000991 U KR 2020020000991U KR 20020000991 U KR20020000991 U KR 20020000991U KR 200282589 Y1 KR200282589 Y1 KR 2002825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ter
kickboard
scaffold
handle shaft
foot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099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갑수
Original Assignee
이갑수
주식회사 대광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갑수, 주식회사 대광전자 filed Critical 이갑수
Priority to KR20200200009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2589Y1/en
Priority to PCT/KR2002/000057 priority patent/WO2002055372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25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2589Y1/en

Links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추진력을 갖는 킥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끝단에 바퀴(12)를 구비하고, 길이조절이 가능한 핸들(11)을 포함하는 핸들축(10)과; 상기 핸들축(10)을 자유자재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한 쌍의 피봇축(21)을 구비하는 연결판(20)과; 일단이 상기 피봇축(21)에 회동가능하게 축받이 되어지고, 타단에는 회전가능하게 각각의 캐스터(40)를 구비하는 발판(30)과; 상기 두 발판(30)을 외측으로 벌리거나 오므릴 때 상기 캐스터(40)는 진행방향에 대해 사선으로 전환되어 진행도도록 상기 발판(30)의 연장부(31)상에 반원형 장공(32)을 형성하고, 상기 캐스터(40)의 브라켓트(40a)상에 상기 장공(32)속으로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를 구비하는 캐스터(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이 있으며, 본 고안은 두 발을 모두 올려놓을 수 있고, 별도로 지면을 차고 나갈 필요없이 자체적으로 추진력으로 전진할 수 있는 것이므로 발판을 좌우로 벌리고 오므리는 동작으로 평소에 잘 사용하지 않는 다리의 근육을 사용하게 되므로 체결단련 효과가 있으며, 레져용으로도 남여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ickboard having a driving force,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wheel 12 at the end, the handle shaft 10 including a handle 11 is adjustable in length; A connecting plate 20 rotatably supporting the handle shaft 10 and having a pair of pivot shafts 21; A footrest 30 having one end pivotably pivoted to the pivot shaft 21 and the other end rotatably provided with each caster 40; When the two scaffold 30 is opened or retracted outward, the caster 40 has a semi-circular long hole 32 on the extension part 31 of the scaffold 30 so as to be shifted diagonally in the traveling direction. Forming,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caster 40 having a guide projection inserted into the long hole 32 on the bracket (40a) of the caster 40, the present invention can put both feet Since it can move forward with its own propulsion without having to kick the ground separately, it uses the muscles of the legs, which are not used normally, by spreading the scaffold from side to side. Everyone can enjoy.

Description

추진력을 갖는 킥보드{Kick Board with Propulsion Force}Kick Board with Propulsion Force

본 고안은 킥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발판을 안쪽과 바깥쪽으로 반복적으로 전개시키거나 오므리면 자체적으로 추진력이 발생되어 킥보드가 전진하는 추진력을 갖는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ickboard, and more particularly, to a keyboard having a propulsion force is generated by the propulsion force itself when the pair of scaffolds are deployed or retracted inward and outward repeatedly.

종래의 킥보드는 손잡이를 잡고 한쪽 발을 발판에 올려놓고 다른 쪽 발은 땅을 박차면서 전진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기존의 킥보드는 전ㆍ후에 각각 바퀴가 설치되어 있고, 바퀴 사이에는 발판이 연결되어 있으며 앞쪽의 바퀴에는 상측으로 핸들축이 길게 형성되어 그 상단에 핸들이 부착되어 조향할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Conventional kickboard is to hold the handle and put one foot on the footrest and the other foot is formed in the form of going forward while driving the ground. These conventional kickboards are equipped with wheels before and after each, the footstool is connected between the wheels, the front wheel is formed in the handle shaft is formed long to the upper side is configured to handle the steering attached to the top.

그리고, 뒷 바퀴에는 그 상측에 브레이크용 덮개가 설치되어 있고 그 덮개를 을 밟아줌으로서 덮개와 바퀴와의 마찰에 의해 속도를 제동시킬 수 있다.The rear wheel is provided with a brake cover on its upper side, and the speed can be braked by the friction between the cover and the wheel by stepping on the cover.

이러한 종래의 킥보드는 한 발로 서서 지면을 박차면서 전진하는 새로운 흥미를 제공하여 특히 아동들에 의한 유희용으로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Such a conventional kickboard provides a new interest of advancing while standing on the ground and spurring the ground, and is also widely used for play by children.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킥보드는 한 발로 중심을 잡아야 하므로 상당한 숙련을 요구되며, 브레이크의 기능이 정확하지 않아 균형 잡기도 어렵다. 또한 자체적인 추진력이 없이 한 쪽 발을 이용하여 지면을 박차는 동작을 반복함으로 늘 사용하는 하체의 근육만을 사용하게 되므로 운동효과도 낮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kickboard is required to be centered with one foot, so a considerable skill is required, and the function of the brakes is not accurate and difficult to balance. In addition, the exercise effect is low because only one muscle of the lower body is used constantly by repeating the motion of spurting the ground using one foot without its own driving force.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킥보드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자체적인 추진력을 구비하는 킥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kickboard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ickboard having its own driving forc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두 발과 다리를 이용하여 추진력을 발생시키므로, 운동 혹은 체력단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흥미롭게 즐길 수 있는 레져용 킥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generate a driving force by using the two feet and legs, to improve the exercise or fitness, as well as to provide a leisure kickboard that can be enjoyed more interesting.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길이조절이 가능하고, 일단에는 핸들과, 타단에는 바퀴를 구비하는 핸들축과;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length is adjustable, the handle shaft having one end and a wheel on the other end;

상기 핸들축을 자유자재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한 쌍의 피봇축을 구비하는 연결판과;A connecting plate rotatably supporting the handle shaft and having a pair of pivot shafts;

일단이 상기 피봇축에 회동가능하게 축받이 되어지고, 타단에는 회전가능하게 각각의 캐스터를 구비하는 발판과;A scaffold having one end rotatably supported by the pivot shaft and the other end rotatably provided with each caster;

상기 두 발판을 벌리지거나 오므릴 때 상기 캐스터가 진행방향에 대하여 사선방향으로 위치되어지도록 상기 발판의 연장부상에 반원형 장공을 형성하고, 상기 캐스터의 브라켓트상에 상기 장공속으로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를 구비하는 캐스터로 달성되어질 수 있다.A semi-circular long hole is formed on an extension of the scaffold so that the caster is positioned diagonally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direction when the two scaffolds are spread or retracted, and a guide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long hole on the bracket of the caster. Can be achieved with a caster.

또한 핸들축은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에 따라 핸들의 설치각도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보관시 핸들축을 접을 수 있도록 한 핸들축 절첩수단을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handle shaft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shaft folding means to variably adjust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handle according to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user, and to fold the handle shaft during storage.

본 고안은 한 쌍의 발판위에 올라서서 양 발판을 벌리거나 오므리는 동작을 반복하면 추진력이 발생되어 킥보드가 전진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두 발판을 좌ㆍ우로 밀고 당기는 동작을 반복하면, 킥보드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사선방향으로 캐스터가 진행되도록 함으로서 추진력을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tand on a pair of footrests to repeat the operation of spreading or retracting both footrests is the driving force is generated and the kickboard is advanced. In other words, if the two scaffolds are pushed to the left and right, the driving force is generated by causing the caster to proceed in an obliqu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rogress direction of the kickboard.

따라서, 본 고안의 킥보드에 의하면, 두 발을 모두 올려놓을 수 있고, 별도로 지면을 차고 나갈 필요없이 자체적으로 추진력으로 전진할 수 있는 것이므로 발판을 좌우로 벌리고 오므리는 동작으로 평소에 잘 사용하지 않는 다리의 근육을 사용하면서 운동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것이며, 레져용으로도 남여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kick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ut both feet on, and can move forward with its own propulsion without having to kick out the ground separately, so that the foot is not used in the usual way by spreading the footboard left and right Can use the muscles of the exercise effect can bring, both men and women can enjoy for leisure.

도 1은 본 고안의 추진력을 갖는 킥보드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kickboard having a driving for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일 측면도,2 is a side view of FIG. 1;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킥보드의 핸들을 접은 상태의 일 측면도,3 is a side view of a folded handle of the kickboar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2의 일점쇄선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4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n enlarged dashed line part of FIG. 2;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발판과 캐스터의 동작을 보인 평단면도,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ootrest and the ca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 에 따른 발판의 동작상태를 보인 평면도6 is a plan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scaffo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킥보드의 한 쌍의 발판이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거나 분리시킨 상태를 예시한 킥보드의 발판 저면도,7 is a bottom view of the footboard of the kickboard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air of the footboard of the kick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or separated so as not to be separated;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핸들축 11:핸들10: steering wheel 11: handle

12:바퀴 13:조임 클램프12: wheel 13: tightening clamp

20:연결판 21:피봇축20: connecting plate 21: pivot axis

22:홈부 23:캡 너트22: groove 23: cap nut

20a:축받이부 30:발판20a: bearing 30: scaffolding

30a:연장편 31:연장부30a: Extension 31: Extension part

34:걸쇠 34a:걸림돌기34: clasp 34a: locking projection

32:반원형 장공 44:가이드 돌기32: Semi-circular long hole 44: Guide protrusion

40a:브라켓트 43:브레이크 가압판40a: Bracket 43: Brake pressure plate

100:킥보드100: Kickboard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추진력을 갖는 킥보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a kickboard having a driving fo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먼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 정의하는 추진력의 발생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First, the principle of occurrence of the driving force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or better understanding.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스터의 진행방향을 C, 발판의 진행방향을 R이라 가정하면, 발판을 외측으로 벌릴 경우 R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캐스터가 α각의 범주에 놓여지고 그 범위내에서 캐스터가 C의 방향으로 굴러가므로 발판의 회전방향 R과 캐스터의 진행방향(C)의 차이에 의해 추진력이 발생되고, 또 발판을 내측으로 오므릴 경우 캐스터가 β각의 범주에 놓여지고 그 범위내에서 캐스터가 C1의 방향으로 굴러가므로 발판의 회전방향(R)과 캐스터의 진행방향(C)의 차이에 의해 추진력이 발생되게 되는 것이다.Assuming that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aster is C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caffold is R, as shown in FIG. 5C, the caster is placed in the α angle rang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R when the step is spread outward, and the caster within the range Is rolled in the direction of C, the propulsion force is generat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rotational direction R of the scaffolding and the traveling direction (C) of the caster. Since the caster rolls in the direction of C1, the driving force is generat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rotational direction (R) of the scaffold and the traveling direction (C) of the caster.

만일 발판이 벌어지거나 오므려질 때 캐스터의 진행방향이 α와 β각 이외의 영역을 향하게 되면 뒤쪽으로 킥보드는 뒤로 후진하게 되는 것이고, 발판의 진행방향(R)과 캐스터의 진행방향이 동일하다면 킥보드는 전진도 후퇴도 하지 않고 제자리에 머물러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양 발판을 전개할 때는 α의 영역내에서 캐스터가 굴러가고, 오므릴 때에는 영역에서 캐스터가 굴러가게 되므로 추진력이 발생되게 되는 것입니다.If the caster's travel direction is outside the α and β angles when the footplate is open or retracted, the kickboard will retreat backwards, and if the footer's forward direction (R) and the caster's travel direction are the same, the kickboard will It will stay in place without moving forward or retreating. Therefore, when the scaffold is developed, the caster rolls in the region of α, and when it is retracted, the caster rolls in the reg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킥보드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측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킥보드의 핸들축을 절첩한 예를 보여주는 일측면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kick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one side view of Figure 2,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of folding the handle shaft of the kick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10은 핸들축이고, 11는 핸들축에 고정된 핸들이며, 20은 핸들축(10)을 지지하는 연결판이고 30은 양 발을 올려 놓는 발판이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reference numeral 10 is a handle shaft, 11 is a handle fixed to the handle shaft, 20 is a connecting plate for supporting the handle shaft 10 and 30 is a footrest on which both feet are placed.

상기한 핸들축(10)은 내부가 빈 파이프로, 망원경 식으로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중간부위에 그 길이가 변형되지 않도록 조임 클램프(13)가 부착되어 있다.The handle shaft 10 is an empty pipe inside, is configured to adjust the length in a telescopic manner, and the tightening clamp 13 is attached to the middle portion so that its length is not deformed.

핸들축(10)은 자유단에는 핸들(11)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핸들의 반대쪽에는 바퀴(12)가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The handle shaft 10 is provided with a handle 11 at a free end thereof, and a wheel 12 is rotatably attach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handle.

상기 핸들축은 상기한 바퀴(12)의 상측에 핸들축(1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연결판(20)과 결합되어 있다. 연결판(20)은 그 내부에 베어링이 설치되어 핸들축(10)의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해 준다. 연결판(20)에는 한 쌍의 발판(30)의 일측 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피봇축(21)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 피봇축(21)이 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발판 조립후 캡 너트(23)로 체결된다.The handle shaft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plate 20 to rotatably support the handle shaft 10 above the wheel 12. The connecting plate 20 has a bearing installed therein to freely support the rotation of the handle shaft 10. The connecting plate 20 has a pivot shaft 21 on which one end of the pair of scaffold 30 is rotatably assembled, and the pivot shaft 21 has a screw thread formed at the end thereof. The nut 23 is fastened.

상기 핸들축(10)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축(1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받이부(20a)가 연결되고, 그 축받이부(20a)와 연결판(20)을 힌지가능하게 결합함으로서 보관시 핸들축(10)을 접어 보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handle shaft 10 is connected to a bearing part 20a rotatably supporting the handle shaft 10, and the bearing part 20a and the connecting plate 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hingeably engaging, the handle shaft 10 can be folded and stored during storage.

발판(30)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양발을 올려놓는 곳으로, 각각의 발판(30)의 일측단은 상기한 연결판(20)의 피봇축(2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타측에는 각각 캐스터(40)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발판(30)의 윗면에는 동작 중에 발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패드가 부착될 수 있다.The footrest 30 is a pair of places to put both feet, one end of each footrest 3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pivot shaft 21 of the connecting plate 20 and the caster on the other side, respectively 40 is attached. In addition, a pad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ootrest 30 so that the foot does not slip during operation.

상기 한 쌍의 발판(30)은 피봇축(21)을 중심으로 회동되어지는데, 발판에 올라선 상태에서 발을 벌리거나 오므리면 그에 따라 두 발판이 벌어지거나 오므려지게 된다. 그러나 신체적으로 다리를 벌릴 수 있는 범위 이상 발판을 벌리면 다시 오므리는 동작이 어려워짐으로 발판의 전개각도를 일정범위로 제한하는 발판의 전개각 제한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pair of footrests 30 are pivoted about the pivot shaft 21. When the footstool is spread or pinched in the state of being on the footrest, the two footstool is opened or contracted accordingly. However, it may further include a means for limiting the deployment angle of the footrest to limit the unfolding angle of the footrest to a certain range because it becomes difficult to retract when the footrest is more than the physically open legs.

발판의 전개각 제한수단의 일 예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30)의 바닥면에 각각 결합된 피봇축(21)에 결합된 발판(30)의 단부를 연장편(30a)을 구성하여 발판(30)이 전개되었을 때 연장편(30a)의 서로 맞닿도록 함으로서 일정각도 이상 전개되지 않도록 구현할 수 있다.An example of the deployment angle limiting means of the scaffold is an extension piece 30a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scaffold 30 coupled to the pivot shaft 21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caffold 30, respectively, as shown in FIGS. 1 to 5. When the footrest 30 is deploy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of the extension piece (30a) can be implemented so as not to be deployed over a certain angle.

아울러, 본 고안의 지형에 따라 킥보드(100)의 발판을 벌려주거나 오므려주지 않아도 가속도를 통해 전진하거나 내리막 길 혹은 통상의 킥보드와 같이 한쪽 발로 굴러가면서 킥보드(100)를 이용할 수도 있기 때문에 두개의 발판(30)을 서로 합치거나 필요시 발판을 분리할 수 있도록 양 발판의 합체 및 분리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errain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you do not open or retract the footboard of the kickboard 100 through the acceleration or go downhill or the kickboard 100 can be used while rolling to one foot like a normal kickboard, so the two footholds It may further comprise a coalescing and separating means of both scaffolding so as to combine the 30 with each other or to separate the scaffold if necessary.

발판(30)의 합체 및 분리수단의 일 예로서는 발판(30)의 저면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측단을 발판(30)의 저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한 걸쇠(34)를 결합하고, 타측의 발판(30)에는 상기 걸쇠(34)를 걸 수 있는 걸림돌기(34a)가 마련되어 두 발판(30)을 합쳐 고정시키거나 서로 분리되도록 해제시킬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coalescing and separating means of the scaffold 30, the bottom surface of the scaffold 30 is coupled to the clasp 34 rotatab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caffold 30, as shown in FIG. The footrest 30 may be provided with a locking protrusion 34a capable of locking the latch 34 so that the two footrests 30 may be joined together to be fixed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물론 본 실시예 이외에도 다양한 걸쇠를 통하여 본 고안의 의도하는 바를 구현할 수 있으나 이것들은 본 고안자가 의도하는 양 발판을 서로 합치거나 분리시키려는 기술적 사상을 달리 구현한 것이나 이는 본 고안의 사상을 구현하는 균등물이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Of course, in addition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can be implemented through the various clasps, but these are different implementations of the technical idea to combine or separate the two feet intended by the present inventors, which is equivalent to implementing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can understand that.

상기 캐스터(40)는 발판(30)을 벌리거나 오므릴 때 킥보드(100)를 전진시키는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작용과 킥보드를 이송시키는 작용을 하게 되므로 킥보드(100)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캐스터(40)가 위치되어지거나 발판(30)을 벌리거나 오므리는 동작시 킥보드(100)의 진행방향과 나란하게 되면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없다.The caster 40 has a function of generating a propulsion force for advancing the kickboard 100 and transferring the kickboard when the footrest 30 is spread or retracted, so that the caster 40 mov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kickboard 100 proceeds. When the position or the footrest 30 is spread or retracted when the operation is in parallel with the progress direction of the kickboard 100 can not generate a driving force.

다시 말해서, 만일 캐스터가 자유자재로 360°로 회전할 수 있게 되면 발판(30)의 전개 혹은 오르려지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캐스터(40)가 굴러가게 되므로 추진력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발판(30)을 벌리거나 오므리는 동작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킥보드(100)의 진행방향과 동일하게 캐스터(40)도 전면을 향해 위치되어지고 발판을 벌리거나 오므릴 때에는 킥보드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사선방향으로 캐스터(40)가 위치되도록 해야만 추진력이 발생된다.In other words, if the caster can freely rotate 360 °, the propulsion force is not generated because the caster 40 rolls in the same direction as that of the footrest 30. Therefore, when the footrest 30 is not opened or retracted, the caster 40 is also positioned to the front in the same manner as the kickboard 100, and when the footrest is opened or retracted, the kickboard is moved in the same direction. The propulsion force is generated only when the caster 40 is positioned in an oblique direction.

따라서, 상기 캐스터(40)에 의해 추진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캐스터(40)를 일정각도 범위내만 회동할 수 있도록 제한하는 캐스터 회절각 제한수단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n order to generate the propulsion force by the caster 40, it is preferable that the caster diffraction angle limiting means for restricting the caster 40 to be rotated only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is further provided.

캐스터 회절각 제한수단의 구현수단으로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30)의 연장부(31) 표면에 반원형 장공(32)을 마련하고, 그 반원형 장공(32)에 캐스터상에 마련된 가이드 돌기(44)가 위치되도록 하여 발판(30)의 연장부(31)의 저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한 캐스터(40)로 구현되어질 수 있다.As a means for implementing the caster diffraction angle limiting means, a semicircular long hole 32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extension portion 31 of the scaffold 30 as shown in FIGS. 5A to 5D, and the semicircular long hole 32 is disposed on the caster. The guide protrusion 44 may be positioned so that the caster 4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extension part 31 of the footrest 30.

상기한 캐스터 회전각 제한수단은 두 발판을 벌리거나 오므리는 동작시 캐스터(40)의 회전축(P)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가이드 돌기(44)가 도 5d의 A지점에 위치되어 추진력이 발생되고, 발판을 이동시키지 않을 경우에는 즉, 킥보드가 직진하고 있는 경우에는 가이드 돌기(44)가 B지점으로 위치되어 바퀴(12)를 따라 굴러가게 되고, 만일 발판(30)을 오므리는 동작시에는 캐스터(40)의 회전축(P)을 중심으로 캐스터(40)가 회전하여 가이드 돌기(44)가 C지점으로 위치되어지게 되면서 역시 발판(30)의 진행각도가 바꾸게 되면서 추진력이 발생되어 킥보드가 전진하게 되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 40a는 캐스터(40)를 지지하는 브라켓트이고 43은 캐스터를 가압하여 그 회전을 억제시키는 패드를 구비한 브레이크 경우에는.The caster rotation angle limiting means is rotated about the rotation axis (P) of the caster 40 in the operation of spreading or retracting the two scaffolding guide protrusions 44 is located at the point A of Figure 5d, the driving force is generated, When the footboard is not moved, that is, when the kickboard is moving straight, the guide protrusion 44 is positioned at the point B and rolls along the wheel 12, and if the footboard 30 is moved, the caster ( The caster 40 is rotated about the rotation axis P of 40 and the guide protrusion 44 is positioned at the C point, while the propulsion force is generated while the propulsion force is changed while the footboard 30 is changed. will be. Reference numeral 40a denotes a bracket for supporting the caster 40 and 43 denotes a brake provided with a pad for pressing the caster to suppress rotation thereof.

만일, 주행중 서행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발판의 연장부의 후미에 캐스터의 브라켓트상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가압판을 눌러줌으로서 캐스터의 회전을 억제시켜 속도를 줄일 수 있다. 아울러, 하체를 이용한 발판의 전개동작을 빨리할 수록 속도는 가속되어진다.If slow running is required while driving, pressing the pressure plate rotatably coupled to the caster's bracket at the rear of the extension of the scaffold can suppress the rotation of the caster to reduce the speed. In addition, the speed is accelerated the faster the movement of the scaffold using the lower body.

아울러, 본 고안의 킥보드를 보관할 경우에는 보관의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핸들축 절첩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핸들축 절첩수단의 일 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판(20)과 축받이부(20a)를 힌지(25) 결합하되 상기 연결판(20)상에 상측으로 연장된 브라켓트의 테두리부에 다수의 홈부(22)를 형성하고 상기 축받이부에는 스프링(24c)에 의해 하방으로 탄성력이 내재된 록킹 및 언록킹레버(24)가 마련되고 상기 록킹 및 언록킹레버(24)와 연동하는 체결핀이 상기 홈부(22)에 체결되어지는 체결핀(24a)으로 구성함으로서 달성되어질 수 있다. 미설명 부호 24b은 상기 체결핀(24a)이 상하로 이동되어질 때 가이드하는 장공이다.In addition, when storing the kick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ovide convenience of storage, the handle shaft folding means may be further provided. An example of the handle shaft folding means is a hinge 25 which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plate 20 and the bearing part 20a by the hinge 25 as shown in FIG. 4, and the edge of the bracket extending upward on the connecting plate 20. A plurality of grooves 22 are formed in the portion, and the bear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locking and unlocking lever 24 having elastic force embedded therein by a spring 24c and interlocking with the locking and unlocking lever 24. The fastening pin can be achieved by configuring the fastening pin 24a to be fastened to the groove 22. Reference numeral 24b is a long hole that guides when the fastening pin 24a is moved up and down.

핸들의 절첩과정을 보면, 연결판(20)과 축받이부(20a)에 록킹레버를 상측으로 들어 올리면 록킹 및 언록킹레버(24)는 축받이부(20a)의 측면에 형성된 장공(24b)을 따라 올라가면서 연결판(20)의 테두리부에 형성된 홈부(22)로부터 체결핀(24a)이 분리되어진다. 이후 핸들축(10)을 발판(30)쪽으로 절곡시키면 핸들축(30)은 힌지축(23)을 회전하여 부피가 작게 접을 수 있다.In the folding process of the handle, when the locking lever is lifted upward on the connecting plate 20 and the bearing part 20a, the locking and unlocking lever 24 is along the long hole 24b formed on the side of the bearing part 20a. The fastening pin 24a is separated from the groove portion 22 formed at the edge portion of the connecting plate 20 while going up. Then, when the handle shaft 10 is bent toward the footrest 30, the handle shaft 30 may be folded to have a smaller volume by rotating the hinge shaft 23.

그리고 절곡된 상태에서 록킹 및 언록킹레버(24)를 원위치 시키면 그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24c)에 의해 다시 체결핀(24a)이 다른 홈부(22)에 위치되어 핸들축(10)이 전개되지 않는다.When the locking and unlocking lever 24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in the bent state, the fastening pin 24a is again positioned in the other groove 22 by the spring 24c installed therein so that the handle shaft 10 is not expanded. .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핸들축(10)의 하단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동하는 한 쌍의 발판(30)이 설치되고, 각 발판(30)의 후단부에서 캐스터(40)가 일정각도 내에서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구성에 의해, 두 발을 각 발판(30)에 올려놓고 외측과 안쪽으로 반복하여 오므리거나 전개시켜 추진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자체적인 전진이동이 가능하고, 세개의 바퀴를 지니고 있어 보다 안정적인 주행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평소에 잘 사용하지 않는 근육을 사용함으로 체력단련을 강화하는데 있어서도 현저한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footrests 30 which freely rotate around the lower end of the handle shaft 10 are installed, and the casters 40 are positioned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at the rear end of each foothold 30. By the combination to be rotated in, the two feet on each footrest (30) puts out and retracted or deployed inward and inward repeatedly to obtain the propulsion force, so that it is possible to move forward, and has three wheels Not only can you run more stably, but also uses muscles that you don't normally use, which provides a significant effect on strengthening your fitness.

Claims (9)

끝단에 바퀴(12)를 구비하고, 길이조절이 가능한 핸들(11)을 포함하는 핸들축(10)과;A handle shaft 10 having a wheel 12 at an end and including a handle 11 which is adjustable in length; 상기 핸들축(10)을 자유자재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한 쌍의 피봇축(21)을 구비하는 연결판(20)과;A connecting plate 20 rotatably supporting the handle shaft 10 and having a pair of pivot shafts 21; 일단이 상기 피봇축(21)에 회동가능하게 축받이 되어지고, 타단에는 회전가능하게 각각의 캐스터(40)를 구비하는 발판(30)과;A footrest 30 having one end pivotably pivoted to the pivot shaft 21 and the other end rotatably provided with each caster 40; 상기 두 발판(30)을 외측으로 벌리거나 오므릴 때 상기 캐스터(40)는 진행방향에 대해 사선으로 전환되어 진행되도록 상기 발판(30)의 연장부(31)상에 반원형 장공(32)을 형성하고, 상기 캐스터(40)의 브라켓트(40a)상에 상기 장공(32)속으로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를 구비하는 캐스터(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력을 갖는 킥보드.The caster 40 forms a semi-circular long hole 32 on the extension part 31 of the scaffold 30 so that the casters 40 are shifted diagonally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direction when the two scaffold 30 is opened or retracted outward. And a caster (40) having a guide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long hole (32) on the bracket (40a) of the caster (4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축(10)이 축받이부(20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축받이부(20a)가 연결판(20)상에 절곡가능하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력을 갖는 킥보드.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andle shaft (1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earing portion (20a), the bearing portion (20a) has a propulsion for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is bent on the connecting plate (20). kickboard.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발판(30)의 전개 각도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발판(30)의 단부를 연장시켜 연장편(30a)을 형성하여 소정각도로 상기 두 발판이 전개되었을 때 상기 연장편(30a)이 서로 맞닿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력을 갖는 킥보드.According to claim 1, To extend the end of the footrest 30 in order to limit the range of the deployment angle of the two footrest 30 to form an extension piece (30a) when the two footrest is deployed at a predetermined angle Kickboard having a driving for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iece (30a) to abut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한 쌍의 두 발판(30)을 서로 밀착 혹은 분리 되도록 하기 위해 일측 발판의 저면에는 걸쇠(24)를 부착하고, 타측의 발판(30)에는 상기 걸쇠(34)가 걸려지는 걸림돌기(34a)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력을 갖는 킥보드.The clasp 24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one side of the scaffold, and the clasp 34 is attached to the other side of the scaffold 30 in order to close or separate the pair of the two scaffolds 30 from each other. Kickboard having a driving force, characterized in that attached to the hanging projection (34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킥보드(100)의 핸들축(1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받이부(20a)가 연결되고, 그 축받이부(20a)와 연결판(20)을 힌지가능하게 결합하여 핸들축(10)을 절곡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력을 갖는 킥보드.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earing portion 20a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handle shaft 10 of the kickboard 100 is connected, the bearing portion 20a and the connecting plate 20 is hingedly coupled Kickboard having a thrust for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shaft 10 is configured to be bent.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20)과 축받이부(20a)를 힌지(23) 결합하되 상기 연결판(20)상에 상측으로 연장된 브라켓트의 테두리부에 다수의 홈부(22)를 형성하고 상기 축받이부(20a)에는 스프링에 의해 하방으로 탄성력이 내재된 록킹 및 언록킹레버(24)가 마련되고 상기 록킹 및 언록킹레버(24)와 연동하는 체결핀(24a)이 상기 홈부(22)에 체결되어지는 체결핀(24a)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력을 갖는 킥보드.According to claim 6, The connecting plate 20 and the bearing portion (20a) is coupled to the hinge 23, but forming a plurality of grooves 22 on the edge of the bracket extending upward on the connecting plate (20) And the bearing portion (20a) is provided with a locking and unlocking lever 24, the elastic force is embedded downward by a spring and the fastening pin (24a) is interlocked with the locking and unlocking lever 24 is the groove portion 22 Kickboard having a driving for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fastening pin (24a) is fastened to.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킥보드(100)는 속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캐스터(40)의 상측에 가압판을 부착하여 가압판을 가압함으로서 캐스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력을 갖는 킥보드.The kickboar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kickboard (100) controls the rotation of the caster by pressing the pressure plate by attaching a pressure plate to the upper side of the caster (40) to control the speed. 삭제delete
KR2020020000991U 2001-01-13 2002-01-12 Kick Board with Propulsion Force KR200282589Y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991U KR200282589Y1 (en) 2002-01-12 2002-01-12 Kick Board with Propulsion Force
PCT/KR2002/000057 WO2002055372A1 (en) 2001-01-13 2002-01-14 Kick board with driving for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991U KR200282589Y1 (en) 2002-01-12 2002-01-12 Kick Board with Propulsion For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2589Y1 true KR200282589Y1 (en) 2002-07-19

Family

ID=73116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0991U KR200282589Y1 (en) 2001-01-13 2002-01-12 Kick Board with Propulsion For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2589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532B1 (en) 2009-11-18 2010-05-11 주식회사 타이젠 Kick boar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532B1 (en) 2009-11-18 2010-05-11 주식회사 타이젠 Kick board
WO2011062323A1 (en) * 2009-11-18 2011-05-26 (주)타이젠 Kickboar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33794B (en) Rocker propelled scooter
CA2406916C (en) Walker chair
NL1013919C2 (en) Step.
CN109789908B (en) Foldable shockproof scooter
US20040032105A1 (en) Foot propelled scooter
US10407117B2 (en) Scooter
US9504901B1 (en) System and method for a folding skateboard with hands free folding operation
KR20060121746A (en) A recreational and sporting device for movement over ground
US20110089656A1 (en) Manual-swinging scooter
US20060220349A1 (en) High chair
US5029887A (en) Steerable skateboard
KR200282589Y1 (en) Kick Board with Propulsion Force
KR200358887Y1 (en) kick board
US5358447A (en) Bowling ramp
KR200436102Y1 (en) Kick board
WO2006121257A1 (en) Skateboard capable of all-direction running
WO2005000433A1 (en) Rolling apparatus for roller skate users
KR101321957B1 (en) Tricycle kick board
KR200231574Y1 (en) Kick board having safety members
KR200328318Y1 (en) vehicle board having 3 wheels
KR100478504B1 (en) separable roller skid accelerated by foot step and transported by hand and foot step
KR200196489Y1 (en) Mini scooter
WO2002055372A1 (en) Kick board with driving force
KR200192202Y1 (en) Two wheeled vehicle for recreation
KR200373318Y1 (en) Kik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