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2145Y1 - 전복 양식용 파판 조립체 - Google Patents

전복 양식용 파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2145Y1
KR200282145Y1 KR2020020011617U KR20020011617U KR200282145Y1 KR 200282145 Y1 KR200282145 Y1 KR 200282145Y1 KR 2020020011617 U KR2020020011617 U KR 2020020011617U KR 20020011617 U KR20020011617 U KR 20020011617U KR 200282145 Y1 KR200282145 Y1 KR 2002821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rod
diameter portion
assembly
fixing
wav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16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남수
Original Assignee
박남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남수 filed Critical 박남수
Priority to KR20200200116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21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21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2145Y1/ko

Links

Landscapes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복 양식장에서 전복이 기거하는 쉘터의 상부에 위치하여 파판에 달라붙는 각종 조류를 전복의 먹이로 제공하는 파판 조립체에 있어서 각 구성간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전복 양식용 파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결합봉에 끼워지는 다수의 먹이파판과 간격유지링을 고정클립을 통하여 결합봉에 고정시키는 전복 양식용 파판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결합봉(20)은 양단에 고정홈(2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클립(40)은 내측에 결합봉(20)에 끼워질 수 있는 직경을 갖는 대직경부(41)와 이 대직경부(41)의 일측에 연통되어 결합봉(20)의 고정홈(21)에 신축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는 직경을 갖는 소직경부(42)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클립(40)의 소직경부(42)가 결합봉(20)의 고정홈(2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파판 조립체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전복 양식용 파판 조립체 { An Assembling Body of Feed Plate for Farming Abalone }
본 고안은 전복 양식용 파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전복 양식장에서 전복이 기거하는 쉘터의 상부에 위치하여 파판에 달라붙는 각종 조류를 전복의 먹이로 제공하는 파판 조립체에 있어서 각 구성간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전복 양식용 파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급 해산물인 전복의 인공양식은 방류에 의한 양식, 채롱에 의한 수하양식에 의하였으나, 상기 방류에 의한 양식은 전복의 생존율이 낮고 수확시 잠수부 또는 해녀들이 수확하여야 하는 만큼 인력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고, 상기한 채롱에 의한 수하양식은 전복의 먹이공급을 위한 사료비 및 인건비가 소요되고 부착생물 구제 및 청소를 위한 관리가 소요되며, 도난의 위험, 태풍에 의한 피해가 크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일환으로 육상수조식 전복양식이 개발되었다.
상기의 육상수조식 전복양식은 수조 내의 바닥에 쉘터(Shelter)를 설치하여 전복이 쉘터 내부에 기거할 수 있도록 하며, 쉘터의 상부에는 파판 조립체를 설치하여 파판에 달라붙는 각종 조류를 전복이 섭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상기 쉘터의 상부에 위치되는 파판 조립체는 일반적으로 일단에 머리가 형성된 4개의 결합봉에 간격유지링을 통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다수의 파판이 끼워진 후 결합봉의 타단에 형성된 수나사에 암나사가 결합됨으로써 결합봉에 파판 및 간격유지링이 고정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파판 조립체는 결합봉의 일단에 형성된 수나사에 암나사를 결합하여 파판을 고정시키기 때문에 조립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으며, 파판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결합봉으로부터 암나사를 분리한 후 파판을 분리시켜 세척하여야 하므로 분리 및 세척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41976호(등록일자 2001.07.30)의 전복치패 양식세트가 제안되었다. 이 전복치패 양식세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복 파판(1)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V자 홈이 있는 간격유지링(5)을 파판(1)의 결합홀(2)에 끼워 넣어 일체형으로 제작하고, 한쪽끝이 볼트의 육각헤드 형태로 머리가 형성된 4개의 결합봉(3)에 파판(1)을 차곡차곡 한 장씩 끼워 넣은 후, 나선형의 홈대신 다수의 단순한 둔각의 링형태의 홈이 형성된결합봉의 다른 한쪽에 손잡이가 있는 타원형태의 결합링(4)을 밀어 넣어 간단히 조일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전복치폐 양식세트는 결합봉과 결합링을 통하여 파판의 용이한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였으나, 파판의 결합홀에 간격유지링을 끼워 일체로 결합하기 때문에 파판을 결합봉으로부터 분리시켜 세척하는 경우 세척과정이 어려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평평한 파판에 간격유지링이 일체로 돌출되어 있어 이 간격유지링을 파판으로부터 분리시키지 않으면 기계적인 세척을 진행하기 어려우며, 진행한다 하더라도 정밀한 세척이 이루어지기에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결합봉의 한쪽끝이 볼트 형태의 머리로 고정되어 다른 한쪽으로만 파판이 끼워지도록 하고 있어 결합봉과 파판의 결합시 4개의 결합봉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가 어려워 실제 4개의 결합봉에 다수의 파판을 끼우는데 발생되는 문제점은 여전히 남아 있었으며, 결합봉의 다른 한쪽끝에 형성된 다수의 링형태 홈은 파판과 간격유지링이 끼워지는 방향으로만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어 결합봉으로부터 파판과 간격유지링이 분리되는 경우에 파판과 간격유지링이 홈에 걸려 자연스럽게 분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결합봉의 한쪽끝에 형성된 다수의 링형태 홈에 결합링이 결합되어 파판을 결합시키는 경우, 결합링이 파판을 결합봉의 머리방향으로 밀착시키기 위한 결합범위가 링형태 홈에 의해 정해져 있어 파판에 일체로 결합된 간격유지링의 두께에 따라 오차가 발생되어 파판을 견고히 결합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결합봉에 끼워져 고정되는 파판과 간격유지링의 결합이 용이하고, 파판 세척을 위한 파판 분리가 용이하며, 결합봉과의 파판 결합이 견고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전복 양식용 파판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결합봉에 끼워지는 다수의 먹이파판과 간격유지링을 고정클립을 통하여 결합봉에 고정시키는 전복 양식용 파판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결합봉은 양단에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클립은 내측에 결합봉에 끼워질 수 있는 직경을 갖는 대직경부와 이 대직경부의 일측에 연통되어 결합봉의 고정홈에 신축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는 직경을 갖는 소직경부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클립의 소직경부가 결합봉의 고정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클립의 소직경부에는 신축성을 제공하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소직경부의 외측에는 소직경부의 신축성을 제한하며 고정클립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클립은 일측방향에 상기 소직경부를 중심으로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먹이파판을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봉의 양단에 형성된 고정홈은 고정클립의 신속한 결합 및 분리와 먹이파판의 신속한 끼움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외측 모서리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종래 파판 조립체의 부분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파판 조립체의 조립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파판 조립체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파판 조립체의 결합봉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파판 조립체의 간격유지링 사시도,
도 6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파판 조립체의 고정클립 사시도,
도 6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파판 조립체의 고정클립 정면도,
도 6c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파판 조립체의 고정클립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파판 조립용 틀을 이용하여 결합봉에 먹이파판과 간격유지링이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결합된 파판 조립체가 전복 양식을 위한 수조의 쉘터 상부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일례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먹이파판 11 : 결합공
20 : 결합봉 21 : 고정홈
30 : 간격유지링 40 : 고정클립
41 : 대직경부 42 : 소직경부
42a : 절개부 43 : 손잡이
44 : 밀착돌기 S : 쉘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복 양식용 파판 조립체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파판 조립체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파판 조립체는 양단에 고정홈(21)이 형성되는 결합봉(20)과,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네 모서리 근처에 결합공(11)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봉(20)에 끼워지는 다수의 먹이파판(10)과, 상기 결합봉(20)에 끼워지는 각 먹이파판(10) 사이에서 결합봉(20)에 끼워져 먹이파판(10)의 간격을 유지하는 다수의 간격유지링(30)과, 상기 결합봉(20)에 끼워진 먹이파판(10) 및 간격유지링(30)을 결합봉(20)에 고정시키기 위해 결합봉(20)의 고정홈(21)과 결합되는 고정클립(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파판 조립체의 결합봉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결합봉(20)은 양단에 소정의 깊이와 폭으로 형성된 고정홈(21)이 구비되어 고정클립(40)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이 결합봉(20)의 양단에 형성된 고정홈(21)은 외측 모서리에 경사면이 형성됨으로써 결합봉(20)에 먹이파판(10)과 간격유지링(30)이 끼워지거나 분리되는 경우 걸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고정클립(40)의 신속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파판 조립체의 간격유지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간격유지링(30)은 통상의 링 형태로 이루어져 결합봉(20)에 끼워지는데, 이 간격유지링(30)은 먹이파판(10) 사이에 위치하여 다수의 먹이파판(10)이 간격유지링(30)의 두께만큼 이격되어 결합되도록 한다.
도 6a는 본 고안에 따른 파판 조립체의 고정클립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b는 고정클립의 정면도이며, 도 6c는 고정클립의 측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클립(40)은 신축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이 고정클립(40)의 내측에는 결합봉(20)에 끼워질 수 있는 직경을 갖는 대직경부(41)가 형성되고, 이 대직경부(41)의 일측에 연통되어 결합봉(20)의 고정홈(21)에 신축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는 소직경부(42)가 형성된다. 상기 소직경부(42)의 일측에는 절개부(42a)가 형성되어 소직경부(42)의 신축성을 더욱 제공하며, 소직경부(42)의 외측에는 소직경부(42)의 신축성을 일부 제한하여 소직경부(42)의 뒤틀림이나 변형을 방지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고정클립(40)을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4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고정클립(40)은 먼저 대직경부(41)를 통하여 결합봉(20)에 끼워진 후, 사용자가 손잡이(43)를 파지하여 소직경부(42)를 결합봉(20)의 고정홈(21)을 향하여 밀게 되면 소직경부(42)의 신축에 의해 고정홈(21)에 끼움 결합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클립(40)의 일측면에는 돌기(44)가 돌출 형성되어 이 돌기(44)가 형성된 일측면이 먹이파판(10)을 향하도록 결합봉(20)의 고정홈(21)에 결합되는 경우 먹이파판(10)을 밀착시켜 먹이파판(10)과 간격유지링(30)이 견고히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고정클립(4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밀착돌기(44)는 결합봉(20)의 고정홈(21)에 결합되는 소직경부(42)의 중심을 향하도록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파판 조립체의 조립 및 분해 과정을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파판 조립체는 결합봉(20)의 일측 고정홈(21)에 고정클립(40)을 결합한 후, 통상의 조립방법에 따라 결합봉(20)에 먹이파판(10)과 간격유지링(30)을 반복하여 끼운 후 마직막 먹이파판(10)의 상부에 고정클립(40)을 결합봉(20)의 타측 고정홈(21)에 결합시킴으로써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4개의 결합봉(20)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가 어려워 결합봉(20)과 먹이파판(10)의 결합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는데,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파판 조립용 틀(50)을 이용하였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파판 조립용 틀을 이용하여 결합봉에 먹이파판과 간격유지링이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판 조립용 틀(50)은 육면체로 이루어져 상하부를 관통하는 결합공(51)이 먹이파판(10)의 결합공(11)의 위치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 파판 조립용 틀(50)의 높이는 상기 결합공(51)에 끼워지는 결합봉(20)이 쓰러지지 않게 지지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된다.
이 파판 조립용 틀(50)을 이용한 파판 조립체의 조립과정은 먼저 파판 조립용 틀(50)의 결합공(51)에 결합봉(20)을 각각 끼운 후, 파판 조립용 틀(50)에 끼워져 고정되는 결합봉(20)에 먹이파판(10)과 간격유지링(30)을 차례로 끼우게 된다. 파판 조립용 틀(50)의 상부에서 먹이파판(10)과 간격유지링(30)이 결합봉(20)에 끼워진 후 먹이파판(10)의 상부에서 고정클립(40)을 결합봉(20)의 고정홈(21)에 결합시킨다. 이 과정에서 결합봉(20)의 고정홈(21)에 끼워지는 고정클립(40)은 먼저 대직경부(41)를 결합봉(20)에 끼워 고정홈(21)에 위치시킨 후, 고정클립(40)의 손잡이(43)를 잡고 소직경부(42)의 방향으로 밀면 소직경부(42)에 형성된 절개부(42a)와 손잡이(43)의 신축에 의해 고정홈(21)으로 소직경부(42)가 결합되게 된다.
결합봉(20)의 일측 고정홈(21)에 고정클립(40)이 결합되면, 파판 조립용 틀(50)을 뒤집어 고정클립(40)이 결합된 결합봉(20)의 일측 고정홈(21)이 하부로 위치되게 하여 파판 조립용 틀(50)을 결합봉(20)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이후, 결합봉(20)에 나머지 먹이파판(10)과 간격유지링(30)을 끼우고 마지막 먹이파판(10)의 상부에서 고정클립(40)을 결합봉(20)의 타측 고정홈(21)에 고정시킴으로써 파판 조립체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과정에서 결합봉(20)의 고정홈(21)에 끼워지는 고정클립(40)이 먹이파판(10)과 간격유지링(30)을 견고하게 밀착시키지 못하는 경우에는 고정클립(40)의 일측면에 형성된 밀착돌기(44)가 먹이파판(10)을 향하도록 고정클립(40)을 결합봉(20)의 고정홈(21)에 결합시켜 이 밀착돌기(44)가 먹이파판(10)을 밀착시켜 결합봉(20)에 끼워진 먹이파판(10)과 간격유지링(30)이 견고히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상기의 과정을 통하여 조립된 파판 조립체가 전복 양식을 위한 수조의 쉘터 상부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실례를 나타낸 것으로, 전복은 쉘터(S) 내부에 기거하며 파판 조립체의 먹이파판(10)에 부착된 각종 조류를 섭취함으로써 성장하게 된다.
조립된 파판 조립체를 분리시키는 경우에는 결합봉(20)의 일측에 결합된 고정클립(40)을 먼저 분리하고 먹이파판(10)과 간격유지링(30)을 차례로 분리시킨 후, 결합봉(20)의 타측에 결합된 고정클립(40)을 분리함으로써 파판 조립체의 분리가 이루어진다. 이때, 먹이파판(10)과 간격유지링(30)이 결합봉(20)으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결합봉 고정홈(21)의 외측 모서리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 먹이파판(10)과 간격유지링(30)이 고정홈(21)에 걸리지 않고 자연스럽게 빠져나옴으로써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분리된 파판 조립체를 세척한 후 파판 조립체를 다시 조립하는 방법은 상술한 파판 조립체의 조립과정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다른 파판 조립체는 양단에 고정홈이 형성된 결합봉과 이 결합봉의 고정홈에 결합되는 대직경부와 소직경부가 형성된 고정클립을 통하여 먹이파판과 간격유지링을 신속히 결합할 수 있으며, 결합봉의 고정홈 외측 모서리에 경사각을 형성하여 조립된 파판 조립체의 분리시 먹이파판과 간격유지링이 고정홈에 걸리지 않고 자연스럽게 분리됨으로써 파판 조립체의 분리가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고정클립의 일측에 형성되는 밀착돌기를 통하여 먹이파판 및 간격유지링을 견고히 결합할 수 있으며, 파판 조립용 틀을 이용하는 경우 보다 신속하고 안정된 파판 조립체의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결합봉에 끼워지는 다수의 먹이파판과 간격유지링을 고정클립을 통하여 결합봉에 고정시키는 전복 양식용 파판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결합봉(20)은 양단에 고정홈(2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클립(40)은 내측에 결합봉(20)에 끼워질 수 있는 직경을 갖는 대직경부(41)와 이 대직경부(41)의 일측에 연통되어 결합봉(20)의 고정홈(21)에 신축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는 직경을 갖는 소직경부(42)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클립(40)의 소직경부(42)가 결합봉(20)의 고정홈(2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양식용 파판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40)의 소직경부(42)에는 신축성을 제공하는 절개부(42a)가 형성되고, 소직경부(42)의 외측에는 소직경부(42)의 신축성을 제한하며 고정클립(40)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4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양식용 파판 조립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40)은
    일측방향에 상기 소직경부(42)를 중심으로 돌기(44)가 돌출 형성되어 먹이파판(10)을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양식용 파판 조립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봉(20)의 양단에 형성된 고정홈(21)은
    고정클립(40)의 신속한 결합 및 분리와 먹이파판(10)의 신속한 끼움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외측 모서리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양식용 파판 조립체.
KR2020020011617U 2002-04-17 2002-04-17 전복 양식용 파판 조립체 KR2002821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617U KR200282145Y1 (ko) 2002-04-17 2002-04-17 전복 양식용 파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617U KR200282145Y1 (ko) 2002-04-17 2002-04-17 전복 양식용 파판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2145Y1 true KR200282145Y1 (ko) 2002-07-22

Family

ID=73121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1617U KR200282145Y1 (ko) 2002-04-17 2002-04-17 전복 양식용 파판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214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328Y1 (ko) 2010-04-12 2012-10-30 박근우 다슬기 양식 성장판 세트
KR200480517Y1 (ko) * 2016-02-22 2016-06-03 김용우 전복양식기구용 스페이서
KR101755386B1 (ko) * 2010-05-24 2017-07-11 영어조합법인지스텍 수산종묘 배양구조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328Y1 (ko) 2010-04-12 2012-10-30 박근우 다슬기 양식 성장판 세트
KR101755386B1 (ko) * 2010-05-24 2017-07-11 영어조합법인지스텍 수산종묘 배양구조물
KR200480517Y1 (ko) * 2016-02-22 2016-06-03 김용우 전복양식기구용 스페이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06272A1 (en) Bird feeder with removable ports
US5515813A (en) Aquatic cultivator
US20110220032A1 (en) Aquaculture basket and attachment system
KR200387007Y1 (ko) 해삼 양식장치
KR200282145Y1 (ko) 전복 양식용 파판 조립체
US20220132810A1 (en) Bird fluid feeder device
FR2893229A1 (fr) Cage pour la culture aquatique de mollusques.
US5429074A (en) Storage apparatus for cultivating oysters
KR100905767B1 (ko) 가리비 양식용 어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80027009A (ko)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
JP2008061563A (ja) 生育部材
KR200241976Y1 (ko) 전복치패 양식세트
KR200315467Y1 (ko) 양식용 구조물
AU2008207448B2 (en) Improved Mollusc Cultivation Enclosure
KR20190031739A (ko) 굴 양식망
KR102016746B1 (ko) 두족류 양식함
KR200446423Y1 (ko) 어패류 이력 확인용 인식 클립
JP5119633B2 (ja) 生育部材
KR20120097224A (ko) 훼손된 파판 고정장치와 이를 이용한 파판 조립체
KR200202730Y1 (ko) 전복 양식기
KR101045547B1 (ko) 초파리 사육용기
KR200249275Y1 (ko) 수생 생물 유인용 미끼통
KR20150001669U (ko) 패류 양식용 간격유지링
AU2021273553B2 (en) Removeable aquatic basket and float system and method
JPH0898634A (ja) 珪藻培養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0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